2020년 11월 5일 목요일

양신미경: 良辰美景

양신미경 (良辰美景) : 좋은 시절(時節)과 아름다운 경치(景致)라는 뜻으로, 봄 경치(景致)를 이르는 말.



良辰美景 한자 뜻 풀이

  • 良(좋을 량) : 좋다, 무덤, 도깨비, 망량(罔兩), 잘. 좋고 진실된 의미에서 '어질다'는 뜻을 생성함.
  • 辰(별 신) : 별, 때, 다섯째 지지, 시각, 띠로는 용, 방위로는 동남동, 달로는 3월, 시각으로는 오전 7에서 9시 사이에 해당함. 커다란 대합조개의 껍질을 벌리고 살을 드러낸 모양을 본뜬 글자로, '蜃(신)'의 본래자. 후에 가차되어 '때[(신)]'나 '다섯째 지지(地支)[(진)]'로도 활용됨. 부수는 주로 발음으로 사용됨
  • 美(아름다울 미) : 아름답다, 맛나다, 기리다, 경사스럽다, 좋게 하다. 사람이 머리 위에 여러 가지 장식으로 치장을 하고 있는 모습에서 '아름답다'는 의미 생성
  • 景(볕 경) : 볕, 그림자, 빛, 햇살, 햇볕. 태양의 빛을 의미하는 글자로, 후에 빛이 '밝다'와 빛이 밝게 이르렀다는 '경치'의 의미 파생


[景] 볕 경 (볕, 그림자, 빛, 햇살, 햇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양신미경 획순 이미지 양신미경(良辰美景) : 좋은 시절(時節)과 아름다운 경치(景致)라는 뜻으로, 봄 경치(景致)를 이르는 말. [ (: 별 신) (: 아름다울 미) (: 볕 경) ]
  • 만추가경(晩秋佳景) : 늦가을의 아름다운 경치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풍경 또는 뒤늦게 큰 결실을 맺음을 이르는 말. [ (: 늦을 만) (: 가을 추) (: 아름다울 가) (: 볕 경) ]
  • 별유풍경(別有風景) : 좀처럼 볼 수 없는 아주 좋은 풍경. [ (: 나눌 별) (: 있을 유) (: 바람 풍) (: 볕 경) ]

[美] 아름다울 미 (아름답다, 맛나다, 기리다, 경사스럽다, 좋게 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순풍미속 획순 이미지 순풍미속(淳風美俗) : 인정이 두텁고 아름다운 풍속이나 습관. [ (: 순박할 순) (: 바람 풍) (: 아름다울 미) (: 풍속 속) ]
  • 감언미어(甘言美語) : 달콤하고 아름다운 말. [ (: 달 감) (: 말씀 언) (: 아름다울 미) (: 말씀 어) ]
  • 절세대미(絶世代美) : 이 세상(世上)에서는 견줄 사람이 없을 정도(程度)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여자(女子). [ (: 끊을 절) (: 인간 세) (: 대신 대) (: 아름다울 미) ]
  • 절세미인(絶世美人) : 절세가인(絶世佳人). [ (: 끊을 절) (: 인간 세) (: 아름다울 미) (: 사람 인) ]

[良] 좋을 량 (좋다, 무덤, 도깨비, 망량(罔兩), 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양이천석 획순 이미지 양이천석(良二千石) : 선정(善政)을 베푸는 지방 장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한(漢)나라 때에 태수(太守)의 연봉이 이천 석이었던 데서 유래한다. [ (: 두 이) (: 일천 천) (: 돌 석) ]
  • 량민오착(良民誤捉) : (1)죄 없는 사람을 잘못 잡음. (2)'양민오착'의 북한어. [ (: 백성 민) (: 그릇할 오) (: 잡을 착) ]
  • 정금양옥(精金良玉) : 정교하게 다듬은 금과 아름다운 옥이라는 뜻으로, 인품이나 시문이 맑고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 (: 정미할 정) (: 쇠 금) (: 구슬 옥) ]
  • 대안불식사득량찬(對案不食思得良饌) : 밥상을 대하고서 잡수시지 않으면 좋은 음식(飮食) 얻을 것을 생각함. [ (: 대답할 대) (: 책상 안) (: 아니 불) (: 밥 식) (: 생각할 사) (: 얻을 득) (: 좋을 량) (: 반찬 찬) ]
  • 상유양심(尙有良心) : 악한 일을 한 사람에게도 양심은 남아 있다는 뜻으로, 바르게 인도할 여지가 있음을 이르는 말. [ (: 오히려 상) (: 있을 유) (: 마음 심) ]

[辰] 별 신 (별, 때, 다섯째 지지, 시각, 띠로는 용, 방위로는 동남동, 달로는 3월, 시각으로는 오전 7에서 9시 사이에 해당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생정불신 획순 이미지 생정불신(生丁不辰) : 좋지 못한 시대에 태어남. [ (: 날 생) (: 넷째 천간 정) (: 아니 불) (: 별 신) ]
  • 양신미경(良辰美景) : 좋은 시절(時節)과 아름다운 경치(景致)라는 뜻으로, 봄 경치(景致)를 이르는 말. [ (: 별 신) (: 아름다울 미) (: 볕 경) ]
  • 현호지신(懸弧之辰) : 활을 매달아 놓은 날이라는 뜻으로, 남자가 태어나면 활을 문에 걸어 드는 데서 유래해 남자의 탄생일을 이르는 말. [ (: 매달 현) (: 활 호) (: 갈 지) (: 별 신) ]
  • 일월성신(日月星辰) : 해와 달과 별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날 일) (: 달 월) (: 별 성) (: 별 신) ]

[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락화류수 획순 이미지 락화류수(落花流水) : (1)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가는 봄의 경치를 이르는 말. (2)살림이나 세력이 약해져 아주 보잘것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떨어지는 꽃에 정(情)이 있으면 물에도 또한 정이 있어 떨어지는 꽃은 물이 흐르는 대로 흐르기를 바라고 유수는 떨어지는 꽃을 띄워 흐르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남녀가 서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4)춘앵전이나 처용무에서, 두 팔을 좌우로 한 번씩 뿌리는 춤사위. (5)1929년에 발매한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가요. 김서정(金曙汀)이 작사ㆍ작곡하고, 이정숙(李貞淑)이 노래하였다. 1927년에 만들어진 동명의 무성 영화의 주제가이다. (6)'낙화유수'의 북한어. [ (: 꽃 화) (: 물 수) ]
  • 양춘화기(陽春和氣) : 봄철의 따뜻하고 화창한 기운. [ (: 볕 양) (: 봄 춘) (: 고를 화) (: 기운 기) ]
  • 일석이조(一石二鳥) : 돌 한 개를 던져 새 두 마리를 잡는다는 뜻으로, 동시에 두 가지 이득을 봄을 이르는 말. [ (: 한 일) (: 돌 석) (: 두 이) (: 새 조) ]
  • 측목시지(側目視之) : 곁눈질하여 봄. [ (: 곁 측) (: 눈 목) (: 볼 시) (: 갈 지) ]
  • 차화헌불(借花獻佛) : 꽃을 빌려 부처에 바친다는 뜻으로, 남의 물건으로 자신의 이득을 꾀한다는 의미. [ (: 빌 차) (: 꽃 화) (: 바칠 헌) (: 부처 불) ]

[경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불야성 획순 이미지 불야성(不夜城) :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 (: 아니 불) (: 밤 야) (: 성 성) ]
  • 산고수청(山高水淸) : 산은 높고 물은 맑다는 뜻으로, 경치가 좋음을 이르는 말. [ (: 메 산) (: 높을 고) (: 물 수) (: 맑을 청) ]
  • 가경(佳境) : (1)한창 재미있는 판이나 고비. (2)경치가 좋은 곳. [ (: 아름다울 가) (: 지경 경) ]
  • 산명수청(山明水淸) : 산수가 맑고 깨끗함. [ (: 메 산) (: 밝을 명) (: 물 수) (: 맑을 청) ]
  • 락화류수(落花流水) : (1)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가는 봄의 경치를 이르는 말. (2)살림이나 세력이 약해져 아주 보잘것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떨어지는 꽃에 정(情)이 있으면 물에도 또한 정이 있어 떨어지는 꽃은 물이 흐르는 대로 흐르기를 바라고 유수는 떨어지는 꽃을 띄워 흐르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남녀가 서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4)춘앵전이나 처용무에서, 두 팔을 좌우로 한 번씩 뿌리는 춤사위. (5)1929년에 발매한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가요. 김서정(金曙汀)이 작사ㆍ작곡하고, 이정숙(李貞淑)이 노래하였다. 1927년에 만들어진 동명의 무성 영화의 주제가이다. (6)'낙화유수'의 북한어. [ (: 꽃 화) (: 물 수) ]

[시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태평연월 획순 이미지 태평연월(太平烟月) : 태평한 세월이라는 뜻으로, 편안하고 즐거운 세월을 이르는 말. [烟月은 煙月. 곧 태평한 시절의 의미]. [ (: 클 태) (: 평평할 평) (: 연기 연) (: 달 월) ]
  • 양신미경(良辰美景) : 좋은 시절(時節)과 아름다운 경치(景致)라는 뜻으로, 봄 경치(景致)를 이르는 말. [ (: 별 신) (: 아름다울 미) (: 볕 경) ]
  • 사시장춘(四時長春) : (1)어느 때나 늘 봄과 같음. (2)늘 잘 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넉 사) (: 때 시) (: 길 장) (: 봄 춘) ]
  • 수학무조(修學務早) : 학업을 닦는 일은 어릴 때 힘써야 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수행은 기억력이 왕성한 소년시절에 해야 한다는 의미. [ (: 닦을 수) (: 배울 학) (: 힘쓸 무) (: 일찍 조) ]
  • 삼계(三戒) : (1)사람이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세 가지 계. 청년 시절에는 여색을, 장년 시절에는 투쟁을, 노년 시절에는 이욕(利慾)을 경계하여야 한다는 공자의 교훈이다. (2)부처의 세 가지 계율. 재가계, 출가계, 도속 공수계를 이른다. [ (: 석 삼) (: 경계할 계)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