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4일 화요일

화생우해타: 禍生于懈惰

화생우해타 (禍生于懈惰) : 화는 게으르고 나태한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게으름이나 나태함이 화를 만들게 되듯이 성실해야 함을 경계하는 말.



禍生于懈惰 한자 뜻 풀이

  • 禍(재난 화) : 재난, 재앙을 미치다, 죄, 무너지다, 황폐한 곳. 示는 초인간적인 하늘의 상징 표현이고, 오른쪽 모양은 '骨(골)'의 변형으로 잔해만 남았다는 의미에서 '재앙'의 뜻 생성
  • 生(날 생) : 나다, 낳다, 살다, 살리다, 삶.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 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 于(어조사 우) : 어조사, 탄식하다, 가다, 크다, 굽히다. 내쉬는 숨이 장애에 막혀 잘 나오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탄식하는 숨'을 의미함. 여기서도 어조사의 의미로 사용됨
  • 懈(게으를 해) : 게으르다, 느슨해지다, 게으름을 피움, 헐렁함. 마음의 긴장이 풀려 '게을리하다'는 의미. '解(해)'는 발음
  • 惰(게으를 타) : 게으르다, 사투리, 나태함, 방언, 삼가지 않다. 마음의 긴장이 풀려 조심성이 없는 '게으르다'는 의미. 오른쪽은 발음


[于] 어조사 우 (어조사, 탄식하다, 가다, 크다, 굽히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화생우해타 획순 이미지 화생우해타(禍生于懈惰) : 화는 게으르고 나태한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게으름이나 나태함이 화를 만들게 되듯이 성실해야 함을 경계하는 말. [ (: 재난 화) (: 날 생) (: 어조사 우) (: 게으를 해) (: 게으를 타) ]
  • 수우죽백(垂于竹帛) : 대나무와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죽간(竹簡)이나 비단에 글을 써서 기록으로 남긴 것에서 이름을 역사에 남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드리울 수) (: 어조사 우) (: 대 죽) (: 비단 백) ]
  • 삼세지습지우팔십(三歲之習至于八十) :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감. [ (: 석 삼) (: 해 세) (: 갈 지) (: 익힐 습) (: 이를 지) (: 어조사 우) (: 여덟 팔) (: 열 십) ]

[惰] 게으를 타 (게으르다, 사투리, 나태함, 방언, 삼가지 않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화생우해타 획순 이미지 화생우해타(禍生于懈惰) : 화는 게으르고 나태한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게으름이나 나태함이 화를 만들게 되듯이 성실해야 함을 경계하는 말. [ (: 재난 화) (: 날 생) (: 어조사 우) (: 게으를 해) (: 게으를 타) ]

[懈] 게으를 해 (게으르다, 느슨해지다, 게으름을 피움, 헐렁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화생우해타 획순 이미지 화생우해타(禍生于懈惰) : 화는 게으르고 나태한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게으름이나 나태함이 화를 만들게 되듯이 성실해야 함을 경계하는 말. [ (: 재난 화) (: 날 생) (: 어조사 우) (: 게으를 해) (: 게으를 타) ]

[生] 날 생 (나다, 낳다, 살다, 살리다, 삶)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재생지인 획순 이미지 재생지인(再生之人) : 죽을 고비를 겪은 사람. [ (: 두 재) (: 날 생) (: 갈 지) (: 사람 인) ]
  • 살생유택(殺生有擇) :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 (: 죽일 살) (: 날 생) (: 있을 유) (: 가릴 택) ]
  • 전처소생(前妻所生) : 전처의 몸에서 난 자식. [ (: 앞 전) (: 아내 처) (: 바 소) (: 날 생) ]
  • 억만창생(億萬蒼生) : 수많은 백성. [ (: 억 억) (: 일만 만) (: 푸를 창) (: 날 생) ]
  • 견물생심(見物生心) :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 (: 볼 견) (: 만물 물) (: 날 생) (: 마음 심) ]

[禍] 재난 화 (재난, 재앙을 미치다, 죄, 무너지다, 황폐한 곳)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화복무문유인자초 획순 이미지 화복무문유인자초(禍福無門惟人自招) : 화와 복에는 문이 따로 없음. 오직 사람이 스스로 부르는 것임. [ (: 재난 화) (: 복 복) (: 없을 무) (: 문 문) (: 생각할 유) (: 사람 인) (: 스스로 자) (: 부를 초) ]
  • 언유소화(言有召禍) : 말은 화를 부름이 있다는 뜻으로, 말은 이따금 화단(禍端)을 불러올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말씀 언) (: 있을 유) (: 부를 소) (: 재난 화) ]
  • 화생우해타(禍生于懈惰) : 화는 게으르고 나태한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게으름이나 나태함이 화를 만들게 되듯이 성실해야 함을 경계하는 말. [ (: 재난 화) (: 날 생) (: 어조사 우) (: 게으를 해) (: 게으를 타) ]

[화]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남흔여열 획순 이미지 남흔여열(男欣女悅) : 부부 사이가 화평하고 즐거움. [ (: 사내 남) (: 기뻐할 흔) (: 너 여) (: 기쁠 열) ]
  • 살생유택(殺生有擇) :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 (: 죽일 살) (: 날 생) (: 있을 유) (: 가릴 택) ]
  • 개문납적(開門納賊) : 문을 열어 도둑이 들어오게 한다는 뜻으로, 제 스스로 화를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 (: 열 개) (: 문 문) (: 들일 납) (: 도둑 적) ]
  • 화관무직(華官膴職) : 이름이 높고 봉록이 많은 벼슬. [ (: 빛날 화) (: 벼슬 관) (: 포 무) (: 벼슬 직) ]

[경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 획순 이미지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 사람 인) (: 귀신 귀) (: 서로 상) (: 반 반) ]
  • 효수경중(梟首警衆) :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은 곳에 매달아 놓아 뭇사람을 경계하던 일. [ (: 올빼미 효) (: 머리 수) (: 경계할 경) (: 무리 중) ]
  • 화생우해타(禍生于懈惰) : 화는 게으르고 나태한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게으름이나 나태함이 화를 만들게 되듯이 성실해야 함을 경계하는 말. [ (: 재난 화) (: 날 생) (: 어조사 우) (: 게으를 해) (: 게으를 타) ]

[나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화생우해타 획순 이미지 화생우해타(禍生于懈惰) : 화는 게으르고 나태한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게으름이나 나태함이 화를 만들게 되듯이 성실해야 함을 경계하는 말. [ (: 재난 화) (: 날 생) (: 어조사 우) (: 게으를 해) (: 게으를 타) ]
  • 거경궁리(居敬窮理) : 주자학에서 중시하는, 학문 수양의 두 가지 방법. 거경은 내적 수양법으로 항상 몸과 마음을 삼가서 바르게 가지는 일이고, 궁리는 외적 수양법으로 널리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여 정확한 지식을 얻는 일이다. [ (: 있을 거) (: 공경 경) (: 다할 궁) (: 다스릴 리) ]

[성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익우 획순 이미지 삼익우(三益友)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 석 삼) (: 더할 익) (: 벗 우) ]
  • 화생우해타(禍生于懈惰) : 화는 게으르고 나태한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게으름이나 나태함이 화를 만들게 되듯이 성실해야 함을 경계하는 말. [ (: 재난 화) (: 날 생) (: 어조사 우) (: 게으를 해) (: 게으를 타) ]
  • 삼익지우(三益之友) : 사귀어 이로운 세 부류(部類)의 벗으로서, 정직(正直)한 사람과 성실(誠實)한 사람과 견문(見聞)이 넓은 사람을 이름. [ (: 석 삼) (: 더할 익) (: 갈 지) (: 벗 우) ]
  • 선기후인(先己後人) : 남의 일보다 자신의 일을 먼저 성실히 처리함. [ (: 먼저 선) (: 몸 기) (: 뒤 후) (: 사람 인) ]
  • 각답실지(脚踏實地) : 다리로 실제 땅을 밟았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하기 위하여 발로 뛰며 현장을 확인하는 성실한 태도를 이르는 말. [ (: 다리 각) (: 밟을 답) (: 열매 실) (: 땅 지) ]

[게으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화생우해타 획순 이미지 화생우해타(禍生于懈惰) : 화는 게으르고 나태한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게으름이나 나태함이 화를 만들게 되듯이 성실해야 함을 경계하는 말. [ (: 재난 화) (: 날 생) (: 어조사 우) (: 게으를 해) (: 게으를 타) ]
  • 반래개구(飯來開口) : 밥이 오면 입을 벌린다는 뜻으로, 심한 게으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 밥 반) (: 올 래) (: 열 개) (: 입 구) ]
  • 호학불권(好學不倦) : 배움을 좋아하여 게으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즐겨 배우며 노력한다는 학문에 열중함을 이르는 말. [ (: 좋을 호) (: 배울 학) (: 아니 불) (: 게으를 권)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