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1월 16일 월요일

다행다복: 多幸多福

다행다복 (多幸多福) : 운이 좋고 복이 많음.



多幸多福 한자 뜻 풀이

  • 多(많을 다) : 많다, 많아지다, 많게 하다, 후하다, 낫다. 본래는 고기[肉]를 포개놓은 모양에서 '많다' 생성
  • 幸(다행할 행) : 다행하다, 다행하게 하다, 사랑하다, 잠자리 시중을 들다, 혜택. 죄수들에게 끼는 형틀의 모양인데, 그것에서 벗어난다는 의미에서 '행복'이라는 의미 생성함
  • 多(많을 다) : 많다, 많아지다, 많게 하다, 후하다, 낫다. 본래는 고기[肉]를 포개놓은 모양에서 '많다' 생성
  • 福(복 복) : 복, 간직하다, 복을 받다, 하늘의 도움, 제사에 쓴 고기·술. 신에게 술단지 같은 제물을 바치는 모양에서 '복을 빈다'는 의미로 '행복'의 의미 생성


[多] 많을 다 (많다, 많아지다, 많게 하다, 후하다, 낫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하기다야 획순 이미지 하기다야(何其多也) : 의외로 많음을 이르는 말. [ (: 어찌 하) (: 그 기) (: 많을 다) (: 잇기 야) ]
  • 다사다단(多事多端) : 여러 가지 일이나 까닭이 서로 뒤얽혀 복잡함. [ (: 많을 다) (: 일 사) (: 많을 다) (: 바를 단) ]
  • 다발장리(多發將吏) : 조선 시대에, 수령이 죄인을 잡으려고 많은 수의 포교(捕校)와 사령(使令)을 보내던 일. [ (: 많을 다) (: 필 발) (: 장수 장) (: 벼슬아치 리) ]
  • 다전선고(多錢善賈) : 밑천이 넉넉하면 장사를 잘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많을 다) (: 돈 전) (: 착할 선) (: 장사 고) ]
  • 다천과귀(多賤寡貴) : 모든 상품(商品)은 다과(多寡)에 의(依)해서 그 값의 고하(高下)가 이루어짐. [ (: 많을 다) (: 천할 천) (: 적을 과) (: 귀할 귀) ]

[幸] 다행할 행 (다행하다, 다행하게 하다, 사랑하다, 잠자리 시중을 들다, 혜택)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봉시불행 획순 이미지 봉시불행(逢時不幸) : 공교롭게 아주 좋지 못한 때를 만남. [ (: 만날 봉) (: 때 시) (: 아니 불) (: 다행할 행) ]
  • 백무일행(百無一幸) : 단 하나의 요행도 없음. [ (: 일백 백) (: 없을 무) (: 한 일) (: 다행할 행) ]
  • 다행다복(多幸多福) : 운이 좋고 복이 많음. [ (: 많을 다) (: 다행할 행) (: 많을 다) (: 복 복) ]
  • 사행삭질(射幸數跌) : 요행(僥倖)을 노려 쏘는 화살은 번번이 차질(蹉跌)을 일으킨다는 뜻으로, 사행심(射倖心)으로 하는 행위는 성취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 (: 쏠 사) (: 다행할 행) (: 자주 삭) (: 넘어질 질) ]
  • 만분다행(萬分多幸) : 뜻밖에 일이 잘되어 아주 다행함. [ (: 일만 만) (: 나눌 분) (: 많을 다) (: 다행할 행) ]

[福] 복 복 (복, 간직하다, 복을 받다, 하늘의 도움, 제사에 쓴 고기·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화복무문유인자초 획순 이미지 화복무문유인자초(禍福無門惟人自招) : 화와 복에는 문이 따로 없음. 오직 사람이 스스로 부르는 것임. [ (: 재난 화) (: 복 복) (: 없을 무) (: 문 문) (: 생각할 유) (: 사람 인) (: 스스로 자) (: 부를 초) ]
  • 당대발복(當代發福) : 풍수지리에서, 부모를 좋은 묏자리에 장사 지낸 덕으로 그 아들 대에서 부귀를 누리게 됨. [ (: 마땅할 당) (: 대신 대) (: 필 발) (: 복 복) ]
  • 생민지시만복지원(生民之始萬福之原) : 백성(百姓)을 태어나게 하는 시초(始初)요, 일만가지 복의 근원(根源)임. [ (: 날 생) (: 백성 민) (: 갈 지) (: 처음 시) (: 일만 만) (: 복 복) (: 갈 지) (: 언덕 원) ]

[복]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답복철 획순 이미지 부답복철(不踏覆轍) :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뜻으로, 앞사람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 아닌가 부) (: 밟을 답) (: 뒤집힐 복) (: 바퀴 자국 철) ]
  • 상복지음(桑濮之音) :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 (: 뽕나무 상) (: 강 이름 복) (: 갈 지) (: 소리 음) ]
  • 화복무문유인자초(禍福無門惟人自招) : 화와 복에는 문이 따로 없음. 오직 사람이 스스로 부르는 것임. [ (: 재난 화) (: 복 복) (: 없을 무) (: 문 문) (: 생각할 유) (: 사람 인) (: 스스로 자) (: 부를 초) ]
  • 적선여경(積善餘慶) : 착한 일을 많이 한 결과로 경사스럽고 복된 일이 자손에게까지 미침. ≪주역≫의 <문언전(文言傳)>에 나오는 말이다. [ (: 쌓을 적) (: 착할 선) (: 남을 여) (: 경사 경) ]
  • 생민지시만복지원(生民之始萬福之原) : 백성(百姓)을 태어나게 하는 시초(始初)요, 일만가지 복의 근원(根源)임. [ (: 날 생) (: 백성 민) (: 갈 지) (: 처음 시) (: 일만 만) (: 복 복) (: 갈 지) (: 언덕 원) ]

[행복]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임하선어 획순 이미지 임하선어(臨河羨魚) : 물가에 임해서 물고기를 탐낸다는 뜻으로, 부질없이 행복이나 이득을 바란다는 의미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강 이름 하) (: 부러워할 선) (: 고기 어) ]
  • 양화구복(禳禍求福) : 재앙을 물리치고 복(福)을 구함. [ (: 제사이름 양) (: 재난 화) (: 구할 구) (: 복 복) ]
  • 복과화생(福過禍生) : 지나친 행복(幸福)은 도리어 재앙(災殃)의 원인(原因)이 됨. [ (: 복 복) (: 지날 과) (: 재난 화) (: 날 생) ]
  • 복생어미(福生於微) : 복은 작은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행복은 조그마한 일에서부터 싹튼다는 의미. [ (: 복 복) (: 날 생) (: 어조사 어) (: 작을 미) ]
  • 다행다복(多幸多福) : 운이 좋고 복이 많음. [ (: 많을 다) (: 다행할 행) (: 많을 다) (: 복 복)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