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29일 목요일

만세불역: 萬世不易

만세불역 (萬世不易) : 영원히 바뀌지 아니함.



萬世不易 한자 뜻 풀이

  • 萬(일만 만) : 1만, 다수, 결코, 크다, 전갈(全蠍). 본래 전갈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본 의미는 사라지고, 후에 수의 '일만'을 의미함. 많고 크다는 의미에서 '결코', '반드시' 등 파생
  • 世(인간 세) : 인간, 대(代), 대를 잇다, 세대, 해. '十十十'의 결합으로 삼십년을 의미하는 '세대'의 뜻 생성. 후에 '세상(世上)'의 의미를 파생함
  • 不(아니 불) : 아닌가, 크다, 새 이름, 의문사, 오디새. 땅 아래로 뻗어있는 식물의 뿌리를 표현해 아직 자라지 않았다는데서 '아니다'라는 의미 생성
  • 易(바꿀 역) : 바꾸다, 쉽다, 바뀌다, 어기다, 다르다. 日과 月의 결합에서 끊임없는 변화로 '바꾸다'는 의미로 보거나, 도마뱀의 모양으로 보기도 함. (이)발음은 '쉽다'는 의미


[不] 아니 불 (아닌가, 크다, 새 이름, 의문사, 오디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백불일실(百不一失) :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 (: 일백 백) (: 아니 불) (: 한 일) (: 잃을 실) ]
  • 회피부득(回避不得) : 피하고자 하여도 피할 수가 없음. [ (: 돌 회) (: 피할 피) (: 아닌가 부) (: 얻을 득) ]

[世] 인간 세 (인간, 대(代), 대를 잇다, 세대, 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발산개세 획순 이미지 발산개세(拔山蓋世) : 힘은 산을 뽑을 만큼 매우 세고 기개는 세상을 덮을 만큼 웅대함을 이르는 말. [ (: 뺄 발) (: 메 산) (: 덮을 개) (: 인간 세) ]
  • 절세대미(絶世代美) : 이 세상(世上)에서는 견줄 사람이 없을 정도(程度)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여자(女子). [ (: 끊을 절) (: 인간 세) (: 대신 대) (: 아름다울 미) ]
  • 창상세계(滄桑世界) : 급격히 바뀌어 변모하는 세상. [ (: 찰 창) (: 뽕나무 상) (: 인간 세) (: 지경 계) ]
  • 염량세태(炎凉世態) : 더웠다가 차가워지는 세상 인심이라는 뜻으로, 권세가 있을 때는 아부하여 좇고, 세력이 사라지면 푸대접하는 각박한 세상 인심을 이르는 말. [ (: 불꽃 염) (: 서늘할 량) (: 인간 세) (: 모양 태) ]

[易] 바꿀 역 (바꾸다, 쉽다, 바뀌다, 어기다, 다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변역생사 획순 이미지 변역생사(變易生死) : 보살이 삼계(三界)의 윤회를 떠난 뒤 성불하기까지 그 원력(願力)에 의하여 현세에 나타나서 일부러 받는 생사. 미계(迷界)와 오계(悟界)의 경계를 지나가는 상태를 이른다. [ (: 변할 변) (: 바꿀 역) (: 날 생) (: 죽을 사) ]
  • 절지지이(折枝之易) : 나뭇가지를 꺾는 것과 같이 쉽다는 뜻으로, 대단히 용이(容易)한 일을 이르는 말. [ (: 꺾을 절) (: 가지 지) (: 갈 지) (: 쉬울 이) ]
  • 천고불역(千古不易) : (1) 오래도록 변화(變化)하지 않음 (2) 영구(永久)히 변(變)하지 않음. [ (: 일천 천) (: 예 고) (: 아니 불) (: 바꿀 역) ]
  • 역책(易簀) : 학덕이 높은 사람의 죽음이나 임종을 이르는 말. 증자가 죽을 때를 당하여 삿자리를 바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이다. [ (: 바꿀 역) (: 살평상 책) ]
  • 산면분음양수성이천심(山面分陰陽水聲易淺深) : 산면은 그늘과 볕을 나누고, 물소리는 얕고 깊음을 바꿈. [ (: 메 산) (: 낯 면) (: 나눌 분) (: 응달 음) (: 볕 양) (: 물 수) (: 소리 성) (: 쉬울 이) (: 얕을 천) (: 깊을 심) ]

[萬] 일만 만 (1만, 다수, 결코, 크다, 전갈(全蠍))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누거만금 획순 이미지 누거만금(累巨萬金) : (1)'누거만금'의 북한어. (2)매우 많은 돈. [ (: 클 거) (: 일만 만) (: 쇠 금) ]
  • 백천만사(百千萬事) : 온갖 일. [ (: 일백 백) (: 일천 천) (: 일만 만) (: 일 사) ]
  • 억만창생(億萬蒼生) : 수많은 백성. [ (: 억 억) (: 일만 만) (: 푸를 창) (: 날 생) ]
  • 만군지중(萬軍之中) : 많은 군사가 진을 친 가운데. [ (: 일만 만) (: 군사 군) (: 갈 지) (: 가운데 중) ]

[만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산호만세 획순 이미지 산호만세(山呼萬歲) : 나라의 중요 의식에서 신하들이 임금의 만수무강을 축원하여 두 손을 치켜들고 만세를 부르던 일. 중국 한나라 무제가 쑹산산(嵩山山)에서 제사 지낼 때 신민(臣民)들이 만세를 삼창한 데서 유래한다. [ (: 메 산) (: 부를 호) (: 일만 만) (: 해 세) ]
  • 만세불역(萬世不易) : 영원히 바뀌지 아니함. [ (: 일만 만) (: 인간 세) (: 아니 불) (: 바꿀 역) ]
  • 택급만세(澤及萬世) : 혜택이 오래오래 미침. [ (: 못 택) (: 미칠 급) (: 일만 만) (: 인간 세) ]
  • 산호천세(山呼千歲) : 산호만세(山呼萬歲). [ (: 메 산) (: 부를 호) (: 일천 천) (: 해 세) ]
  • 만세불간(萬世不刊) : 오래도록 길이 전함. [ (: 일만 만) (: 인간 세) (: 아니 불) (: 책 펴낼 간) ]

[불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만세불역 획순 이미지 만세불역(萬世不易) : 영원히 바뀌지 아니함. [ (: 일만 만) (: 인간 세) (: 아니 불) (: 바꿀 역) ]
  • 강산불로(江山不老) : 강산(江山)은 늙지 않고 영구(永久) 불변(不變)이라는 뜻으로, 불로장생(不老長生)을 비는 말. [ (: 강 강) (: 메 산) (: 아니 불) (: 늙을 로) ]
  • 불역지전(不易之典) : (1)쉽게 고칠 수 없는, 기본이 되는 규정. (2)하지 않을 수 없는 일. [ (: 아니 불) (: 바꿀 역) (: 갈 지) (: 법 전) ]
  • 무거무래(無去無來) : 우주의 근본 이치인 대아(大我)와 심체(心體)는 시작도 끝도 없이 항상 존재함. 진리 또는 진여(眞如)가 무한함을 이른다. [ (: 없을 무) (: 갈 거) (: 없을 무) (: 올 래) ]

[세월]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무정세월 획순 이미지 무정세월(無情歲月) : 덧없이 흘러가는 세월. [ (: 없을 무) (: 뜻 정) (: 해 세) (: 달 월) ]
  • 부지세월(不知歲月) : 세월이 가는 줄을 알지 못함. [ (: 아닌가 부) (: 알 지) (: 해 세) (: 달 월) ]
  • 세불아여(歲不我與) : 세월은 나와 더불지 않는다는 뜻으로, 세월이 덧없이 지나가 나를 기다리지 않는다는 의미. [ (: 해 세) (: 아니 불) (: 나 아) (: 줄 여) ]
  • 태평연월(太平烟月) : 태평한 세월이라는 뜻으로, 편안하고 즐거운 세월을 이르는 말. [烟月은 煙月. 곧 태평한 시절의 의미]. [ (: 클 태) (: 평평할 평) (: 연기 연) (: 달 월) ]
  • 연심세구(年深歲久) : (1)'연심세구'의 북한어. (2)세월이 매우 오래됨. [ (: 깊을 심) (: 해 세) (: 오랠 구) ]

[언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약롱중물 획순 이미지 약롱중물(藥籠中物) : (1)병을 고치는 약처럼 사람의 잘못을 고치도록 하는 것. (2)약롱 속의 약품이라는 뜻으로, 꼭 필요한 사람을 이르는 말. (3)가까이 사귀어 자기편으로 만든 사람. [ (: 약 약) (: 대그릇 롱) (: 가운데 중) (: 만물 물) ]
  • 만세불역(萬世不易) : 영원히 바뀌지 아니함. [ (: 일만 만) (: 인간 세) (: 아니 불) (: 바꿀 역) ]
  • 청호우기(晴好雨奇) : 갠 후의 경치도 좋고 빗속 경치도 기이함. [ (: 갤 청) (: 좋을 호) (: 비 우) (: 기이할 기) ]
  • 천재불마(千載不磨) : 천 년이 지나도 달지 않는다는 뜻으로, 천년 후까지 남는다는 의미거나, 언제까지나 지워지지 않는다는 말. [ (: 일천 천) (: 실을 재) (: 아니 불) (: 갈 마) ]
  • 천고불후(千古不朽) : 영원히 썩지 아니하고 없어지지 아니함. [ (: 일천 천) (: 예 고) (: 아니 불) (: 썩을 후) ]

[영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파경지탄 획순 이미지 파경지탄(破鏡之歎) : 부부(夫婦) 사이의 영원(永遠)한 이별(離別)을 서러워 하는 탄식(歎息). [ (: 깨뜨릴 파) (: 거울 경) (: 갈 지) (: 탄식할 탄) ]
  • 송백지무(松柏之茂) : 소나무와 잣나무가 항상 푸른 것처럼 영원토록 번영함을 이르는 말. [ (: 솔 송) (: 측백나무 백) (: 갈 지) (: 우거질 무) ]
  • 만세불역(萬世不易) : 영원히 바뀌지 아니함. [ (: 일만 만) (: 인간 세) (: 아니 불) (: 바꿀 역) ]
  • 천경지위(天經地緯) : 하늘이 정하고 땅이 받드는 길이라는 뜻으로,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나 법칙을 이르는 말. [ (: 하늘 천) (: 지날 경) (: 땅 지) (: 씨 위) ]

[의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 묶을 속) (: 손 수) (: 없을 무) (: 꾀 책) ]
  • 공전절후(空前絶後)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 빌 공) (: 앞 전) (: 끊을 절) (: 뒤 후) ]
  • 우이독경(牛耳讀經) : 쇠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 (: 소 우) (: 귀 이) (: 읽을 독) (: 지날 경) ]
  • 백불일실(百不一失) :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 (: 일백 백) (: 아니 불) (: 한 일) (: 잃을 실)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