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16일 화요일

한자 錨에 관한 단어는 모두 31개

한자 錨에 관한 단어는 모두 3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錨에 관한 단어는 모두 31개

  • 대묘 (大錨) : 배에서, 이물의 좌우에 있는 닻과 예비로 갖춘 닻을 통틀어 이르는 말.
  • 묘박 (錨泊) : 배가 닻을 내리고 머무름.
  • 묘삭 (錨索) : 닻을 매다는 줄. 밧줄이나 쇠줄로 되어 있다.
  • 묘상 (錨床) : 선박에서 닻을 놓기 위하여 갑판 위에 설치한 대.
  • 묘쇄 (錨鎖) : 닻에 연결된 쇠사슬.
  • 묘지 (錨地) : 배가 닻을 내리고 정박하는 곳.
  • 발묘 (拔錨) : 내렸던 닻을 거두어 올린다는 뜻으로, 배가 떠남을 이르는 말.
  • 소묘 (小錨) : 선박에 예비로 마련하여 두는 닻.
  • 양묘 (揚錨) : 닻을 감아올림.
  • 주묘 (主錨) : 배의 앞머리에 있는 닻.
  • 중묘 (中錨) : 배의 고물 부근에 두어 고물의 흔들림을 막거나 좌초될 때에 배의 몸을 고정하려고 쓰는 닻.
  • 철묘 (鐵錨) : 쇠로 만든 닻.
  • 투묘 (投錨) : 배를 정박하고자 닻을 내림.
  • 하묘 (下錨) : 닻을 내림. 또는 배를 항구에 댐.
  • 단묘박 (單錨泊) : 배가 닻 하나를 내리고 머무르는 일.
  • 묘쇄고 (錨鎖庫) : 닻사슬을 넣어 두는 창고.
  • 묘쇄공 (錨鎖孔) : 닻사슬이나 닻줄이 통과하도록 배의 외판에 뚫은 구멍.
  • 묘쇄관 (錨鎖管) : 닻사슬이나 닻줄이 통과하도록 배의 외판과 갑판 사이에 설치한 관.
  • 선미묘 (船尾錨) : 배의 고물에 있는 닻.
  • 선수묘 (船首錨) : 배의 앞머리에 있는 닻.
  • 쌍묘박 (雙錨泊) : 두 개의 닻을 내리고 정박하는 일.
  • 양묘기 (揚錨機) : 배의 닻을 감아 올리고 풀어 내리는 장치를 한 기계.
  • 양묘망 (兩錨網) : 두 개의 닻으로 고정한 낭장망. 그물을 든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쓴다.
  • 우현묘 (右舷錨) : 오른쪽 뱃전에 매단 닻.
  • 좌현묘 (左舷錨) : 왼쪽 뱃전에 매단 닻.
  • 묘박하다 (錨泊하다) : 배가 닻을 내리고 머무르다.
  • 발묘하다 (拔錨하다) : 배가 떠나다. 내렸던 닻을 거두어 올린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양묘하다 (揚錨하다) : 닻을 감아올리다.
  • 투묘하다 (投錨하다) : 배를 정박하고자 닻을 내리다.
  • 하묘하다 (下錨하다) : 닻을 내리다. 또는 배를 항구에 대다.
  • 쌍묘박하다 (雙錨泊하다) : 두 개의 닻을 내리고 정박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錨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陳에 관한 단어는 모두 223개

한자 陳에 관한 단어는 모두 223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陳에 관한 단어는 모두 223개

  • 진 (陳) : 중국 춘추 시대, 제후국 가운데 주나라의 무왕(武王)이 호공(胡公) 만(滿)에게 봉한 나라. 지금의 허난성(河南省) 화이양현(淮陽縣)에 있었는데, 세력을 떨치지 못하다가 기원전 478년경 초나라에 망하였다.
  • 진 (陳) : 중국 남북조 시대, 남조의 마지막 나라. 557년 진패선(陳霸先)이 후경(侯景)의 난을 평정한 뒤, 양나라의 정권을 장악하여 제위에 올랐는데, 589년 수나라의 문제에게 망하였다.
  • 진 (陳)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여양(驪陽), 삼척(三陟), 나주(羅州) 등 30여 본이 현존한다.
  • 개진 (開陳) : 주장이나 사실 따위를 밝히기 위하여 의견이나 내용을 드러내어 말하거나 글로 씀.
  • 구진 (口陳) : 입으로 말함.
  • 구진 (句陳) : 동ㆍ서ㆍ남ㆍ북ㆍ중앙의 다섯 방향을 지킨다는 육신(六神)의 하나. 등사(螣蛇)와 함께 방위의 중앙을 맡아 지킨다고 한다.
  • 구진 (久陳) : 음식이 만든 지 오래되어 맛이 변함.
  • 구진 (舊陳) : 여러 해 내버려 둔 땅이나 논밭.
  • 구진 (具陳) : 모든 것을 갖추어 자세히 진술함.
  • 구진 (鉤陳) : 북극에 가장 가까운 여섯 개의 별자리 가운데 갈고리 모양의 별자리.
  • 나진 (羅陳) : 나란히 줄을 지음.
  • 날진 (날陳) : 야생의 매.
  • 내진 (內陳) : 의견 따위를 비공식적으로 은밀히 말함. 또는 그런 진술.
  • 논진 (論陳) : 논하여 진술함.
  • 누진 (縷陳) : 자세하게 진술함.
  • 매진 (枚陳) : 사실대로 낱낱이 들어 말함.
  • 면진 (面陳) : 직접 만나서 진술함.
  • 묘진 (墓陳) : 묘지에 딸려 있어 조세를 면제받는 논밭.
  • 사진 (査陳) : 예전에, 묵힌 땅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던 일.
  • 산진 (山陳) : 산에서 자라 여러 해를 묵은 매나 새매.
  • 삼진 (三陳) : 세 해를 묵어서 네 살이 된 매나 새매. 동작이 느려 사냥에는 쓰지 못한다.
  • 소진 (疏陳) : 조리 있게 진술함.
  • 소진 (所陳) : 진술한 것.
  • 소진 (訴陳) : 소송의 뜻을 진술하는 일. 원고와 피고의 진술을 뜻한다.
  • 수진 (手陳) : 사람의 손으로 길들인 매나 새매.
  • 신진 (新陳) : 새것과 묵은 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재진 (再陳) : 두 해를 묵어서 세 살이 된 매나 새매.
  • 적진 (積陳) : 죽 벌여 쌓음.
  • 전진 (前陳) : 앞에서 이미 진술하거나 논술함.
  • 조진 (條陳) : 조목조목 들어서 말하거나 써서 진술함.
  • 주진 (奏陳) : 임금에게 아뢰던 일.
  • 지진 (地陣/地陳) : 예전에, 진을 치는 세 가지 방법 가운데 하나. 하천과 구릉 따위의 지형을 이용하여 전쟁에 유리하게 치는 일이다.
  • 지진 (紙陳) : 조선 시대에, 승문원에 속하여 종이 다루는 일을 맡아보던 잡직(雜職).
  • 진결 (陳結) : 묵은 논밭에서 받던 조세.
  • 진계 (陳啓) : 임금에게 사리를 가려서 아뢰던 일.
  • 진고 (陳告) : 윗사람에게 이야기하여 아룀.
  • 진곡 (陳穀) : 묵은 곡식.
  • 진공 (陳供) : 죄를 저지른 사람이 자기의 죄상을 사실대로 말함.
  • 진구 (陳久) : '진구하다'의 어근. (진구하다: 묵은 지 오래되다.)
  • 진국 (陳麴) : 오랫동안 발효시킨 누룩.
  • 진담 (陳談) : 낡고 진부한 이야기.
  • 진답 (陳畓) : 농사를 짓지 아니하고 오래 묵어서 거칠어진 논.
  • 진미 (陳米) : 그해에 난 것이 아닌 오래된 쌀.
  • 진변 (陳辯) : 일의 사정이나 까닭을 말하여 변명함.
  • 진부 (陳腐) : '진부하다'의 어근. (진부하다: 사상, 표현, 행동 따위가 낡아서 새롭지 못하다.)
  • 진사 (陳謝) : 까닭을 설명하며 사과의 말을 함.
  • 진상 (陳狀) : 일의 사정이나 상황을 말함.
  • 진서 (陳書) : 중국 북송 때에, 요사렴이 왕명에 따라 편찬한 진(陳)나라의 사서(史書). 중국 이십오사(二十五史)의 하나로, 본기(本紀) 6권과 열전(列傳) 3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 진설 (陳設) : 제사나 잔치 때, 음식을 법식에 따라 상 위에 차려 놓음.
  • 진성 (陳誠) : → 천청. (천청: 중국의 군인ㆍ정치가(1897~1965). 공산군과의 내전에 공을 세우고, 제이 차 세계 대전 때에는 중국 각 전구(戰區)의 사령관을 지냈으며, 전쟁 후에는 행정원장과 부총통을 겸하였다.)
  • 진성 (陳省) : 지방 관아에서 중앙 관아에 올리는 각종 보고서.
  • 진소 (陳訴) : 사정을 말하여 하소연함.
  • 진소 (陳疏) : 임금에게 글을 올리던 일. 또는 그 글. 주로 간관(諫官)이나 삼관(三館)의 관원이 임금에게 정사(政事)를 간하기 위하여 올렸다.
  • 진수 (陳壽) : 중국 서진(西晉)의 역사가(233~297). 자는 승조(承祚). 삼국 시대에 촉나라를 섬기었으나, 후에 진(晉)나라에 봉사하였다. 중국 정사(正史)의 하나인 ≪삼국지≫를 편찬하였다.
  • 진순 (陳淳) : 중국 명나라의 서화가(1483~1544). 자는 도복(道復). 호는 백양산인(白陽山人). 문징명에게 배웠으며, 화훼화(花卉畫)에 능하였다. 작품에 <만취도(晩翠圖)>가 있다.
  • 진술 (陳述) : 일이나 상황에 대하여 자세하게 이야기함. 또는 그런 이야기.
  • 진승 (陳勝) : 중국 진(秦)나라 말기의 농민 반란 지도자(?~B.C.208). 진나라의 이세 황제 원년(B.C.209)에 오광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초나라 왕이 되었다가 6개월 만에 평정되었는데, 이를 계기로 진나라는 멸망하기 시작하였다.
  • 진시 (陳試) : 조선 시대에, 초시(初試)에 급제한 사람이 복시(覆試)에 응하기가 어려울 때에 그 사정을 예조(禮曹)에 고하고 다른 해에 복시를 보던 일.
  • 진언 (陳言) : 낡아 빠지고 케케묵은 말.
  • 진열 (陳列) : 여러 사람에게 보이기 위하여 물건을 죽 벌여 놓음.
  • 진오 (陳吳) : 어떤 일에 선수를 쳐서 앞지르는 일 또는 그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 때에 진승과 오광이라는 사람이 군사를 일으켜 반란에 선수를 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 진용 (陳容) : 중국 남송 말기의 화가(?~?). 자는 공저(公儲). 호는 소옹(所翁). 강한 필력으로 분방하게 용의 특징을 잘 나타내었다.
  • 진원 (陳苑) : 중국 원나라의 학자(1256~1330). 자는 입대(立大). 정명 선생(靜明先生)이라고도 불린다. 육구연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며, 고도(古道)를 밝히는 일에 힘써서 원나라에서 조해(趙偕)와 더불어 쌍벽을 이루었다.
  • 진유 (陳喩) : 까닭을 말하여 깨치게 함.
  • 진임 (陳琳) : 중국 후한 말기의 문인(?~?). 건안 칠자의 한 사람으로, 역사적 사실을 이용하여 대구법과 대유법을 많이 사용한 산문이 유명하다.
  • 진장 (陳醬) : 기름을 뺀 콩을 쪄서 볶은 밀가루와 섞고, 곰팡이 씨를 뿌려 메주를 띄운 후, 소금물을 부어 6개월가량 발효시켜 짜낸 간장.
  • 진장 (陳藏) : 겨우내 먹기 위하여 김치를 한꺼번에 많이 담그는 일. 또는 그렇게 담근 김치.
  • 진적 (陳迹) : 지난날의 묵은 자취.
  • 진전 (陳田) : 조선 시대에, 전안(田案)에는 경지로 되어 있으나 오랫동안 경작하지 아니한 토지. 면세전이었다.
  • 진정 (陳情) : 실정이나 사정을 진술함.
  • 진조 (陳朝) : 1225년에서 1413년까지 베트남을 지배하던 왕조. 진경(陳煚)이 세운 것으로, 몽고군에 항거하여 독립을 수호하고, 독자적인 문자를 만드는 등 민족 문화를 발전시키다가 15대에 중국 명나라에게 망하였다.
  • 진주 (陳奏) : 사정을 윗사람에게 진술하여 아룀.
  • 진주 (陳主) : 조선 시대에, 토지 대장에 나타난 이전(以前) 경작자나 소유자.
  • 진채 (陳菜) : 음력 정월 대보름날, 여름에 더위를 이겨 내기 위하여 먹는 묵은 나물. 박나물, 말린 버섯, 콩나물순, 순무, 무, 가지 고지, 시래기 따위를 무쳐 먹는다.
  • 진청 (陳請) : 사정을 말하여 간청함.
  • 진초 (陳草) : 해를 지난 묵은 담배.
  • 진투 (陳套) : 시대에 뒤떨어진 낡은 투.
  • 진편 (陳編/陳篇) : 옛날의 서적.
  • 진평 (陳平) : 중국 한나라의 정치가(?~B.C.178). 한고조를 도와 천하 통일을 이루었으며, 여씨의 난을 평정하였다.
  • 진피 (陳皮) : 말린 귤의 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오래 묵을수록 약효가 좋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위(胃)를 보호하여 소화를 돕고, 담(痰)을 삭이는 데 쓴다.
  • 진현 (陳玄) : '먹'을 달리 이르는 말. 중국의 한유(韓愈)가 먹을 의인화하여 부른 데서 유래한다. (먹: 벼루에 물을 붓고 갈아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하는 검은 물감. 아교를 녹인 물에 그을음을 반죽하여 굳혀서 만든다., 벼루에 먹을 갈아 만든 검은 물.)
  • 진화 (陳澕) : 고려 시대의 문인(?~?). 호는 매호(梅湖). 시에 능하고 사(詞)에 쓰인 말이 맑고 고와 경지에 달하였으며, 변태 백출(變態百出)한 표현으로 이규보와 더불어 이름을 떨쳤다. 문집 ≪매호유고≫에 시 몇 편이 전한다.
  • 진황 (陳荒) : 논밭이나 들 따위가 묵어서 거칠어짐.
  • 착진 (錯陳) : 뒤섞여 늘어섬. 또는 뒤섞어 늘어놓음.
  • 청진 (請陳) : 권력 있는 양반과 토호들이 자기 하인들을 부려 묵은 밭을 개간할 수 있도록 조정에 청하던 일.
  • 초진 (初陳) : 한 해를 묵어서 두 살이 된 매나 새매.
  • 추진 (追陳) : 뒤에 덧붙여 말한다는 뜻으로, 편지의 끝에 더 쓰고 싶은 것이 있을 때에 그 앞에 쓰는 말.
  • 출진 (出陳) : 전람회나 전시회 따위에 물품을 내놓아 진열함.
  • 포진 (布陳) : 물건 따위를 펴서 늘어놓음.
  • 포진 (鋪陳) : 바닥에 깔아 놓는 방석, 요, 돗자리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 피진 (披陳) : 생각이나 사정을 숨기지 아니하고 말함. 또는 사정을 피력ㆍ개진함.
  • 구진전 (舊陳田) : 2년 이상 묵은 논밭.
  • 금진전 (今陳田) : 1년 묵은 진전(陳田).
  • 산진매 (山陳매) : 산에서 자라 여러 해를 묵은 매나 새매.
  • 솔인진 (솔茵陳)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50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깊게 갈라진다. 여름에 노란 꽃이 산방(繖房) 화서로 줄기나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로 원뿔형이다. 고산 지대에 나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수진개 (手陳개) : 수지니인 매.
  • 수진매 (手陳매) : 사람의 손으로 길들인 매나 새매.
  • 양진전 (量陳田) : 조선 시대에, 양안(量案)에 진전(陳田)으로 올라 있던 논밭.
  • 어리진 (魚麗陳) : 물고기가 떼를 지어 앞으로 나아가는 것처럼 둥글고 긴 대형이나 진법.


https://dict.wordrow.kr에서 陳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絰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한자 絰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絰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 가질 (加絰) : 죽은 사람에게 새 옷을 입히는 소렴(小殮) 때에 상제가 수질(首絰)을 처음으로 머리에 씀.
  • 갈질 (葛絰) : 칡을 꼬아서 만든, 상복을 입을 때 머리나 허리에 두르는 둥근 띠.
  • 묵질 (墨絰) : 예전에, 상중에 종군(從軍)할 때 입던 검은색 상복.
  • 수질 (首絰) : 상복을 입을 때에 머리에 두르는, 짚에 삼 껍질을 감은 둥근 테.
  • 오질 (오絰) : → 깃. (깃: 조류의 몸 표면을 덮고 있는 털., 새의 날개., 화살에 세 갈래로 붙인 새 날개의 털.)
  • 요질 (腰絰) : 상복(喪服)을 입을 때에, 짚에 삼을 섞어서 굵은 동아줄처럼 만들어 허리에 띠는 띠.
  • 최질 (衰絰) : 상중(喪中)에 입는 삼베옷. 상복과 수질(首絰) 및 요질(腰絰)이 있다.
  • 환질 (環絰) : 사각건 위에 덧씌우는, 삼으로 꼰 둥근 테두리.
  • 가질하다 (加絰하다) : 죽은 사람에게 새 옷을 입히는 소렴(小殮) 때에 상제가 수질(首絰)을 처음으로 머리에 쓰다.


https://dict.wordrow.kr에서 絰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禁에 관한 단어는 모두 516개

한자 禁에 관한 단어는 모두 516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禁에 관한 단어는 모두 516개

  • 금 (禁) : '금하다'의 어근. (금하다: 어떤 일을 하지 못하게 말리다., 감정 따위를 억누르거나 참다.)
  • 가금 (苛禁) : 엄하게 금지함.
  • 가금 (呵禁) : 조선 시대에, 높은 벼슬아치가 다닐 때 길을 인도하는 하인이 앞에서 소리를 질러 행인들을 비키게 하던 일. 또는 그 일을 맡은 하인.
  • 감금 (監禁) : 드나들지 못하도록 일정한 곳에 가둠.
  • 계금 (戒禁) : 모든 악을 금지하여 못하게 막음.
  • 고금 (故禁) : 벼슬아치가 사사로운 감정으로 죄 없는 사람을 잡아 가두던 일.
  • 관금 (官禁) : 어떤 일에 대하여 관청에서 하지 못하도록 함.
  • 교금 (敎禁) : 가르쳐서 깨닫게 하는 것과 어떤 행위를 금하는 것을 이르는 말.
  • 구금 (九禁) : 아홉 겹의 금문(禁門)이라는 뜻으로, 대궐을 이르는 말.
  • 구금 (拘禁) : 피고인 또는 피의자를 구치소나 교도소 따위에 가두어 신체의 자유를 구속하는 강제 처분. 형이 확정되지 않은 사람에 대하여 집행하며, 형이 확정되면 구금 일수를 계산하여 형을 집행한 것과 동일하게 취급한다.
  • 국금 (國禁) : 나라의 법으로 금함. 또는 그렇게 금한 일.
  • 궁금 (宮禁) : 임금이 거처하는 집.
  • 권금 (勸禁) : 권하는 것과 금하는 것.
  • 금계 (禁戒) : 어떤 일을 하지 못하도록 막고 경계함.
  • 금계 (禁界) : 다니지 못하도록 금하는 지역이나 경계.
  • 금고 (禁錮) : 자유형의 하나. 교도소에 가두어 두기만 하고 노역은 시키지 않는다.
  • 금과 (禁果) : 구약 성경에서, 하나님이 아담과 하와에게 따 먹지 말라고 명한 선악과나무의 열매. 아담과 하와가 뱀에게 유혹당해 이것을 따 먹음으로써 에덴동산에서 추방당하게 되고, 인류에게 원죄가 생겼다고 한다.
  • 금관 (禁官) : 죄인을 다스리던 벼슬아치.
  • 금구 (禁句) : 남의 감정을 해칠 우려가 있어 말하기를 피하는 어구.
  • 금군 (禁軍) : 고려ㆍ조선 시대에, 궁중을 지키고 임금을 호위ㆍ경비하던 친위병.
  • 금궐 (禁闕) : 임금이 거처하는 집.
  • 금기 (禁忌) : 어떤 약이나 치료법이 특정 환자에게 나쁜 영향이 있는 경우에 그 사용을 금지하는 일.
  • 금남 (禁男) : 남자의 출입이나 접근을 금함.
  • 금내 (禁內) : 대궐 안.
  • 금녀 (禁女) : 여자의 출입이나 접근을 금함.
  • 금단 (禁斷) : 어떤 구역에 드나들지 못하도록 막음.
  • 금달 (禁闥) : 궐내에서 임금이 평소에 거처하는 궁전의 앞문.
  • 금당 (禁堂) : 조선 시대에, 의금부의 당상관.
  • 금도 (禁盜) : 도둑질하는 것을 금함.
  • 금란 (禁亂) : 법을 어기거나 사회를 혼란스럽게 하지 못하도록 법적으로 금지함.
  • 금려 (禁旅) : 고려ㆍ조선 시대에, 궁중을 지키고 임금을 호위ㆍ경비하던 친위병.
  • 금렵 (禁獵) : 사냥을 못 하게 함.
  • 금령 (禁令) :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게 하는 법령.
  • 금례 (禁隷) : 조선 시대에, 의금부나 사헌부에 속하여 시중을 들면서 백성들의 불법 행위를 단속하던 하인.
  • 금롱 (禁籠) : 새나 그 밖의 동물을 가두어 기르는 장(欌).
  • 금루 (禁漏) : 궁중의 물시계.
  • 금리 (禁裏) : 대궐 안.
  • 금리 (禁吏) : 조선 시대에, 의금부와 사헌부에 속하여 도성 안의 범법 행위를 단속하던 하급 벼슬아치.
  • 금망 (禁網) : 법의 그물이라는 뜻으로, 죄를 지은 사람에게 제재를 할 수 있는 법률이나 그 집행 기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금문 (禁門) : 출입을 금지한 문.
  • 금물 (禁物) : 해서는 안 되는 일.
  • 금방 (禁方) : 남에게 함부로 전하여 주지 않는 약방문.
  • 금벌 (禁伐) : 나무를 함부로 베는 것을 금함.
  • 금법 (禁法) :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게 하는 법령.
  • 금별 (禁別) : 조선 후기에, 금군청이나 용호영에 속하여 왕의 친위병을 실제로 통할하던 벼슬. 병조 판서가 겸임하던 대장의 다음 직위로, 품계는 종이품 가선대부(嘉善大夫)이다.
  • 금병 (禁兵) : 고려ㆍ조선 시대에, 궁중을 지키고 임금을 호위ㆍ경비하던 친위병.
  • 금부 (禁府) : 조선 시대에,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중죄인을 신문하는 일을 맡아 하던 관아. 태종 14년(1414)에 의용순금사를 고친 것으로 왕족의 범죄, 반역죄ㆍ모역죄 따위의 대죄(大罪), 부조(父祖)에 대한 죄, 강상죄(綱常罪), 사헌부가 논핵(論劾)한 사건, 이(理)ㆍ원리(原理)의 조관(朝官)의 죄 따위를 다루었는데, 고종 31년(1894)에 의금사로 고쳤다.
  • 금비 (禁祕) : 일정한 것을 금하여 비밀로 함.
  • 금산 (禁山) : 나라에서 나무를 베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산.
  • 금삼 (禁蔘) : 예전에 인삼의 수출을 금지하던 일. 또는 그 인삼.
  • 금색 (禁色) : 성적(性的) 교접을 금함.
  • 금서 (禁書) : 출판이나 판매 또는 독서를 법적으로 금지한 책.
  • 금선 (禁線) : 줄을 쳐 놓고 들어가지 못하도록 금하는 선.
  • 금성 (禁省) : 궁궐과 그 안에 있는 관아를 이르던 말.
  • 금성 (禁城) : 궁궐을 둘러 싼 성벽.
  • 금속 (禁贖) : 금지령을 어긴 죄를 씻고자 바치는 돈.
  • 금송 (禁松) : 소나무를 베지 못하게 금하던 일.
  • 금수 (禁輸) : 수입이나 수출을 금함.
  • 금식 (禁食) : 치료나 종교, 또는 그 밖의 이유로 일정 기간 동안 음식을 먹지 못하게 금해짐. 또는 먹지 않음.
  • 금알 (禁遏) : 법이나 규칙이나 명령 따위로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함.
  • 금압 (禁壓) : 억눌러서 못 하게 함.
  • 금애 (禁隘) : 출입이 금지되어 있는 요새 지대.
  • 금액 (禁掖) : 대궐 안.
  • 금약 (禁約) : 하지 못하게 단속함.
  • 금약 (禁藥) : 먹지 못하게 하는 약.
  • 금양 (禁養) : 나무나 풀 따위를 함부로 베지 못하도록 하여 가꿈.
  • 금어 (禁漁) : 번식과 보호를 위하여 어류 따위를 잡지 못하게 함.
  • 금언 (禁言) : 말을 하지 않음.
  • 금연 (禁煙) : 담배를 피우는 것을 금함.
  • 금영 (禁營) : 궁궐 안을 지키는 병사들이 머물던 군영.
  • 금옥 (禁獄) : 옥에 가두어 두던 형벌. 중죄(重罪)에 부과하는 형으로, 중금옥과 경금옥이 있었다.
  • 금욕 (禁慾) : 욕구나 욕망을 억제하고 금함.
  • 금원 (禁垣) : 예전에, 궁궐의 안을 이르던 말.
  • 금원 (禁苑) : 예전에, 궁궐 안에 있던 동산이나 후원.
  • 금위 (禁衛) : 고려ㆍ조선 시대에, 궁중을 지키고 임금을 호위ㆍ경비하던 친위병.
  • 금육 (禁肉) : 고기붙이를 먹지 아니함.
  • 금자 (禁子) : 옥에 갇힌 사람을 맡아 지키던 사람.
  • 금장 (禁葬) : 어떤 장소에 매장을 금함.
  • 금장 (禁仗) : 죄인을 치거나 찌르는 데에 쓰던, 창처럼 생긴 형구.
  • 금장 (禁將) : 조선 후기에 둔, 금위영의 으뜸 벼슬. 종이품 가선대부로, 병조 판서가 겸임하다가 영조 30년(1754)에 별도의 대장을 두었다.
  • 금전 (禁轉) : 수표나 어음 따위의 양도를 금지함.
  • 금절 (禁絕) : 엄중히 금하여 근절함.
  • 금제 (禁制) :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게 말림. 또는 그런 법규.
  • 금조 (禁鳥) : 법률로 잡지 못하게 하여 보호하는 새. 천연기념물 또는 학술 연구나 산업상의 이유로 보호하는데 지역적인 것과 시기적인 것이 있다.
  • 금족 (禁足) : 일정한 곳에 머무르게 하고 외출을 못하게 함.
  • 금주 (禁酒) : 술을 마시지 못하게 함.
  • 금줄 (禁줄) : 부정한 것의 침범이나 접근을 막기 위하여 문이나 길 어귀에 건너질러 매거나 신성한 대상물에 매는 새끼줄. 아이를 낳았을 때, 장 담글 때, 잡병을 쫓고자 할 때, 신성 영역을 나타내고자 할 때에 사용한다. 이 줄이 있는 곳은 사람이 함부로 드나들지 못한다.
  • 금줄 (禁줄) : 굿패의 우두머리.
  • 금중 (禁中) : 대궐 안.
  • 금즙 (禁戢) : 어떤 사람을 물리치거나 어떤 일을 하지 못하도록 금함.
  • 금지 (禁地) : 함부로 드나들지 못하게 하는 땅.
  • 금지 (禁止) : 법이나 규칙이나 명령 따위로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함.
  • 금직 (禁直) : 의금부의 당직을 이르던 말.
  • 금촉 (禁燭) : 과거장에 촛불을 금지하던 법. 과거장에 날이 어두워지면 촛불을 켜고 시권(詩券)을 쓰게 하였으나 부정이 많아서, 조선 시대에는 해가 지면 강제로 시권을 걷고 촛불을 켜지 못하게 하였다.
  • 금추 (禁推) : 조선 시대에, 의금부에서 죄인을 신문하던 일.
  • 금칙 (禁飭) : 하지 못하게 타이름.
  • 금패 (禁牌) : 금리(禁吏)가 지니던 패. 범법 행위를 단속할 때에 내보였다.
  • 금표 (禁標) : 출입 금지를 알리는 푯말.
  • 금혁 (禁革) : 금지하여 없애 버림.


https://dict.wordrow.kr에서 禁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葷에 관한 단어는 모두 8개

한자 葷에 관한 단어는 모두 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葷에 관한 단어는 모두 8개

  • 개훈 (開葷) : 불가에서 먹기를 금한 술, 고기 따위를 다만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먹는 것은 허락함.
  • 오훈 (五葷) : 자극성이 있는 다섯 가지 채소류. 불가(佛家)에서는 마늘ㆍ달래ㆍ무릇ㆍ김장파ㆍ실파를 가리키고, 도가(道家)에서는 부추ㆍ자총이ㆍ마늘ㆍ평지ㆍ무릇을 이른다. 모두 음욕과 분노를 불러일으키는 음식이라고 하여 금식한다.
  • 전훈 (羶葷) : 누린내 나는 고기와 맵고 독한 냄새가 나는 마늘이나 파 따위를 이르는 말.
  • 훈육 (獯鬻/葷粥/薰育) : 중국 하(夏)나라 때에, '북적'(北狄)을 이르던 말. 진나라, 한나라, 전국(戰國) 시대의 흉노(匈奴)에 해당한다. (북적: 예전에, 중국에서 북쪽의 오랑캐라는 뜻으로 북쪽 지방에 사는 민족을 낮잡아 이르던 말. 흉노, 선비(鮮卑), 유연(柔然), 돌궐, 거란, 위구르, 몽골 등의 유목 민족을 가리킨다.)
  • 훈주 (葷酒) : 파, 마늘 따위의 특이한 냄새가 나는 채소와 술.
  • 훈채 (葷菜) : 파, 마늘 따위와 같이 특이한 냄새가 나는 채소.
  • 오훈채 (五葷菜) : 자극성이 있는 다섯 가지 채소류. 불가(佛家)에서는 마늘ㆍ달래ㆍ무릇ㆍ김장파ㆍ실파를 가리키고, 도가(道家)에서는 부추ㆍ자총이ㆍ마늘ㆍ평지ㆍ무릇을 이른다. 모두 음욕과 분노를 불러일으키는 음식이라고 하여 금식한다.
  • 개훈하다 (開葷하다) : 불가에서 먹기를 금한 술, 고기 따위를 다만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먹는 것은 허락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葷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