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20일 토요일

한자 怡에 관한 단어는 모두 24개

한자 怡에 관한 단어는 모두 2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怡에 관한 단어는 모두 24개

  • 김이 (金怡) : 고려 말기의 문신(1265~1327). 자는 열심(悅心)ㆍ은지(隱之). 춘양 김씨의 시조로, 충선왕 때에 왕의 부자 사이를 이간하려는 간신배를 제거하는 데 공을 세웠다.
  • 남이 (南怡) : 조선 시대의 무신(1441~1468). 1467년 이시애의 난을 진압하여 이름을 떨치고 28세에 병조 판서가 되었으나, 유자광의 무고로 죽었다.
  • 이목 (怡穆) : '이목하다'의 어근. (이목하다: 기쁘고 화목하다.)
  • 이성 (怡聲) : 기쁜 목소리.
  • 이안 (怡顔) : 안색을 부드럽게 함.
  • 이연 (怡然) : '이연하다'의 어근. (이연하다: 기쁘고 좋다.)
  • 이열 (怡悅) : 즐겁고 기쁨.
  • 이유 (怡愉) : 즐겁고 기쁨.
  • 이이 (怡怡) : '이이하다'의 어근. (이이하다: 기쁘고 좋다.)
  • 이탕 (怡蕩) : 즐겨서 제멋대로 함.
  • 이화 (怡和) : 기뻐하고 즐거워하는 일.
  • 최이 (崔怡) : '최우'의 다른 이름. (최우: 고려 시대 무신 정권기의 집권자(?~1249). 시호는 광렬(匡烈). 최충헌의 아들로 전대(前代)의 부패를 없애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이름난 유학자를 등용하는 한편, 몽고의 침입에 대비하여 강화로 천도(遷都)하고 대장경판(大藏經板) 재조(再雕)를 완성하였다.)
  • 남이섬 (南怡섬) :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방하리에 속하는 섬. 북한강에 있는 섬으로 남이 장군의 묘가 있다. 넓은 잔디밭과 잘 정비된 오락 시설이 있어서 관광지로 유명하다.
  • 이연히 (怡然히) : 기쁘고 좋게.
  • 앙념불이 (怏念不怡) : 원망스러워 즐겁지 아니함.
  • 이목하다 (怡穆하다) : 기쁘고 화목하다.
  • 이안하다 (怡顔하다) : 안색을 부드럽게 하다.
  • 이연이순 (怡然理順) : 기쁜 마음으로 도리에 순종함.
  • 이연하다 (怡然하다) : 기쁘고 좋다.
  • 이열하다 (怡悅하다) : 즐겁고 기쁘다.
  • 이유하다 (怡愉하다) : 즐겁고 기쁘다.
  • 이이하다 (怡怡하다) : 기쁘고 좋다.
  • 이탕하다 (怡蕩하다) : 즐겨서 제멋대로 하다.
  • 앙념불이하다 (怏念不怡하다) : 원망스러워 즐겁지 아니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怡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傭에 관한 단어는 모두 81개

한자 傭에 관한 단어는 모두 8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傭에 관한 단어는 모두 81개

  • 고용 (雇傭) : 삯을 받고 남의 일을 해 줌.
  • 사용 (私傭) : 사사로이 고용함. 또는 개인에게 고용됨.
  • 상용 (常傭) : 늘 임금을 주고 사람을 부림.
  • 용객 (傭客) : 삯을 받고 남의 일을 해 주는 사람.
  • 용경 (傭耕) : 고용되어 밭을 감.
  • 용공 (傭工) : 직공을 고용함. 또는 그 직공.
  • 용남 (傭男) : 더부살이하는 남자.
  • 용녀 (傭女) : 더부살이하는 여자.
  • 용병 (傭兵) : 지원한 사람에게 봉급을 주어 병력에 복무하게 함. 또는 그렇게 고용한 병사.
  • 용부 (傭婦) : 고용살이하는 아낙.
  • 용부 (傭夫) : 고용살이하는 사나이.
  • 용빙 (傭聘) : 사람을 쓰려고 맞아들임.
  • 용서 (傭書) : 남에게 고용되어 글씨를 쓰는 일.
  • 용선 (傭船) : 삯을 주고 배를 이용하는 일. 또는 그 배.
  • 용원 (傭員) : 관청에서 임시로 채용한 사람.
  • 용인 (傭人) : 삯을 받고 남의 일을 해 주는 사람.
  • 용임 (傭賃) : 품을 판 대가로 받거나, 품을 산 대가로 주는 돈이나 물건.
  • 용자 (傭者) : 고용된 사람.
  • 용작 (傭作) : 고용되어 일을 함.
  • 용전 (傭錢) : 품을 판 대가로 받거나, 품을 산 대가로 주는 돈이나 물건.
  • 용전 (傭田) : 예전에, 부잣집에 가서 노동을 해 준 대가로 얻어 부치던 토지.
  • 유용 (流庸/流傭) : 타관에 가서 고용살이함. 또는 그런 사람.
  • 일용 (日傭) : 날삯을 받고 파는 품. 또는 그 품을 파는 일이나 사람.
  • 임용 (賃傭) : 임금을 받고 고용됨. 또는 그런 사람.
  • 해용 (解傭) : 고용주가 고용 계약을 해제하여 피고용인을 내보냄.
  • 고용농 (雇傭農) : 자기 땅을 가지고 있지 못하여 지주나 부농에게 고용살이하는 농민.
  • 고용량 (雇傭量) : 급료를 주고 시키는 일의 분량.
  • 고용병 (雇傭兵) : 지원한 사람에게 봉급을 주어 병력에 복무하게 함. 또는 그렇게 고용한 병사.
  • 고용세 (雇傭稅) : 고용 안정을 목적으로 하는 세금. 각 기업으로부터 징수하여, 고용 안정을 위한 사업에 쓴다.
  • 고용원 (雇傭員) : 고용되어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
  • 고용인 (雇傭人) : 삯을 받고 남의 일을 해 주는 사람.
  • 고용자 (雇傭者) : 삯을 받고 남의 일을 해 주는 사람.
  • 용병대 (傭兵隊) : 고용한 병사로 이루어진 부대.
  • 용병제 (傭兵制) : 지원자를 모집하여 고용 계약에 따라 일정한 봉급을 주고 연한을 정하여 군사로서 복무시키는 제도. 징병 제도와 달리 흔히 외국인을 고용한다.
  • 용선료 (傭船料) : 배를 빌리고 배 주인에게 지불하는 돈.
  • 용선자 (傭船者) : 선박 소유자에게 운송용으로 배를 빌려 쓰는 사람.
  • 일용임 (日傭賃) : 날품팔이의 삯돈.
  • 일용직 (日傭職) : 하루 단위로 근로 계약을 체결하여 임금을 지불받는 직위나 직무.
  • 고용되다 (雇傭되다) : 삯을 받고 남의 일을 해 주다.
  • 고용살이 (雇傭살이) : 남에게 고용되어 살아가는 일.
  • 고용하다 (雇傭하다) : 삯을 주고 남의 일을 하게 하다.
  • 사용하다 (私傭하다) : 사사로이 고용하다. 또는 개인에게 고용되다.
  • 상용하다 (常傭하다) : 늘 임금을 주고 사람을 부리다.
  • 용경하다 (傭耕하다) : 고용되어 밭을 갈다.
  • 용공하다 (傭工하다) : 직공을 고용하다.
  • 용병하다 (傭兵하다) : 지원한 사람에게 봉급을 주어 병력에 복무하게 하다.
  • 용빙되다 (傭聘되다) : 사람이 쓰이려고 맞아들여지다.
  • 용빙하다 (傭聘하다) : 사람을 쓰려고 맞아들이다.
  • 용선하다 (傭船하다) : 삯을 주고 배를 이용하다.
  • 용작하다 (傭作하다) : 고용되어 일을 하다.
  • 유용하다 (流庸하다/流傭하다) : 타관에 가서 고용살이하다.
  • 일용직원 (日傭職員) : 일용직에 종사하는 직원.
  • 해용하다 (解傭하다) : 고용주가 고용 계약을 해제하여 피고용인을 내보내다.
  • 고용살이꾼 (雇傭살이꾼) : 고용살이하는 사람.
  • 고용살이하다 (雇傭살이하다) : 남에게 고용되어 살아가다.
  • 불충분 고용 (不充分雇傭) : 일할 능력과 의사를 가진 경제 인구 가운데 실질 임금 이상의 수준으로 고용되지 못한 사람들이 있는 상태의 고용. 곧 실업자가 있거나, 바라는 임금 이하로 취업하고 있는 상태의 고용을 이른다.
  • 재용선 계약 (再傭船契約) : 선박 소유자와 용선 계약을 맺은 용선자가 해당 선박에 대하여 다시 제삼자와 맺은 용선 계약.
  • 고용직 공무원 (雇傭職公務員) : 단순한 노무에 종사하는 특수 경력직 공무원.
  • 고용 계약 (雇傭契約) : 노무자와 사용자 사이에 서로 일정한 조건을 이행할 것을 약정하는 계약. 노무자는 노무(勞務)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그 노무에 대하여 보수를 치른다.
  • 고용 구조 (雇傭構造) : 노동자의 취업 현황을 취업장별, 산업별, 기업 규모별 등으로 분류하여 나타낸 것.
  • 고용 노력 (雇傭勞力) : 고용주에게 고용된 사람의 노력.
  • 고용 수준 (雇傭水準) : 한 나라의 경제에서 이용 가능한 생산 자원이 실제로 어느 정도 이용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수준. 일반적으로 인적 자원에 대하여 사용되는데, 어떤 시점의 한 사회에서 취업하고 있는 노동의 총량을 가리킨다.
  • 고용 승수 (雇傭乘數) : 투자 확대에 따른 한 산업의 고용 증가가 전체 산업의 고용 증가를 얼마나 유발시키는가를 나타내는 비율의 배수 관계.
  • 고용 이론 (雇傭理論) : 경제 현상을 고용 상태나 고용 수준 따위의 지표로 분석하고 설명하는 이론.
  • 고용 정책 (雇傭政策) : 고용 수준을 높이기 위한 정책.
  • 고용 조건 (雇傭條件) : 고용 계약에 규정된 노무(勞務)의 여러 가지 조건. 취업의 방법, 보수, 당사자들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여러 가지 조건 따위가 있다.
  • 고용 조정 (雇傭調整) : 기업이 노동 수요의 변화에 따라 고용 인원의 수를 삭감하거나 조정하는 일. 퇴직 권고, 신규 채용 억제, 배치 이동 따위의 방법을 쓴다.
  • 고용 지수 (雇傭指數) : 취업자의 수를 지수화한 경제 지표의 하나.
  • 고용 함수 (雇傭函數) : 유효 수요와 고용의 총량 사이의 함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 케인스가 고안하였다.
  • 과소 고용 (過少雇傭) : 노동의 공급에 비하여 수요가 모자라 고용이 너무 적게 이루어지는 일.
  • 시한 용선 (時限傭船) : 일정 기간 동안 남의 배를 빌려서 해운업에 활용하는 일.
  • 용병 제도 (傭兵制度) : 지원자를 모집하여 고용 계약에 따라 일정한 봉급을 주고 연한을 정하여 군사로서 복무시키는 제도. 징병 제도와 달리 흔히 외국인을 고용한다.
  • 용선 계약 (傭船契約) : 배를 빌릴 때 선주와 용선자 사이에 맺는 계약. 일정한 기간에 용선자가 전세를 내어 용선자 스스로 운송 기업주가 된다.
  • 전부 용선 (全部傭船) : 용선 계약의 하나. 배 전부의 전세를 약속하는 일이다.
  • 정기 용선 (定期傭船) : 일정 기간 동안 남의 배를 빌려서 해운업에 활용하는 일.
  • 항해 용선 (航海傭船) : 특정한 항해를 위하여 배를 빌리는 계약.
  • 고용 노동부 (雇傭勞動部) :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 고용 정책ㆍ고용 보험, 직업 능력 개발 훈련, 근로 조건의 기준, 근로자의 복지 후생, 노사 관계의 조정, 산업 안전 보건 따위에 관한 사무를 맡아본다. 2010년 노동부에서 이 이름으로 바뀌었다.
  • 일용 근로자 (日傭勤勞者) : 하루 단위로 계약하여 고용하는 근로자. 건설업, 운수업, 잡역 및 농업, 어업 따위에 많다.
  • 전부 용선 계약 (全部傭船契約) : 용선 계약의 하나. 배 전부의 전세를 약속하는 일이다.
  • 남녀 고용 평등법 (男女雇傭平等法) : 헌법에 명시한 평등의 이념에 따라 남녀의 평등한 고용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나아가 근로 여성의 복리 증진과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정한 법률. 1987년 12월에 제정하였다. 2007년 '남녀 고용 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명칭이 바뀌었다.
  •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 (雇傭利子및貨幣의一般理論) : 1936년에 영국의 경제학자 케인스가 지은 책. 승수 이론, 유동성 선호 이론을 바탕으로 신고전파의 고용 이론을 비판하고 불완전 고용 상태에서도 균형이 가능함을 설명하였으며, 불황(不況)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으로 국가의 적극적 개입을 주장하였다.


https://dict.wordrow.kr에서 傭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