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30일 목요일

한자 戴에 관한 단어는 모두 52개

한자 戴에 관한 단어는 모두 52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戴에 관한 단어는 모두 52개

  • 감대 (感戴) : 감사하는 마음으로 공경하여 높이 받듦.
  • 대관 (戴冠) : 대관식에서 임금이 왕관을 받아 머리에 씀.
  • 대백 (戴白) : 흰머리가 많이 남. 또는 그런 노인.
  • 대성 (戴星) : 별을 머리 위에 이고 있다는 뜻으로, 아침 일찍 집을 나가 밤늦게 돌아옴을 이르는 말.
  • 대승 (戴勝) : 후투팃과의 새. 몸의 길이는 28cm 정도이며 분홍빛을 띤 갈색이다. 배는 흰색, 도가머리 끝은 검은색이고 날개와 꽁지에는 검고 흰 줄무늬가 있다. 한국, 시베리아, 중국 등지에서 번식하고 남하하여 겨울을 보낸다.
  • 대안 (戴眼) : 눈알이 잘 돌아가지 않는 병. 눈을 위로 치뜨게 된다.
  • 대임 (戴鵀) : 후투팃과의 새. 몸의 길이는 28cm 정도이며 분홍빛을 띤 갈색이다. 배는 흰색, 도가머리 끝은 검은색이고 날개와 꽁지에는 검고 흰 줄무늬가 있다. 한국, 시베리아, 중국 등지에서 번식하고 남하하여 겨울을 보낸다.
  • 대진 (戴震) : 중국 청나라의 유학자ㆍ고증학자(1723~1777). 자(字)는 동원(東原)ㆍ신수(愼修). 고증학의 대가로 문자 훈고(訓詁)의 연구보다 경서를 해명하는 방법을 제창하였다. 저서에 ≪모정시고정(毛鄭詩考正)≫, ≪맹자자의소증(孟子字義疏證)≫, ≪대동원집(戴東原集)≫ 따위가 있다.
  • 대진 (戴進) : 중국 명나라의 화가(1388?~1462?). 자는 문진(文進). 산수화에 능하였으며 날카로운 필법과 웅장한 구도는 후세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 대천 (戴天) : 하늘을 머리에 이었다는 뜻으로, 세상에 살아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봉대 (奉戴) : 공경하여 높이 받듦.
  • 부대 (負戴) : 짐을 지고 임.
  • 애대 (愛戴) : 웃어른으로 인정하고 소중하게 떠받듦.
  • 익대 (翊戴/翼戴) : 정성스럽게 받들어 추대함.
  • 추대 (推戴) : 윗사람으로 떠받듦.
  • 경대지 (經戴紙) : 전독(轉讀)할 때 경책(經冊)을 싸는 종이.
  • 대관식 (戴冠式) : 유럽에서, 임금이 즉위한 뒤 처음으로 왕관을 써서 왕위에 올랐음을 일반에게 널리 알리는 의식.
  • 대대례 (大戴禮) : 중국 전한의 대덕(戴德)이 공자의 72제자의 예설(禮說)을 모아 엮은 책. ≪예기≫ 214편을 85편으로 정리한 것이다. 39편만이 전해진다.
  • 대동원 (戴東原) : '대진'의 성과 자를 함께 이르는 말. (대진: 중국 청나라의 유학자ㆍ고증학자(1723~1777). 자(字)는 동원(東原)ㆍ신수(愼修). 고증학의 대가로 문자 훈고(訓詁)의 연구보다 경서를 해명하는 방법을 제창하였다. 저서에 ≪모정시고정(毛鄭詩考正)≫, ≪맹자자의소증(孟子字義疏證)≫, ≪대동원집(戴東原集)≫ 따위가 있다.)
  • 대성마 (戴星馬) : 이마에 흰 털의 점이 마치 별처럼 박힌 말.
  • 대안도 (戴安道) : 중국 진나라의 학자(?~?). 본명은 규(逵). 안도는 자(字)이다. 칠현금의 명수였고, 글과 서화에도 능하였다.
  • 대천구 (戴天仇) : → 다이톈추. (다이톈추: 중국의 정치가(1882~1949). 본명은 다이촨셴(載傳賢). 자는 지타오(季陶). 쑨원(孫文)의 비서로, 1928년 국민 정부 고시원장(考試院長)을 지냈다. 저서에 ≪쑨원주의의 철학적 기초≫가 있다.)
  • 소대례 (小戴禮) : 유학 오경(五經)의 하나. 한나라 무제 때에 하간(河間)의 헌왕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에 선제 때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었다. 후에 대덕(戴德)이 85편으로 엮은 대대례(大戴禮)와 대성(戴聖)이 49편으로 줄인 소대례(小戴禮)가 있다. 의례의 해설 및 음악ㆍ정치ㆍ학문에 걸쳐 예의 근본정신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49권.
  • 재추대 (再推戴) : 윗사람으로 다시 떠받듦.
  • 추대사 (推戴辭) : 추대하는 내용을 담은 말. 또는 그 글.
  • 추대식 (推戴式) : 추대하는 의식.
  • 감대하다 (感戴하다) : 감사하는 마음으로 공경하여 높이 받들다.
  • 남부여대 (男負女戴) : 남자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대관하다 (戴冠하다) : 대관식에서 임금이 왕관을 받아 머리에 쓰다.
  • 대백하다 (戴白하다) : 흰머리가 많이 나다.
  • 대분망천 (戴盆望天) : 머리에 동이를 이고 하늘을 바라보려 한다는 뜻으로, 한 번에 두 가지 일을 함께 하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대성지행 (戴星之行) : 타향에서 부모의 부음(訃音)을 받고 밤을 새워 돌아가는 길.
  • 대죄거행 (戴罪擧行) : 벼슬아치가 죄를 지었을 때에 죄과(罪科)가 정해질 때까지 현직에 그대로 머물러 있으면서 업무를 보던 일.
  • 대천지수 (戴天之讐) : 하늘을 함께 이지 못한다는 뜻으로, 이 세상에서 같이 살 수 없을 만큼 큰 원한을 가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면대양증 (面戴陽症) : 신경병이 원인이 되어 얼굴이 벌겋게 되는 증상. 진한가열 때 볼 수 있으며 얼굴에만 열이 오르고 몸은 차서 설사를 한다.
  • 봉대되다 (奉戴되다) : 공경을 받아 높이 받들어지다.
  • 봉대하다 (奉戴하다) : 공경하여 높이 받들다.
  • 부대하다 (負戴하다) : 짐을 지고 이다.
  • 불공대천 (不共戴天) : 하늘을 함께 이지 못한다는 뜻으로, 이 세상에서 같이 살 수 없을 만큼 큰 원한을 가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불구대천 (不俱戴天) : 하늘을 함께 이지 못한다는 뜻으로, 이 세상에서 같이 살 수 없을 만큼 큰 원한을 가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애대하다 (愛戴하다) : 웃어른으로 인정하고 소중하게 떠받들다.
  • 익대하다 (翊戴하다/翼戴하다) : 정성스럽게 받들어 추대하다.
  • 장관이대 (張冠李戴) : 장(張)가의 모자를 이(李)가가 썼다는 뜻으로, 이름과 실상이 일치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 추대되다 (推戴되다) : 윗사람으로 떠받들어지다.
  • 추대하다 (推戴하다) : 윗사람으로 떠받들다.
  • 대천지원수 (戴天之怨讐) : 하늘을 함께 이지 못한다는 뜻으로, 이 세상에서 같이 살 수 없을 만큼 큰 원한을 가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재추대되다 (再推戴되다) : 윗사람으로 다시 떠받들어지다.
  • 재추대하다 (再推戴하다) : 윗사람으로 다시 떠받들다.
  • 남부여대하다 (男負女戴하다) : (비유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다. 남자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불공대천하다 (不共戴天하다) : (비유적으로) 이 세상에서 같이 살 수 없을 만큼 큰 원한을 가지다. 하늘을 함께 이지 못한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성모 대관 (聖母戴冠) : 성모 마리아가 천상계(天上界)에서 하느님이나 예수 또는 천사로부터 관(冠)을 받는 장면. 그림 주제의 하나로 르네상스 시대의 작품에 많다.
  • 익대 공신 (翊戴功臣) : 조선 예종 즉위년(1468)에,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신숙주, 한명회 등에게 내린 훈호. 처음 공신에 책록된 사람은 37명이었으나 이듬해 윤흠(尹欽), 강희맹, 이존(李存)이 추록되어 모두 40명이 되었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戴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觴에 관한 단어는 모두 21개

한자 觴에 관한 단어는 모두 2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觴에 관한 단어는 모두 21개

  • 교상 (交觴) : 술잔을 주거니 받거니 함.
  • 남상 (濫觴) : 양쯔강(揚子江) 같은 큰 하천의 근원도 잔을 띄울 만큼 가늘게 흐르는 시냇물이라는 뜻으로, 사물의 처음이나 기원을 이르는 말.
  • 뇌상 (酹觴) : 강신(降神)을 빌기 위하여 술을 땅에 부을 때 쓰는 잔.
  • 상영 (觴詠) : 술을 마시면서 흥겹게 노래함.
  • 상정 (觴政) : 술자리에서 흥을 돋우기 위하여 정하는 규칙. 일단 받은 술을 다 마시지 못하고 남길 때, 벌주로 한 잔 더 마시기로 하는 것 따위의 약속을 말한다.
  • 옥상 (玉觴) : 아름다운 술잔.
  • 유상 (流觴) : 잔을 물에 띄워 보냄.
  • 전상 (傳觴) : 술자리 따위에서 상대편에게 잔을 전함.
  • 칭상 (稱觴) : 환갑잔치 따위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림.
  • 호상 (壺觴) : 술병과 술잔을 아울러 이르는 말.
  • 학상앵 (鶴觴罌) : 중국 남북조 시대에 만든 술병의 하나.
  • 곡수유상 (曲水流觴) : 삼월 삼짇날, 굽이도는 물에 잔을 띄워 그 잔이 자기 앞에 오기 전에 시를 짓던 놀이.
  • 교상하다 (交觴하다) : 술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다.
  • 상영하다 (觴詠하다) : 술을 마시면서 흥겹게 노래하다.
  • 유상곡수 (流觴曲水) : 삼월 삼짇날, 굽이도는 물에 잔을 띄워 그 잔이 자기 앞에 오기 전에 시를 짓던 놀이.
  • 일상일영 (一觴一詠) : 시를 읊으며 술을 마심.
  • 일영일상 (一詠一觴) : 시를 읊으며 술을 마심.
  • 전상하다 (傳觴하다) : 술자리 따위에서 상대편에게 잔을 전하다.
  • 칭상하다 (稱觴하다) : 환갑잔치 따위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리다.
  • 일상일영하다 (一觴一詠하다) : 시를 읊으며 술을 마시다.
  • 일영일상하다 (一詠一觴하다) : 시를 읊으며 술을 마시다.


https://dict.wordrow.kr에서 觴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