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15일 화요일

동귀수도: 同歸殊塗

동귀수도 (同歸殊塗) : 귀착점은 같으나 경로(經路)가 다름.



同歸殊塗 한자 뜻 풀이

  • 同(한가지 동) : 한가지, 같이하다, 모이다, 화(和)하다, 함께. '口(구)'를 제외한 부분은 덮어 가린 일정한 장소의 의미로, 사람들[口]이 일정 장소에 '모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모였다는 의미에서 '한가지', '같다' 등의 의미 파생
  • 歸(돌아갈 귀) : 돌아가다, 돌려보내다, 시집가다, 보내다, 편들다. 아녀자가 빗자루를 들고 '시집가다'는 의미에서 친정으로 '돌아가다'는 의미의 멈추어 그친다는 '돌아가다'는 뜻을 생성함
  • 殊(죽일 수) : 죽이다, 끊다, 죽다, 결심하다, 다르다.
  • 塗(진흙 도) : 진흙, 칠하다, 길, 더럽히다, 두꺼운 모양. 본래 '진흙'의 의미인데, 흙을 바르다는 의미에서 '칠하다'와 후에 길의 의미인 '途(도)'와 통용됨


[同] 한가지 동 (한가지, 같이하다, 모이다, 화(和)하다, 함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동악상조 획순 이미지 동악상조(同惡相助) : 악인(惡人)도 악(惡)한 일을 이루기 위(爲)해서는 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동류(同類)끼리 서로 도움을 이르는 말. [ (: 한가지 동) (: 악할 악) (: 서로 상) (: 도울 조) ]
  • 동복형(同腹兄) : 한 어머니에게서 난 형. [ (: 한가지 동) (: 배 복) (: 맏 형) ]
  • 동심지언기취여란(同心之言其臭如蘭) : 마음을 함께 하는 말은 그 냄새가 난초(蘭草)와 같음. [ (: 한가지 동) (: 마음 심) (: 갈 지) (: 말씀 언) (: 그 기) (: 냄새 취) (: 같을 여) (: 난초 란) ]
  • 동근연지(同根連枝) : 같은 뿌리와 잇닿은 나뭇가지라는 뜻으로, 형제(兄弟), 자매(姉妹)를 일컫는 말. [ (: 한가지 동) (: 뿌리 근) (: 가지 지) ]
  • 동심동력(同心同力) : 마음을 같이하여 힘을 합침. [ (: 한가지 동) (: 마음 심) (: 한가지 동) (: 힘 력) ]

[塗] 진흙 도 (진흙, 칠하다, 길, 더럽히다, 두꺼운 모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간뇌도지 획순 이미지 간뇌도지(肝腦塗地) : 참혹한 죽임을 당하여 간장(肝臟)과 뇌수(腦髓)가 땅에 널려 있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애를 씀을 이르는 말. [ (: 간 간) (: 뇌 뇌) (: 진흙 도) (: 땅 지) ]
  • 양상도회(梁上塗灰) : (1)'양상도회'의 북한어. (2)들보 위에 회(灰)를 바른다는 뜻으로, 얼굴에 분을 많이 바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위 상) (: 진흙 도) (: 재 회) ]
  • 진반도갱(塵飯塗羹) : 먼지를 담아 밥이라 하고 진흙을 담아 국이라 한다는 뜻으로, 어린 아이의 소꿉놀이란 의미에서 실제에 소용되지 않는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티끌 진) (: 밥 반) (: 진흙 도) (: 국 갱) ]
  • 동귀수도(同歸殊塗) : 귀착점은 같으나 경로(經路)가 다름. [ (: 한가지 동) (: 돌아갈 귀) (: 죽일 수) (: 진흙 도) ]
  • 도탄지고(塗炭之苦) : 진구렁에 빠지고 숯불에 타는 괴로움을 이르는 말. ≪서경≫의 <중훼지고편(仲虺之誥篇)>에 나오는 말이다. [ (: 진흙 도) (: 숯 탄) (: 갈 지) (: 쓸 고) ]

[歸] 돌아갈 귀 (돌아가다, 돌려보내다, 시집가다, 보내다, 편들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생기사귀 획순 이미지 생기사귀(生寄死歸) : 사람이 이 세상에 사는 것은 잠시 머무는 것일 뿐이며 죽는 것은 원래 자기가 있던 본집으로 돌아가는 것임을 이르는 말. [ (: 날 생) (: 부칠 기) (: 죽을 사) (: 돌아갈 귀) ]
  • 락엽귀근(落葉歸根) : (1)잎이 떨어져 뿌리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결국은 자기가 본래 났거나 자랐던 곳으로 돌아감을 이르는 말. (2)'낙엽귀근'의 북한어. [ (: 잎 엽) (: 돌아갈 귀) (: 뿌리 근) ]
  • 대귀(大歸) : (1)여자가 이혼을 하고 친정으로 돌아옴. (2)근본으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을 이르는 말. [ (: 큰 대) (: 돌아갈 귀) ]
  • 호불귀(胡不歸) : 어찌 돌아가지 않겠는가? 라는 뜻으로, 돌아가라는 뜻을 강하게 피력하는 말. [ (: 오랑캐 호) (: 아니 불) (: 돌아갈 귀) ]
  • 허왕실귀(虛往實歸) : 비우고 가서 채워서 돌아온다는 뜻으로, 잡념 없는 마음으로 대해 나가면 사물의 이치는 저절로 깨닫데 되어 배가 가득 채운 상태로 돌아오게 됨을 의미하거나, 또는 아직 배우지 않고 가서 덕을 얻어서 돌아옴을 이르는 말. [ (: 빌 허) (: 갈 왕) (: 열매 실) (: 돌아갈 귀) ]

[殊] 죽일 수 (죽이다, 끊다, 죽다, 결심하다, 다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동귀수도 획순 이미지 동귀수도(同歸殊塗) : 귀착점은 같으나 경로(經路)가 다름. [ (: 한가지 동) (: 돌아갈 귀) (: 죽일 수) (: 진흙 도) ]
  • 삼인문수(三人文殊) : 평범(平凡)한 인간(人間)이라도 세 사람이 모여서 의논(議論)하면, 지혜(智慧)를 다스리는 문수(文殊) 보살(菩薩)과 같은 좋은 생각이 떠오른다는 말. [ (: 석 삼) (: 사람 인) (: 글월 문) (: 죽일 수) ]
  • 악수귀천(樂殊貴賤) : 풍류(風流)는 귀천(貴賤)이 다르니, 천자(天子)는 8일(日), 제후(諸侯)는 6일(日), 사대부(士大夫)는 4일(日), 서민(庶民)은 2일(日)임. [ (: 풍류 악) (: 죽일 수) (: 귀할 귀) (: 천할 천) ]

[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평평범범 획순 이미지 평평범범(平平凡凡) : '평평범범하다'의 어근. [ (: 평평할 평) (: 평평할 평) (: 무릇 범) (: 무릇 범) ]
  • 사단취장(捨短取長) : 길고 짧은 것을 가려서 격식에 맞춘다는 뜻으로, 나쁜 것은 버리고 좋은 것을 취함을 이르는 말. ≪한서≫의 <예문지(藝文志)>에 나오는 말이다. [ (: 버릴 사) (: 짧을 단) (: 취할 취) (: 길 장) ]
  • 홍일점(紅一點) : (1)푸른 잎 가운데 피어 있는 한 송이의 붉은 꽃. 왕안석의 영석류시(詠石榴詩)에서 유래한다. (2)여럿 속에서 오직 하나 이채(異彩)를 띠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많은 남자 사이에 끼어 있는 한 사람의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붉을 홍) (: 한 일) (: 점 점) ]
  • 문불가점(文不加點) : 글에 점 하나 더할 것이 없다는 뜻으로, 글이 아주 잘되어서 흠잡을 곳이 없음을 이르는 말. [ (: 글월 문) (: 아니 불) (: 더할 가) (: 점 점) ]
  • 삼일점고(三日點考) : 수령(守令)이 부임한 뒤 사흘 되는 날에 관속을 점고하던 일. [ (: 석 삼) (: 날 일) (: 점 점) (: 상고할 고) ]

[경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동귀수도 획순 이미지 동귀수도(同歸殊塗) : 귀착점은 같으나 경로(經路)가 다름. [ (: 한가지 동) (: 돌아갈 귀) (: 죽일 수) (: 진흙 도) ]
  • 동일철(同一轍) : 똑같은 수레바퀴의 자취라는 뜻으로, 사물의 똑같은 경과를 이르는 말. 특히 나쁜 쪽으로 이르는 경로를 이른다. [ (: 한가지 동) (: 한 일) (: 바퀴 자국 철) ]

[귀착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동귀수도 획순 이미지 동귀수도(同歸殊塗) : 귀착점은 같으나 경로(經路)가 다름. [ (: 한가지 동) (: 돌아갈 귀) (: 죽일 수) (: 진흙 도) ]
  • 여세동귀(與世同歸) : 천도교에서, 온 세상의 귀착점이 같은 일. [ (: 줄 여) (: 인간 세) (: 한가지 동) (: 돌아갈 귀)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