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21일 수요일

형제쟁투만당불락: 兄弟爭鬪滿堂不樂

형제쟁투만당불락 (兄弟爭鬪滿堂不樂) : 형과 아우가 다투고 싸우면 온 집안이 즐겁지 않게 됨.



兄弟爭鬪滿堂不樂 한자 뜻 풀이

  • 兄(맏 형) : 맏이, 하물며, 형, 두려워하다, 근심. 머리부분을 크게 강조한 사람의 모양으로 머리가 큰 것으로 '형'의 의미를 표현함
  • 弟(아우 제) : 아우, 공손하다, 차례, 즐기다, 단지. 본래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의 모양인데, 후에 아우나 제자의 의미로 변함. 사다리는 '竹'을 더해 '第'로 만들고 '순서' 의미를 파생
  • 爭(다툴 쟁) : 다투다, 다툼, 간하다, 어찌, 반어의 뜻을 나타냄. 하나의 물건을 놓고 서로 다투는 모양을 의미함
  • 鬪(싸움 투) : 싸움, 싸우게 하다, 전쟁, 만나다, 모이다. 사람이 서로 머리를 잡고 싸우는 모양에서 확대되어 무기 등을 들고 싸우는 '전쟁'의 의미로 확대됨
  • 滿(찰 만) : 차다, 번민하다, 교만하다, 속이다, 만주(滿洲)의 약칭. 물이 가득 차서 넘친다는 의미를 지니고 오른쪽은 더 많다는 의미를 지님다', '어리다', '숨기다' 등의 의미를 파생함
  • 堂(집 당) : 집, 당당하다, 대소가(大小家), 문지방, 터를 돋우어 지은 큰 집. 여러 사람을 수용해서 거처할 수 있는 '집'의 의미
  • 不(아니 불) : 아닌가, 크다, 새 이름, 의문사, 오디새. 땅 아래로 뻗어있는 식물의 뿌리를 표현해 아직 자라지 않았다는데서 '아니다'라는 의미 생성
  • 樂(즐거울 락) : 풍류, 즐기다, 좋아하다, 음악, 연주(演奏)하다. 본래 나무판에 현을 묶은 악기를 손톱으로 연주한다는 것을 본뜬 글자[음악 악]에서 흥겨움으로 인해 '즐겁다(락)'이나 '좋아한다(요)'는 의미 파생


[不] 아니 불 (아닌가, 크다, 새 이름, 의문사, 오디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백불일실(百不一失) :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 (: 일백 백) (: 아니 불) (: 한 일) (: 잃을 실) ]
  • 회피부득(回避不得) : 피하고자 하여도 피할 수가 없음. [ (: 돌 회) (: 피할 피) (: 아닌가 부) (: 얻을 득) ]

[兄] 맏 형 (맏이, 하물며, 형, 두려워하다, 근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형랑 획순 이미지 형랑(兄郞) : 언니의 남편을 이르는 말. [ (: 맏 형) (: 사내 랑) ]
  • 동복형(同腹兄) : 한 어머니에게서 난 형. [ (: 한가지 동) (: 배 복) (: 맏 형) ]
  •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 나 아) (: 미칠 급) (: 맏 형) (: 아우 제) (: 한가지 동) (: 받을 수) (: 친할 친) (: 피 혈) ]
  • 형무의복제필헌지(兄無衣服弟必獻之) : 형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 (: 맏 형)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아우 제) (: 반드시 필) (: 바칠 헌) (: 갈 지) ]

[堂] 집 당 (집, 당당하다, 대소가(大小家), 문지방, 터를 돋우어 지은 큰 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고당화각 획순 이미지 고당화각(高堂畵閣) : 높다랗게 짓고 호화(豪華)롭게 꾸민 집. [ (: 높을 고) (: 집 당) (: 그림 화) (: 문설주 각) ]
  • 당내지친(堂內至親) : 팔촌 안의 가까운 일가붙이. [ (: 집 당) (: 안 내) (: 이를 지) (: 친할 친) ]
  • 하당복지(下堂伏地) : 윗사람에 대한 존경의 뜻으로 아랫사람이 방이나 마루에서 내려와 땅에 엎드림. [ (: 아래 하) (: 집 당) (: 엎드릴 복) (: 땅 지) ]
  • 하당영지(下堂迎之) : 윗사람이나 반가운 사람이 올 때에 마당으로 내려와서 맞이함. [ (: 아래 하) (: 집 당) (: 맞을 영) (: 갈 지) ]
  • 삼당숙모(三堂叔母) : 삼당숙의 아내. [ (: 석 삼) (: 집 당) (: 아재비 숙) (: 어미 모) ]

[弟] 아우 제 (아우, 공손하다, 차례, 즐기다, 단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적제 획순 이미지 적제(嫡弟) : 서자가 자기 아버지의 정실에게서 난 아우를 이르는 말. [ (: 큰마누라 적) (: 아우 제) ]
  • 경화자제(京華子弟) : 번화한 서울에서 곱게 자란 젊은이라는 뜻으로, 주로 부잣집 자녀들을 이르는 말. [ (: 서울 경) (: 빛날 화) (: 아들 자) (: 아우 제) ]
  •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 나 아) (: 미칠 급) (: 맏 형) (: 아우 제) (: 한가지 동) (: 받을 수) (: 친할 친) (: 피 혈) ]

[樂] 즐거울 락 (풍류, 즐기다, 좋아하다, 음악, 연주(演奏)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가여낙성 획순 이미지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옳을 가) (: 줄 여) (: 이룰 성) ]
  • 낙위지사(樂爲之事) : 즐거워서 하는 일. 또는 즐거움으로 삼는 일. [ (: 할 위) (: 갈 지) (: 일 사) ]
  • 홀홀불락(忽忽不樂) : 실망스럽고 뒤숭숭하여 마음이 즐겁지 아니함. [ (: 문득 홀) (: 문득 홀) (: 아니 불) (: 즐거울 락) ]
  • 낙이망우(樂而忘憂) : 즐겨서 시름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道)를 행(行)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말. [ (: 말 이을 이) (: 잊을 망) (: 근심 우) ]
  • 실가지락(室家之樂) : 부부 사이의 화목한 즐거움. [ (: 집 실) (: 집 가) (: 갈 지) (: 즐거울 락) ]

[滿] 찰 만 (차다, 번민하다, 교만하다, 속이다, 만주(滿洲)의 약칭)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월만즉휴 획순 이미지 월만즉휴(月滿則虧) : 달이 차면 반드시 이지러진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성하면 반드시 쇠하게 됨을 이르는 말. [ (: 달 월) (滿: 찰 만) (: 곧 즉) (: 이지러질 휴) ]
  • 만정도화(滿庭桃花) : 뜰에 가득한 복숭아꽃. [ (滿: 찰 만) (: 뜰 정) (: 복숭아나무 도) (: 꽃 화) ]
  • 만면수색(滿面愁色) : 얼굴에 가득 찬 근심의 빛. [ (滿: 찰 만) (: 낯 면) (: 시름 수) (: 빛 색) ]
  • 도리만천하(桃李滿天下) : 복숭아와 오얏이 천하(天下)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우수(優秀)한 문하생(門下生)이 많음을 비유(比喩)하는 말. [ (: 복숭아나무 도) (: 오얏나무 리) (滿: 찰 만) (: 하늘 천) (: 아래 하) ]
  • 만목황량(滿目荒凉) : 눈에 뜨이는 것이 모두 거칠고 처량(凄凉)함. [ (滿: 찰 만) (: 눈 목) (: 거칠 황) (: 서늘할 량) ]

[爭] 다툴 쟁 (다투다, 다툼, 간하다, 어찌, 반어의 뜻을 나타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하류쟁탈 획순 이미지 하류쟁탈(河流爭奪) : 이웃한 두 하천 사이에 침식력(浸蝕力)의 차이가 있을 때, 서로 유역을 빼앗는 현상. [ (: 강 이름 하) (: 흐를 류) (: 다툴 쟁) (: 빼앗을 탈) ]
  • 면절정쟁(面折廷爭) : (1)임금의 면전에서 허물을 기탄없이 직간하고 쟁론함. (2)때와 곳을 가리지 않고 다툼. [ (: 낯 면) (: 꺾을 절) (: 조정 정) (: 다툴 쟁) ]
  • 형제쟁투만당불락(兄弟爭鬪滿堂不樂) : 형과 아우가 다투고 싸우면 온 집안이 즐겁지 않게 됨. [ (: 맏 형) (: 아우 제) (: 다툴 쟁) (: 싸움 투) (滿: 찰 만) (: 집 당) (: 아니 불) (: 즐거울 락) ]
  • 계목쟁식(鷄鶩爭食) : 닭과 집오리가 먹이를 서로 먼저 먹으려고 다툰다는 뜻으로, 여염(閭閻)의 사람들이 서로 다툼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 닭 계) (: 집오리 목) (: 다툴 쟁) (: 밥 식) ]
  • 양웅상쟁(兩雄相爭) : 용과 범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강자끼리 서로 싸움을 이르는 말. [ (: 수컷 웅) (: 서로 상) (: 다툴 쟁) ]

[鬪] 싸움 투 (싸움, 싸우게 하다, 전쟁, 만나다, 모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형제쟁투만당불락 획순 이미지 형제쟁투만당불락(兄弟爭鬪滿堂不樂) : 형과 아우가 다투고 싸우면 온 집안이 즐겁지 않게 됨. [ (: 맏 형) (: 아우 제) (: 다툴 쟁) (: 싸움 투) (滿: 찰 만) (: 집 당) (: 아니 불) (: 즐거울 락) ]
  • 투이주병(鬪而鑄兵) : 싸움(전쟁)이 일어나고서야 병기를 주조(鑄造)한다는 뜻으로, 때를 잃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싸움 투) (: 말 이을 이) (: 쇠 부어 만들 주) (: 군사 병) ]
  • 경투하사(鯨鬪鰕死) : 고래 싸움에 새우가 죽는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강자(强者)끼리 싸우는 틈에 끼여 약자(弱者)가 아무런 상관(相關)없이 화(禍)를 입는다는 말. [ (: 고래 경) (: 싸움 투) (: 새우 하) (: 죽을 사) ]
  • 상욕상투(相辱相鬪) : 서로 욕을 하며 싸움. [ (: 서로 상) (: 욕될 욕) (: 서로 상) (: 싸움 투) ]
  • 양호상투(兩虎相鬪) : 두 마리의 범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힘이 센 두 편이 맞붙어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범 호) (: 서로 상) (: 싸움 투) ]

[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칠보지재 획순 이미지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갈 지) (: 재주 재) ]
  • 난백난중(難伯難仲) : 누가 맏형이고 누가 둘째 형인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비교되는 대상의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 (: 어려울 난) (: 맏 백) (: 어려울 난) (: 버금 중) ]
  • 형산지옥(荊山之玉) : (1)중국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보물로 전해 오는 흰 옥돌을 이르는 말. (2)어질고 착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모형나무 형) (: 메 산) (: 갈 지) (: 구슬 옥) ]

[아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적제 획순 이미지 적제(嫡弟) : 서자가 자기 아버지의 정실에게서 난 아우를 이르는 말. [ (: 큰마누라 적) (: 아우 제) ]
  • 형무의복제필헌지(兄無衣服弟必獻之) : 형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 (: 맏 형)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아우 제) (: 반드시 필) (: 바칠 헌) (: 갈 지) ]
  • 난위형난위제(難爲兄難爲弟) : 누구를 형이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1) 누가 더 낫다고 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서로 비슷함 (2) 사물(事物)의 우열(優劣)이 없다는 말로 곧 비슷하다는 말. [ (: 어려울 난) (: 할 위) (: 맏 형) (: 어려울 난) (: 할 위) (: 아우 제) ]
  • 정제(情弟) : 주로 편지글에서, 정다운 아우라는 뜻으로 다정한 벗 사이에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 (: 뜻 정) (: 아우 제) ]
  • 제수유과수물성책(弟雖有過須勿聲責) : 아우에게 비록 허물이 있더라도 모름지기 큰소리로 꾸짖지 않음. [ (: 아우 제) (: 비록 수) (: 있을 유) (: 지날 과) (: 모름지기 수) (: 말 물) (: 소리 성) (: 꾸짖을 책) ]

[집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경화거족 획순 이미지 경화거족(京華巨族) : 번화한 서울에서 권력 있고 번성한 집안. [ (: 서울 경) (: 빛날 화) (: 클 거) (: 겨레 족) ]
  • 경가파산(傾家破産) : 재산을 모두 털어 없애어 집안이 형편없이 기울어짐. [ (: 기울 경) (: 집 가) (: 깨뜨릴 파) (: 낳을 산) ]
  • 경지옥엽(瓊枝玉葉) : (1)옥으로 된 가지와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2)귀한 자손을 이르는 말. [ (: 옥 경) (: 가지 지) (: 구슬 옥) (: 잎 엽) ]
  • 자수성가(自手成家) : 물려받은 재산이 없이 자기 혼자의 힘으로 집안을 일으키고 재산을 모음. [ (: 스스로 자) (: 손 수) (: 이룰 성) (: 집 가) ]
  • 실가지락(室家之樂) : 부부 사이의 화목한 즐거움. [ (: 집 실) (: 집 가) (: 갈 지) (: 즐거울 락)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