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 3일 목요일

한자 贖에 관한 단어는 모두 68개

한자 贖에 관한 단어는 모두 6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贖에 관한 단어는 모두 68개

  • 속 (贖) : 예전에, 죄를 씻으려고 벌 대신에 재물이나 노력 따위를 바치던 일. 또는 그 재물이나 노력.
  • 공속 (公贖) : 조선 인조 때에, 병자호란으로 청나라에 잡혀간 사람들을 나라에서 비용을 부담하고 데려온 일. 속환사 신계영이 2,500냥을 물어 주고 잡혀간 사람들의 일부를 데려와 공천(公賤)으로 삼았다.
  • 구속 (救贖) :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혀 인류의 죄를 대속(代贖)하여 구원함.
  • 금속 (禁贖) : 금지령을 어긴 죄를 씻고자 바치는 돈.
  • 금속 (金贖) : 돈을 바치어 죄나 과오 따위를 씻음.
  • 납속 (納贖) : 죄를 면하기 위하여 돈을 바침.
  • 대속 (代贖) :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음으로써 그 보혈(寶血)로 인류의 죄를 대신 씻어 구원한 일.
  • 보속 (補贖) : 죄로 인한 나쁜 결과를 보상하는 일.
  • 속공 (贖貢) : 재물을 바치고 공납을 면제받던 일. 또는 그 재물.
  • 속금 (贖金) : 죄를 면하기 위하여 바치는 돈.
  • 속량 (贖良) :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힘으로써 인류의 죄를 대신 씻어 구원한 일.
  • 속물 (贖物) : 속죄하기 위하여 내는 물건.
  • 속사 (贖死) : 제물을 바침으로써 죽을죄를 면함.
  • 속상 (贖償) : 갚아서 물어 줌.
  • 속신 (贖身) : 몸값을 받고 노비의 신분을 풀어 주어서 양민이 되게 하던 일.
  • 속전 (贖錢) : 죄를 면하기 위하여 바치는 돈.
  • 속제 (贖祭) : 유대교에서 죄를 용서 받기 위하여 하느님에게 양 따위를 드리는 제사.
  • 속죄 (贖罪) : 지은 죄를 물건이나 다른 공로 따위로 비겨 없앰.
  • 속포 (贖布) : 조선 시대에, 속죄(贖罪)와 속량(贖良)을 받으려고 대가로 베를 바치던 일. 또는 그 베.
  • 속형 (贖刑) : 구형(九刑) 가운데 하나. 돈으로 죗값을 대신 치르던 형벌이다.
  • 속환 (贖還) : 돈이나 물건 따위로 대갚음을 하고 어떤 것을 도로 찾아옴.
  • 송속 (松贖) : 벌목이 금지된 소나무를 벤 죄를 면하기 위하여 바치던 돈.
  • 수속 (收贖) : 죄인이 죄를 면하기 위하여 바치는 돈을 거두어들임.
  • 우속 (牛贖) : 소 잡는 것을 금지한 법을 어기고 소를 잡은 사람이, 돈을 내고 형벌을 면하던 일.
  • 응속 (應贖) : 당연히 속죄하여야 할 일.
  • 장속 (杖贖) : 장형(杖刑)을 면하려고 바치던 돈.
  • 주속 (酒贖) : 술을 만들거나 팔지 못하게 한 규정을 어긴 사람이 무는 벌금.
  • 징속 (徵贖) : 조선 시대에, 죄를 면하려고 바치는 속전(贖錢)을 거두어들이던 일.
  • 태속 (笞贖) : 태형(笞刑)을 받지 않는 대신 관아에 바치던 돈.
  • 화속 (火贖) : 대장(臺帳)에 오르지 아니한 토지에 대하여 물리던 세.
  • 구속사 (救贖史) : 성경에 기록된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
  • 속건제 (贖愆祭) : 허물을 씻기 위한 제사.
  • 속로회 (贖虜會) : 이슬람교도에게 포로가 된 신자들을 구출하려고 세웠던 수도회.
  • 속죄금 (贖罪金) : 지은 죄를 용서받기 위하여 내놓는 돈.
  • 속죄론 (贖罪論) : 인류를 죄악에서 구원하고 하나님과 화해하려는 예수의 구속(救贖) 사업을 합리적으로 풀어 내려고 하는 논설.
  • 속죄양 (贖罪羊) : 남의 죄를 대신 짊어지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죄일 (贖罪日) : 유대교의 제일(祭日)의 하나. 유대력으로 7월 10일에 단식을 하고, 대제사장이 지성소(至聖所)에 들어가 산 제물을 바치며 인류의 죄를 속죄하기 위한 의식을 거행한다.
  • 속죄제 (贖罪祭) : 하나님에게 지은 죄를 속죄하려고 드리는 제사.
  • 속환사 (贖還使) : 병자호란 때, 청나라로 잡혀간 사람을 돈을 주고 찾아오던 일을 맡아보던 사신.
  • 현방속 (懸房贖) : 예전에, 현방에서 내던 세금.
  • 구속하다 (救贖하다) :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혀 인류의 죄를 대속(代贖)하여 구원하다.
  • 구포속량 (購捕贖良) : 조선 시대에, 범인을 고발하여 잡게 함으로써 노비의 신분을 벗어나 양인의 신분을 얻던 일.
  • 금속하다 (金贖하다) : 돈을 바치어 죄나 과오 따위를 씻다.
  • 납속하다 (納贖하다) : 죄를 면하기 위하여 돈을 바치다.
  • 대속하다 (代贖하다) :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음으로써 그 보혈(寶血)로 인류의 죄를 대신 씻어 구원하다.
  • 보속하다 (補贖하다) : 죄로 인한 나쁜 결과를 보상하다.
  • 속공되다 (贖貢되다) : 재물을 바치고 공납이 면제되다.
  • 속공하다 (贖貢하다) : 재물을 바치고 공납을 면제받다.
  • 속량되다 (贖良되다) : 몸값을 치르고 노비의 신분에서 풀려나 양민이 되다.
  • 속량하다 (贖良하다) :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힘으로써 인류의 죄를 대신 씻어 구원하다.
  • 속바치다 (贖바치다) : 죄를 면하기 위하여 돈을 바치다.
  • 속사하다 (贖死하다) : 제물을 바침으로써 죽을죄를 면하다.
  • 속상하다 (贖償하다) : 갚아서 물어 주다.
  • 속신되다 (贖身되다) : 몸값을 치르고 노비의 신분에서 풀려나 양민이 되다.
  • 속신하다 (贖身하다) : 몸값을 받고 노비의 신분을 풀어 주어서 양민이 되게 하다.
  • 속죄되다 (贖罪되다) :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힘으로써 인류의 죄가 대신 씻겨 구원되다.
  • 속죄하다 (贖罪하다) : 지은 죄를 물건이나 다른 공로 따위로 비겨 없애다.
  • 속포하다 (贖布하다) : 조선 시대에, 속죄(贖罪)와 속량(贖良)을 받으려고 대가로 베를 바치다.
  • 속형하다 (贖刑하다) : 돈을 바쳐 형벌을 면하다.
  • 속환되다 (贖還되다) : 돈이나 물건 따위로 대갚음이 되어 어떤 것을 도로 찾아오게 되다.
  • 속환하다 (贖還하다) : 돈이나 물건 따위로 대갚음을 하고 어떤 것을 도로 찾아오다.
  • 수속하다 (收贖하다) : 죄인이 죄를 면하기 위하여 바치는 돈을 거두어들이다.
  • 응속하다 (應贖하다) : 당연히 속죄하다.
  • 장공속죄 (將功贖罪) : 죄지은 사람이 공을 세워 그 대가로 죄를 면함.
  • 징속하다 (徵贖하다) : 조선 시대에, 죄를 면하려고 바치는 속전(贖錢)을 거두어들이다.
  • 대구속신면천 (代口贖身免賤) : 조선 시대에, 공천(公賤)이 다른 노비를 대신 밀어 넣고 양민이 되던 일.
  • 장공속죄하다 (將功贖罪하다) : 죄지은 사람이 공을 세워 그 대가로 죄를 면하다.
  • 강생 구속 (降生救贖) : 예수가 세상에 태어나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음으로써 인류를 죄악에서 구원한 일.


https://dict.wordrow.kr에서 贖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罍에 관한 단어는 모두 5개

한자 罍에 관한 단어는 모두 5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罍에 관한 단어는 모두 5개

  • 뇌 (罍) : 제례(祭禮) 때 쓰던, 번개 무늬를 새겨 넣은 단지. 술을 담는 산뇌(山罍)와 술잔을 씻는 세뇌(洗罍)의 두 가지가 있었다.
  • 산뇌 (山罍) : 제례(祭禮) 때에 현주(玄酒)나 앙제를 담는 데에 쓰던 단지. 구름 낀 모양의 멧부리와 뇌문(雷文)을 표면에 새겨 넣었다.
  • 세뇌 (洗罍) : 벼락을 상징하는 무늬를 새겨 넣은, 술잔을 씻는 단지. 무게는 4.5kg, 높이는 30cm, 직경은 25.2cm, 깊이는 21.3cm.
  • 와뢰 (瓦罍) : 흙으로 구워 만든, 술을 담는 그릇. 주로 제사 때 쓴다.
  • 준뢰 (樽罍) : 제사를 지낼 때에 술을 담는 그릇.


https://dict.wordrow.kr에서 罍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蓄에 관한 단어는 모두 164개

한자 蓄에 관한 단어는 모두 16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蓄에 관한 단어는 모두 164개

  • 늠축 (廩蓄) : 창고에 쌀을 간직함. 또는 그 쌀.
  • 변축 (篇蓄) :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cm 정도이고 가지가 많이 뻗으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 또는 선 모양 타원형인데 긴 잎집은 둘로 크게 갈라진다. 여름에 녹색 바탕에 흰빛 또는 붉은빛이 도는 잔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하나 또는 몇 개가 달려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줄기와 잎은 황달, 곽란, 복통 따위에 약재로 쓴다. 들이나 길가에 나는데 북반구 온대 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 비축 (備蓄) :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미리 갖추어 모아 두거나 저축함.
  • 사축 (私蓄) : 개인이 사사로이 저축함. 또는 그런 재물.
  • 솔축 (率蓄) : 예전에, 여자 종을 첩으로 맞아 동거하던 일.
  • 여축 (餘蓄) : 쓰고 남은 물건을 모아 둠. 또는 그 물건.
  • 온축 (蘊蓄) : 속에 깊이 쌓아 둠. 또는 그런 것.
  • 잠축 (潛蓄) : 몰래 쌓아 둠.
  • 저축 (貯蓄) : 절약하여 모아 둠.
  • 적축 (積蓄) : 지식, 경험, 자금 따위를 모아서 쌓음. 또는 모아서 쌓은 것.
  • 전축 (電蓄) : 레코드판의 홈을 따라 바늘이 돌면서 받는 진동을 전류로 바꾸고, 이것을 증폭하여 확성기로 확대하여 소리를 재생하는 장치. 모터, 픽업, 턴테이블 따위로 구성된다.
  • 축기 (蓄氣) : '강제날숨양'의 전 용어. (강제 날숨양: 호흡할 때에 최대한도로 내쉴 수 있는 폐활량. 보통 1,000~1,500cc이다.)
  • 축농 (蓄膿) : 몸속의 공간에 고름이 괴는 병. 특히 코곁굴 점막의 염증을 이른다. 두통 따위를 일으키고 때로는 악취가 나는 분비물이 코에서 나온다.
  • 축력 (蓄力) : 힘을 차차로 쌓아서 기름. 또는 그렇게 쌓은 힘.
  • 축만 (稸滿/蓄滿) :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배가 팽팽하게 불러 오는 증상.
  • 축발 (蓄髮) : 바싹 깎은 머리를 다시 기름.
  • 축장 (蓄藏) : 모아서 감추거나 거두어 둠.
  • 축재 (蓄財) : 재물이 모여 쌓임. 또는 재물을 모아 쌓음.
  • 축적 (蓄積) : 지식, 경험, 자금 따위를 모아서 쌓음. 또는 모아서 쌓은 것.
  • 축전 (蓄錢) : 돈을 모음. 또는 그 돈.
  • 축전 (蓄電) : 축전기나 축전지에 전기를 모아 둠.
  • 축첩 (蓄妾) : 첩을 둠.
  • 축혈 (蓄血) : 타박상 따위로 살 속에 피가 맺힘. 또는 그 피.
  • 편축 (萹蓄) :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cm 정도이고 가지가 많이 뻗으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 또는 선 모양 타원형인데 긴 잎집은 둘로 크게 갈라진다. 여름에 녹색 바탕에 흰빛 또는 붉은빛이 도는 잔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하나 또는 몇 개가 달려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줄기와 잎은 황달, 곽란, 복통 따위에 약재로 쓴다. 들이나 길가에 나는데 북반구 온대 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 함축 (含蓄) : 겉으로 드러내지 아니하고 속에 간직함.
  • 비축미 (備蓄米) :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미리 갖추어 모아 둔 쌀.
  • 저축계 (貯蓄契) : 돈을 저축하기 위한 계(契).
  • 저축금 (貯蓄金) : 저축한 돈.
  • 저축률 (貯蓄率) : 국민 소득에 대한 저축의 비율.
  • 저축심 (貯蓄心) : 저축하려는 마음.
  • 저축액 (貯蓄額) : 저축한 돈의 액수.
  • 축농증 (蓄膿症) : 몸속의 공간에 고름이 괴는 병. 특히 코곁굴 점막의 염증을 이른다. 두통 따위를 일으키고 때로는 악취가 나는 분비물이 코에서 나온다.
  • 축압기 (蓄壓機) : 펌프에서 보내온 높은 압력의 물을 저장하여 두고 필요에 따라 수압기에 공급하는 장치. 이것을 이용하여 작은 용량의 펌프로 대형 수압기를 움직일 수 있다.
  • 축열기 (蓄熱器) : 보일러로부터 여분의 증기를 용기 속의 물에 불어 넣어 열로 저장하여 두었다가 필요할 때에 끌어내어 이용하기 위한 장치.
  • 축열로 (蓄熱爐) : 고체를 고온으로 용해하는 공업용 노(爐)에서, 연소 가스의 열량을 회수하여 연소용 공기의 예열(豫熱)로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열 교환 장치.
  • 축열실 (蓄熱室) : 고체를 고온으로 용해하는 공업용 노(爐)에서, 연소 가스의 열량을 회수하여 연소용 공기의 예열(豫熱)로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열 교환 장치.
  • 축음기 (蓄音機) : 원통형 레코드 또는 원판형 레코드에 녹음한 음을 재생하는 장치. 1877년 미국의 에디슨이 만든 틴 포일(tin foil) 이래로 많은 발전을 하였다. 초기의 형태는 원통형 레코드를 손잡이나 태엽을 돌려 재생하는 방식이었으나, 이후 원판형 레코드의 회전에 따라 바늘이 레코드에 새겨진 음구(音溝)를 지나감으로써 일어나는 진동을 기계적으로 증폭하여 금속의 진동판에 전하여 재생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신호 변환의 방식은 점차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이후 전축의 발전을 가져왔다.
  • 축재자 (蓄財者) : 재물을 모아 쌓아 둔 사람.
  • 축적관 (蓄積管) : 신호를 관 안에 일시적으로 기록ㆍ축적하여 나중에 필요할 때에 읽어 낼 수 있도록 만든 전자관. 특수한 오실로스코프 따위에 쓴다.
  • 축적금 (蓄積金) : 모아서 쌓은 돈.
  • 축적기 (蓄積期) : 모아서 쌓는 시기.
  • 축적량 (蓄積量) : 모아서 쌓은 양.
  • 축적률 (蓄積率) : 약물을 반복하여 사용할 때에 체내에 약물이 얼마나 축적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 축적물 (蓄積物) : 모아서 쌓은 물건.
  • 축적신 (蓄積腎) : 배설물을 축적하고 있는 세포나 세포군. 또는 그런 기관.
  • 축전기 (蓄電器) : 많은 양의 전기를 모으는 장치. 레이던병, 가변 축전기 따위가 있다.
  • 축전량 (蓄電量) : 축전되어 있는 전기의 양.
  • 축전지 (蓄電池) :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바꾸어 모아 두었다가 필요한 때에 전기로 재생하는 장치.
  • 축전차 (蓄電車) : 축전기로 움직이는 차.
  • 함축미 (含蓄美) : 겉으로 드러내지 아니하고 속에 간직하고 있는 아름다움.
  • 함축성 (含蓄性) : 말이나 글이 많은 뜻을 담고 있는 성질.
  • 함축적 (含蓄的) : 말이나 글이 어떤 뜻을 속에 담고 있는 것.
  • 구년지축 (九年之蓄) : 오랫동안 먹을 수 있을 만큼 많은 식량.
  • 근검저축 (勤儉貯蓄) : 부지런하고 알뜰하게 하여 재물을 모음.
  • 납축전지 (납蓄電池) : 묽은 황산 용액에 이산화 납으로 된 양극과 납으로 된 음극을 넣은 축전지. 보통 쓰는 자동차용 축전지로 출력 전압은 2볼트이며, 방전된 뒤에는 충전하여 계속 쓸 수 있다.
  • 늠축하다 (廩蓄하다) : 창고에 쌀을 간직하다.
  • 비축되다 (備蓄되다) : 만약의 경우에 대비되어 미리 갖추어져 모아지거나 저축되다.
  • 비축하다 (備蓄하다) :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미리 갖추어 모아 두거나 저축하다.
  • 비황저축 (備荒貯蓄) : 흉년이나 어려운 때를 대비하여 미리 저축함. 또는 그런 저축.
  • 사축하다 (私蓄하다) : 개인이 사사로이 저축하다.
  • 솔축하다 (率蓄하다) : 예전에, 여자 종을 첩으로 맞아 동거하다.
  • 여축하다 (餘蓄하다) : 쓰고 남은 물건을 모아 두다.
  • 연축전지 (鉛蓄電池) : 묽은 황산 용액에 이산화 납으로 된 양극과 납으로 된 음극을 넣은 축전지. 보통 쓰는 자동차용 축전지로 출력 전압은 2볼트이며, 방전된 뒤에는 충전하여 계속 쓸 수 있다.
  • 온축되다 (蘊蓄되다) : 속에 깊이 쌓이다.
  • 온축하다 (蘊蓄하다) : 속에 깊이 쌓아 두다.
  • 은축전지 (銀蓄電池) : 양극으로는 이산화 은, 음극으로는 아연이나 카드뮴, 전해액으로는 수산화 칼륨을 쓴 알칼리 축전지. 군사 기술 기기, 영화 및 텔레비전 촬영 설비, 음향 장치 따위에 쓴다.
  • 잠축하다 (潛蓄하다) : 몰래 쌓아 두다.
  • 재형저축 (財形貯蓄) : 근로자가 소득의 일부를 일정 기간 저축함으로써 목돈, 주택, 주식 따위의 재산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 금융 기관, 사업주 등이 지원하여 주는 저축.
  • 저축되다 (貯蓄되다) : 절약되어 모아지다.
  • 저축하다 (貯蓄하다) : 절약하여 모아 두다.
  • 적축되다 (積蓄되다) : 지식, 경험, 자금 따위가 모여서 쌓이다.
  • 적축하다 (積蓄하다) : 지식, 경험, 자금 따위를 모아서 쌓다.
  • 축발하다 (蓄髮하다) : 바싹 깎은 머리를 다시 기르다.
  • 축음기판 (蓄音機板) : 축음기의 회전판에 걸어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만든 동그란 판.
  • 축장되다 (蓄藏되다) : 모아져서 감추어지거나 거두어져 두어지다.
  • 축장하다 (蓄藏하다) : 모아서 감추거나 거두어 두다.
  • 축재하다 (蓄財하다) : 재물이 모여 쌓이다. 또는 재물을 모아 쌓다.
  • 축적되다 (蓄積되다) : 지식, 경험, 자금 따위가 모여서 쌓이다.
  • 축적하다 (蓄積하다) : 지식, 경험, 자금 따위를 모아서 쌓다.
  • 축전되다 (蓄電되다) : 축전기나 축전지에 전기가 모아져 두어지다.
  • 축전지차 (蓄電池車) : 축전지를 원동력으로 하는 전기 차. 차는 축전지로부터 전력을 받는 직류 전동기에 의하여 움직이며, 전동기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속도를 조절한다. 축전지의 전기 에너지를 동력으로 하면 설비가 간단하고 운전하기도 쉽다.
  • 축전하다 (蓄電하다) : 축전기나 축전지에 전기를 모아 두다.
  • 축전하다 (蓄錢하다) : 돈을 모으다.
  • 축첩하다 (蓄妾하다) : 첩을 두다.
  • 함분축원 (含憤蓄怨) : 분한 마음을 품고 원한을 쌓음.
  • 함축되다 (含蓄되다) :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하고 속에 간직되다.
  • 함축하다 (含蓄하다) : 말이나 글이 많은 뜻을 담고 있다.
  • 근검저축하다 (勤儉貯蓄하다) : 부지런하고 알뜰하게 하여 재물을 모으다.
  • 비황저축하다 (備荒貯蓄하다) : 흉년이나 어려운 때를 대비하여 미리 저축하다.
  • 함분축원하다 (含憤蓄怨하다) : 분한 마음을 품고 원한을 쌓다.
  • 폴리에스테르 축전기 (polyester蓄電器) : 폴리에스테르 수지 박막을 쓴 축전기. 전해 축전기와 달리 극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할 때에 거의 저항을 받지 않지만 내압이 낮다.
  • 글리코겐 축적증 (glycogen蓄積症) : 글리코겐이 포도당으로 분해되는 대사에 필요한 효소가 선천적으로 부족하여 근육이나 간 따위에 글리코겐이 쌓이는 병.
  • 콜로이드 축전지 (colloid蓄電池) : 전해액을 콜로이드 상태로 만든 축전지. 보통의 납축전지를 개량한 것으로, 쉽게 새어 나오지 않고 들어 나르기에 편리하다.
  • 알루미늄 전해 축전기 (aluminium電解蓄電器) : 알루미늄박을 전극으로 하고 그 위에 입힌 산화 피막을 유전체로 쓴 축전기.
  • 저축의 날 (貯蓄의날) : 1973년에 국민의 저축을 장려하고 저축 보험 및 증권 사업의 증진을 위하여 정한 날. 10월 마지막 화요일이다.
  • 본원적 축적 (本源的蓄積) : 자본주의적 생산 양식이 발생하는 단계에서 자본이나 임금 노동이 이루어져 가는 과정. 적은 수의 사람이 생산 수단을 가지게 되고 노동력을 파는 것밖에는 아무것도 차지하는 것이 없는 사람이 많이 생기게 된다.
  • 원시적 축적 (原始的蓄積) : 자본주의적 생산 양식이 발생하는 단계에서 자본이나 임금 노동이 이루어져 가는 과정. 적은 수의 사람이 생산 수단을 가지게 되고 노동력을 파는 것밖에는 아무것도 차지하는 것이 없는 사람이 많이 생기게 된다.
  • 자발적 저축 (自發的貯蓄) : 소비자가 기대되는 소득 가운데 자유의사에 따라 하는 저축.
  • 축전지 효율 (蓄電池效率) : 축전지를 방전하거나 충전할 때에 얻어 들인 전기량 또는 전력량의 백분율. 전기량일 때는 암페어시 효율이라고 하고, 전력량일 때는 와트시 효율이라고 한다.


https://dict.wordrow.kr에서 蓄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