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22일 수요일

한자 醵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한자 醵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醵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 갹금 (醵金) : 여러 사람이 각기 돈을 냄. 또는 그 돈.
  • 갹음 (醵飮) : 술값을 여러 사람이 분담하고 술을 마심.
  • 갹출 (醵出) : 같은 목적을 위하여 여러 사람이 돈을 나누어 냄.
  • 거금 (醵金) : 여러 사람이 각기 돈을 냄. 또는 그 돈.
  • 거음 (醵飮) : 술값을 여러 사람이 분담하고 술을 마심.
  • 거출 (醵出) : 같은 목적을 위하여 여러 사람이 돈을 나누어 냄.
  • 갹출료 (醵出料) : 같은 목적을 위하여 여러 사람이 나누어 내는 돈.
  • 갹금하다 (醵金하다) : 여러 사람이 각기 돈을 내다.
  • 갹음하다 (醵飮하다) : 술값을 여러 사람이 분담하고 술을 마시다.
  • 갹출하다 (醵出하다) : 같은 목적을 위하여 여러 사람이 돈을 나누어 내다.
  • 거금하다 (醵金하다) : 여러 사람이 각기 돈을 내다.
  • 거음하다 (醵飮하다) : 술값을 여러 사람이 분담하고 술을 마시다.
  • 거출하다 (醵出하다) : 같은 목적을 위하여 여러 사람이 돈을 나누어 내다.
  • 갹출제 연금 (醵出制年金) : 피보험자나 사용자에게 보험료를 일정 기간 거두어들였다가 내주는 연금. 우리나라에서는 국민 복지 연금법, 공무원 연금법, 군인 연금법, 산업 재해 보상 보험법 따위에서 이를 규정하고 있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醵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爪에 관한 단어는 모두 41개

한자 爪에 관한 단어는 모두 4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爪에 관한 단어는 모두 41개

  • 강조 (鋼爪) : 강철같이 단단한 손톱.
  • 거조 (去爪) : 등뼈ㆍ허리ㆍ팔ㆍ다리 따위의 관절과 음낭 부근에 고름이 생겼을 때, 피침(鈹鍼)으로 제거해 내는 침법.
  • 구조 (鉤爪) : 갈고리 모양으로 생긴 새의 발톱.
  • 달조 (獺爪) : 수달의 발톱. 객혈, 목이 쉬는 증상에 약으로 쓴다.
  • 미조 (美爪) : 손톱을 예쁘게 다듬는 일. 또는 그 손톱.
  • 수조 (手爪) : 손가락 끝에 붙어 있는 딱딱하고 얇은 조각. 손가락 끝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 아조 (牙爪) : 짐승의 어금니와 발톱이라는 뜻으로, 적을 막기 위한 수단과 도구를 이르는 말.
  • 예조 (銳爪) : 날카로운 손톱이나 발톱.
  • 요조 (轑爪/轑蚤) : 수레의 좌석에 세우는 양산을 고정하기 위하여 일산 살대 투겁에 달던 갈고리.
  • 조각 (爪角) : 짐승의 발톱과 뿔이라는 뜻으로, 자신을 적으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조갑 (爪甲) : 손톱과 발톱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조독 (爪毒) : 손톱에 긁힌 자리에 균이 들어가 생긴 염증.
  • 조문 (爪紋) : 손톱 끝 모양의 무늬. 초승달처럼 생긴 무늬를 이른다.
  • 조병 (爪病) : '손발톱병'의 전 용어. (손발톱병: 손발톱에 생기는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조상 (爪傷) : 손톱이나 발톱에 긁혀서 생긴 상처.
  • 조섭 (爪攝) : 침을 놓을 자리에 기운이 잘 통하도록 그 혈의 아래위를 엄지손가락 끝이나 손톱으로 꼭꼭 눌러 주는 일.
  • 조아 (爪牙) : 적의 습격을 막고 임금을 호위하는 신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조흔 (爪痕) : 손톱이나 발톱 따위에 긁힌 자국.
  • 지조 (指爪) : 손가락 끝에 붙어 있는 딱딱하고 얇은 조각. 손가락 끝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 홍조 (鴻爪) : 기러기가 눈이나 진흙 위에 남긴 발자국.
  • 가조각 (假爪角) : 비파를 탈 때, 줄을 짚기 위하여 오른손의 둘째ㆍ셋째ㆍ넷째 손가락에 끼우는, 뿔로 만든 두겁.
  • 계조풍 (鷄爪風) : 아이를 낳은 뒤에 경련이 일면서 손발이 오그라들어 펴지지 않는 병.
  • 미조사 (美爪師) : 남의 손톱을 예쁘게 다듬어 주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또는 그런 직업.
  • 미조술 (美爪術) : 손톱을 예쁘게 다듬는 화장술.
  • 미조원 (美爪院) : 손톱을 예쁘게 다듬어 주는 미장원.
  • 사조구 (四爪鉤) : 적의 배를 잡아끄는 데 쓰던 병기. 조선 선조 때에, 이순신이 창안한 것으로, 네 개의 쇠갈고리를 쇠사슬에 매거나 삼줄에 매어서 사용하였다.
  • 손톱조 (손톱爪) : 한자 부수의 하나. '爭', '爲', 따위에 쓰인 '爪(爫)'를 이른다.
  • 오조룡 (五爪龍) : 발톱이 다섯 개 있다는 전설의 용.
  • 조갑창 (爪甲瘡) : 발톱을 깎다가 손상된 피부나, 작은 신발을 오래 신어서 압박을 받은 발톱 부위에 생기는 부스럼.
  • 조발낭 (爪髮囊) : 장례 때 관 속에 넣는 작은 주머니. 염습할 때에 시신의 손발톱을 깎고 흩어진 머리카락을 주워 이것에 담는다.
  • 해조문 (蟹爪紋) : 잿물을 입힌 도자기의 겉면에 게의 발이 갈라지듯 잘게 난 금.
  • 개궁로조 (蓋弓橑爪) : 수레의 좌석에 세우는 양산을 고정하기 위하여 일산 살대 투겁에 달던 갈고리.
  • 독취악조 (毒嘴惡爪) : 독이 있는 부리와 날카로운 손톱이라는 뜻으로, 포악한 성격을 이르는 말.
  • 사조룡보 (四爪龍補) : 왕세자와 세자빈의 예복(禮服) 양쪽 어깨와 가슴, 등에 붙이던 헝겊 조각. 네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을 수놓았다.
  • 삼조룡보 (三爪龍補) : 왕세손이 가슴과 등에 달던 용보. 세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을 수놓았다.
  • 설니홍조 (雪泥鴻爪) : 눈 위에 난 기러기의 발자국이 눈이 녹으면 없어진다는 뜻으로, 인생의 자취가 눈 녹듯이 사라져 무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오조룡보 (五爪龍補) : 왕과 왕비의 옷에 덧붙인 원형의 장식품. 발톱이 다섯 개인 용을 수놓았는데, 옷의 가슴과 등, 양어깨에 붙였다.
  • 유조동물 (有爪動物) : 발톱이 달린 융기물이 있는 여러 쌍의 다리를 가진 육상 무척추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의 길이는 15~40cm이고 원통형이며, 표면에는 많은 돌기가 있다. 머리에는 1쌍의 더듬이가 있고 입은 배 쪽에 있다. 대부분 열대 지방에 분포한다.
  • 조섭하다 (爪攝하다) : 침을 놓을 자리에 기운이 잘 통하도록 그 혈의 아래위를 엄지손가락 끝이나 손톱으로 꼭꼭 눌러 주다.
  • 조아지사 (爪牙之士) : 믿을 만하고 도움이 되는 신하.
  • 조갑 백선 (爪甲白癬) : '손발톱진균증'의 전 용어. (손발톱 진균증: 진균이 손톱에 침입하여 손톱이 거칠어지고 더러워지며 때로 흰색의 점이 생기는 병.)


https://dict.wordrow.kr에서 爪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漑에 관한 단어는 모두 32개

한자 漑에 관한 단어는 모두 32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漑에 관한 단어는 모두 32개

  • 개관 (漑灌) : 농사를 짓는 데에 필요한 물을 논밭에 댐.
  • 개분 (漑糞) : 농작물에 물이나 비료를 주는 일.
  • 관개 (灌漑) : 농사를 짓는 데에 필요한 물을 논밭에 댐.
  • 관개망 (灌漑網) : 관개 수로의 체계.
  • 관개수 (灌漑水) : 농사에 필요하여 논밭에 대는 데 드는 물.
  • 관개원 (灌漑園) : 물을 대어 가꾸는 밭.
  • 관개지 (灌漑地) : 농사에 필요한 물을 물길을 이용하여 끌어 쓰는 땅.
  • 신용개 (申用漑) : 조선 중종 때의 문신(1463~1519). 자는 개지(漑之). 호는 이요정(二樂亭)ㆍ송계(松溪)ㆍ수옹(睡翁).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문인이라 하여 투옥되었으나, 중종 반정 뒤에 좌의정에 올랐다.
  • 개관하다 (漑灌하다) : 농사를 짓는 데에 필요한 물을 논밭에 대다.
  • 관개용수 (灌漑用水) : 농사에 필요하여 논밭에 대는 데 드는 물.
  • 관개하다 (灌漑하다) : 농사를 짓는 데에 필요한 물을 논밭에 대다.
  • 지표면 관개 (地表面灌漑) : 파이프나 지표의 도랑을 이용하여 논밭에 물을 공급하는 관개.
  • 관개 공사 (灌漑工事) : 농사에 필요한 물을 논밭에 대기 위하여 벌이는 여러 가지 공사. 가뭄과 홍수 따위의 피해를 막고 안전한 수확을 올릴 수 있게 한다.
  • 관개 농업 (灌漑農業) : 농작물이 자라기에 좋은 조건을 만들기 위하여 조직적으로 경작지에 물을 대어서 하는 농업.
  • 관개 면적 (灌漑面積) : 한 개의 관개 시설에 의하여 물을 이용할 수 있는 경지의 면적.
  • 관개 수로 (灌漑水路) : 근원지의 물을 논밭으로 보내는 물길.
  • 관개 시설 (灌漑施設) : 많은 수확을 위하여 논밭에 물을 대고 빼는 시설. 수원 확보 시설, 물 대기 시설, 배수 시설 따위로 이루어진다.
  • 관개 터널 (灌漑tunnel) : 논밭에 댈 물을 끌어 대기 위한 굴.
  • 산수 관개 (산水灌漑) : → 살포관개. (살포 관개: 펌프나 자연적인 낙차로 생긴 수압을 이용하여 밭에 물을 흩어 뿌리는 관개 방법.)
  • 산포 관개 (산布灌漑) : → 살포관개. (살포 관개: 펌프나 자연적인 낙차로 생긴 수압을 이용하여 밭에 물을 흩어 뿌리는 관개 방법.)
  • 살수 관개 (撒水灌漑) : 펌프나 자연적인 낙차로 생긴 수압을 이용하여 밭에 물을 흩어 뿌리는 관개 방법.
  • 살포 관개 (撒布灌漑) : 펌프나 자연적인 낙차로 생긴 수압을 이용하여 밭에 물을 흩어 뿌리는 관개 방법.
  • 수반 관개 (水盤灌漑) : 과수원에서, 과실나무 두서너 그루마다 주위에 고랑을 파 물이 고르게 돌아가도록 물을 대는 방법.
  • 연속 관개 (連續灌漑) : 관개 체계 안에서 필요한 만큼 계속하여 보내는 물대기 방법.
  • 월류 관개 (越流灌漑) : 약간 경사진 밭에서 물을 밭 전체로 흘려 보내는 관개법.
  • 지하 관개 (地下灌漑) : 땅속에 관을 묻고 물을 통하게 하여 물을 대는 일.
  • 천수 관개 (天水灌漑) : 빗물을 천수답에 이용하는 관개.
  • 휴간 관개 (畦間灌漑) : 고랑에 물을 넣어 농작물의 뿌리에 물을 주는 방법.
  • 관개 몽리 면적 (灌漑蒙利面積) : 한 개의 관개 시설에 의하여 물을 이용할 수 있는 경지의 면적.
  • 논 관개 (논灌漑) : 수원(水源)에서 물을 끌어다가 논에 대는 일.
  • 밭 관개 (밭灌漑) : 밭에 물을 대어 주는 일.
  • 밭 관개 용수량 (밭灌漑用水量) : 밭작물이 자라는 동안에 단위 면적의 밭에 대는 전체 물의 양. 작물의 종류, 기상 조건, 토양 조건에 따라 다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漑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緘에 관한 단어는 모두 26개

한자 緘에 관한 단어는 모두 26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緘에 관한 단어는 모두 26개

  • 함 (緘) : 편지 겉봉의 봉한 자리에 봉한다는 뜻으로 쓰는 글자.
  • 공함 (公函/公緘) : 조선 시대에, 높은 벼슬아치들이 죄를 짓거나 어떤 사건에 관계된 경우에 편지를 보내어 신문하거나 질문하던 일. 또는 그 편지.
  • 근함 (謹緘) : 삼가 봉한다는 뜻으로, 편지 겉봉의 봉한 자리에 쓰는 말.
  • 봉함 (封緘) : 편지를 봉투에 넣고 봉함. 또는 그 편지.
  • 삼함 (三緘) : 몸ㆍ입ㆍ뜻을 삼가라는 뜻으로, 절의 큰방 뒷벽에 써 붙이는 글.
  • 함구 (緘口) : 입을 다문다는 뜻으로, 말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함답 (緘答) : 공문에 대한 회답.
  • 함묵 (緘默) : 입을 다문다는 뜻으로, 말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함봉 (緘封) : 편지, 문서 따위의 겉봉을 봉함.
  • 함서 (緘書) : 겉봉을 봉한 편지.
  • 함찰 (緘札) : 겉봉을 봉한 편지.
  • 함구령 (緘口令) : 어떤 일의 내용을 말하지 말라는 명령.
  • 함구증 (緘口症) : 거절증의 한 증상. 조현병 환자에게 가끔 나타나는 정신 운동 장애의 하나로서, 입을 딱 다물고 말을 전혀 하지 않는다.
  • 함기성 (緘氣性) : 공기가 통하지 아니하여 보온을 유지하는 옷감의 성질.
  • 봉함엽서 (封緘葉書) : 우편엽서의 하나. 사연을 적은 쪽을 보이지 않게 겹쳐서 접으면 크기가 보통 엽서와 같게 되며, 편지처럼 봉할 수 있다.
  • 봉함하다 (封緘하다) : 편지를 봉투에 넣고 봉하다.
  • 함구무언 (緘口無言) : 입을 다물고 아무 말도 하지 아니함.
  • 함구물설 (緘口勿說) : 입을 다물고 말을 하지 아니하게 함.
  • 함구불언 (緘口不言) : 입을 다물고 말을 하지 아니함.
  • 함구하다 (緘口하다) : 말하지 아니하다. 입을 다문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함묵하다 (緘默하다) : 말하지 아니하다. 입을 다문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함봉되다 (緘封되다) : (비유적으로) 입이 꼭 다물리고 열리지 아니하다.
  • 함봉하다 (緘封하다) : 편지, 문서 따위의 겉봉을 봉하다.
  • 함구무언하다 (緘口無言하다) : 입을 다물고 아무 말도 하지 아니하다.
  • 함구물설하다 (緘口勿說하다) : 입을 다물고 말을 하지 아니하게 하다.
  • 함구불언하다 (緘口不言하다) : 입을 다물고 말을 하지 아니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緘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