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7월 15일 수요일

병풍상성: 病風喪性

병풍상성 (病風喪性) : 병에 시달려 본성을 잃어버림.



病風喪性 한자 뜻 풀이

  • 病(병 병) : 병, 괴로워하다, 괴롭히다, 시들다, 주리다. 사람이 병이 걸려 침상에 누워있는 의미에서 '병'의 의미 생성. '丙(병)'은 발음
  • 風(바람 풍) : 바람, 풍자하다, 바람 불다, 바람을 쐬다, 움직이다.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凡(범)이 '널리 퍼지다'는 의미가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를 더함
  • 喪(복입을 상) : 복입다, 잃다, 복(服), 널, 지위를 잃다. 哭(곡)과 亡(망)의 결합으로 잃어버린 것을 애타게 여겨 운다는 의미에서 후에 확대되어 '죽다'는 뜻 생성
  • 性(성품 성) : 성품, 성질, 생명, 살다, 모습. 타고난 마음의 성질의 의미. '生(생)'은 발음부호면서 의미 내포


[喪] 복입을 상 (복입다, 잃다, 복(服), 널, 지위를 잃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조상부모 획순 이미지 조상부모(早喪父母) : 어려서 부모를 여읨. [ (: 일찍 조) (: 복입을 상) (: 아비 부) (: 어미 모) ]
  • 낙담상혼 획순 이미지 낙담상혼(落膽喪魂) : (1)'낙담상혼'의 북한어. (2)몹시 놀라거나 마음이 상해서 넋을 잃음. [ (: 쓸개 담) (: 복입을 상) (: 넋 혼) ]
  • 부재모상 획순 이미지 부재모상(父在母喪) : 아버지는 살아 있고 어머니가 먼저 죽음. 또는 그런 상사(喪事). [ (: 아비 부) (: 있을 재) (: 어미 모) (: 복입을 상) ]
  • 삼상불문 획순 이미지 삼상불문(三喪不問) : 삼년상을 치르는 상제는 상기(喪期) 삼 년 동안 남의 상사(喪事)에 조상하지 못하거나 아니함. [ (: 석 삼) (: 복입을 상) (: 아니 불) (: 물을 문) ]
  • 병풍상성 획순 이미지 병풍상성(病風喪性) : 병에 시달려 본성을 잃어버림. [ (: 병 병) (: 바람 풍) (: 복입을 상) (: 성품 성) ]

[性] 성품 성 (성품, 성질, 생명, 살다, 모습)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명지위성 획순 이미지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 : 하늘이 하늘의 본성(天道)을 만물(萬物)에게 부여(附與)해준 것을 본성(本性)이라고 한다. [ (: 하늘 천) (: 목숨 명) (: 갈 지) (: 이를 위) (: 성품 성) ]
  • 존심양성 획순 이미지 존심양성(存心養性) : 마음을 간직하고 성품을 기른다는 뜻으로, 양심(良心)을 잃지 말고 그대로 간직하여, 하늘이 주신 본성(本性)을 키워 나가는 것을 이르는 말. [ (: 있을 존) (: 마음 심) (: 기를 양) (: 성품 성) ]
  • 파성종 획순 이미지 파성종(破性宗) : '가명종'을 달리 이르는 말. [ (: 깨뜨릴 파) (: 성품 성) (: 마루 종) ]
  • 솔성지위도 획순 이미지 솔성지위도(率性之謂道) :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말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하늘로부터 받은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리라고 말한다는 <중용(中庸)>의 가치. [ (: 거느릴 솔) (: 성품 성) (: 갈 지) (: 이를 위) (: 길 도) ]
  • 벌성상은 획순 이미지 벌성상은(伐性傷恩) : 인간(人間)의 본성(本性)을 그르치고, 은애(恩愛)의 정을 손상(損傷)함. [ (: 칠 벌) (: 성품 성) (: 다칠 상) (: 은혜 은) ]

[病] 병 병 (병, 괴로워하다, 괴롭히다, 시들다, 주리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병입골수 획순 이미지 병입골수(病入骨髓) : 병이 골수 깊이 스며들 정도로 뿌리 깊고 중함. [ (: 병 병) (: 들 입) (: 뼈 골) (: 골수 수) ]
  • 생로병사고 획순 이미지 생로병사고(生老病死苦) : 불교(佛敎)에서 인간(人間)이 반드시 겪어야만 한다는 네 가지 고통(苦痛), 즉 태어나 늙고, 병들고, 죽는 네 가지의 고통(苦痛). [ (: 날 생) (: 늙을 로) (: 병 병) (: 죽을 사) (: 쓸 고) ]
  • 재자다병 획순 이미지 재자다병(才子多病) : 재주 있는 사람은 병이 잦음. [ (: 재주 재) (: 아들 자) (: 많을 다) (: 병 병) ]
  • 수병투약 획순 이미지 수병투약(隨病投藥) : 병에 따라 약을 쓴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학문이나 교양 등의 정도에 따라 설법(說法)을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 [ (: 따를 수) (: 병 병) (: 던질 투) (: 약 약) ]
  • 천인소지무병이사 획순 이미지 천인소지무병이사(千人所指無病而死) : 여러 사람에게 손가락질 당(當)하면 병(病)을 앓지 않고도 죽음. [ (: 일천 천) (: 사람 인) (: 바 소) (: 손가락 지) (: 없을 무) (: 병 병) (: 말 이을 이) (: 죽을 사) ]

[風] 바람 풍 (바람, 풍자하다, 바람 불다, 바람을 쐬다, 움직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풍마우세 획순 이미지 풍마우세(風磨雨洗) : 바람에 갈리고 비에 씻김. [ (: 바람 풍) (: 갈 마) (: 비 우) (: 씻을 세) ]
  • 풍목지비 획순 이미지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나무 목) (: 갈 지) (: 슬플 비) ]
  • 풍사재하 획순 이미지 풍사재하(風斯在下) : 새가 높이 날 때는 바람은 그 밑에 있다는 뜻으로, 높은 곳에 오름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이 사) (: 있을 재) (: 아래 하) ]
  • 파주임풍 획순 이미지 파주임풍(把酒臨風) : 술잔을 잡고 바람에 임한다는 뜻으로, 술잔을 손에 잡고 불어오는 맑은 바람의 풍광을 맞이하는 것처럼 여유롭고 자적(自適)하는 경지를 이르는 말. [ (: 잡을 파) (: 술 주) (: 바람 풍) ]
  • 차풍사선 획순 이미지 차풍사선(借風使船) : 바람을 빌려 배를 부린다는 뜻으로, 돈을 빌려 임시변통한다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 [ (: 빌 차) (: 바람 풍) (使: 부릴 사) (: 배 선) ]

[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 획순 이미지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 사람 인) (: 귀신 귀) (: 서로 상) (: 반 반) ]
  • 무하지증 획순 이미지 무하지증(無何之症) : 병명을 몰라서 고칠 수 없는 병. [ (: 없을 무) (: 어찌 하) (: 갈 지) (: 증세 증) ]
  • 거저척이 획순 이미지 거저척이(遽篨戚施) : 엎드릴 수도 없고, 위를 쳐다볼 수도 없는 병이란 뜻으로, 오만(傲慢)하고 아첨(阿諂)하는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거저(遽篨)는 새가슴, 척이(戚施)는 곱사등이. [ (: 갑자기 거) (: 대자리 저) (: 겨레 척) (: 옮을 이) ]
  • 단병접전 획순 이미지 단병접전(短兵接戰) : 칼이나 창 따위의 단병으로 적과 직접 맞부딪쳐 싸움. 또는 그런 전투. [ (: 짧을 단) (: 군사 병) (: 사귈 접) (: 싸움 전) ]
  • 병입골수 획순 이미지 병입골수(病入骨髓) : 병이 골수 깊이 스며들 정도로 뿌리 깊고 중함. [ (: 병 병) (: 들 입) (: 뼈 골) (: 골수 수) ]

[본성]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명지위성 획순 이미지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 : 하늘이 하늘의 본성(天道)을 만물(萬物)에게 부여(附與)해준 것을 본성(本性)이라고 한다. [ (: 하늘 천) (: 목숨 명) (: 갈 지) (: 이를 위) (: 성품 성) ]
  • 존심양성 획순 이미지 존심양성(存心養性) : 마음을 간직하고 성품을 기른다는 뜻으로, 양심(良心)을 잃지 말고 그대로 간직하여, 하늘이 주신 본성(本性)을 키워 나가는 것을 이르는 말. [ (: 있을 존) (: 마음 심) (: 기를 양) (: 성품 성) ]
  • 솔성지위도 획순 이미지 솔성지위도(率性之謂道) :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말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하늘로부터 받은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리라고 말한다는 <중용(中庸)>의 가치. [ (: 거느릴 솔) (: 성품 성) (: 갈 지) (: 이를 위) (: 길 도) ]
  • 벌성상은 획순 이미지 벌성상은(伐性傷恩) : 인간(人間)의 본성(本性)을 그르치고, 은애(恩愛)의 정을 손상(損傷)함. [ (: 칠 벌) (: 성품 성) (: 다칠 상) (: 은혜 은) ]
  • 범성불이 획순 이미지 범성불이(凡聖不二) : 범인과 성인은 둘이 아니다는 뜻으로, 사람은 범인과 성인의 구별은 있지만, 본성은 일체 평등하다는 불교 용어. [ (: 무릇 범) (: 성스러울 성) (: 아니 불) (: 두 이)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