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4일 화요일

한자 竄에 관한 단어는 모두 81개

한자 竄에 관한 단어는 모두 8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竄에 관한 단어는 모두 81개

  • 개찬 (改竄) : 글의 뜻을 달리하기 위하여 글의 일부 구절이나 글자를 일부러 고침.
  • 도찬 (塗竄) : 문장의 글귀를 지우거나 다시 고쳐 씀.
  • 도찬 (逃竄) : 도망하여 몸을 피함.
  • 돈찬 (遯竄) : 도망하여 숨음.
  • 둔찬 (遁竄) : 도망쳐 숨음.
  • 분찬 (奔竄) : 바삐 달아나 숨음.
  • 삼찬 (三竄) : 조선 시대에, 선조 16년(1583)에 이이를 비난하고 공격한 송응개, 박근원, 허봉을 각각 회령, 강계, 종성으로 귀양 보낸 일.
  • 원찬 (遠竄) : 먼 곳으로 귀양을 보냄.
  • 유찬 (流竄) : 오형(五刑) 가운데 죄인을 귀양 보내던 일. 그 죄의 가볍고 무거움에 따라 원근(遠近)의 등급이 있었다.
  • 잠찬 (潛竄) : 몰래 도망쳐 깊숙이 숨어 버림.
  • 점찬 (點竄) : 시문의 글자나 어구를 고쳐 다듬음.
  • 주찬 (走竄) : 달아나 숨음.
  • 주찬 (誅竄) : 형벌로 죽이는 일과 귀양 보내는 일.
  • 찬닉 (竄匿) : 몰래 달아나 숨음.
  • 찬도 (竄逃) : 도망하여 몸을 피함.
  • 찬류 (竄流) : 천당에 들어가기 전, 현세의 삶을 이르는 말.
  • 찬배 (竄配) : 죄인을 지방이나 섬으로 보내 정해진 기간 동안 그 지역 내에서 감시를 받으며 생활하게 하던 일. 또는 그런 형벌.
  • 찬복 (竄伏) : 몰래 달아나 숨음.
  • 찬분 (竄奔) : 도망하여 몸을 피함.
  • 찬사 (竄死) : 귀양 가서 죽음.
  • 찬살 (竄殺) : 귀양을 보내어 죽임.
  • 찬익 (竄匿) : → 찬닉. (찬닉: 몰래 달아나 숨음.)
  • 찬입 (竄入) : 도망쳐 들어감.
  • 찬적 (竄謫) : 벼슬을 빼앗고 귀양을 보냄.
  • 찬주 (竄走) : 도망하여 사라짐.
  • 찬척 (竄斥) : 내쫓거나 물리침.
  • 찬축 (竄逐) : 죄인을 멀리 귀양 보내어 쫓음.
  • 찬출 (竄黜) : 벼슬을 빼앗고 귀양을 보냄.
  • 찬폄 (竄貶) : 벼슬을 빼앗고 먼 곳으로 귀양을 보냄.
  • 척찬 (斥竄) : 내쳐서 귀양 보냄.
  • 첨찬 (添竄) : 시문(詩文) 따위를 자꾸 더하거나 빼서 고침.
  • 폄찬 (貶竄) : 벼슬의 등급을 낮추고 귀양을 보내던 일.
  • 포찬 (逋竄) : 몰래 달아나 숨음.
  • 하찬 (下竄) : 경련이 일어날 때에, 눈동자가 아래로 내려가는 증상.
  • 애찬성 (礙竄性) : 두 개의 물체가 동시에 같은 공간을 차지하지 못하는 성질. 빈 병을 물속에 거꾸로 넣으면, 공기 때문에 물이 병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성질 따위를 이른다.
  • 점찬술 (點竄術) : 예전에 일본에서 발달하였던, 지금의 대수 방정식과 비슷한 계산 방법.
  • 가극찬배 (加棘竄配) : 조선 시대에, 귀양 간 사람에게 형벌을 가하던 일. 귀양살이하는 죄인의 집 둘레에 가시나무를 둘러서 왕래를 하지 못하게 하였다.
  • 개찬되다 (改竄되다) : 글의 뜻이 달라지도록 글의 일부 구절이나 글자가 일부러 고쳐지다.
  • 개찬하다 (改竄하다) : 글의 뜻을 달리하기 위하여 글의 일부 구절이나 글자를 일부러 고치다.
  • 계미삼찬 (癸未三竄) : 조선 시대에, 선조 16년(1583)에 이이를 비난하고 공격한 송응개, 박근원, 허봉을 각각 회령, 강계, 종성으로 귀양 보낸 일.
  • 극변원찬 (極邊遠竄) : 중심이 되는 곳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변경으로 귀양을 보냄.
  • 도찬하다 (逃竄하다) : 도망하여 몸을 피하다.
  • 도찬하다 (塗竄하다) : 문장의 글귀를 지우거나 다시 고쳐 쓰다.
  • 둔찬하다 (遁竄하다) : 도망쳐 숨다.
  • 분찬하다 (奔竄하다) : 바삐 달아나 숨다.
  • 사산분찬 (四散奔竄) : 사방으로 흩어져 재빨리 달아남.
  • 원찬되다 (遠竄되다) : 먼 곳으로 귀양 보내지다.
  • 원찬하다 (遠竄하다) : 먼 곳으로 귀양을 보내다.
  • 유찬되다 (流竄되다) : 죄인이 귀양 보내지다. 오형(五刑)의 하나로, 그 죄의 가볍고 무거움에 따라 원근(遠近)의 등급이 있었다.
  • 유찬하다 (流竄하다) : 죄인을 귀양 보내다. 오형(五刑)의 하나로, 그 죄의 가볍고 무거움에 따라 원근(遠近)의 등급이 있었다.
  • 잠찬하다 (潛竄하다) : 몰래 도망쳐 깊숙이 숨어 버리다.
  • 점찬하다 (點竄하다) : 시문의 글자나 어구를 고쳐 다듬다.
  • 조산수찬 (鳥散獸竄) : 새가 흩어지고 짐승이 사방으로 달아난다는 뜻으로, 무리가 흩어져 도망함을 이르는 말.
  • 주찬하다 (誅竄하다) : 형벌로 죽이거나 귀양 보내다.
  • 주찬하다 (走竄하다) : 달아나 숨다.
  • 찬닉하다 (竄匿하다) : 몰래 달아나 숨다.
  • 찬도하다 (竄逃하다) : 도망하여 몸을 피하다.
  • 찬배하다 (竄配하다) : 죄인을 지방이나 섬으로 보내 정해진 기간 동안 그 지역 내에서 감시를 받으며 생활하게 하다.
  • 찬복하다 (竄伏하다) : 몰래 달아나 숨다.
  • 찬분하다 (竄奔하다) : 도망하여 몸을 피하다.
  • 찬사하다 (竄死하다) : 귀양 가서 죽다.
  • 찬살하다 (竄殺하다) : 귀양을 보내어 죽이다.
  • 찬입하다 (竄入하다) : 도망쳐 들어가다.
  • 찬적되다 (竄謫되다) : 벼슬을 빼앗기고 귀양이 보내어지다.
  • 찬적하다 (竄謫하다) : 벼슬을 빼앗고 귀양을 보내다.
  • 찬주하다 (竄走하다) : 도망하여 사라지다.
  • 찬척하다 (竄斥하다) : 내쫓거나 물리치다.
  • 찬축되다 (竄逐되다) : 죄인이 멀리 귀양 보내어져 쫓겨나다.
  • 찬축하다 (竄逐하다) : 죄인을 멀리 귀양 보내어 쫓다.
  • 찬출되다 (竄黜되다) : 벼슬을 빼앗기고 귀양이 보내어지다.
  • 찬출하다 (竄黜하다) : 벼슬을 빼앗고 귀양을 보내다.
  • 찬폄하다 (竄貶하다) : 벼슬을 빼앗고 먼 곳으로 귀양을 보내다.
  • 척찬하다 (斥竄하다) : 내쳐서 귀양 보내다.
  • 첨찬하다 (添竄하다) : 시문(詩文) 따위를 자꾸 더하거나 빼서 고치다.
  • 폄찬하다 (貶竄하다) : 벼슬의 등급이 낮추어지고 귀양이 보내어지다. 또는 그렇게 되게 하다.
  • 포두서찬 (抱頭鼠竄) : 무서워서 머리를 싸쥐고 얼른 숨음.
  • 포찬하다 (逋竄하다) : 몰래 달아나 숨다.
  • 극변원찬하다 (極邊遠竄하다) : 중심이 되는 곳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변경으로 귀양을 보내다.
  • 사산분찬하다 (四散奔竄하다) : 사방으로 흩어져 재빨리 달아나다.
  • 조산수찬하다 (鳥散獸竄하다) : 무리가 흩어져 도망하다. 새가 흩어지고 짐승이 사방으로 달아난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포두서찬하다 (抱頭鼠竄하다) : 무서워서 머리를 싸쥐고 얼른 숨다.


https://dict.wordrow.kr에서 竄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隴에 관한 단어는 모두 15개

한자 隴에 관한 단어는 모두 15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隴에 관한 단어는 모두 15개

  • 농객 (隴客) : '앵무새'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의 룽산산(隴山山)에 많이 살고 있는 데에서 붙은 이름이다. (앵무새: 앵무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 농관 (隴關) : → 룽관. (룽관: 중국 산시성(陝西省) 룽현(隴縣) 서쪽에 있는 관. 한(漢)나라 때부터 서방과 통하는 요충지였다.)
  • 농금 (隴禽) : '앵무새'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의 룽산산(隴山山)에 많이 살고 있는 데에서 붙은 이름이다. (앵무새: 앵무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 농단 (壟斷/隴斷) : 이익이나 권리를 독차지함을 이르는 말. 어떤 사람이 시장에서 높은 곳에 올라가 사방을 둘러보고 물건을 사 모아 비싸게 팔아 상업상의 이익을 독점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맹자≫의 <공손추(公孫丑)>에 나오는 말이다.
  • 농묘 (隴畝) : 밭이나 시골이라는 뜻으로, '백성'을 이르는 말. (백성: 나라의 근본을 이루는 일반 국민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예전에, 사대부가 아닌 일반 평민을 이르던 말.)
  • 농상 (壟上/隴上) : 언덕의 위.
  • 농성 (隴省) : '간쑤성'의 다른 이름. (간쑤성: 중국 서북부, 황허강(黃河江)의 상류에 있는 성(省). 예전에 비단길의 통로였기 때문에 둔황(敦煌) 따위의 유적이 많다. 밀, 옥수수, 대마, 담배, 목화와 석유, 석탄이 많이 나며, 위먼(玉門)의 석유는 특히 유명하다. 성도(省都)는 란저우(蘭州), 면적은 45만 ㎢.)
  • 룽관 (Long[隴]關) : 중국 산시성(陝西省) 룽현(隴縣) 서쪽에 있는 관. 한(漢)나라 때부터 서방과 통하는 요충지였다.
  • 룽산산 (Longshan[隴山]山) : 중국 산시성(陝西省) 서부 룽현(隴縣)의 서북쪽에 있는 산.
  • 육농기 (陸隴其) : 중국 청나라의 학자(1630~1692). 자는 가서(稼書). 육세의와 함께 이륙(二陸)으로 불렸으며 주자학자로도 유명하다. 저서에 ≪송양강의(松陽講義)≫, ≪독서지의(讀書志疑)≫가 있다.
  • 농단하다 (壟斷하다/隴斷하다) : 이익이나 권리를 독차지하다. ≪맹자≫의 <공손추(公孫丑)>에서 유래한 것으로, 어떤 사람이 시장에서 높은 곳에 올라가 사방을 둘러보고 물건을 사 모아 비싸게 팔아 상업상의 이익을 독점하였다는 데서 나왔다.
  • 득롱망촉 (得隴望蜀) : 농(隴)을 얻고서 촉(蜀)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 평롱망촉 (平隴望蜀) : 농(隴)을 얻고서 촉(蜀)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 룽하이 철도 (Longhai[隴海]鐵道) : 중국 장쑤성(江蘇省)의 롄윈강(連雲港)에서 간쑤성(甘肅省)의 란저우(蘭州)를 잇는 철도. 중국의 중앙부를 동서로 횡단하는 철도로 란신(蘭新) 철도에 접속된다. 길이는 1,747km.
  • 농해 철도 (隴海鐵道) : → 룽하이철도. (룽하이 철도: 중국 장쑤성(江蘇省)의 롄윈강(連雲港)에서 간쑤성(甘肅省)의 란저우(蘭州)를 잇는 철도. 중국의 중앙부를 동서로 횡단하는 철도로 란신(蘭新) 철도에 접속된다. 길이는 1,747km.)


https://dict.wordrow.kr에서 隴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