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31일 토요일

무실역행: 務實力行

무실역행 (務實力行) : 참되고 실속 있도록 힘써 실행함.



務實力行 한자 뜻 풀이

  • 務(힘쓸 무) : 힘쓰다, 업신여기다, 일, 직분, 향하다. 힘써 일하는 것이나 그러한 일 자체를 의미함
  • 實(열매 실) : 열매, 이르다, 결실하다, 차다, 속. 본래 집안에 재물을 넣는 궤짝의 모양에 화폐의 상징의 '貝'를 더한 것으로, 중요한 재물의 의미로 인해 '실질','열매' 등의 의미 생성
  • 力(힘 력) : 힘, 힘쓰다, 애쓰다, 심하다, 일꾼. 팔에 힘을 주었을 때 근육이 불거진 모양에서 '힘'의 의미를 생성했는데, 힘을 이용하는 일이나 노력 등을 의미하는 '힘', '힘쓰다' 등의 뜻으로 사용됨
  • 行(갈 행) : 가다, 행위, 줄, 행실, 대열(隊列). 사방의 네 거리를 본뜬 글자로 어느 방향으로든 '가다'는 의미가 됨. 혹은 '발'의 모양으로도 설명함


[力] 힘 력 (힘, 힘쓰다, 애쓰다, 심하다, 일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자력회향 획순 이미지 자력회향(自力回向) : 자신이 얻은 수행의 공덕을 남에게 베풀어서 과보(果報)를 얻으려는 일. [ (: 스스로 자) (: 힘 력) (: 돌 회) (: 향할 향) ]
  • 동심동력(同心同力) : 마음을 같이하여 힘을 합침. [ (: 한가지 동) (: 마음 심) (: 한가지 동) (: 힘 력) ]
  • 역투지배(力透紙背) : 힘이 종이 뒤로 뚫린다는 뜻으로, 필력(筆力)이 사무친다는 의미로 필법(筆法)이 날카롭고 힘찬 것을 비유하거나 시(詩)의 내용이 근엄하고 고결함을 비유하여 이름. [ (: 통할 투) (: 종이 지) (: 등 배) ]

[務] 힘쓸 무 (힘쓰다, 업신여기다, 일, 직분, 향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개물성무 획순 이미지 개물성무(開物成務) : 만물의 뜻을 깨달아 모든 일을 이룸. [ (: 열 개) (: 만물 물) (: 이룰 성) (: 힘쓸 무) ]
  • 무실역행(務實力行) : 참되고 실속 있도록 힘써 실행함. [ (: 힘쓸 무) (: 열매 실) (: 갈 행) ]
  • 수학무조(修學務早) : 학업을 닦는 일은 어릴 때 힘써야 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수행은 기억력이 왕성한 소년시절에 해야 한다는 의미. [ (: 닦을 수) (: 배울 학) (: 힘쓸 무) (: 일찍 조) ]
  • 무자가색(務玆稼穡) : 때맞춰 심고 힘써 일하며 많은 수익(收益)을 거둠. [ (: 힘쓸 무) (: 이 자) (: 심을 가) (: 거둘 색) ]
  • 탐다무득(貪多務得) : 많은 것을 얻으려고 애써 노력함. [ (: 탐할 탐) (: 많을 다) (: 힘쓸 무) (: 얻을 득) ]

[實] 열매 실 (열매, 이르다, 결실하다, 차다, 속)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실사구시 획순 이미지 실사구시(實事求是)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의 학문에 큰 영향을 주었다. [ (: 열매 실) (: 일 사) (: 구할 구) (: 옳을 시) ]
  • 허명무실(虛名無實) : 헛된 이름뿐이고 실속이 없음. [ (: 빌 허) (: 이름 명) (: 없을 무) (: 열매 실) ]
  • 명실불부(名實不副) : 명실이 서로 맞지 아니함. [ (: 이름 명) (: 열매 실) (: 아니 불) (: 버금 부) ]
  • 화이부실(華而不實) : 꽃은 화려하나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뜻으로, 겉모습은 그럴 듯하지만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말이다. [ (: 빛날 화) (: 말 이을 이) (: 아닌가 부) (: 열매 실) ]
  • 책공무실(策功茂實) : 공(功)을 꾀함에 무성(茂盛)하고 충실(充實)함. [ (: 꾀 책) (: 공 공) (: 우거질 무) (: 열매 실) ]

[行] 갈 행 (가다, 행위, 줄, 행실, 대열(隊列))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 획순 이미지 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好事不出門惡事行千里) : 좋은 일은 좀체로 세상(世上)에 알려지지 않으나, 나쁜 일은 이내 널리 알려짐. [ (: 좋을 호) (: 일 사) (: 아니 불) (: 날 출) (: 문 문) (: 악할 악) (: 일 사) (: 갈 행) (: 일천 천) (: 마을 리) ]
  • 언행상반(言行相反) : 말과 행동이 하나로 이른다는 뜻으로, 말과 행동이 같다는 의미. [ (: 말씀 언) (: 갈 행) (: 서로 상) (: 돌이킬 반) ]
  • 풍행초언(風行草偃) : 바람이 불면 풀이 쓰러진다는 뜻으로, 임금이 덕(德)으로서 백성을 교화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바람 풍) (: 갈 행) (: 풀 초) (: 누울 언) ]
  • 조항(祖行) : (1)할아버지뻘의 항렬. ⇒규범 표기는 '조항'이다. (2)할아버지뻘의 항렬. [ (: 할아비 조) (: 줄 항) ]
  • 경정직행(徑情直行) : 예절이나 법식 따위에 얽매이지 않고 곧이곧대로 행동함. [ (: 지름길 경) (: 뜻 정) (: 곧을 직) (: 갈 행) ]

[실속]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옹산화병 획순 이미지 옹산화병(甕算畵餠) :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독 옹) (: 셈할 산) (: 그림 화) (: 떡 병) ]
  • 허명무실(虛名無實) : 헛된 이름뿐이고 실속이 없음. [ (: 빌 허) (: 이름 명) (: 없을 무) (: 열매 실) ]
  • 화이부실(華而不實) : 꽃은 화려하나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뜻으로, 겉모습은 그럴 듯하지만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말이다. [ (: 빛날 화) (: 말 이을 이) (: 아닌가 부) (: 열매 실) ]
  • 풍운월로(風雲月露) :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심에 조금도 유익하지 않은 화조월석만을 읊은, 실속이 없고 겉만 화려한 시문. [ (: 바람 풍) (: 구름 운) (: 달 월) (: 이슬 로) ]

[실행]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언행일치 획순 이미지 언행일치(言行一致) : 말과 행동이 하나로 들어맞음. 또는 말한 대로 실행함. [ (: 말씀 언) (: 갈 행) (: 한 일) (: 이룰 치) ]
  • 화이부실(華而不實) : 꽃은 화려하나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뜻으로, 겉모습은 그럴 듯하지만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말이다. [ (: 빛날 화) (: 말 이을 이) (: 아닌가 부) (: 열매 실) ]
  • 무실역행(務實力行) : 참되고 실속 있도록 힘써 실행함. [ (: 힘쓸 무) (: 열매 실) (: 갈 행) ]
  • 언과기실(言過其實) : 말이 사실보다 과장되고 실행이 부족함. [ (: 말씀 언) (: 지날 과) (: 그 기) (: 열매 실) ]
  • 여공불급(如恐不及) : 미치지 못할까 마음을 졸임. [ (: 같을 여) (: 두려울 공) (: 아니 불) (: 미칠 급)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