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18일 금요일

야옥촌사: 野屋村舍

야옥촌사 (野屋村舍) : 격식을 갖추지 않고 조그맣게 지어 놓은 집.



野屋村舍 한자 뜻 풀이

  • 野(들 야) : 들, 변두리, 농막, 교외, 촌스럽다. 밭 주변의 '들판'의 의미에서 후에 '거칠다' 등의 의미 파생
  • 屋(집 옥) : 집, 지붕, 지붕 모양의 덮개, 주거. 건축물의 지붕을 강조한 것에서 후에 '집'의 의미로도 사용됨
  • 村(마을 촌) : 마을, 촌스럽다, 시골, 꾸밈이 없음. 목재로 건축물을 만들어 '마을'의 의미를 생성함. 후에 나무만 사용하는 것으로 인해 '시골'의 의미를 파생함. 寸(촌)은 발음
  • 舍(둘 사) : 집, 두다, 풀다, 가옥(家屋), 놓음. 머물러 거처하는 곳인 '집'의 의미인데, 후에 손의 동작인 '버리다'는 의미인 '捨(사)'와 가차로 사용됨.


[屋] 집 옥 (집, 지붕, 지붕 모양의 덮개, 주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옥루흔 획순 이미지 옥루흔(屋漏痕) : 지붕이 새는 흔적이라는 뜻으로, 지붕이 새어 천장에 아롱진 빗물 자국처럼 자유롭고 자연스러운 초서(草書)의 필법(筆法)을 이르는 말. [ (: 집 옥) (: 샐 루) (: 흉터 흔) ]
  • 파옥수간(破屋數間) : 부서진 집 몇 칸이라는 뜻으로, 허물어지고 협소(狹小)한 집을 의미하는 말. [ (: 깨뜨릴 파) (: 집 옥) (: 셀 수) (: 틈 간) ]
  • 천한백옥(天寒白屋) : 추운 날의 허술한 초가집이라는 뜻으로, 엄동설한에 떠는 가난한 생활을 이르는 말. [ (: 하늘 천) (: 찰 한) (: 흰 백) (: 집 옥) ]

[村] 마을 촌 (마을, 촌스럽다, 시골, 꾸밈이 없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촌학구 획순 이미지 촌학구(村學究) : (1)시골 글방의 스승. (2)학식이 좁고 고루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마을 촌) (: 배울 학) (: 궁구할 구) ]
  • 산간벽촌(山間僻村) : 구석지고 후미진 산골의 마을. [ (: 메 산) (: 틈 간) (: 후미질 벽) (: 마을 촌) ]
  • 야옥촌사(野屋村舍) : 격식을 갖추지 않고 조그맣게 지어 놓은 집. [ (: 들 야) (: 집 옥) (: 마을 촌) (: 둘 사) ]
  • 촌계관청(村鷄官廳) : 촌닭을 관청에 잡아다 놓은 것 같다는 뜻으로, 경험이 없는 일을 당하여 어리둥절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 (: 마을 촌) (: 닭 계) (: 벼슬 관) (: 관청 청) ]
  • 자성일촌(自成一村) : 한집안끼리, 또는 뜻이 같은 사람끼리 모여 한 마을을 이룸. [ (: 스스로 자) (: 이룰 성) (: 한 일) (: 마을 촌) ]

[舍] 둘 사 (집, 두다, 풀다, 가옥(家屋), 놓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무주공사 획순 이미지 무주공사(無主空舍) : 주인 없는 빈집. [ (: 없을 무) (: 주인 주) (: 빌 공) (: 둘 사) ]
  • 사기종인(舍己從人) : 자기(自己)의 이전(以前) 행위(行爲)를 버리고 타인(他人)의 선행(善行)을 본떠 행(行)함. [ (: 둘 사) (: 몸 기) (: 좇을 종) (: 사람 인) ]
  • 용행사장(用行舍藏) : 쓰면 행하고 버리면 감춘다는 뜻으로, 세상에 쓰일 때는 나아가 자신의 도를 행하고 쓰이지 않을 때는 물러나 숨는다는 의미. [ (: 쓸 용) (: 갈 행) (: 둘 사) (: 감출 장) ]
  • 구전문사(求田問舍) : 자기가 부칠 논밭이나 집을 구하는 데만 마음을 쓴다는 뜻으로, 원대한 큰 뜻을 지니지 못함을 이르는 말. [ (: 구할 구) (: 밭 전) (: 물을 문) (: 둘 사) ]
  • 대기가사(大起家舍) : 집을 굉장히 크게 짓기 시작함. [ (: 큰 대) (: 일어날 기) (: 집 가) (: 둘 사) ]

[野] 들 야 (들, 변두리, 농막, 교외, 촌스럽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녹야원 획순 이미지 녹야원(鹿野苑) : 인도 중부에 있던 동산. 석가모니가 다섯 비구를 위하여 처음으로 설법한 곳이다. [ (: 들 야) (: 나라 동산 원) ]
  • 무변대야(無邊大野) : 끝없이 넓은 들판. [ (: 없을 무) (: 가 변) (: 큰 대) (: 들 야) ]
  • 산계야목(山鷄野鶩) : 산 꿩과 들오리라는 뜻으로, 성질이 사납고 거칠어서 제 마음대로만 하며 다잡을 수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메 산) (: 닭 계) (: 들 야) (: 집오리 목) ]
  • 산가야창(山歌野唱) : 시골에서 부르는 순박한 노래. [ (: 메 산) (: 노래 가) (: 들 야) (: 부를 창) ]
  • 랑자야심(狼子野心) : (1)이리는 본래의 야성이 있어 좀처럼 길들여지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신의가 없는 사람은 쉽게 교화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2)'낭자야심'의 북한어. [ (: 아들 자) (: 들 야) (: 마음 심) ]

[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고당화각(高堂畵閣) : 높다랗게 짓고 호화(豪華)롭게 꾸민 집. [ (: 높을 고) (: 집 당) (: 그림 화) (: 문설주 각) ]
  • 적선지가(積善之家) : 착한 일을 많이 한 집. [ (: 쌓을 적) (: 착할 선) (: 갈 지) (: 집 가) ]
  • 도문대작(屠門大嚼) : 조선 시대에, 허균이 전국 팔도의 식품과 명산지에 관하여 적은 책.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식품 전문서이다. 1권. [ (: 잡을 도) (: 문 문) (: 큰 대) (: 씹을 작) ]

[격식]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단취장 획순 이미지 사단취장(捨短取長) : 길고 짧은 것을 가려서 격식에 맞춘다는 뜻으로, 나쁜 것은 버리고 좋은 것을 취함을 이르는 말. ≪한서≫의 <예문지(藝文志)>에 나오는 말이다. [ (: 버릴 사) (: 짧을 단) (: 취할 취) (: 길 장) ]
  • 좌포우혜(左脯右醯)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육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 일. [ (: 왼 좌) (: 포 포) (: 오른쪽 우) (: 초 혜) ]
  • 야옥촌사(野屋村舍) : 격식을 갖추지 않고 조그맣게 지어 놓은 집. [ (: 들 야) (: 집 옥) (: 마을 촌) (: 둘 사) ]
  • 홍동백서(紅東白西) : 제사상을 차릴 때에 붉은 과실은 동쪽에 흰 과실은 서쪽에 놓는 일. [ (: 붉을 홍) (: 동녘 동) (: 흰 백) (西: 서녘 서)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