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29일 화요일

칠보단장: 七寶丹粧

칠보단장 (七寶丹粧) :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七寶丹粧 한자 뜻 풀이

  • 七(일곱 칠) : 일곱, 문체 이름, 한문(漢文)의 한 체, 「초사」(楚辭)의 七諫을 비롯, 七發, 七啓 등 30가지가 있음, 일곱 번. 十 보다 작은 수를 표시하기 위해 十의 세로획을 굽혀서 표현해 '七'을 만듦
  • 寶(보배 보) : 보배, 보배롭게 여기다, 임금에 관한 것에 붙이는 접두어, 국새, 불가(佛家)·도가(道家)에서 쓰는 접두어. 집안에 옥이나 재화가 가득 차 있는 모양으로 '보물', '보배'의 의미 생성
  • 丹(붉을 단) : 붉다, 붉게 하다, 정성, 붉은 빛 흙, 붉은 빛. 땅 속에 붉은 빛 광물을 점으로 표현함
  • 粧(단장할 장) : 단장하다, …체하다. 분가루 등으로 치장하고 '분장하다'는 의미에서 생성. 庄(장)은 발음


[七] 일곱 칠 (일곱, 문체 이름, 한문(漢文)의 한 체, 「초사」(楚辭)의 七諫을 비롯, 七發, 七啓 등 30가지가 있음, 일곱 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칠보지재 획순 이미지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갈 지) (: 재주 재) ]
  • 칠보재(七步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재주 재) ]
  • 칠보단장(七寶丹粧) :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 (: 일곱 칠) (: 보배 보) (: 붉을 단) (: 단장할 장) ]
  • 칠보성시(七步成詩) : 일곱 걸음에 한 편의 시를 완성한다는 뜻으로, 시를 빨리 잘 짓는 재주를 이르는 말. [ (: 일곱 칠) (: 걸을 보) (: 이룰 성) (: 시 시) ]
  • 칠전팔기(七顚八起) : 일곱 번 넘어지고 여덟 번 일어난다는 뜻으로, 여러 번 실패하여도 굴하지 아니하고 꾸준히 노력함을 이르는 말. [ (: 일곱 칠) (: 넘어질 전) (: 여덟 팔) (: 일어날 기) ]

[丹] 붉을 단 (붉다, 붉게 하다, 정성, 붉은 빛 흙, 붉은 빛)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맹자단청 획순 이미지 맹자단청(盲者丹靑) : 맹자의 단청 구경이라는 뜻으로, 보아도 이해하지 못할 사물을 보는 것을 이르는 말. [ (: 소경 맹) (: 놈 자) (: 붉을 단) (: 푸를 청) ]
  • 단필정죄(丹筆定罪) : 법규 적용에서 서면에 왕이 주필(朱筆)로써 그 죄형을 정하여 기록하던 일. [ (: 붉을 단) (: 붓 필) (: 정할 정) (: 허물 죄) ]
  • 칠보단장(七寶丹粧) :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 (: 일곱 칠) (: 보배 보) (: 붉을 단) (: 단장할 장) ]

[寶] 보배 보 (보배, 보배롭게 여기다, 임금에 관한 것에 붙이는 접두어, 국새, 불가(佛家)·도가(道家)에서 쓰는 접두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칠보단장 획순 이미지 칠보단장(七寶丹粧) :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 (: 일곱 칠) (: 보배 보) (: 붉을 단) (: 단장할 장) ]
  • 무가지보(無價之寶) : 값을 매길 수 없을 만큼 귀중한 보배. [ (: 없을 무) (: 값 가) (: 갈 지) (: 보배 보) ]
  • 척벽비보(尺璧非寶) : 지름이 한 자나 되는 보옥(寶玉)도 시간(時間)에 비하면 보배라고 할 수 없음. [ (: 자 척) (: 둥근 옥 벽) (: 아닐 비) (: 보배 보) ]
  • 보화난수(寶貨難售) : 보물은 팔기 어렵다는 뜻으로, 너무 귀한 보물은 값이 비싸 쉽사리 팔리지 않는 것처럼 훌륭한 사람은 기량(器量)이 크므로 남에게 등용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 (: 보배 보) (: 재화 화) (: 어려울 난) (: 팔 수) ]
  • 학문천재보탐물일조진(學文千載寶貪物一朝塵) : 글을 배움은 천년의 보배요, 물건(物件)을 탐함은 하루 아침의 티끌임. [ (: 배울 학) (: 글월 문) (: 일천 천) (: 실을 재) (: 보배 보) (: 탐할 탐) (: 만물 물) (: 한 일) (: 아침 조) (: 티끌 진) ]

[粧] 단장할 장 (단장하다, …체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칠보단장 획순 이미지 칠보단장(七寶丹粧) :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 (: 일곱 칠) (: 보배 보) (: 붉을 단) (: 단장할 장) ]
  • 담장농말(淡粧濃抹) : (1)여자의 엷은 화장과 짙은 화장을 아울러 이르는 말. (2)개거나 비가 오거나 하는 날씨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풍경의 농담(濃淡). [ (: 묽을 담) (: 단장할 장) (: 짙을 농) (: 바를 말) ]

[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자신지책 획순 이미지 자신지책(自身之策) : 자기(自己) 한 몸의 생활(生活)을 꾀해 나갈 계책(計策). [ (: 스스로 자) (: 몸 신) (: 갈 지) (: 꾀 책) ]
  • 전처소생(前妻所生) : 전처의 몸에서 난 자식. [ (: 앞 전) (: 아내 처) (: 바 소) (: 날 생) ]
  • 흠신답례(欠身答禮) : 몸을 굽혀서 답례함. 또는 그런 답례. [ (: 하품 흠) (: 몸 신) (: 대답할 답) (: 예도 례) ]
  • 칭체재의(稱體裁衣) : 몸에 맞추어서 옷을 만든다는 뜻으로, 사람에 따라 그 경우에 맞도록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일컬을 칭) (: 몸 체) (: 마를 재) (: 옷 의) ]
  • 성호사서(城狐社鼠) :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 [ (: 성 성) (: 여우 호) (: 토지신 사) (: 쥐 서) ]

[꾸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목후이관 획순 이미지 목후이관(沐猴而冠) : 원숭이가 관을 썼다는 뜻으로, 의관(衣冠)은 갖추었으나 사람답지 못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머리감을 목) (: 원숭이 후) (: 말 이을 이) (: 갓 관) ]
  • 칠보단장(七寶丹粧) :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 (: 일곱 칠) (: 보배 보) (: 붉을 단) (: 단장할 장) ]
  • 강의목눌(剛毅木訥) : 강직하고 굳세며 순박하고 말투가 어눌함. [ (: 굳셀 강) (: 굳셀 의) (: 나무 목) (: 말더듬을 눌) ]
  • 문질빈빈(文質彬彬) : (1)겉모양의 아름다움과 속내가 서로 잘 어울림. (2)공자가 문학의 내용과 형식의 관련성에 대해 논의한 주장. 꾸밈과 바탕이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조화를 이루어야 군자라고 주장한 것으로, ≪논어≫의 <옹야(雍也)>에 나온다. [ (: 글월 문) (: 바탕 질) (: 빛날 빈) (: 빛날 빈) ]
  • 천진난만(天眞爛漫) : 말이나 행동에 아무런 꾸밈이 없이 그대로 나타날 만큼 순진하고 천진함. [ (: 하늘 천) (: 참 진) (: 질펀할 만) ]

[단장]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칠보단장 획순 이미지 칠보단장(七寶丹粧) :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 (: 일곱 칠) (: 보배 보) (: 붉을 단) (: 단장할 장) ]
  • 녹의홍상(綠衣紅裳) : (1)'녹의홍상'의 북한어. (2)연두저고리와 다홍치마. (3)곱게 차려입은 젊은 여자의 옷차림을 이르는 말. [ (: 옷 의) (: 붉을 홍) (: 치마 상) ]
  • 선남선녀(善男善女) : (1)성품이 착한 남자와 여자란 뜻으로, 착하고 어진 사람들을 이르는 말. (2)곱게 단장을 한 남자와 여자를 이르는 말. (3)불법에 귀의한 남자와 여자를 이르는 말. [ (: 착할 선) (: 사내 남) (: 착할 선) (: 여자 녀) ]
  • 칠보홍안(七寶紅顔) : 여러 가지 패물로 꾸민 젊은 여인의 고운 얼굴. [ (: 일곱 칠) (: 보배 보) (: 붉을 홍) (: 얼굴 안) ]
  • 야용지회(冶容之誨) : 얼굴을 예쁘게 단장하는 것은 남을 음탕하게 만들기 쉬움. [ (: 불릴 야) (: 얼굴 용) (: 갈 지) (: 가르칠 회) ]

[보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칠보단장 획순 이미지 칠보단장(七寶丹粧) :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 (: 일곱 칠) (: 보배 보) (: 붉을 단) (: 단장할 장) ]
  • 무가지보(無價之寶) : 값을 매길 수 없을 만큼 귀중한 보배. [ (: 없을 무) (: 값 가) (: 갈 지) (: 보배 보) ]
  • 척벽비보(尺璧非寶) : 지름이 한 자나 되는 보옥(寶玉)도 시간(時間)에 비하면 보배라고 할 수 없음. [ (: 자 척) (: 둥근 옥 벽) (: 아닐 비) (: 보배 보) ]
  • 학문천재보탐물일조진(學文千載寶貪物一朝塵) : 글을 배움은 천년의 보배요, 물건(物件)을 탐함은 하루 아침의 티끌임. [ (: 배울 학) (: 글월 문) (: 일천 천) (: 실을 재) (: 보배 보) (: 탐할 탐) (: 만물 물) (: 한 일) (: 아침 조) (: 티끌 진) ]
  • 객중보체(客中寶體) : 객지에 있는 보배로운 몸이라는 뜻으로, 편지에서 객지에 있는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말. [ (: 손 객) (: 가운데 중) (: 보배 보) (: 몸 체) ]

[일곱]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칠보지재 획순 이미지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갈 지) (: 재주 재) ]
  • 칠보재(七步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재주 재) ]
  • 칠보단장(七寶丹粧) :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 (: 일곱 칠) (: 보배 보) (: 붉을 단) (: 단장할 장) ]
  • 칠보성시(七步成詩) : 일곱 걸음에 한 편의 시를 완성한다는 뜻으로, 시를 빨리 잘 짓는 재주를 이르는 말. [ (: 일곱 칠) (: 걸을 보) (: 이룰 성) (: 시 시) ]
  • 칠전팔기(七顚八起) : 일곱 번 넘어지고 여덟 번 일어난다는 뜻으로, 여러 번 실패하여도 굴하지 아니하고 꾸준히 노력함을 이르는 말. [ (: 일곱 칠) (: 넘어질 전) (: 여덟 팔) (: 일어날 기)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