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 27일 일요일

한자 丙에 관한 단어는 모두 58개

한자 丙에 관한 단어는 모두 5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丙에 관한 단어는 모두 58개

  • 병 (丙) : 차례나 등급을 매길 때 셋째를 이르는 말.
  • 병과 (丙科) : 조선 시대에, 과거 합격자를 성적에 따라 나누던 세 등급 가운데 셋째 등급. 문과(文科)에서는 23명, 무과(武科)에서는 20명을 뽑아 정구품의 품계를 주었으며, 성균관ㆍ승문원ㆍ교서관의 임시직인 권지(權知)에 임명하였다.
  • 병년 (丙年) : 천간(天干)이 병(丙)으로 된 해.
  • 병란 (丙亂) : 조선 인조 14년(1636)에 청나라가 침입한 난리. 청나라에서 군신(君臣) 관계를 요구한 것을 조선이 물리치자 청나라 태종이 20만 대군을 거느리고 침략하였다. 이에 인조는 삼전도에서 항복하고 청나라에 대하여 신(臣)의 예를 행하기로 한 굴욕적인 화약(和約)을 맺었다.
  • 병방 (丙方) :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남(正南)에서 동으로 15도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 병부 (丙部) : 중국 고전을 경(經), 사(史), 자(子), 집(集)의 네 부로 나눌 때 자에 속하는 부류. 유가, 병가, 법가, 도가, 석가, 기예, 술수 따위의 서적과 소설, 유서(類書) 따위가 이에 속한다.
  • 병사 (丙舍) : 무덤 가까이에 지은, 묘지기가 사는 작은 집.
  • 병술 (丙戌) : 육십갑자의 스물셋째.
  • 병시 (丙時) : 이십사시(二十四時)의 열두째 시. 오전 열 시 반에서 열한 시 반까지이다.
  • 병신 (丙申) : 육십갑자의 서른셋째.
  • 병야 (丙夜) : '삼경'을 오야(五夜)의 하나로 이르는 말. (삼경: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셋째 부분. 밤 열한 시에서 새벽 한 시 사이이다.)
  • 병오 (丙午) : 육십갑자의 마흔셋째.
  • 병월 (丙月) : 천간(天干)이 병(丙)으로 된 달.
  • 병인 (丙寅) : 육십갑자의 셋째.
  • 병일 (丙日) : 천간(天干)이 병(丙)으로 된 날.
  • 병자 (丙子) : 육십갑자의 열셋째.
  • 병종 (丙種) : 갑, 을, 병 따위로 차례나 등급을 매길 때에 그 셋째 종류.
  • 병좌 (丙坐) : 풍수지리에서, 집터나 묏자리가 병방(丙方)을 등진 좌향(坐向).
  • 병진 (丙辰) : 육십갑자의 쉰셋째.
  • 병침 (丙枕) : 임금이 침소에 듦. 또는 그런 시각. 하룻밤을 갑, 을, 병, 정, 무의 오야(五夜)로 나누어서 병야(丙夜)를 임금의 취침 시간으로 정한 데서 유래한다.
  • 부병 (付丙) : 불살라 버림. 주로 비밀 편지 끝에 덧붙이는 것으로, 천간(天干) 중 병(丙)은 오행의 화(火)에 속하는 데서 유래한 말이다.
  • 권병훈 (權丙勳) : 조선 말기의 한문학자(1864~1941). 자는 남리(南里). 호는 성대(惺臺). 함흥 지방 재판소의 판사로 있다가 사법권을 일본에 빼앗기자, 관직을 버리고 설문학(說文學) 연구에 몰두하였다. 저서에 ≪육서심원≫이 있다.
  • 김병록 (金丙錄) : 독립운동가(1884~?). 1909년 이재명 등과 함께 이완용의 제거를 위하여 동지 27명을 규합하고 무기를 입수하여 거사하였으나, 미수에 그치고 12명이 기소되어 15년 형을 받았다.
  • 민병석 (閔丙奭) : 구한말의 문신ㆍ서예가(1858~1940). 자는 경소(景召). 호는 시남(詩南)ㆍ의재(毅齋). 궁내부 대신을 지냈으며, 행서(行書)에 능하여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 있는 비각의 <보령망륙기념비(寶齡望六紀念碑)>를 썼다.
  • 병배세 (丙配稅) : '병종배당이자소득세'를 줄여 이르는 말. (병종 배당 이자 소득세: 소득세의 하나. 자금을 차입하고 차입금에 대한 이자를 지급할 때 그 지급하는 이자 소득에 매긴다.)
  • 병별강 (丙別講) : 고려ㆍ조선 시대에, 병년(丙年)마다 별시(別試)를 보아 초시(初試)에 급제한 사람에게 시관(試官) 앞에서 글을 소리 내어 읽고 외게 하던 일.
  • 병자록 (丙子錄) : 조선 시대에, 이익이 송시열ㆍ윤증(尹拯)ㆍ윤선도를 비롯한 여러 명사(名士)들이 임금에게 올린 글들을 모아 엮은 책.
  • 병자록 (丙子錄) : 병자호란 때에, 나만갑이 조정을 중심으로 하여 일어난 일들을 일기체로 기록한 책. 3권 1책.
  • 병자자 (丙子字) : 조선 중종 11년(1516) 병자년에 만들어진 구리 활자. 명판본 ≪자치통감≫의 글자체를 본으로 삼았으며, 글자체는 갑진자와 비슷하나 약간 큼직하다.
  • 병진자 (丙辰字) : 조선 세종 18년(1436) 병진년에 수양 대군의 글씨를 본으로 하여 만든 납 활자.
  • 병호증 (丙號證) : 민사 소송의 변론에서, 여러 피고 또는 참가인이 있을 때에 각자가 저마다 제출한 서증(書證). 당사자가 제출하는 서증에 관하여 제출자를 명백히 하기 위하여 관용적으로 사용하는 부호이다.
  • 서병오 (徐丙五) : 서화가(1862~1935). 호는 석재(石齋). 글씨는 행서(行書), 그림은 사군자에 뛰어났다.
  • 이병도 (李丙燾) : 사학자(1896~1989). 호는 두계(斗溪/杜桂). 문헌적ㆍ비판적 합리성을 전제로 한 고증 사학 및 실증주의 사관을 도입ㆍ개척하였다. 1934년에 진단 학회를 창설하여 그 대표가 되었으며, 근대 한국 사학의 수립에 막대한 공을 세웠다. 저서에 ≪조선사 대관≫, ≪한국 고대 사회와 그 문화≫, 수필집 ≪두계잡필≫ 따위가 있다.
  • 정병조 (鄭丙朝) : 학자(1863~1945). 자는 관경(寬卿). 호는 규원(葵園). 시문에 능하고 행서와 초서에 뛰어났으며, 맏형인 만조(萬朝)와 함께 형제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다. 국권이 강탈된 후 중추원의 청탁으로 ≪조선사≫ 편찬에 참여하였다.
  • 병인교난 (丙寅敎難) : 조선 고종 3년(1866)에 일어난,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가톨릭 박해 사건. 러시아로부터 통상(通商) 요청을 받은 대원군이 프랑스의 힘을 빌려 막고자 하였으나 뜻대로 안 되자 가톨릭 탄압령을 내리고 아홉 명의 프랑스 선교사와 남종삼을 비롯한 팔천여 명의 가톨릭교도를 학살하였다.
  • 병인박해 (丙寅迫害) : 조선 고종 3년(1866)에 일어난,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가톨릭 박해 사건. 러시아로부터 통상(通商) 요청을 받은 대원군이 프랑스의 힘을 빌려 막고자 하였으나 뜻대로 안 되자 가톨릭 탄압령을 내리고 아홉 명의 프랑스 선교사와 남종삼을 비롯한 팔천여 명의 가톨릭교도를 학살하였다.
  • 병인사옥 (丙寅邪獄) : 조선 고종 3년(1866)에 일어난,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가톨릭 박해 사건. 러시아로부터 통상(通商) 요청을 받은 대원군이 프랑스의 힘을 빌려 막고자 하였으나 뜻대로 안 되자 가톨릭 탄압령을 내리고 아홉 명의 프랑스 선교사와 남종삼을 비롯한 팔천여 명의 가톨릭교도를 학살하였다.
  • 병인양요 (丙寅洋擾) : 대원군의 가톨릭 탄압으로 고종 3년(1866)에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를 침범한 사건. 병인박해 때 중국으로 탈출한 리델 신부가 톈진(天津)에 와 있던 로즈 제독에게 진상을 보고함으로써 일어났는데, 프랑스 함대는 약 40일 만에 물러갔다.
  • 병자국치 (丙子國恥) : 병자년에 일어난 나라의 수치라는 뜻으로, '병자호란'을 달리 이르는 말. (병자호란: 조선 인조 14년(1636)에 청나라가 침입한 난리. 청나라에서 군신(君臣) 관계를 요구한 것을 조선이 물리치자 청나라 태종이 20만 대군을 거느리고 침략하였다. 이에 인조는 삼전도에서 항복하고 청나라에 대하여 신(臣)의 예를 행하기로 한 굴욕적인 화약(和約)을 맺었다.)
  • 병자사화 (丙子士禍) : 조선 세조 2년(1456)에 성삼문 등이 세조의 왕권 강화책에 반발하여 단종의 복위를 명분으로 세조를 축출하고자 한 사건.
  • 병자조약 (丙子條約) : 운양호 사건을 계기로 조선 고종 13년(1876)에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한 조약. 군사력을 동원한 일본의 강압에 의하여 맺어진 불평등 조약이었으며, 이 조약에 따라 당시 조선은 부산 외에 인천, 원산의 두 항구를 개항하게 되었다.
  • 병자호란 (丙子胡亂) : 조선 인조 14년(1636)에 청나라가 침입한 난리. 청나라에서 군신(君臣) 관계를 요구한 것을 조선이 물리치자 청나라 태종이 20만 대군을 거느리고 침략하였다. 이에 인조는 삼전도에서 항복하고 청나라에 대하여 신(臣)의 예를 행하기로 한 굴욕적인 화약(和約)을 맺었다.
  • 병좌임향 (丙坐壬向) : 풍수지리에서, 집터나 묏자리가 병방(丙方)을 등지고 임방(壬方)을 향한 좌향(坐向).
  • 병침하다 (丙枕하다) : 임금이 침소에 들다. 하룻밤을 갑, 을, 병, 정, 무의 오야(五夜)로 나누어서 병야(丙夜)를 임금의 취침 시간으로 정한 데서 유래한다.
  • 부병하다 (付丙하다) : 불살라 버리다. 주로 비밀 편지 끝에 덧붙이는 것으로, 천간(天干) 중 병(丙)은 오행의 화(火)에 속하는 데서 유래한 말이다.
  • 을병지우 (乙丙之憂) : 을야(乙夜)와 병야(丙夜) 사이에 있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한밤중의 근심을 이르는 말.
  • 임병양란 (壬丙兩亂) :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임좌병향 (壬坐丙向) : 묏자리나 집터 따위가 임방(壬方)을 등지고 병방(丙方)을 향한 방향. 서북 방향을 등지고 동남 방향을 바라보는 방향이다.
  • 병자임진록 (丙子壬辰錄) : 조선 시대의 역사 군담 소설. 조선 인조 2년(1624)에 이괄의 난을 배경으로 하여, 정충신(鄭忠信)이 막하의 남장 여인 일타홍(一朶紅)의 도움으로 난을 평정하고 일타홍과 결혼하게 된다는 내용이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병종기술원 (丙種技術員) : 기술 학교를 졸업하거나 수료한 사람이 되는 기술원의 하나. 1급은 3년 졸업자, 2급은 2년 이상 수료한 자, 3급은 1년 이상 수료한 자가 된다.
  • 을병연행록 (乙丙燕行錄) : 조선 후기의 실학자 홍대용이 지은 기행 가사. 작가가 중국 연경(燕京)을 다녀와서 그 견문을 순 한글로 기록한 것이다.
  • 병인만세사건 (丙寅萬歲事件) : 1926년 6월 10일에, 순종의 인산일(因山日)을 기하여 전개된 민족 해방 운동. 침체된 민족 운동에 새로운 활기를 안겨 주었으며, 3ㆍ1 운동과 1929년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의 교량적 구실을 하였다.
  • 병인만세운동 (丙寅萬歲運動) : 1926년 6월 10일에, 순종의 인산일(因山日)을 기하여 전개된 민족 해방 운동. 침체된 민족 운동에 새로운 활기를 안겨 주었으며, 3ㆍ1 운동과 1929년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의 교량적 구실을 하였다.
  • 병자수호조규 (丙子修好條規) : 운양호 사건을 계기로 조선 고종 13년(1876)에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한 조약. 군사력을 동원한 일본의 강압에 의하여 맺어진 불평등 조약이었으며, 이 조약에 따라 당시 조선은 부산 외에 인천, 원산의 두 항구를 개항하게 되었다.
  • 병자수호조약 (丙子修好條約) : 운양호 사건을 계기로 조선 고종 13년(1876)에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한 조약. 군사력을 동원한 일본의 강압에 의하여 맺어진 불평등 조약이었으며, 이 조약에 따라 당시 조선은 부산 외에 인천, 원산의 두 항구를 개항하게 되었다.
  • 병자호란창의록 (丙子胡亂倡義錄) : 병자호란 때 호남의 의사(義士)들이 의거(義擧)한 사실을 기록한 책. 조선 영조 46년(1770)에 간행하였으며 철종 9년(1858)에 보수(補修)ㆍ중간(重刊)하였다. 5권 2책.
  • 호남병자창의록 (湖南丙子倡義錄) : 병자호란 때 호남의 의사(義士)들이 의거(義擧)한 사실을 기록한 책. 조선 영조 46년(1770)에 간행하였으며 철종 9년(1858)에 보수(補修)ㆍ중간(重刊)하였다. 5권 2책.
  • 병종 배당 이자 소득세 (丙種配當利子所得稅) : 소득세의 하나. 자금을 차입하고 차입금에 대한 이자를 지급할 때 그 지급하는 이자 소득에 매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丙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煌에 관한 단어는 모두 18개

한자 煌에 관한 단어는 모두 1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煌에 관한 단어는 모두 18개

  • 돈황 (敦煌) : → 둔황. (둔황: 중국 간쑤성(甘肅省) 서북부에 있는 오아시스 도시. 실크 로드의 중계 무역 기지였으며, 불교 도시로도 유명하다. 동남쪽에 둔황 석굴이 있다.)
  • 윤황 (尹煌) : 조선 인조 때의 문신(1571~1639). 자는 덕요(德耀). 호는 팔송(八松).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대사성에 이르렀으며 글씨를 잘 썼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 적과의 화의에 반대하였다.
  • 현황 (眩慌/炫煌) : 빛이 밝음.
  • 형황 (熒煌) : 불빛이 번쩍임.
  • 황황 (煌煌/晃晃) : '황황하다'의 어근. (황황하다: 번쩍번쩍 빛나서 밝다.)
  • 휘황 (輝煌) : '휘황하다'의 어근. (휘황하다: 광채가 나서 눈부시게 번쩍이다., 행동이 온당하지 못하고 못된 꾀가 많아서 야단스럽기만 하고 믿을 수 없다.)
  • 현황히 (眩慌히/炫煌히) : 정신이 어지럽고 황홀하게.
  • 황반암 (煌斑巖) : 어두운 빛깔의 단단한 화성암. 흔히 정장석, 사장석, 흑운모, 각섬석, 휘석 따위로 이루어진다.
  • 황황히 (煌煌히/晃晃히) : 번쩍번쩍 빛나서 밝게.
  • 휘황히 (輝煌히) : 광채가 나서 눈부시게 번쩍이는 상태로.
  • 현황하다 (眩慌하다/炫煌하다) : 빛이 밝다.
  • 황황하다 (煌煌하다/晃晃하다) : 번쩍번쩍 빛나서 밝다.
  • 휘황찬란 (輝煌燦爛) : '휘황찬란하다'의 어근. (휘황찬란하다: 광채가 나서 눈부시게 번쩍이다., 행동이 온당하지 못하고 못된 꾀가 많아서 야단스럽기만 하고 믿을 수 없다.)
  • 휘황하다 (輝煌하다) : 광채가 나서 눈부시게 번쩍이다.
  • 휘황찬란하다 (輝煌燦爛하다) : 광채가 나서 눈부시게 번쩍이다.
  • 돈황 석굴 (敦煌石窟) : → 둔황석굴. (둔황 석굴: 둔황 동남쪽에 있는 석굴 사원. 약 500개의 석굴로 이루어져 있으며 353년에 만들기 시작하여 13세기 말까지 계속되었다. 본생담 및 정토변상의 벽화ㆍ진흙상이 있는, 불교 사상의 세계적 유적이다. 초기의 것은 간다라 말기의 양식을 나타낸다.)
  • 둔황 석굴 (Dunhuang[敦煌]石窟) : 둔황 동남쪽에 있는 석굴 사원. 약 500개의 석굴로 이루어져 있으며 353년에 만들기 시작하여 13세기 말까지 계속되었다. 본생담 및 정토변상의 벽화ㆍ진흙상이 있는, 불교 사상의 세계적 유적이다. 초기의 것은 간다라 말기의 양식을 나타낸다.
  • 둔황 천불동 (Dunhuang[敦煌]千佛洞) : 둔황 동남쪽에 있는 석굴 사원. 약 500개의 석굴로 이루어져 있으며 353년에 만들기 시작하여 13세기 말까지 계속되었다. 본생담 및 정토변상의 벽화ㆍ진흙상이 있는, 불교 사상의 세계적 유적이다. 초기의 것은 간다라 말기의 양식을 나타낸다.


https://dict.wordrow.kr에서 煌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伏에 관한 단어는 모두 332개

한자 伏에 관한 단어는 모두 332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伏에 관한 단어는 모두 332개

  • 복 (伏) : 초복, 중복, 말복이 되는 날. 이날이면 그해의 더위를 물리친다 하여 개장국이나 영계백숙을 먹는 사람이 많다.
  • 경복 (庚伏) : '삼복'을 달리 이르는 말. 하지(夏至) 후의 셋째 경일(庚日)에 시작한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삼복: 초복, 중복, 말복을 통틀어 이르는 말., 여름철의 몹시 더운 기간.)
  • 굴복 (屈伏) : 머리를 숙이고 꿇어 엎드림.
  • 궤복 (跪伏) : 무릎을 꿇고 엎드림.
  • 귀복 (歸伏) : 반항심을 버리고 순종하여 항복함.
  • 기복 (起伏) : 세력이나 기세 따위가 성하였다 쇠하였다 함.
  • 내복 (來伏) : 와서 굴복함.
  • 단복 (單伏) : 한쪽 팔목의 맥이 뛰지 않는 증상.
  • 도복 (倒伏) : 작물이 비나 바람 따위에 쓰러지는 일.
  • 말복 (末伏) : 삼복(三伏) 가운데 마지막에 드는 복날. 입추가 지난 뒤의 첫 번째 경일(庚日)에 든다.
  • 매복 (埋伏) : 상대편의 동태를 살피거나 불시에 공격하려고 일정한 곳에 몰래 숨어 있음.
  • 배복 (拜伏) : 절하여 엎드림.
  • 병복 (屛伏) : 세상을 피하여 숨어서 삶.
  • 복각 (伏角) : 지구 자기의 자력선의 방향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 곧, 지구상의 임의의 지점에 놓은 자침의 방향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을 이른다. 자기 적도에서는 0도, 자기극에서는 90도이다.
  • 복걸 (伏乞) : 엎드려 빎.
  • 복계 (伏雞) : → 부계. (부계: 알을 품은 암탉.)
  • 복궐 (伏闕) : 임금에게 상소(上訴)를 하기 위하여 대궐 앞에 엎드리던 일.
  • 복날 (伏날) : 초복, 중복, 말복이 되는 날. 이날이면 그해의 더위를 물리친다 하여 개장국이나 영계백숙을 먹는 사람이 많다.
  • 복노 (伏弩) : 쇠뇌를 쏘던 복병.
  • 복단 (伏斷) : 번뇌를 이기거나 아주 끊어 버려 다시 나지 못하게 함.
  • 복달 (伏달) : 복이 들어 기후가 지나치게 달아서 더운 철.
  • 복도 (伏禱) : 엎드리어 기도함.
  • 복도 (伏圖) : 물체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 복랍 (伏臘) : 삼복(三伏)과 납일(臘日)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복력 (伏櫪) : 말이 마구간 속에서 엎드리고 있음. 또는 그 말.
  • 복로 (伏老) : 돌조갯과의 하나. 껍데기에는 부챗살마루가 있다. 9~10월에 산란하며 모래 진흙 속에 산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복룡 (伏龍) : 숨어 있는 용이라는 뜻으로, 은거하여 세상에 나오지 않는 재사(才士)나 준걸을 이르는 말.
  • 복류 (伏流) : 하천 바닥 아래에서의 지하수 흐름. 특히 마른 하천 아래에서 흐르는 지하수를 이른다.
  • 복망 (伏望) : 엎드려 웃어른의 처분 따위를 삼가 바람.
  • 복맥 (伏脈) : 맥상(脈象)의 하나. 아주 깊숙이 눌러야 겨우 느껴지는, 침맥보다 더 약한 맥이다.
  • 복모 (伏慕) : 웃어른을 공손히 사모함.
  • 복무 (伏舞) : 탈춤에서, 노장중이 엎드려서 세수하고 이를 잡는 시늉을 하는 춤사위.
  • 복물 (伏물) : 복날 또는 복날을 전후하여 많이 내리는 비.
  • 복발 (覆鉢/伏鉢) : 탑의 노반(露盤) 위에 주발을 엎어 놓은 것처럼 만든 장식.
  • 복배 (伏拜) : 땅에 엎드려 절함.
  • 복백 (伏白) : 편지에서, '엎드려서 사뢴다'의 뜻으로 쓰는 말.
  • 복법 (伏法) : 형벌을 순순히 받아 죽음. 또는 형벌을 순순히 받아 죽게 함.
  • 복병 (伏兵) : 예상하지 못한 뜻밖의 경쟁 상대.
  • 복사 (伏射) : 총이나 활 따위를 땅에 엎드려 쏨.
  • 복서 (伏暑) : 복날의 더위.
  • 복선 (伏線) :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여 남모르게 미리 꾸며 놓은 일.
  • 복송 (伏頌) : 편지글에서, '삼가 엎드려 사뢰거나 칭송한다.'의 뜻으로 쓰는 말.
  • 복수 (伏受) : 윗사람이 주는 것을 공손히 받음.
  • 복시 (服侍/伏侍) : 삼가 받들어 모심.
  • 복심 (伏審) : 편지글에서, 삼가 공손히 살핀다는 뜻으로 쓰는 말.
  • 복알 (伏謁) : 높은 사람을 삼가 엎드려 뵘.
  • 복열 (伏熱) : '삼복더위'를 달리 이르는 말. (삼복더위: 삼복 기간의 몹시 심한 더위.)
  • 복염 (伏炎) : '삼복더위'를 달리 이르는 말. (삼복더위: 삼복 기간의 몹시 심한 더위.)
  • 복원 (伏願) : 웃어른에게 엎드려 공손히 원함.
  • 복위 (伏爲) : 영혼을 천도(薦度)할 때에 유가족들이 부르는 소리.
  • 복유 (伏惟) : 삼가 엎드려 생각하옵건대.
  • 복은 (伏隱) : 납작 엎드려 몸을 숨김.
  • 복음 (伏飮) : 담음(痰飮)이 체내에 잠복하여 자주 발작하는 병증. 허리와 등이 쑤시고 결리며 오한과 열이 난다.
  • 복익 (伏翼) : 박쥐목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쥐와 비슷하나 귀가 크고 앞다리가 날개처럼 변형되어 날아다닌다. 시각은 좋지 않으나 성대로부터 초음파를 내어 그 반사음을 귀에서 받아들여 거리와 방향을 안다. 주로 밤에 활동하는데 동굴이나 나무 속 또는 삼림 등지에 산다. 전 세계에 18과 1000여 종이 분포한다.
  • 복인 (伏忍) : 오인(五忍)의 첫째 단계. 번뇌를 완전히 끊지는 못하고 일단 억눌러 통제함으로써 그것이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수행 단계이다.
  • 복일 (伏日) : 초복, 중복, 말복이 되는 날. 이날이면 그해의 더위를 물리친다 하여 개장국이나 영계백숙을 먹는 사람이 많다.
  • 복자 (伏字) : 조판(組版)에 필요한 활자가 없을 경우에 적당한 활자를 뒤집어 꽂아 검게 박음. 또는 그런 글자.
  • 복장 (伏藏) : 엎드려 숨음.
  • 복재 (伏在) : 어떤 사실이 숨겨져 있음.
  • 복절 (伏節) : 삼복(三伏)이 든 절기.
  • 복절 (伏節) : 절개를 굽히지 아니하고 변함없이 지킴.
  • 복죄 (服罪/伏罪) : 죄를 순순히 인정함.
  • 복주 (伏奏) : 엎드려 사룀.
  • 복주 (伏誅) : 형벌을 순순히 받아 죽음. 또는 형벌을 순순히 받아 죽게 함.
  • 복죽 (伏粥) : 복날에 쑤어 먹는 팥죽.
  • 복중 (伏中) : 초복(初伏)에서 말복(末伏)까지의 사이.
  • 복지 (伏地) : 땅에 엎드림.
  • 복차 (伏차) : '복처'의 변한말. (복처: 조선 시대에, 중요한 길목에 설치하여 순라군(巡邏軍)들이 밤에 지키도록 한 군대의 초소.)
  • 복창 (伏悵) : 주로 편지글에서, 마음에 섭섭하고 궁금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손윗사람에게 쓰는 말.
  • 복처 (伏處) : 조선 시대에, 중요한 길목에 설치하여 순라군(巡邏軍)들이 밤에 지키도록 한 군대의 초소.
  • 복철 (伏철) : 삼복(三伏)이 든 시기.
  • 복청 (伏請) : 엎드려 청함.
  • 복초 (伏醋) : 복날에 술을 따뜻한 곳에 두어 삭혀서 맛이 나게 만든 식초.
  • 복초 (伏哨) : '매복초소'를 줄여 이르는 말. (매복 초소: 경계 조직의 하나. 2~3명으로 이루어지며, 경계 구역으로 통하는 도로 따위에서 감시 활동을 하고, 적이 나타나는 것을 알리며, 접근하는 사람들을 단속하는 일을 맡는다.)
  • 복축 (伏祝) : 엎드려 삼가 축원함.
  • 복치 (伏치) : 사냥에서, 엎드리거나 앉아 있는 사냥감을 쏘는 일.
  • 복침 (伏枕) : 베개에 엎드림.
  • 복합 (伏閤) : 나라에 중요한 일이 있을 때에 조신(朝臣)이나 유생이 대궐 문 앞에 엎드려 상소하던 일.
  • 복행 (伏幸) : 주로 편지글에서, 자신의 다행함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 복호 (伏虎) : 엎드린 호랑이.
  • 복희 (伏羲) :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三皇)의 한 사람으로, 팔괘를 처음으로 만들고, 그물을 발명하여 고기잡이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 부계 (伏鷄) : 알을 품은 암탉.
  • 부복 (俯伏) : 고개를 숙이고 엎드림.
  • 부복 (扶伏/扶匐) : 배를 땅에 대고 기어감.
  • 부복 (仆伏) : 넘어져 엎드림.
  • 삼복 (三伏) : 여름철의 몹시 더운 기간.
  • 설복 (設伏) : 복병(伏兵)을 둠.
  • 설복 (說伏/說服) : 알아듣도록 말하여 수긍하게 함.
  • 세복 (說伏/說服) : 알아듣도록 말하여 수긍하게 함.
  • 습복 (慴伏/慴服) : 두려워서 굴복함. 또는 황송하여 엎드림.
  • 신복 (信服/信伏) : 믿고 복종함.
  • 신복 (臣服/臣伏) : 신하로서 복종함.
  • 압복 (壓服/壓伏) : 힘으로 눌러서 복종시킴.
  • 외복 (畏伏) : 두려워서 엎드림.
  • 월복 (越伏) : 보통 중복이 지나고 열흘 후에 드는 말복이 스무 날 후에 옴.
  • 은복 (隱伏) : 몸을 엎드려 숨음.
  • 음복 (陰伏) : 몸을 엎드려 숨음.
  • 의복 (倚伏) : 화(禍)와 복(福)은 서로 인연(因緣)이 되어 생기고 없어짐.
  • 자복 (雌伏) : 새의 암컷이 수컷에게 복종한다는 뜻으로, 남에게 스스로 복종함을 이르는 말.


https://dict.wordrow.kr에서 伏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藹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한자 藹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藹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 암애 (菴藹) : 초목이 무성함.
  • 애애 (藹藹) : '애애하다'의 어근. (애애하다: 초목이 무성하다., 달빛이 희미하다., 부드럽고 포근하다.)
  • 애연 (藹然) : '애연하다'의 어근. (애연하다: 화기롭고 온화하다.)
  • 애울 (藹鬱) : '애울하다'의 어근. (애울하다: 초목이 몹시 우거지다.)
  • 애애히 (藹藹히) : 초목이 무성하게.
  • 애연히 (藹然히) : 화기롭고 온화하게.
  • 애울히 (藹鬱히) : 초목이 몹시 우거진 상태로.
  • 애애하다 (藹藹하다) : 부드럽고 포근하다.
  • 애연하다 (藹然하다) : 화기롭고 온화하다.
  • 애울하다 (藹鬱하다) : 초목이 몹시 우거지다.


https://dict.wordrow.kr에서 藹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奕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한자 奕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奕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 박혁 (博奕/博弈) : 장기와 바둑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상혁 (象奕) : 나무로 만든 32짝의 말을 붉은 글자와 푸른 글자의 두 종류로 나누어 판 위에 벌여 놓고 서로 번갈아 가며 공격과 수비를 교대로 하여 승부를 가리는 놀이. 또는 그런 놀이를 하는 데 쓰는 기구.
  • 혁기 (奕棋/奕碁) : 두 사람이 검은 돌과 흰 돌을 나누어 가지고 바둑판 위에 번갈아 하나씩 두어 가며 승부를 겨루는 놀이. 두 집 이상이 있어야 살며, 서로 에워싼 집을 많이 차지하면 이긴다.
  • 혁석 (奕舃) : 오래도록 영화를 누림.
  • 혁세 (奕世) : 거듭된 여러 대.
  • 혁엽 (奕葉) : 거듭된 여러 대.
  • 혁혁 (奕奕) : '혁혁하다'의 어근. (혁혁하다: 매우 크고 아름다워 성(盛)하다.)
  • 혁혁히 (奕奕히) : 매우 크고 아름다워 성(盛)하게.
  • 혁석하다 (奕舃하다) : 오래도록 영화를 누리다.
  • 혁혁하다 (奕奕하다) : 매우 크고 아름다워 성(盛)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奕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