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27일 목요일

한자 蜀에 관한 단어는 모두 37개

한자 蜀에 관한 단어는 모두 3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蜀에 관한 단어는 모두 37개

  • 촉 (蜀) : 중국의 오대 십국 가운데 하나. 907년에 당나라 절도사인 왕건(王建)이 쓰촨(四川)에 세웠는데 925년에 2대 18년 만에 후당(後唐)에 망하였다.
  • 망촉 (望蜀) : 농(隴)을 얻고서 촉(蜀)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 전촉 (前蜀) : 중국의 오대 십국 가운데 하나. 907년에 당나라 절도사인 왕건(王建)이 쓰촨(四川)에 세웠는데 925년에 2대 18년 만에 후당(後唐)에 망하였다.
  • 촉규 (蜀葵) : 아욱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2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심장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5~7개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6~8월에 접시 모양의 크고 납작한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평평한 원형이다. 뿌리는 약용하고 원예 화초로 재배한다. 중국이 원산지로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촉당 (蜀黨) : 중국 송나라 철종 때에, 소식(蘇軾)이 중심이 되어 만든 당. 정이(程頣)를 중심으로 하는 낙당(洛黨)과 맞섰다.
  • 촉도 (蜀道) : 촉(蜀), 즉 중국 쓰촨성(四川省)으로 통하는 극히 험준한 길.
  • 촉로 (蜀路) : 촉(蜀)에 이르는 험난한 길이라는 뜻으로, 험난한 세상살이를 이르는 말.
  • 촉백 (蜀魄) :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 촉상 (蜀相) : 중국 촉나라의 재상이라는 뜻으로, '제갈량'을 이르는 말. (제갈량: 중국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181~234). 자(字)는 공명(孔明). 시호는 충무(忠武). 뛰어난 군사 전략가로, 유비를 도와 오(吳)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나라 군사를 대파하고 파촉(巴蜀)을 얻어 촉한을 세웠다. 유비가 죽은 후에 무향후(武鄕侯)로서 남방의 만족(蠻族)을 정벌하고, 위나라 사마의와 대전 중에 병사하였다.)
  • 촉서 (蜀黍) : 볏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2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맞게 나고 넓은 선 모양이다. 7~9월에 줄기 끝에서 이삭이 나와 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흰색, 누런 갈색, 붉은 갈색, 검은색 따위로 가을에 익는다. 열매는 곡식이나 엿, 과자, 술, 떡 따위의 원료로 쓰고 줄기는 비를 만들거나 건축재로 쓴다. 아프리카 또는 인도가 원산지로, 우리나라에는 중국을 거쳐 건너와 오랜 옛날부터 재배되었다.
  • 촉성 (蜀省) : '쓰촨성'의 옛 이름. (쓰촨성: 중국 양쯔강(揚子江) 상류에 있는 성. 비옥한 쓰촨 분지가 펼쳐져 있으며, 쌀과 차[茶]를 많이 생산한다. 성도(省都)는 청두(成都), 면적은 48만 8000㎢.)
  • 촉조 (蜀鳥) :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 촉지 (蜀志) : 중국 진(晉)나라의 진수(陳壽)가 펴낸 ≪삼국지≫의 하나. 촉나라의 역사를 기술한 것으로, 본기(本紀) 없이 15열전(列傳)으로 나뉘었다. 15권.
  • 촉체 (蜀體) : 중국 촉나라 조맹부의 서체.
  • 촉초 (蜀椒) : 초피나무의 과피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심복통(心腹痛)ㆍ구토ㆍ설사 따위에 쓰인다.
  • 촉출 (蜀秫) : 볏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2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맞게 나고 넓은 선 모양이다. 7~9월에 줄기 끝에서 이삭이 나와 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흰색, 누런 갈색, 붉은 갈색, 검은색 따위로 가을에 익는다. 열매는 곡식이나 엿, 과자, 술, 떡 따위의 원료로 쓰고 줄기는 비를 만들거나 건축재로 쓴다. 아프리카 또는 인도가 원산지로, 우리나라에는 중국을 거쳐 건너와 오랜 옛날부터 재배되었다.
  • 촉칠 (蜀漆) : 초피나무의 어린싹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독성이 조금 있는데, 말라리아의 치료나 담(痰)을 제거하는 데에 쓰인다.
  • 촉한 (蜀漢) : 중국 삼국 시대 221년에 유비(劉備)가 세운 나라. 쓰촨(四川)ㆍ윈난(雲南)ㆍ구이저우(貴州) 북부 및 한중(漢中) 지역을 차지하였으며, 263년에 위나라에 멸망하였다.
  • 촉혼 (蜀魂) :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 후촉 (後蜀) : 중국 오대십국 가운데 934년에 맹지상(孟知祥)이 쓰촨(四川) 지방에 세운 나라. 수도는 청두(成都)이며 965년에 송나라에 멸망하였다.
  • 귀촉도 (歸蜀道) :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 옥촉서 (玉蜀黍) : '옥수수'의 열매. 쪄 먹거나 떡, 묵, 밥, 술 따위를 만들어 먹는다. (옥수수: 볏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2~3미터이며, 잎은 수숫잎같이 크고 길다. 꽃은 단성화로 웅화수는 줄기 끝에 달리고 자화수는 줄기 중앙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열매는 녹말이 풍부하고 식용하거나 가축 사료로 쓴다. 멕시코에서 남아메리카 북부에 걸친 지역이 원산지로, 전 세계에서 재배한다.)
  • 촉규채 (蜀葵菜) : 접시꽃의 갓 나온 연한 잎을 따서 데치고 물에 헹군 다음 썰어서 소금과 기름에 무친 나물.
  • 촉규탕 (蜀葵湯) : 접시꽃의 잎을 넣어서 끓인 된장국.
  • 촉규화 (蜀葵花) : 아욱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2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심장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5~7개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6~8월에 접시 모양의 크고 납작한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평평한 원형이다. 뿌리는 약용하고 원예 화초로 재배한다. 중국이 원산지로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촉묘피 (蜀猫皮) : 아주 하얀 모피. 흔히, 옥토끼나 고양이의 털가죽을 이른다.
  • 촉혼조 (蜀魂鳥) :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 황촉규 (黃蜀葵) : 아욱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난다. 8~9월에 노란 꽃이 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타원형의 삭과(蒴果)로 거친 털이 많이 나 있다. 뿌리는 종이를 뜨는 데 쓰인다. 아시아 동부가 원산지이다.
  • 득롱망촉 (得隴望蜀) : 농(隴)을 얻고서 촉(蜀)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 옥촉서반 (玉蜀黍飯) : 옥수수를 맷돌에 타서 까부른 다음, 곱삶아 보리밥 모양으로 지은 밥.
  • 옥촉서병 (玉蜀黍餠) : 옥수수를 맷돌에 타서 까부른 다음, 물에 담갔다가 가루로 만들어서 만든 떡.
  • 옥촉서유 (玉蜀黍油) : 옥수수를 맷돌에 타서 까부른 다음, 물에 담갔다가 곱게 갈아서 쑨 묵.
  • 촉견폐일 (蜀犬吠日) : 식견이 좁은 사람이 현인(賢人)의 언행을 의심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촉나라는 산이 높고 안개가 항상 짙어 해가 보이는 날이 드물기 때문에 개들이 해를 보면 이상히 여겨 짖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촉서경단 (蜀黍瓊團) : 떡의 하나. 찰수수 가루를 반죽하여 둥글넓적하게 만들어 끓는 물에 삶아 낸 뒤 팥고물을 묻히거나, 전병으로 부쳐 소를 넣고 접어 만든다.
  • 촉서전병 (蜀黍煎餠) : 찰수수 가루로 만든 부꾸미.
  • 촉중명장 (蜀中名將) : 중국 촉한(蜀漢)의 명장이라는 뜻으로, 매우 뛰어나고 훌륭한 인재를 이르는 말.
  • 평롱망촉 (平隴望蜀) : 농(隴)을 얻고서 촉(蜀)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https://dict.wordrow.kr에서 蜀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酣에 관한 단어는 모두 30개

한자 酣에 관한 단어는 모두 3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酣에 관한 단어는 모두 30개

  • 감가 (酣歌) : 음주 가무에 탐닉함.
  • 감락 (酣樂) : 술을 마시며 마음껏 즐김.
  • 감면 (酣眠) : 깊이 단잠을 잠.
  • 감몽 (酣夢) : 달콤한 꿈.
  • 감수 (酣睡) : 깊이 단잠을 잠.
  • 감어 (酣飫) : 마음껏 술을 마시고 음식을 먹음.
  • 감오 (酣娛) : 술에 취하여 흥겹게 놂.
  • 감와 (酣臥) : 아주 달게 곤히 잠. 또는 그런 잠.
  • 감음 (酣飮) : 흥겹게 술을 마심.
  • 감전 (酣戰) : 한창 격렬하게 벌어진 싸움.
  • 감창 (酣暢) : 술을 마시어 기분이 나른히 풀림. 또는 그런 기분.
  • 감춘 (酣春) : 한창 무르익은 봄.
  • 감취 (酣醉) : 술기운이 올라 한창 취함.
  • 감흥 (酣興) : 술을 마시고 한껏 즐거워함.
  • 반감 (半酣) : 술에 반쯤 취함. 술에 웬만큼 취한 것을 이른다.
  • 방감 (方酣) : '방감하다'의 어근. (방감하다: 기운이나 흥이 한창 무르익어 있다.)
  • 감가하다 (酣歌하다) : 음주 가무에 탐닉하다.
  • 감락하다 (酣樂하다) : 술을 마시며 마음껏 즐기다.
  • 감면하다 (酣眠하다) : 깊이 단잠을 자다.
  • 감수하다 (酣睡하다) : 깊이 단잠을 자다.
  • 감어하다 (酣飫하다) : 마음껏 술을 마시고 음식을 먹다.
  • 감오하다 (酣娛하다) : 술에 취하여 흥겹게 놀다.
  • 감와하다 (酣臥하다) : 아주 달게 곤히 자다.
  • 감음하다 (酣飮하다) : 흥겹게 술을 마시다.
  • 감전하다 (酣戰하다) : 한창 격렬하게 싸우다.
  • 감창하다 (酣暢하다) : 술을 마시어 기분이 나른히 풀리다.
  • 감취하다 (酣醉하다) : 술기운이 올라 한창 취하다.
  • 감홍난자 (酣紅爛紫) : 가을에 단풍이 울긋불긋함.
  • 반감하다 (半酣하다) : 술에 반쯤 취하다. 술에 웬만큼 취한 일을 이른다.
  • 방감하다 (方酣하다) : 기운이나 흥이 한창 무르익어 있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酣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暖에 관한 단어는 모두 131개

한자 暖에 관한 단어는 모두 13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暖에 관한 단어는 모두 131개

  • 경난 (輕暖) : '경난하다'의 어근. (경난하다: 옷이 가볍고 따뜻하다.)
  • 난국 (暖國) : 날씨가 따뜻한 나라.
  • 난기 (暖氣/煖氣) : 따뜻한 기운.
  • 난대 (暖帶/煖帶) : 열대와 온대의 중간 지대. 대체로 남북 위도 각각 20~30도 사이의 지대로 건조 지역이 많다.
  • 난동 (暖冬/煖冬) : 예년보다 따뜻하여 포근한 겨울.
  • 난렴 (暖簾) : 추울 때 승당(僧堂) 문에 치는 휘장. 주렴에 무명이나 종이 따위를 붙여 만든다.
  • 난로 (暖爐/煖爐) : 난방 장치의 하나. 나무, 석탄, 석유, 가스 따위의 연료를 때거나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내어 방 안의 온도를 올리는 기구이다.
  • 난료 (暖寮) : 선종(禪宗)에서, 방에 새로 들어온 승려가 먼저부터 있는 이들에게 다과(茶菓)를 갖추어 대접함. 또는 그런 일.
  • 난류 (暖流/煖流) : 적도 부근의 저위도 지역에서 고위도 지역으로 흐르는 따뜻한 해류. 남색을 띠며, 투명하고 소금기가 많다.
  • 난모 (暖帽/煖帽) : 예전에, 추위를 막기 위하여 쓰던 방한용 모자. 상강(霜降) 이후 추위를 막으려고 사모(紗帽) 밑에 두르는데, 담비 털이나 쥐 털로 만들어 썼다.
  • 난방 (暖房/煖房) : 실내의 온도를 높여 따뜻하게 하는 일.
  • 난병 (暖病) : 어린아이의 몸을 지나치게 덥게 하여 생긴 병. 열이 나면서 얼굴이 벌게지고 가슴을 답답해하며 자주 운다.
  • 난색 (暖色/煖色) : 따뜻한 느낌을 주는 색. 노란색, 빨간색 계통의 색이다.
  • 난석 (暖席) : 선종(禪宗)에서, 방에 새로 들어온 승려가 먼저부터 있는 이들에게 다과(茶菓)를 갖추어 대접함. 또는 그런 일.
  • 난실 (暖室/煖室) : 따뜻한 방.
  • 난열 (暖熱) : 따뜻한 열(熱).
  • 난의 (暖衣/煖衣) : 따뜻한 옷. 또는 옷을 따뜻하게 입음.
  • 난지 (暖地/煖地) : 따뜻한 지방이나 장소.
  • 난파 (暖波/煖波) : 고온의 기단이 고위도 지방으로 흘러들어 그 계절에 맞지 아니하게 큰 폭의 기온 상승을 일으키는 현상.
  • 난포 (暖飽/煖飽) : 따뜻하게 입고 배불리 먹음.
  • 난풍 (暖風/煖風) : 따뜻한 바람.
  • 난해 (暖海/煖海) : 아열대 지방의 따뜻한 바다.
  • 난화 (暖和/煖和) : '난화하다'의 어근. (난화하다: 날씨나 기후 따위가 따뜻하고 화창하다., 성격, 태도 따위가 따뜻하고 부드럽다.)
  • 냉난 (冷暖/冷煖) : 차가움과 따뜻함.
  • 온난 (溫暖/溫煖) : 날씨가 따뜻함.
  • 채난 (採暖) : 따뜻한 기운을 몸속에 빨아들임.
  • 춘난 (春暖) : 봄철의 따뜻한 기운.
  • 포난 (飽暖/飽煖) : 배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입는다는 뜻으로, 의식(衣食)이 넉넉하게 지냄을 이르는 말.
  • 한난 (寒暖) : '한란'의 원말. (한란: 추움과 따뜻함을 아울러 이르는 말.)
  • 한란 (寒暖/寒煖) : 추움과 따뜻함을 아울러 이르는 말.
  • 화난 (和暖) : '화난하다'의 어근. (화난하다: 날씨가 화창하고 따뜻하다.)
  • 경난히 (輕暖히) : 옷이 가볍고 따뜻하게.
  • 난대림 (暖帶林) : 아열대 지방에 분포하는 상록 활엽수의 삼림.
  • 난대성 (暖帶性) : 난대의 성질.
  • 난로회 (暖爐會) : 화롯불에 여러 가지 음식을 지지거나 구워 먹던 모임. 흔히 음력 시월 초하룻날에 있었다.
  • 난롯가 (暖爐가) : 난로를 중심으로 한 가까운 주위.
  • 난롯불 (暖爐불) : 난로에 피워 놓은 불.
  • 난류성 (暖流性) : 난류의 성질을 가짐. 또는 난류에 적응하는 성질.
  • 난방관 (暖房管) : 난방을 할 때에, 난방을 위하여 온수나 증기 따위를 보내는 데 쓰는 관.
  • 난방기 (暖房機) : 실내의 온도를 높여 따뜻하게 하는 장치.
  • 난방법 (暖房法) : 건물의 안이나 방 안을 따뜻하게 하는 방법.
  • 난방열 (暖房熱) : 난방을 하는 데에 필요한 물리적인 열.
  • 난방차 (暖房車) : 겨울철에 차 안을 따뜻하게 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춘 차.
  • 난석전 (暖席錢) : 남의 절을 빌려 법회나 불사(佛事)를 하고 나서 사례로 주는 돈.
  • 난해성 (暖海性) : 따뜻한 바다에 적합한 성질.
  • 냉난방 (冷暖房) : 냉방과 난방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돌난로 (돌暖爐) : 돌을 쌓아 만든 난로.
  • 벽난로 (壁暖爐) : 벽에 설치한 난로. 집 안의 벽에다 아궁이를 내고 굴뚝은 벽 속으로 통하게 되어 있다.
  • 손난로 (손暖爐) : 손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 손바닥만 하게 만든 열을 내는 기구.
  • 온난기 (溫暖期) : 지구의 기온 변화 과정에서 유난히 더운 시기.
  • 온난역 (溫暖域) : 온대 저기압의 온난 전선과 한랭 전선 사이에 있는 삼각형 모양의 따뜻한 기단 영역.
  • 온난화 (溫暖化) : 지구의 기온이 높아지는 현상.
  • 한란계 (寒暖計) : 사람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눈금을 설정한 온도계.
  • 화난봉 (花暖峯) :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산. 높이는 1,069미터.
  • 가스난로 (gas暖爐) : 석탄 가스나 프로판가스 따위를 연료로 하는 난로.
  • 개별난방 (個別暖房) : 개별적인 건물을 대상으로 하는 난방 방식.
  • 경난하다 (輕暖하다) : 옷이 가볍고 따뜻하다.
  • 난료하다 (暖寮하다) : 선종(禪宗)에서, 방에 새로 들어온 승려가 먼저부터 있는 이들에게 다과(茶菓)를 갖추어 대접하다.
  • 난석하다 (暖席하다) : 선종(禪宗)에서, 방에 새로 들어온 승려가 먼저부터 있는 이들에게 다과(茶菓)를 갖추어 대접하다.
  • 난의포식 (暖衣飽食) : 따뜻하게 입고 배불리 먹음.
  • 난의하다 (暖衣하다/煖衣하다) : 옷을 따뜻하게 입다.
  • 난화하다 (暖和하다/煖和하다) : 날씨나 기후 따위가 따뜻하고 화창하다.
  • 냉난자지 (冷暖自知) : 차고 더운 것을 스스로 안다는 뜻으로, 자기 일은 남의 말을 듣지 않고도 안다는 말.
  • 벽부난로 (壁附暖爐) : 벽에 설치한 난로. 집 안의 벽에다 아궁이를 내고 굴뚝은 벽 속으로 통하게 되어 있다.
  • 비백불난 (非帛不暖) : 비단옷이 아니면 따뜻하지 않다는 뜻으로, 노인의 쇠약한 지경을 이르는 말.
  • 석불가난 (席不暇暖) : 앉은 자리가 따뜻할 겨를이 없다는 뜻으로, 자리나 주소를 자주 옮기거나 매우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 석유난로 (石油暖爐) : 등유를 원료로 하여 방 안을 따뜻하게 하는 기구. 연소실에 등유를 내뿜는 가압식, 심지에 등유를 배게 하여 이를 연소시키는 낙차식 따위가 있으며, 열을 전도하는 방식에 따라서는 대류식과 반사식이 있다.
  • 연탄난로 (煉炭暖爐) : 땔감으로 연탄을 사용하는 난로.
  • 온난사육 (溫暖飼育) : 따뜻한 환경으로 누에의 발육을 빠르게 하는 법. 잠실(蠶室) 안을 화기(火氣)로 보온하여 누에의 성장을 촉진한다.
  • 온난하다 (溫暖하다/溫煖하다) : 날씨가 따뜻하다.
  • 온수난방 (溫水暖房) : 중앙식 보일러에서 끓인 물을 건물 안의 방열기에 보내서 실내를 덥게 하는 난방 방법.
  • 온풍난방 (溫風暖房) : 연료의 연소나 온수, 전열 따위로 가열한 공기를 도관을 통하여 각 실내로 보내는 난방 방법.
  • 와사난로 (瓦斯暖爐) : 석탄 가스나 프로판가스 따위를 연료로 하는 난로.
  • 일난풍화 (日暖風和) : 날씨가 따뜻하고 바람이 부드러움.
  • 전기난로 (電氣暖爐) : 전기 저항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난로.
  • 좌석미난 (坐席未暖) : 앉는 자리가 따뜻해질 겨를이 없다는 뜻으로, 한군데에 오래 살지 못하고 이사를 자주 다님을 이르는 말.
  • 중앙난방 (中央暖房) : 건물의 한곳에 보일러, 가열기 따위를 집중적으로 설치하여 건물의 각부에 증기, 온수, 온풍 따위를 보내는 난방 방식.
  • 증기난로 (蒸氣暖爐) : 증기관을 통하여 더운 수증기를 보내어 방 안을 덥게 하는 난방 장치.
  • 증기난방 (蒸氣暖房) : 뜨거운 증기로 방 안을 덥히는 난방 방법.
  • 지역난방 (地域暖房) : 중앙의 난방 기관에서 한 지역 내의 여러 건물에 온수나 증기를 보내는 방식의 난방.
  • 집중난방 (集中暖房) : 건물의 한곳에 보일러, 가열기 따위를 집중적으로 설치하여 건물의 각부에 증기, 온수, 온풍 따위를 보내는 난방 방식.
  • 채난하다 (採暖하다) : 따뜻한 기운을 몸속에 빨아들이다.
  • 포난하다 (飽暖하다/飽煖하다) : 의식(衣食)이 넉넉하게 지내다. 배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입는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포식난의 (飽食暖衣) : 배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입는다는 뜻으로, 의식(衣食)이 넉넉하게 지냄을 이르는 말.
  • 한란기포 (寒暖飢飽) : 춥고 따뜻함과 굶주리고 배부름을 아울러 이르는 말.
  • 화난하다 (和暖하다) : 날씨가 화창하고 따뜻하다.
  • 화풍난양 (和風暖陽) : 솔솔 부는 화창한 바람과 따스한 햇볕이라는 뜻으로, 따뜻한 봄 날씨를 이르는 말.
  • 드럼통난로 (drum桶暖爐) : 드럼통으로 만든 난로.
  • 섭씨한란계 (攝氏寒暖計) : 섭씨온도를 표시하도록 고안된 온도계.
  • 열씨한란계 (列氏寒暖計) : 열씨온도를 표시하도록 고안된 온도계.
  • 온난화되다 (溫暖化되다) : 지구의 기온이 높아지다.
  • 일난풍화사 (日暖風和詞) : 헌선도춤에서 서왕모가 부르는 노래. 가사의 첫 구를 따서 이른 말이다.
  • 화씨한란계 (華氏寒暖計) : 화씨온도를 표시하도록 고안한 온도계.
  • 난의포식하다 (暖衣飽食하다) : 따뜻하게 입고 배불리 먹다.
  • 비백불난하다 (非帛不暖하다) : 노인이 쇠약한 지경에 있다. 비단옷이 아니면 따뜻하지 아니하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석불가난하다 (席不暇暖하다) : 자리나 주소를 자주 옮기거나 매우 바쁘게 돌아다니다. 앉은 자리가 따뜻할 겨를이 없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일난풍화하다 (日暖風和하다) : 날씨가 따뜻하고 바람이 부드럽다.
  • 포식난의하다 (飽食暖衣하다) : 의식(衣食)이 넉넉하게 지내다. 배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입는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에프에프식 석유난로 (FF式石油暖爐) : 연소용의 공기를 집 밖에서 빨아들여 쓰고, 배기가스를 집 밖으로 내보내는 강제 급배기식의 석유난로.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暖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