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民에 관한 단어는 모두 135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民에 관한 단어는 모두 1354개
- 민 (民) : '사람', '백성' 또는 '민족'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민족: 일정한 지역에서 오랜 세월 동안 공동생활을 하면서 언어와 문화상의 공통성에 기초하여 역사적으로 형성된 사회 집단. 인종이나 국가 단위인 국민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사람: 생각을 하고 언어를 사용하며, 도구를 만들어 쓰고 사회를 이루어 사는 동물., 어떤 지역이나 시기에 태어나거나 살고 있거나 살았던 자., 일정한 자격이나 품격 등을 갖춘 이., 인격에서 드러나는 됨됨이나 성질., 상대편에게 자기 자신을 엄연한 인격체로서 가리키는 말., 친근한 상대편을 가리키거나 부를 때 사용하는 말., 자기 외의 남을 막연하게 이르는 말., 뛰어난 인재나 인물., 어떤 일을 시키거나 심부름을 할 일꾼이나 인원., '「1」'을 세는 단위. 주로 고유어 수와 함께 쓴다., 권리와 의무의 주체인 인격자. 자연인(自然人)과 법인(法人)을 포함한다.)
- 민 (民) : 자기 조상의 무덤이 있는 곳에 사는 백성이 그 고을의 원에게 자기를 이르던 일인칭 대명사.
- 간민 (奸民) : 간악한 백성.
- 간민 (間民) : 직업이 없이 놀며 지내는 사람.
- 거민 (居民) : 일정한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
- 건민 (健民) : 건전한 국민.
- 결민 (結民) : 토지에 매인 백성.
- 공민 (公民) : 지방 자치 단체의 주민 가운데 일정한 자격 요건을 구비하고 그 자치 단체의 공무(公務)에 참여할 권리와 의무를 가진 사람.
- 관민 (官民) : 공무원과 민간인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괴민 (怪民) : 미치광이 같은 사람.
- 교민 (僑民) : 다른 나라에 살고 있는 동포. 아예 정착하여 살고 있는 교포나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유학생, 주재원 등을 모두 이를 수 있다.
- 구민 (救民) : 어려움에 처해 있는 백성을 구제함.
- 구민 (丘民) : 많은 백성.
- 구민 (區民) : 그 구에 사는 사람.
- 국민 (國民) : 국가를 구성하는 사람. 또는 그 나라의 국적을 가진 사람.
- 군민 (軍民) : 군인과 민간인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군민 (郡民) : 군(郡)에 사는 사람.
- 군민 (群民) : 떼를 지어 있는 사람들.
- 군민 (君民) : 임금과 백성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궁민 (窮民) : 생활이 어렵고 궁한 백성.
- 균민 (均民) :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아니하고 국민에게 공평함.
- 근민 (勤民) : 부지런한 백성.
- 근민 (近民) : 이웃 나라의 국민.
- 기민 (飢民/饑民) : 굶주린 백성.
- 난민 (難民) : 전쟁이나 재난 따위를 당하여 곤경에 빠진 사람.
- 난민 (亂民) : 무리를 지어 다니며 법과 질서를 어지럽히는 백성.
- 노민 (勞民) : 백성을 부림.
- 농민 (農民) : 농사짓는 일을 생업으로 삼는 사람.
- 단민 (蜑民) : 중국 화난(華南) 지방의 연안에서 수상생활을 하는 인종. 몸이 작고 부지런하며, 성격이 투쟁적이다. 계통이나 기원은 밝혀져 있지 않다.
- 대민 (大民) : 문벌이나 지체가 좋은 사람.
- 대민 (對民) : 민간인을 상대함.
- 도민 (島民) : 섬에 사는 사람.
- 도민 (道民) : 도(道)에 사는 사람.
- 동민 (洞民) : 그 동(洞)에 사는 사람.
- 두민 (頭民) : 동네에서 나이가 많고 식견이 높은 사람.
- 득민 (得民) : 학덕이 높고 정치를 잘하여 민심을 얻음.
- 만민 (萬民) : 모든 백성. 또는 모든 사람.
- 망민 (罔民) : 백성을 속임.
- 면민 (面民) : 그 면(面)에 사는 사람.
- 목민 (牧民) : 임금이나 원이 백성을 다스려 기름.
- 몽민 (蒙民) : 무식하고 사리에 어두운 백성.
- 문민 (文民) : 직업 군인이 아닌 일반 국민.
- 민가 (民家) : 일반 백성들이 사는 집.
- 민간 (民間) : 일반 백성들 사이.
- 민경 (民警) : 민간과 경찰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민고 (民庫) : 조선 시대에, 관아의 임시 비용으로 쓰기 위하여 해마다 군민(郡民)으로부터 거둔 곡식, 돈 따위를 보관하던 창고.
- 민곤 (民困) : 백성의 빈곤.
- 민관 (民官) : 고려 초기에 둔 육관의 하나. 호구(戶口)ㆍ공부(貢賦)ㆍ재정(財政) 따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로, 성종 2년(983)에 두어 14년(995)에 상서호부로 고쳤다.
- 민교 (民敎) : 민간에서 행하여지는 교육.
- 민교 (民敎) : 민간에서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신앙.
- 민구 (民具) : 예로부터 민중이 일상생활에서 써 온 도구나 기구. 공예품에 상대하여 실용적인 농기구, 문방구, 상구(商具), 놀이 기구 따위를 이른다.
- 민국 (民國) : 민주 정치를 시행하는 나라.
- 민군 (民軍) : 민간인으로 구성한 부대. 또는 그 구성원.
- 민궁 (民窮) : 백성이 곤궁함. 또는 그런 곤궁.
- 민권 (民權) : 국민의 권리. 특히 참정권을 이른다.
- 민납 (民納) : 백성들이 조세 따위를 내는 일.
- 민단 (民團) : 남의 나라 영토에 머물러 사는 같은 민족끼리 조직한 자치 단체.
- 민담 (民譚) :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 민답 (民畓) : 백성의 소유로 되어 있는 논.
- 민덕 (民德) : 백성의 덕성.
- 민도 (民度) : 국민의 생활이나 문화 수준의 정도.
- 민란 (民亂) : 포악한 정치 따위에 반대하여 백성들이 일으킨 폭동이나 소요.
- 민력 (民曆) : 정부 기관이 아닌 민간에서 음력을 위주로 하여 편찬한 책력(冊曆).
- 민력 (民力) : 백성의 노력이나 재력.
- 민렴 (民斂) : 백성으로부터 돈이나 물품을 거두어들임.
- 민립 (民立) : 민간이 기관이나 공공시설을 세움.
- 민막 (民瘼) : 국민을 괴롭히고 나라를 망치는 정치 때문에 국민이 고생하는 일.
- 민망 (民望) : 백성들의 믿음.
- 민물 (民物) : 백성의 재물.
- 민박 (民泊) : 여행할 때에 전문 숙박업소에서 묵지 않고 일반 가정집에서 묵음. 또는 그런 집. 보통 휴가철에 일정한 돈을 내고 농어촌 지역의 가정집에서 취사 및 숙박을 하는 경우를 이른다.
- 민방 (民放) : '민영방송'을 줄여 이르는 말. (민영 방송: 민간 자본으로 민간인이 운영하는 방송. 주된 수입원은 광고 소득이다.)
- 민법 (民法) : 개인의 권리와 관련된 법규를 통틀어 이르는 말.
- 민병 (民兵) : 민간인으로 구성한 부대. 또는 그 구성원.
- 민보 (民堡) : 백성의 힘으로 쌓아 만든 보루(堡壘).
- 민보 (民報) : 민간의 신문.
- 민보 (民褓) : 민간에서 쓰는 보자기.
- 민보 (民洑) : 민간의 힘으로 쌓아 만든 논의 보.
- 민복 (民福) : 국민의 복리.
- 민복 (民僕) : 국민의 공복(公僕).
- 민복 (民卜) : 백성들이 소유한 논밭에 대한 결복(結卜).
- 민본 (民本) : 국민을 위주로 함.
- 민부 (民部) : 고려 충렬왕 34년(1308)에 둔 삼부(三部)의 하나. 육조 가운데 호구(戶口), 공부(貢賦), 전량(錢糧) 따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로 민조(民曹)를 고친 것이다.
- 민사 (民事) : 사법적인 법률관계에서 일어나는 일.
- 민산 (民散) : 포학한 정치를 견디지 못하여 백성들이 흩어짐.
- 민생 (民生) : 일반 국민의 생활 및 생계.
- 민서 (民庶) : 국가나 사회를 구성하는 일반 국민. 피지배 계급으로서의 일반 대중을 이른다.
- 민선 (民選) : 일반 국민이 뽑음.
- 민설 (民設) : 민간 기관에서 설립하거나 설치함. 또는 그렇게 세운 시설.
- 민성 (民聲) : 국민의 소리라는 뜻으로, 사회 여론을 이르는 말.
- 민성 (民性) : 백성의 성질.
- 민세 (民世) : '안재홍'의 호. (안재홍: 독립운동가ㆍ정치가(1891~1965). 호는 민세(民世). 3ㆍ1 운동 이후 대한 청년 외교단을 조직하여 활약하고, 1923년 ≪시대일보≫를 창간하였다. 광복 후 국민당을 조직하였고, ≪한성일보≫ 사장ㆍ미 군정청 민정 장관ㆍ제2대 국회 의원 등을 지냈다.)
- 민세 (民勢) : 백성들의 살아가는 형편.
- 민소 (民訴) : 억울한 사정에 대한 백성들의 호소.
- 민속 (民俗) : 민간 생활과 결부된 신앙, 습관, 풍속, 전설, 기술, 전승 문화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 민수 (民需) : 민간에서 필요한 것.
- 민숙 (民宿) : 여행할 때에 전문 숙박업소에서 묵지 않고 일반 가정집에서 묵음. 또는 그런 집. 보통 휴가철에 일정한 돈을 내고 농어촌 지역의 가정집에서 취사 및 숙박을 하는 경우를 이른다.
- 민습 (民習) : 민간의 풍습.
- 민시 (民是) : 국민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주의와 방침.
- 민시 (民時) : 백성이 살아가는 데 중요한 시기라는 뜻으로, 봄갈이ㆍ김매기ㆍ가을걷이 따위 일을 하는 바쁜 농사철을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