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12일 수요일

어초한화: 漁樵閑話

어초한화 (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漁樵閑話 한자 뜻 풀이

  • 漁(고기잡을 어) : 고기를 잡다, 고기잡이, 어부(漁夫), 물고기를 잡다, 닥치는 대로 가지다. 물 속 물고기를 잡는 일이나 그와 관련된 의미에 활용됨
  • 樵(땔나무 초) : 땔나무, 나무하다, 나뭇군, 불사르다, 망루(望樓). '땔나무'의 의미에서 '나무하다'는 의미 파생. '焦(초)'는 발음
  • 閑(한가할 한) : 한가하다, 막다, 문지방, 가로막다, 한정하다. 본래 문 안의 나무라는 뜻에서 '문지방'의 의미인데, 후에 '閒(한)'과 통용하여 '짬', '여가'의 의미로 사용됨
  • 話(말할 화) : 말하다, 이야기, 다스리다, 사투리, 고르다. 여러 가지 재미있는 이야기로 말하다는 의미에서 '말하다', '이야기' 등의 의미 생성


[樵] 땔나무 초 (땔나무, 나무하다, 나뭇군, 불사르다, 망루(望樓))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 획순 이미지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초동급부(樵童汲婦)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물을 긷는 아낙네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을 이르는 말. [ (: 땔나무 초) (: 아이 동) (: 길을 급) (: 며느리 부) ]
  • 초동목수(樵童牧豎)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풀밭에서 가축에게 풀을 먹이는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땔나무 초) (: 아이 동) (: 칠 목) (: 더벅머리 수) ]

[漁] 고기잡을 어 (고기를 잡다, 고기잡이, 어부(漁夫), 물고기를 잡다, 닥치는 대로 가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 획순 이미지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그스를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갈택이어(竭澤而漁) : 연못의 물을 말려 고기를 잡는다는 뜻으로, 일시적인 욕심 때문에 먼 장래를 생각하지 않음. [ (: 다할 갈) (: 못 택) (: 말 이을 이) (: 고기잡을 어) ]
  • 어부지용(漁夫之勇) : 물속에서 무서워하지 아니하는 어부의 용기라는 뜻으로, 오랜 체험에서 얻은 용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지아비 부) (: 갈 지) (: 날랠 용) ]
  • 어인지공(漁人之功) : 두 사람이 이해관계로 서로 싸우는 사이에 엉뚱한 사람이 애쓰지 않고 가로챈 이익을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사람 인) (: 갈 지) (: 공 공) ]

[話] 말할 화 (말하다, 이야기, 다스리다, 사투리, 고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가문설화 획순 이미지 가문설화(可聞說話) : 들을 만한 가치가 있는 옛이야기. [ (: 옳을 가) (: 들을 문) (: 말씀 설) (: 말할 화) ]
  •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그스를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향인설화(向人說話) : 남을 마주 대하여 보며 이야기함. [ (: 향할 향) (: 사람 인) (: 말씀 설) (: 말할 화) ]
  • 만단설화(萬端說話) : 온갖 이야기. [ (: 일만 만) (: 바를 단) (: 말씀 설) (: 말할 화) ]

[閑] 한가할 한 (한가하다, 막다, 문지방, 가로막다, 한정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한담객설 획순 이미지 한담객설(閑談客說) : 심심풀이로 하는 실없는 말. [ (: 한가할 한) (: 말씀 담) (: 손 객) (: 말씀 설) ]
  • 색거한처(索居閑處) : 퇴직(退職)하여 한가(閑暇)한 곳에서 세상(世上)을 보냄. [ (: 찾을 색) (: 있을 거) (: 한가할 한) (: 머무를 처) ]
  •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안한자적(安閑自適) : 평화롭고 한가하여 마음 내키는 대로 즐김. [ (: 편안할 안) (: 한가할 한) (: 스스로 자) (: 갈 적) ]

[나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상조협수 획순 이미지 상조협수(上早莢樹) : 조협나무에 오른다는 뜻으로, 공처가를 이르는 말. [ (: 위 상) (: 일찍 조) (: 열매 협) (: 나무 수) ]
  • 원공방목(圓孔方木) :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 (: 둥글 원) (: 구멍 공) (: 모 방) (: 나무 목) ]
  • 신진화멸(薪盡火滅) : 나무가 다 타서 없어지고 불이 꺼졌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이나 사물의 멸망을 이르는 말. [ (: 섶나무 신) (: 다할 진) (: 불 화) (: 멸망할 멸) ]
  • 단사표음(簞食瓢飮)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 (: 대광주리 단) (: 밥 사) (: 박 표) (: 마실 음) ]
  • 무우수(無憂樹) : '보리수'를 달리 이르는 말. 마야 부인이 보리수 아래에서 싯다르타 태자를 안산하여 근심할 것이 없었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 (: 없을 무) (: 근심 우) (: 나무 수) ]

[명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 획순 이미지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그스를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봉호만택(蓬蒿滿宅) : 쑥이 집안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조금도 세상의 명리(名利)에 개의하지 않는다는 의미. [ (: 쑥 봉) (: 쑥 호) (滿: 찰 만) (: 집 택) ]
  • 강좌칠현(江左七賢) : 고려 후기에 명예와 이익을 떠나 사귀던 일곱 선비. 이인로, 오세재, 임춘, 조통, 황보항(皇甫抗), 함순(咸淳), 이담지를 중국 진나라 때의 죽림칠현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 (: 강 강) (: 왼 좌) (: 일곱 칠) (: 어질 현) ]

[어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 획순 이미지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도원(桃源)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 (: 복숭아나무 도) (: 근원 원)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그스를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무릉도원(武陵桃源)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 (: 호반 무) (: 큰 언덕 릉) (: 복숭아나무 도) (: 근원 원) ]
  • 어부지용(漁夫之勇) : 물속에서 무서워하지 아니하는 어부의 용기라는 뜻으로, 오랜 체험에서 얻은 용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지아비 부) (: 갈 지) (: 날랠 용) ]

[이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 획순 이미지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무매독자(無媒獨子) : 딸이 없는 이의 외아들. [ (: 없을 무) (: 중매 매) (: 홀로 독) (: 아들 자) ]
  • 창안백발(蒼顔白髮) : 늙은이의 쇠한 얼굴빛과 센 머리털. [ (: 푸를 창) (: 얼굴 안) (: 흰 백) (: 터럭 발) ]
  • 백수지심(白首之心) : 늙은이의 마음. [ (: 흰 백) (: 머리 수) (: 갈 지) (: 마음 심) ]
  • 의제필선(意在筆先) : 뜻이 붓 앞에 있다는 뜻으로, 써 놓은 글씨에서 쓴 이의 마음을 살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뜻 의) (: 붓 필) (: 먼저 선) ]

[한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 획순 이미지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안한자적(安閑自適) : 평화롭고 한가하여 마음 내키는 대로 즐김. [ (: 편안할 안) (: 한가할 한) (: 스스로 자) (: 갈 적) ]
  • 투한치산(投閑置散) : 한가함에 던지고 산만함에 두다는 뜻으로, 한산(閑散)한 자리에 몸을 두고 있어 요직(要職)에 오르지 못함을 이르는 말. [ (: 던질 투) (: 한가할 한) (: 둘 치) (: 흩을 산) ]

[나무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 획순 이미지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그스를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난가(爛柯) : (1)'난가'의 북한어. (2)도낏자루가 썩는다는 뜻으로, 바둑 따위의 놀이에 정신이 팔려 세월 가는 줄 모름. 중국 진(晉)나라 때 왕질(王質)이라는 나무꾼이 두 동자가 바둑 두는 것을 구경하는 동안에 도낏자루가 썩어 버리고, 마을에 돌아오니 아는 사람이 다 죽었더라는 <술이기(述異記)>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 가지 가)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