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4일 일요일

제설분분: 諸說紛紛

제설분분 (諸說紛紛) : 여러 가지 의견(意見)이 뒤섞여 혼란(混亂)함.



諸說紛紛 한자 뜻 풀이

  • 諸(모든 제) : 모든, 어조사(語助辭), 여러, 간수하다, 말려서 저장한 과일. 언변(言辯)이 있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서 말한다는 의미에서 '여러', '모두' 등의 의미를 생성함.
  • 說(말씀 설) : 말씀, 기쁘다, 달래다, 벗다, 말. 자세히 풀어서 하는 이야기의 성격. (열)발음은 '기쁘다', (세)발음은 '달래다'의 의미
  • 紛(어지러울 분) : 어지러워지다, 어지러워진 모양, 섞이다, 엉크러지다, 많다.
  • 紛(어지러울 분) : 어지러워지다, 어지러워진 모양, 섞이다, 엉크러지다, 많다.


[紛] 어지러울 분 (어지러워지다, 어지러워진 모양, 섞이다, 엉크러지다, 많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내분 획순 이미지 내분(內紛) : 특정 조직이나 단체의 내부에서 자기편끼리 일으킨 분쟁. [ (: 안 내) (: 어지러울 분) ]
  • 제설분분(諸說紛紛) : 여러 가지 의견(意見)이 뒤섞여 혼란(混亂)함. [ (: 모든 제) (: 말씀 설) (: 어지러울 분) (: 어지러울 분) ]
  • 백접분분설황앵편편금(白蹀紛紛雪黃鶯片片金) : 흰 나비는 날리고 날리는 눈과 같고, 누런 꾀꼬리는 조각조각 금과 같음. [ (: 흰 백) (: 밟을 접) (: 어지러울 분) (: 어지러울 분) (: 눈 설) (: 누를 황) (: 꾀꼬리 앵) (: 조각 편) (: 조각 편) (: 쇠 금) ]
  • 석분이속(釋紛利俗) : 이상(以上) 팔인의 재주를 다하여 어지러움을 풀어 풍속(風俗)에 이롭게 함. [ (: 풀 석) (: 어지러울 분) (: 풍속 속) ]

[說] 말씀 설 (말씀, 기쁘다, 달래다, 벗다, 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언유설 획순 이미지 부언유설(浮言流說) : 아무 근거 없이 널리 퍼진 소문. [ (: 뜰 부) (: 말씀 언) (: 말씀 설) ]
  • 횡수설거(橫竪說去) : 말을 이렇게 했다가 저렇게 했다가 하다, 두서가 없이 아무렇게나 떠드는 것. [ (: 가로 횡) (: 더벅머리 수) (: 말씀 설) (: 갈 거) ]
  • 가문설화(可聞說話) : 들을 만한 가치가 있는 옛이야기. [ (: 옳을 가) (: 들을 문) (: 말씀 설) (: 말할 화) ]
  • 부도지설(不道之說) : 입에 담지 못할 소리. [ (: 아닌가 부) (: 길 도) (: 갈 지) (: 말씀 설) ]
  • 한담객설(閑談客說) : 심심풀이로 하는 실없는 말. [ (: 한가할 한) (: 말씀 담) (: 손 객) (: 말씀 설) ]

[諸] 모든 제 (모든, 어조사(語助辭), 여러, 간수하다, 말려서 저장한 과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제성통공 획순 이미지 제성통공(諸聖通功) : 여러 성인(聖人)의 공로(功勞)가 통(通)함. [ (: 모든 제) (: 성스러울 성) (: 통할 통) (: 공 공) ]
  • 제행무상(諸行無常) : 우주의 모든 사물은 늘 돌고 변하여 한 모양으로 머물러 있지 아니함. [ (: 모든 제) (: 갈 행) (: 없을 무) (: 항상 상) ]
  • 제설분분(諸說紛紛) : 여러 가지 의견(意見)이 뒤섞여 혼란(混亂)함. [ (: 모든 제) (: 말씀 설) (: 어지러울 분) (: 어지러울 분) ]
  • 제부(諸父) : 아버지와 같은 항렬의 당내친. [ (: 모든 제) (: 아비 부) ]
  • 제모(諸母) : 아버지와 같은 항렬이 되는 당내친의 아내. 제부(諸父)의 아내를 이른다. [ (: 모든 제) (: 어미 모) ]

[의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겸청즉명 획순 이미지 겸청즉명(兼聽則明) : 여러 사람의 의견(意見)을 들어 보면 시비(是非)를 정확하게 판단(判斷)할 수 있음. [ (: 겸할 겸) (: 들을 청) (: 곧 즉) (: 밝을 명) ]
  • 부화뇌동(附和雷同) : 줏대 없이 남의 의견에 따라 움직임. [ (: 붙을 부) (: 고를 화) (: 한가지 동) ]
  • 내분(內紛) : 특정 조직이나 단체의 내부에서 자기편끼리 일으킨 분쟁. [ (: 안 내) (: 어지러울 분) ]
  • 동당벌이(同黨伐異) : 일의 옳고 그름은 따지지 않고 뜻이 같은 무리끼리는 서로 돕고 그렇지 않은 무리는 배척함. [ (: 한가지 동) (: 무리 당) (: 칠 벌) (: 다를 이) ]
  • 제설분분(諸說紛紛) : 여러 가지 의견(意見)이 뒤섞여 혼란(混亂)함. [ (: 모든 제) (: 말씀 설) (: 어지러울 분) (: 어지러울 분) ]

[혼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제설분분 획순 이미지 제설분분(諸說紛紛) : 여러 가지 의견(意見)이 뒤섞여 혼란(混亂)함. [ (: 모든 제) (: 말씀 설) (: 어지러울 분) (: 어지러울 분) ]
  • 예실즉혼(禮失則昏) : 예의를 잃으면 정신이 흐리고 사리에 어두운 상태가 됨. [ (: 잃을 실) (: 곧 즉) (: 어두울 혼) ]
  • 파용운란(波涌雲亂) : 물결이 용솟음치고, 구름이 어지럽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이 어지럽게 혼란(混亂)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물결 파) (: 샘솟을 용) (: 구름 운) (: 어지러울 란) ]
  • 예번즉란(禮煩則亂) : 예의가 너무 까다로우면 오히려 혼란하게 됨. [ (: 번거로울 번) (: 곧 즉) ]
  • 호사난상(胡思亂想) : 몹시 뒤엉키어 어수선하게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 (: 오랑캐 호) (: 생각할 사) (: 생각 상)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