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 11일 금요일

한자 窈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한자 窈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窈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 요명 (窈冥/窅冥) : 날이 어스레함.
  • 요애 (窈靄) : '요애하다'의 어근. (요애하다: 멀고 까마득하다.)
  • 요연 (窈然) : '요연하다'의 어근. (요연하다: 보이는 것이나 들리는 것이 희미하고 매우 멀다.)
  • 요조 (窈窕) : '요조하다'의 어근. (요조하다: 여자의 행동이 얌전하고 정숙하다.)
  • 요연히 (窈然히) : 보이는 것이나 들리는 것이 희미하고 매우 멀게.
  • 요명하다 (窈冥하다/窅冥하다) : 이치(理致)가 헤아릴 수 없이 깊다.
  • 요애하다 (窈靄하다) : 멀고 까마득하다.
  • 요연하다 (窈然하다) : 보이는 것이나 들리는 것이 희미하고 매우 멀다.
  • 요조숙녀 (窈窕淑女) : 말과 행동이 품위가 있으며 얌전하고 정숙한 여자.
  • 요조하다 (窈窕하다) : 여자의 행동이 얌전하고 정숙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窈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集에 관한 단어는 모두 974개

한자 集에 관한 단어는 모두 97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集에 관한 단어는 모두 974개

  • 집 (集) : '모아 엮은 책'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가집 (歌集) : 시가를 모아 엮은 책.
  • 가집 (家集) : 한집안 가족이나 조상들의 시문을 모아 엮은 책.
  • 개집 (改集) : 문서 따위를 고쳐 다시 모음.
  • 결집 (結集) : 한곳에 모여 뭉침. 또는 한곳에 모아 뭉침.
  • 고집 (古集) : 옛날의 시가ㆍ문장 따위를 모아 엮은 책.
  • 곡집 (曲集) : 악곡들을 일정한 목적에 따라 묶은 책.
  • 교집 (交集) : 이런저런 생각이 뒤얽히어 서림.
  • 구집 (驅集) : 물고기 따위를 몰아서 모음.
  • 구집 (鳩集) : 한데 모음.
  • 군집 (群集) : 사람이나 건물 따위가 한곳에 모임.
  • 김집 (金集) :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1574~1656). 자는 사강(士剛). 호는 신독재(愼獨齋). 김장생의 아들이며 지평ㆍ집의를 거쳐, 효종 때에 이조 판서가 되어 북벌을 계획하였으나, 김자점이 이 사실을 청나라에 밀고하자 관직을 사임하고 예학(禮學)을 연구하였다. 저서에 ≪신독재집≫이 있다.
  • 논집 (論集) : 논문을 모아서 엮은 책.
  • 매집 (買集) : 물건을 사서 모음.
  • 모집 (募集) : 사람이나 작품, 물품 따위를 일정한 조건 아래 널리 알려 뽑아 모음.
  • 무집 (霧集) : 사람이 안개처럼 많이 모여듦.
  • 문집 (文集) : 시나 문장을 모아 엮은 책.
  • 밀집 (密集) : 빈틈없이 빽빽하게 모임.
  • 별집 (別集) : 서책을 내용에 따라 분류할 때에, 개인의 시문집을 이르는 말.
  • 분집 (坌集) : 복잡하게 무더기로 모여듦.
  • 사집 (四集) : 사방에서 모여듦.
  • 사집 (私集) : 개인의 문집(文集)이나 시집(詩集).
  • 사집 (四集) : 불교를 배우는 데에 필요한 기본적인 네 과목. 사미과(沙彌科) 다음에 배우는 과목으로 서장(書狀), 도서(都序), 선요(禪要), 절요(節要)이다.
  • 상집 (翔集) : 날아와 모임.
  • 선집 (選集) :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의 작품 가운데서 어떤 기준에 따라 몇 작품을 모아 엮은 책.
  • 소집 (召集) : 국가 비상사태나 교육 훈련 따위를 위하여, 국가가 병역 의무자 가운데 예비역, 보충역 또는 전시 근로역에 대하여 현역 복무 이외의 군 복무 의무를 부가하는 행정 행위.
  • 속집 (續集) : 본디 있던 서책에 잇대어 수집하여 펴낸 문집이나 시집.
  • 수집 (蒐集) : 취미나 연구를 위하여 여러 가지 물건이나 재료를 찾아 모음. 또는 그 물건이나 재료.
  • 수집 (粹集) : 고갱이만 뽑아 모음.
  • 수집 (收集) : 거두어 모음.
  • 습집 (拾集) : 하나하나 주워 모음.
  • 시집 (詩集) : 여러 편의 시를 모아서 엮은 책.
  • 신집 (新集) : 새로 모음.
  • 신집 (新集) : 고구려 영양왕 11년(600)에 이문진이 펴낸 고구려 역사서. 100권으로 되었던 ≪유기(留記)≫를 간추려 5권으로 요약하여 펴냈다고 하나, 전하지 않는다.
  • 안집 (安集) : 평안하고 화목하게 함.
  • 야집 (野集) : 질서 없이 떼를 지어 모임.
  • 어집 (語集) : 어휘를 모아 실은 책.
  • 연집 (讌集) : 기쁜 일이 있을 때에 음식을 차려 놓고 여러 사람이 모여 즐기는 일.
  • 오집 (烏集) : 까마귀같이 질서 없고 규칙이 없이 모임.
  • 우집 (虞集) : 중국 원나라의 학자(1272~1348). 자는 백생(伯生). 호는 도원(道園)ㆍ소암(邵庵). 인종과 문종을 섬기고, ≪경세대전≫ㆍ≪조종실록(祖宗實錄)≫ 등 많은 대전(大典)의 편집을 주재하였다. 저서에 ≪도원학고록(道園學古錄)≫ 50권이 있다.
  • 운집 (雲集) : 구름처럼 모인다는 뜻으로, 많은 사람이 모여듦을 이르는 말.
  • 위집 (蝟集) : 고슴도치의 털같이 사물이 한꺼번에 번잡하게 모여듦을 이르는 말.
  • 유집 (誘集) : 꾀어 모이게 함.
  • 유집 (遺集) : 죽은 사람이 생전에 써서 남긴 원고를 모아 묶은 책.
  • 윤집 (尹集) : 조선 인조 때의 충신(1606~1637). 자는 성백(成伯). 호는 임계(林溪)ㆍ고산(高山). 병자호란 때의 삼학사의 한 사람으로, 벼슬은 교리(校理)에 이르렀으며, 인조 15년(1637)에 척화론자로 몰려 중국 청나라에 잡혀가 선양(瀋陽)에서 살해되었다.
  • 윤집 (閏集) : 원본에서 빠진 글을 따로 모아 엮은 문집.
  • 응집 (應集) : 명령이나 요구 따위에 응하여 모임.
  • 응집 (凝集) : 한군데에 엉겨서 뭉침.
  • 의집 (蟻集) : 개미가 모임.
  • 이집 (李集) : 조선 영조 때의 학자(1672~1747). 자는 백생(伯生). 호는 세심재(洗心齋)ㆍ수월헌(水月軒). 예론(禮論)에 밝았으며, 이인좌의 난에 공을 세워 벼슬을 하사받았으나 거절하고 학문에만 전심하였다. 저서에 ≪종심록(從心錄)≫이 있다.
  • 이집 (李集) : 고려 시대의 문인(1314~1387). 초명은 원령(元齡). 자는 호연(浩然). 호는 둔촌(遁村). 이색(李穡)ㆍ정몽주ㆍ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하였으며, 신돈(辛旽)에게 미움을 받아 은퇴하여 은둔 생활을 하였다. 작품에 시집 ≪둔촌 잡영(遁村雜詠)≫이 있다.
  • 적집 (積集) : 쌓여 모임. 또는 쌓아서 모음.
  • 전집 (前集) : 전에 가리어 모은 시집이나 문집.
  • 전집 (全集) : 한 사람 또는 같은 시대나 같은 종류의 저작(著作)을 한데 모아 한 질로 출판한 책.
  • 주집 (注集) : 한군데로 쏟아부음.
  • 주집 (湊集) : 모이거나 모여듦.
  • 집거 (集居) : 일정한 지역에 모여 삶.
  • 집결 (集結) : 한군데로 모이거나 모여 뭉침. 또는 한군데로 모으거나 모아 뭉치게 함.
  • 집계 (集計) : 이미 된 계산들을 한데 모아서 계산함. 또는 그런 계산.
  • 집광 (集光) : 렌즈나 거울을 써서 빛을 한곳에 모음.
  • 집괴 (集塊) : 뭉쳐서 이루어진 덩이.
  • 집교 (集交) : 둘 이상의 직선이나 곡선이 같이 지나는 점.
  • 집구 (集句) : 옛사람들이 지은 글귀를 모아서 새 시를 만듦. 또는 그 시.
  • 집권 (集權) : 권력을 한군데로 모음.
  • 집귀 (集句) : → 집구. (집구: 옛사람들이 지은 글귀를 모아서 새 시를 만듦. 또는 그 시.)
  • 집금 (集金) : 돈을 거두어 모음. 또는 그 돈.
  • 집녕 (集寧) : → 지닝. (지닝: 중국 네이멍구(內蒙古) 자치구 동남부에 있는 도시. 베이징 서북쪽 약 300km 지점에 위치하고, 중국ㆍ몽골ㆍ모스크바에 이르는 국제 선로의 역이 있으며 교통ㆍ상업의 중심지이다.)
  • 집단 (集團) : 여럿이 모여 이룬 모임.
  • 집대 (集大) : 모여 커짐.
  • 집락 (集落) : 모집단을 이루는 작은 집단의 낱낱을 이르는 말.
  • 집래 (集來) : 여럿이 어떤 범위 안을 향하여 옴.
  • 집록 (輯錄/集錄) : 여러 책에서 모아 기록함. 또는 그런 기록.
  • 집모 (集募) : 사람이나 작품, 물품 따위를 일정한 조건 아래 널리 알려 뽑아 모음.
  • 집배 (集配) : 한군데로 모아서 배달함. 우편물이나 화물 따위를 모아서 주소지로 배달하는 따위를 이른다.
  • 집복 (集福) : 복과 덕을 불러 모음.
  • 집부 (集部) : 중국 고전을 경(經), 사(史), 자(子), 집(集)의 네 부로 나눌 때 집에 속하는 부류. 문집, 시집 따위가 이에 속한다.
  • 집산 (集散) : 모여들었다 흩어졌다 함.
  • 집서 (集緖) : 여러 오리의 고치실을 모아 합치는 일.
  • 집성 (集成) : 여러 가지를 모아서 체계 있는 하나를 이룸.
  • 집속 (集束) : 모아서 묶음.
  • 집수 (集水) : 한곳으로 물이 모임. 또는 그렇게 모이게 함.
  • 집시 (集矢) : 여러 화살에 집중적으로 맞는다는 뜻으로, 뭇사람의 지탄을 받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집안 (集安) : 중국 길림성(吉林省)에 있는 도시. 압록강 중류 북쪽 기슭에 있으며, 농산물의 집산지이다. 광개토 대왕릉비를 비롯한 고구려 유적이 남아 있다.
  • 집약 (集約) : 한데 모아서 요약함.
  • 집어 (集魚) : 고기 떼를 모으는 일.
  • 집영 (集英) : 인재(人材)를 모음. 또는 그 인재.
  • 집운 (集韻) : 중국의 음운서. 송나라 인종 때에 정도(丁度), 계숙(季淑) 등이 황제의 명에 따라 편찬하였으며, 정도의 사후에 사마광(司馬光)이 계승하여 1066년에 완성하였다. 절운계(切韻系) 운서의 체재를 따랐으며 206운(韻)으로 나뉘고 자수(字數)는 5만 3525자이다. 10권.
  • 집의 (集義) : 마음속에 쌓아 둔 정의(正義).
  • 집의 (集議) : 함께 모여 상의함.
  • 집자 (集字) : 문헌에서 필요한 글자를 찾아 모음.
  • 집재 (集材) : 나무를 베는 일터에서 베어 넘긴 나무를 나르기 위하여 한곳에 모으는 일.
  • 집적 (集積) : 주가(株價)가 올라갈 때의 거래량이 내려갈 때의 거래량보다 계속해서 많은 상태.
  • 집적 (集積) : 모아서 쌓음.
  • 집제 (集諦) : 사제의 하나. 괴로움의 원인은 끝없는 애집(愛執)에 있다는 진리를 이른다.
  • 집주 (集注) : 한곳으로 모아들임.
  • 집주 (集註) : 여러 사람의 주석을 한데 모음. 또는 그런 책.
  • 집중 (集中) : 한곳을 중심으로 하여 모임. 또는 그렇게 모음.
  • 집진 (集塵) : 가스에 섞인 먼지 따위를 분리하여 잡아내는 일.
  • 집찰 (集札) : 차표나 입장권 따위를 출구에서 거두어 모음.


https://dict.wordrow.kr에서 集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