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24일 토요일

무소기탄: 無所忌憚

무소기탄 (無所忌憚) : 아무 꺼릴 바가 없음.



無所忌憚 한자 뜻 풀이

  • 無(없을 무) : 없다, 허무의 도(道), 무엇, 비록 …하더라도, 발어사(發語辭).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舞'를 만듦. ◎ 效(효) 채찍질하여 배우고 '본받게하다'는 의미 생성
  • 所(바 소) : 곳, 경우, 도리, 관아(官衙), 바.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하는 바'의 뜻으로 쓰이거나 '장소'의 의미로 사용됨
  • 忌(꺼릴 기) : 꺼리다, 미워하다, 질투하다, 두려워하다, 기(忌). 마음속으로 두려워하여 멀리하고 미워한다는 의미에서 '꺼리다'는 뜻을 생성함. '己(기)'는 발음
  • 憚(꺼릴 탄) : 꺼리다, 괴로워하다, 두려워하다, 수고롭다, 탐하다. 곤란함에 대해 꺼리어 싫어하다는 의미. '單(단)'은 발음요소


[忌] 꺼릴 기 (꺼리다, 미워하다, 질투하다, 두려워하다, 기(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영웅기인 획순 이미지 영웅기인(英雄忌人) : 영웅은 다른 뛰어난 사람을 꺼린다는 말. [ (: 꽃부리 영) (: 수컷 웅) (: 꺼릴 기) (: 사람 인) ]
  • 무소기탄(無所忌憚) : 아무 꺼릴 바가 없음. [ (: 없을 무) (: 바 소) (: 꺼릴 기) (: 꺼릴 탄) ]
  • 방자무기(放恣無忌) : 건방지고 거리낌이 없음. [ (: 놓을 방) (: 방자할 자) (: 없을 무) (: 꺼릴 기) ]
  • 호질기의(護疾忌醫) : 병을 숨겨 의사에게 보여 주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에게 충고받기를 꺼려 자신의 잘못을 숨기려 함을 이르는 말. [ (: 보호할 호) (: 병 질) (: 꺼릴 기) (: 의원 의) ]
  • 무소고기(無所顧忌) : 아무 꺼릴 바가 없음. [ (: 없을 무) (: 바 소) (: 돌아볼 고) (: 꺼릴 기) ]

[憚] 꺼릴 탄 (꺼리다, 괴로워하다, 두려워하다, 수고롭다, 탐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과즉물탄개 획순 이미지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 잘못을 했을 때, 이를 즉시 고침. [ (: 지날 과) (: 곧 즉) (: 말 물) (: 꺼릴 탄) (: 고칠 개) ]
  • 무소기탄(無所忌憚) : 아무 꺼릴 바가 없음. [ (: 없을 무) (: 바 소) (: 꺼릴 기) (: 꺼릴 탄) ]

[所] 바 소 (곳, 경우, 도리, 관아(官衙), 바)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재재소소 획순 이미지 재재소소(在在所所) : 이곳저곳 또는 여기저기. [ (: 있을 재) (: 있을 재) (: 바 소) (: 바 소) ]
  • 전처소생(前妻所生) : 전처의 몸에서 난 자식. [ (: 앞 전) (: 아내 처) (: 바 소) (: 날 생) ]
  • 무소가취(無所可取) : 취할 만한 데가 없음. 또는 쓸모가 없음. [ (: 없을 무) (: 바 소) (: 옳을 가) (: 취할 취) ]
  • 타인소시(他人所視) : 남이 보는 바. [ (: 다를 타) (: 사람 인) (: 바 소) (: 볼 시) ]
  • 영업소기(榮業所基) : (이상(以上)과 같이 잘 지키면)번성(繁盛)하는 기본(基本)이 됨. [ (: 영화 영) (: 업 업) (: 바 소) (: 터 기) ]

[無] 없을 무 (없다, 허무의 도(道), 무엇, 비록 …하더라도, 발어사(發語辭))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속수무책 획순 이미지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 묶을 속) (: 손 수) (: 없을 무) (: 꾀 책) ]
  • 무하지증(無何之症) : 병명을 몰라서 고칠 수 없는 병. [ (: 없을 무) (: 어찌 하) (: 갈 지) (: 증세 증) ]
  • 무위무사(無爲無事) : (1)하는 일이 없어서 탈도 없음. (2)하는 일도 없고 할 일도 없음. [ (: 없을 무) (: 할 위) (: 없을 무) (: 일 사) ]

[의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 묶을 속) (: 손 수) (: 없을 무) (: 꾀 책) ]
  • 공전절후(空前絶後)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 빌 공) (: 앞 전) (: 끊을 절) (: 뒤 후) ]
  • 우이독경(牛耳讀經) : 쇠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 (: 소 우) (: 귀 이) (: 읽을 독) (: 지날 경) ]
  • 백불일실(百不一失) :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 (: 일백 백) (: 아니 불) (: 한 일) (: 잃을 실)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