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14일 일요일

한자 曳에 관한 단어는 모두 48개

한자 曳에 관한 단어는 모두 4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曳에 관한 단어는 모두 48개

  • 견예 (牽曳) : 끌어서 당김.
  • 예로 (曳撈) : 씨앗을 뿌린 뒤에 씨앗이 흙에 덮이게 하는 농기구. 가마니때기에 두 가닥의 줄을 매고 위에 뗏장을 놓고 끈다.
  • 예망 (曳網) : 어구를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시간 동안 끌어서 어획하는 그물류. 저층ㆍ중층ㆍ표층 예망류 따위가 있다.
  • 예백 (曳白) : 지필(紙筆)을 손에 들고서도 시문을 짓지 못함. 중국 당나라의 장석(張奭)이 하루 종일 글을 짓지 못하고 임금 앞에 백지를 내놓은 고사에서 유래한다.
  • 예삭 (曳索) : 배에 그물을 달아 끄는 줄.
  • 예선 (曳船) : 강력한 기관을 가지고 다른 배를 끌고 가는 배.
  • 예인 (曳引) : 끌어서 당김.
  • 예항 (曳航) : 다른 선박이나 물건을 끌고 항해함. 또는 그런 항해.
  • 예행 (曳行) : 끌고 감.
  • 요예 (搖曳) : 흔들흔들 움직임.
  • 만예력 (挽曳力) : 사람이나 마소가 수레를 끄는 힘.
  • 사예거 (斜曳裾) : 춘앵전에서, 오른쪽으로 두 장단 나갔다 들어오고 왼쪽으로 두 장단 나갔다 들어오는 춤사위.
  • 선예망 (旋曳網) : 그물의 하나. 크고 기다란 띠 모양의 그물로서 물속에 수직으로 둘러친 다음에 미리 장치해 둔 주머니 끈 모양의 죔줄을 졸라매어, 고기 떼가 달아나지 못하게 하여 차차 죄어 가며 고기를 잡는다.
  • 예광선 (曳光線) : 어두운 곳에서 불빛이 그리는 선.
  • 예광탄 (曳光彈) : 총포에서 발사되었을 때 앞부분에서 빛을 내며 날아가게 한 탄알. 신호하거나 목표물을 지시하는 데에 쓴다.
  • 예망류 (曳網類) : 어구를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시간 동안 끌어서 어획하는 그물류. 저층ㆍ중층ㆍ표층 예망류 따위가 있다.
  • 예선기 (曳線器) : 전깃줄을 팽팽히 잡아 늘이는 데에 쓰는, 강철로 만든 기구.
  • 예선등 (曳船燈) : 다른 배를 끌고 갈 때 배의 고물에 켜는 황색 등.
  • 예인기 (曳引機) : 다른 항공기를 끌고 가는 항공기.
  • 예인선 (曳引船) : 강력한 기관을 가지고 다른 배를 끌고 가는 배.
  • 예항력 (曳航力) : 다른 선박이나 물건을 끌고 항해하는 힘.
  • 지예망 (地曳網) : 강이나 바다에 넓게 둘러치고 여러 사람이 두 끝을 끌어당겨 물고기를 잡는 큰 그물.
  • 견예하다 (牽曳하다) : 끌어서 당기다.
  • 도중예미 (塗中曳尾) : 진흙 속에 꼬리를 끌고 다닌다는 뜻으로, 은거 생활의 자유로움을 이르는 말. 거북이 죽은 뒤에 그 등껍질이 점치는 데 귀하게 쓰이는 것보다는 살아서 꼬리를 진흙 속에 끌고 다니는 것이 더 좋은 것처럼 벼슬하여 속박을 받기보다는 은거하여 자유롭게 사는 것이 더 낫다고 한 장자(莊子)의 말에서 유래하였다.
  • 두발부리 (頭髮扶曳) : 머리털을 끌어 잡고 휘두르며 싸움.
  • 두발부예 (頭髮扶曳) : 머리털을 끌어 잡고 휘두르며 싸움.
  • 예망하다 (曳網하다) : 물에 잠긴 그물을 끌어당기다.
  • 예백하다 (曳白하다) : 지필(紙筆)을 손에 들고서도 시문을 짓지 못하다. 중국 당나라의 장석(張奭)이 하루 종일 글을 짓지 못하고 임금 앞에 백지를 내놓은 고사에서 유래한다.
  • 예선되다 (曳船되다) : 강력한 기관을 가지고 있는 배에 다른 배가 끌려가다.
  • 예선하다 (曳船하다) : 강력한 기관을 가지고 있는 배가 다른 배를 끌고 가다.
  • 예인하다 (曳引하다) : 끌어서 당기다.
  • 예항하다 (曳航하다) : 다른 선박이나 물건을 끌고 항해하다.
  • 예행하다 (曳行하다) : 끌고 가다.
  • 요예하다 (搖曳하다) : 흔들흔들 움직이다.
  • 두발부리하다 (頭髮扶曳하다) : 머리털을 끌어 잡고 휘두르며 싸우다.
  • 두발부예하다 (頭髮扶曳하다) : 머리털을 끌어 잡고 휘두르며 싸우다.
  • 지예망 어업 (地曳網漁業) : 배로 그물을 연안의 얕은 바다에 둘러쳐 놓고 그물 양쪽의 끝줄을 바닷가로 끌어 올리는 고기잡이.
  • 예광 탄알 (曳光彈알) : 총포에서 발사되었을 때 앞부분에서 빛을 내며 날아가게 한 탄알. 신호하거나 목표물을 지시하는 데에 쓴다.
  • 예광 탄환 (曳光彈丸) : 총포에서 발사되었을 때 앞부분에서 빛을 내며 날아가게 한 탄알. 신호하거나 목표물을 지시하는 데에 쓴다.
  • 예망 어업 (曳網漁業) : 얕은 바다에 사는 도미, 가오리, 상어 따위를 배의 힘으로 그물을 당기면서 잡는 어업. 기선 저인망 어업, 저인망 어업, 권현망 어업 따위가 있다.
  • 예인 표적 (曳引標的) : 이동 목표물에 대한 포 사격 훈련 때에 비행기, 배 따위로 끌고 다닐 수 있도록 만든 표적.
  • 예행 비행 (曳行飛行) : 글라이더를 활공(滑空)시킬 때 비행기의 뒤에 달고 비행하는 일.
  • 저층 예망 (底層曳網) : 바다 밑바닥으로 끌고 다니면서 깊은 바닷속의 물고기를 잡는 그물.
  • 기선 저예망 (汽船底曳網) : 기선으로 작업하는 홀치기. 명태, 대구, 도루묵, 임연수어, 잡어 따위를 잡는 데 쓴다.
  • 철갑 예광탄 (鐵甲曳光彈) : 쏘면 밝은 불빛을 내며 날아가는 철갑탄.
  • 저층 예망 어업 (底層曳網漁業) : 저인망을 써서 깊은 곳에 있는 물고기를 잡는 방법의 어업.
  • 철갑 소이 예광탄 (鐵甲燒夷曳光彈) : 총포탄을 막기 위하여 강철판을 덧싼 목표물이나 석유 저장 탱크를 파괴하거나 태워 버리는 데 쓰는, 밝은 불빛을 내는 탄환.
  • 철갑 축사 예광탄 (鐵甲縮射曳光彈) : 탄환의 무게를 가볍게 하여 빨리 날아갈 수 있도록 만든 철갑탄. 주로 대전차용으로 사용되는 탄으로, 앞에 날카로운 단심이 있어 고속 운동 에너지로 탱크의 장갑을 뚫고 들어간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曳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售에 관한 단어는 모두 8개

한자 售에 관한 단어는 모두 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售에 관한 단어는 모두 8개

  • 매수 (買售) : 물건을 팔고 사는 일.
  • 발수 (發售) : 상품이나 증권 따위를 내어 팖. 또는 그것을 팔기 시작함.
  • 출수 (出售) : 물건을 내어서 팔기 시작함.
  • 매수되다 (買售되다) : 물건이 팔리고 구매되다.
  • 매수하다 (買售하다) : 물건을 팔고 사다.
  • 발수되다 (發售되다) : 상품이나 증권 따위가 나와 팔리다. 또는 그것이 팔리기 시작하다.
  • 발수하다 (發售하다) : 상품이나 증권 따위를 내어 팔다. 또는 그것을 팔기 시작하다.
  • 출수하다 (出售하다) : 물건을 내어서 팔기 시작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售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邱에 관한 단어는 모두 26개

한자 邱에 관한 단어는 모두 26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邱에 관한 단어는 모두 26개

  • 구 (邱)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주요 본관은 은진(恩津)이 현존한다.
  • 구보 (邱報) : 조선 시대에, 지방 관아에서 서울로 파견된 경주인이 조보(朝報)를 베껴서 중앙의 소식을 각기 자기 지방에 알리던 일. 또는 그렇게 베낀 종이. 오늘날의 신문 구실을 하였다.
  • 대구 (大邱) : 영남 지방의 중앙부에 있는 광역시. 섬유 공업을 비롯한 각종 공업이 활발하며, 특히 사과 산지로 유명하다. 동화사, 달성 공원, 수성 유원지, 팔공산(八公山) 따위의 명승지가 있다. 면적은 884.41㎢.
  • 상구 (商邱) : → 상추. (상추: 중국 허난성(河南省) 동부에 있는 도시. 화베이평야(華北平野)의 중심지로 교통의 요충지이며, 식품ㆍ기계ㆍ자동차 공업이 발달하였다. 주변에서 생산하는 농산물의 집산지이기도 하다.)
  • 청구 (靑丘/靑邱) : 예전에, 중국에서 우리나라를 이르던 말.
  • 대구선 (大邱線) : 대구를 기점으로 금호강의 연안을 따라 중앙선의 영천을 잇는 철도. 1918년 10월에 개통되었다. 길이는 38.4km.
  • 대구탕 (大邱湯) : 대구식(大邱式)으로 끓인 장국밥. 주로 곱창, 곤자소니, 양 따위를 푹 고아 고운 고춧가루를 많이 쳐서 맵게 만든다.
  • 청구도 (靑邱圖) : 조선 순조 34년(1834)에 김정호(金正浩)가 만든 우리나라 지도. 세로줄과 가로줄을 넣어서 만든 신식 지도이다. 2책.
  • 구보하다 (邱報하다) : 조선 시대에, 지방 관아에서 서울로 파견된 경주인이 조보(朝報)를 베껴서 중앙의 소식을 각기 자기 지방에 알리다. 오늘날의 신문 구실을 하였다.
  • 대구탕반 (大邱湯飯) : 대구식(大邱式)으로 끓인 장국밥. 주로 곱창, 곤자소니, 양 따위를 푹 고아 고운 고춧가루를 많이 쳐서 맵게 만든다.
  • 대구평야 (大邱平野) : 낙동강의 지류인 금호강 유역에 펼쳐진 평야. 경상북도 제일의 쌀 경작지로서 쌀, 보리, 콩, 사과 따위가 난다.
  • 일구일학 (一邱一壑) : 한 언덕과 한 골짜기라는 뜻으로, 은자(隱者)가 사는 곳을 이르는 말.
  • 청구가요 (靑邱歌謠) : 조선 영조 45년(1769)에 김수장(金壽長)이 77수의 시조를 모아 엮은 가요집. ≪해동가요≫의 권말에 수록되어 있다.
  • 청구야담 (靑邱野談) : 조선 후기의 한문본 야담 소설집. 민담, 야담 따위를 소설체로 기록한 것으로, 18~19세기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20책.
  • 대구광역시 (大邱廣域市) : '대구'를 광역시로 이르는 이름. 경북 달성군을 관할 구역으로 편입하였다. (대구: 영남 지방의 중앙부에 있는 광역시. 섬유 공업을 비롯한 각종 공업이 활발하며, 특히 사과 산지로 유명하다. 동화사, 달성 공원, 수성 유원지, 팔공산(八公山) 따위의 명승지가 있다. 면적은 884.41㎢.)
  • 대구돌나물 (大邱돌나물) : 돌나물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2~6cm이며 잎은 돌나물과 비슷하나 두 개의 잎이 마주나고 흰 꽃이 핀다. 습지에 자라는데 한국, 일본, 유럽, 북미 등지에 분포한다.
  • 청구선표도 (靑邱線表圖) : 조선 순조 34년(1834)에 김정호(金正浩)가 만든 우리나라 지도. 세로줄과 가로줄을 넣어서 만든 신식 지도이다. 2책.
  • 대구 분지 (大邱盆地) : 영남 지방의 낙동강 중류와 그 지류인 금호강 유역 일대에 펼쳐진 분지. 쌀, 보리, 콩, 목화, 사과, 납작감 따위가 많이 난다. 중심 도시는 대구로 대부분의 지역이 주택지로 개발되었다.
  • 덕구 온천 (德邱溫泉)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덕구리에 있는 온천.
  •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 (大邱飛山洞靑銅器一括) : 1956년에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 유적에서 발견된 초기 철기 시대의 청동기 일괄 유물. 동검, 칼집 부속구, 동모, 동과, 소뿔 모양 동기 따위가 있다. 국보 제137호.
  • 대구 동화사 금당암 동서 삼층 석탑 (大邱桐華寺金堂庵東西三層石塔) : 대구광역시 동화사에 있는 두 기(基)의 탑. 동서로 세워진 양 탑으로, 두 탑 모두 이단의 기단(基壇)위에 삼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복원 공사 때 서쪽 탑에서 작은 탑 99개와 사리를 담아 두는 장치가 나왔다. 보물 제248호.
  • 대구 비산동 출토 동기류 (大邱飛山洞出土銅器類) : 1956년에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 유적에서 발견된 초기 철기 시대의 청동기 일괄 유물. 동검, 칼집 부속구, 동모, 동과, 소뿔 모양 동기 따위가 있다. 국보 정식 명칭은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이다. 국보 제137호.
  • 구마 고속 도로 (邱馬高速道路) : 중부 내륙 고속 도로의 내서 분기점에서 현풍 분기점까지의 일부 구간과 중부 내륙 고속 도로 지선을 합쳐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 대구 폭동 사건 (大邱暴動事件) : '대구십일폭동사건'의 전 용어. (대구 십 일 폭동 사건: 1946년 10월 1일에, 대구에서 좌익 세력이 미군정에 저항하여 일으킨 폭동 사건. 경남ㆍ충청ㆍ전라ㆍ경기 지방에까지 확산되어 이듬해 1월까지 소요가 계속되었다.)
  • 대구 부산 고속 도로 (大邱釜山高速道路) : 대구와 부산 사이를 잇는 고속 도로. 경부 고속 도로의 대구 이남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해 2001년 2월에 착공하여 2006년 1월에 개통하였다. 길이는 82.05km.
  • 대구 십 일 폭동 사건 (大邱十一暴動事件) : 1946년 10월 1일에, 대구에서 좌익 세력이 미군정에 저항하여 일으킨 폭동 사건. 경남ㆍ충청ㆍ전라ㆍ경기 지방에까지 확산되어 이듬해 1월까지 소요가 계속되었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邱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罔에 관한 단어는 모두 78개

한자 罔에 관한 단어는 모두 7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罔에 관한 단어는 모두 78개

  • 기망 (欺罔) : 남을 속여 넘김.
  • 망극 (罔極) : '망극하다'의 어근. (망극하다: 임금이나 어버이의 은혜가 한이 없다.)
  • 망극 (罔極) : 한이 없는 슬픔. 보통 임금이나 어버이의 상사(喪事)에 쓰는 말이다.
  • 망민 (罔民) : 백성을 속임.
  • 망사 (罔赦) : 용서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죄.
  • 망상 (罔象) : 물에 있는 귀신. 낯은 푸르고 몸과 털은 붉다고 한다.
  • 망수 (罔繡) : 벌집무늬가 되게 수놓는 법. 또는 그렇게 놓은 수.
  • 망야 (罔夜) : 밤을 새움.
  • 망조 (罔措) : 너무 당황하거나 급하여 어찌할 줄을 모르고 갈팡질팡함.
  • 망측 (罔測) : '망측하다'의 어근. (망측하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어그러져 어이가 없거나 차마 보기가 어렵다.)
  • 무망 (誣罔) : 남을 속여 넘김.
  • 천망 (天網/天罔) : 악한 사람을 잡기 위하여 하늘에 쳐 놓았다는 그물. 그물코가 크고 성기나 절대로 놓치는 일이 없다고 한다.
  • 침망 (侵罔) : 권력을 남용하고 기만함.
  • 한망 (罕罔) : 노끈이나 실, 쇠줄 따위로 여러 코의 구멍이 나게 얽은 물건. 날짐승이나 물고기 따위를 잡는 데 쓴다.
  • 망주야 (罔晝夜) : 밤낮을 가리지 아니하고 부지런히 일함.
  • 망측히 (罔測히) : 정상적인 상태에서 어그러져 어이가 없거나 차마 보기가 어렵게.
  • 경황망조 (驚惶罔措) : 놀라고 당황하여 어찌할 바를 모름.
  • 괴괴망측 (怪怪罔測) : 말할 수 없을 만큼 이상야릇함.
  • 괴상망측 (怪常罔測) : '괴상망측하다'의 어근. (괴상망측하다: 말할 수 없이 괴이하고 이상하다.)
  • 괴악망측 (怪惡罔測) : '괴악망측하다'의 어근. (괴악망측하다: 말할 수 없이 괴이하고 흉악하다.)
  • 군은망극 (君恩罔極) : 임금의 은혜가 그지없음.
  • 기괴망측 (奇怪罔測) : '기괴망측하다'의 어근. (기괴망측하다: 괴상하고 기이하여 느낌이 좋지 아니하다.)
  • 기구망측 (崎嶇罔測) : '기구망측하다'의 어근. (기구망측하다: 산길이 험하기 짝이 없다., 운수가 사납기 짝이 없다.)
  • 기군망상 (欺君罔上) : 임금을 속임.
  • 기망하다 (欺罔하다) : 남을 속여 넘기다.
  • 당황망조 (唐慌罔措) : 당황하여 어떤 행동이나 조치를 취하여야 할지 모름.
  • 망극지은 (罔極之恩) : 끝없이 베풀어 주는 혜택이나 고마움.
  • 망극지통 (罔極之痛) : 한이 없는 슬픔. 보통 임금이나 어버이의 상사(喪事)에 쓰는 말이다.
  • 망극하다 (罔極하다) : 임금이나 어버이의 은혜가 한이 없다.
  • 망극하다 (罔極하다) : 어버이나 임금에게 상서롭지 못한 일이 생기게 되어 지극히 슬프다.
  • 망민하다 (罔民하다) : 백성을 속이다.
  • 망사지죄 (罔赦之罪) : 용서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죄.
  • 망야도주 (罔夜逃走) : 밤을 새워서 달아남.
  • 망야하다 (罔夜하다) : 밤을 새우다.
  • 망유기극 (罔有紀極) : 기율(紀律)에 어그러짐이 매우 심함.
  • 망조하다 (罔措하다) : 너무 당황하거나 급하여 어찌할 줄을 모르고 갈팡질팡하다.
  • 망지소조 (罔知所措) : 너무 당황하거나 급하여 어찌할 줄을 모르고 갈팡질팡함.
  • 망측스레 (罔測스레) : 정상적인 상태에서 어그러져 어이가 없거나 차마 보기가 어려운 데가 있게.
  • 망측하다 (罔測하다) : 정상적인 상태에서 어그러져 어이가 없거나 차마 보기가 어렵다.
  • 무망하다 (誣罔하다) : 남을 속여 넘기다.
  • 수은망극 (受恩罔極) : 입은 은혜가 끝이 없음.
  • 애통망극 (哀痛罔極) : 그지없을 만큼 애통함.
  • 창황망조 (蒼黃罔措) : 너무 급하여 어찌할 수가 없음.
  • 천은망극 (天恩罔極) : 임금의 은혜가 한없이 두터움.
  • 초황망조 (焦惶罔措) : 초조하고 황급하여 어찌할 줄을 모름.
  • 침망하다 (侵罔하다) : 권력을 남용하고 기만하다.
  • 통운망극 (痛隕罔極) : 그지없이 슬픔.
  • 해괴망측 (駭怪罔測) : 말할 수 없이 괴상하고 야릇함.
  • 호천망극 (昊天罔極) : 어버이의 은혜가 넓고 큰 하늘과 같이 다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주로 부모의 제사에서 축문(祝文)에 쓰는 말이다.
  • 황황망극 (遑遑罔極) : '황황망극하다'의 어근. (황황망극하다: 황황하기 그지없다.)
  • 황황망조 (遑遑罔措) : 마음이 급하여 어찌할 줄을 모르고 허둥지둥함.
  • 흉악망측 (凶惡罔測) : 몹시 흉악함.
  • 망주야하다 (罔晝夜하다) : 밤낮을 가리지 아니하고 부지런히 일하다.
  • 망측스럽다 (罔測스럽다) : 정상적인 상태에서 어그러져 어이가 없거나 차마 보기가 어려운 데가 있다.
  • 해괴망측히 (駭怪罔測히) : 말할 수 없이 괴상하고 야릇하게.
  • 경황망조하다 (驚惶罔措하다) : 놀라고 당황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다.
  • 괴괴망측하다 (怪怪罔測하다) : 말할 수 없을 만큼 이상야릇하다.
  • 괴상망측하다 (怪常罔測하다) : 말할 수 없이 괴이하고 이상하다.
  • 괴악망측하다 (怪惡罔測하다) : 말할 수 없이 괴이하고 흉악하다.
  • 기괴망측하다 (奇怪罔測하다) : 괴상하고 기이하여 느낌이 좋지 아니하다.
  • 기구망측하다 (崎嶇罔測하다) : 산길이 험하기 짝이 없다.
  • 기군망상하다 (欺君罔上하다) : 임금을 속이다.
  • 당황망조하다 (唐慌罔措하다) : 당황하여 어떤 행동이나 조치를 취하여야 할지 모르다.
  • 망야도주하다 (罔夜逃走하다) : 밤을 새워서 달아나다.
  • 망유기극하다 (罔有紀極하다) : 기율(紀律)에 어그러짐이 매우 심하다.
  • 망지소조하다 (罔知所措하다) : 너무 당황하거나 급하여 어찌할 줄을 모르고 갈팡질팡하다.
  • 수은망극하다 (受恩罔極하다) : 입은 은혜가 끝이 없다.
  • 애통망극하다 (哀痛罔極하다) : 그지없을 만큼 애통하다.
  • 창황망조하다 (蒼黃罔措하다) : 너무 급하여 어찌할 수가 없다.
  • 천은망극하다 (天恩罔極하다) : 임금의 은혜가 한없이 두텁다.
  • 통운망극하다 (痛隕罔極하다) : 그지없이 슬프다.
  • 해괴망측하다 (駭怪罔測하다) : 말할 수 없이 괴상하고 야릇하다.
  • 호천망극하다 (昊天罔極하다) : 어버이의 은혜가 넓고 큰 하늘과 같이 다함이 없다. 주로 부모의 제사에서 축문(祝文)에 쓰이는 말이다.
  • 황황망극하다 (遑遑罔極하다) : 황황하기 그지없다.
  • 황황망조하다 (遑遑罔措하다) : 마음이 급하여 어찌할 줄을 모르고 허둥지둥하다.
  • 흉악망측스레 (凶惡罔測스레) : 몹시 흉악한 데가 있게.
  • 흉악망측하다 (凶惡罔測하다) : 몹시 흉악하다.
  • 흉악망측스럽다 (凶惡罔測스럽다) : 몹시 흉악한 데가 있다.


https://dict.wordrow.kr에서 罔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