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월 23일 일요일

사연설석: 肆筵設席

사연설석 (肆筵設席) : 자리를 베풀고 돗자리를 베푸니 연회(宴會)하는 좌석(座席)임.



肆筵設席 한자 뜻 풀이

  • 肆(방자할 사) : 방자(放恣)하다, 방자하다, 나머지, 악장(樂章) 이름, 제물(祭物).
  • 筵(대자리 연) : 대자리, 좌석, 곳, 장소, 대를 결어 만든 자리.
  • 設(베풀 설) : 베풀다, 베풀어 둔 것, 주연(酒宴), 차비하다, 크게 하다. 말로 설명하고 제시해서 일을 이루어내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베풀다'는 의미를 생성함
  • 席(자리 석) : 자리, 깔다, 앉음, 베풀다, 의뢰하다. 천[巾(건)]을 이용해 바닥에 까는 '자리'의 의미를 생성하고, 후에 '지위'의 의미까지 확대됨


[席] 자리 석 (자리, 깔다, 앉음, 베풀다, 의뢰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좌불안석 획순 이미지 좌불안석(坐不安席) : 앉아도 자리가 편안하지 않다는 뜻으로, 마음이 불안하거나 걱정스러워서 한군데에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하고 안절부절못하는 모양을 이르는 말. [ (: 앉을 좌) (: 아니 불) (: 편안할 안) (: 자리 석) ]
  • 장석친구(長席親舊) : 골목 어귀의 길가에 모여 막벌이를 하는 사람. [ (: 길 장) (: 자리 석) (: 친할 친) (: 옛 구) ]
  • 여좌침석(如坐針席) : 바늘방석에 앉은 것 같다는 뜻으로, 몹시 거북하고 불안함을 이르는 말. [ (: 같을 여) (: 앉을 좌) (: 바늘 침) (: 자리 석) ]
  • 사연설석(肆筵設席) : 자리를 베풀고 돗자리를 베푸니 연회(宴會)하는 좌석(座席)임. [ (: 방자할 사) (: 대자리 연) (: 베풀 설) (: 자리 석) ]
  • 야단법석(野壇法席) : 야외에서 크게 베푸는 설법의 자리. [ (: 들 야) (: 단 단) (: 법 법) (: 자리 석) ]

[筵] 대자리 연 (대자리, 좌석, 곳, 장소, 대를 결어 만든 자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연설석 획순 이미지 사연설석(肆筵設席) : 자리를 베풀고 돗자리를 베푸니 연회(宴會)하는 좌석(座席)임. [ (: 방자할 사) (: 대자리 연) (: 베풀 설) (: 자리 석) ]
  • 하수연(賀壽筵) : 수연(壽筵). [ (: 하례할 하) (: 목숨 수) (: 대자리 연) ]

[肆] 방자할 사 (방자(放恣)하다, 방자하다, 나머지, 악장(樂章) 이름, 제물(祭物))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연설석 획순 이미지 사연설석(肆筵設席) : 자리를 베풀고 돗자리를 베푸니 연회(宴會)하는 좌석(座席)임. [ (: 방자할 사) (: 대자리 연) (: 베풀 설) (: 자리 석) ]

[設] 베풀 설 (베풀다, 베풀어 둔 것, 주연(酒宴), 차비하다, 크게 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위인설관 획순 이미지 위인설관(爲人設官) : 어떤 사람을 채용하기 위하여 일부러 벼슬자리를 마련함. [ (: 할 위) (: 사람 인) (: 베풀 설) (: 벼슬 관) ]
  • 사연설석(肆筵設席) : 자리를 베풀고 돗자리를 베푸니 연회(宴會)하는 좌석(座席)임. [ (: 방자할 사) (: 대자리 연) (: 베풀 설) (: 자리 석) ]
  • 장래설계(將來設計) : 장래(將來)를 설계(設計)함. [ (: 장수 장) (: 올 래) (: 베풀 설) (: 셀 계) ]
  • 허위배설(虛位排設) : 신위(神位) 없이 제사를 지냄. [ (: 빌 허) (: 자리 위) (: 밀칠 배) (: 베풀 설) ]
  • 숙설차지(熟設次知) : 숙설청의 일을 맡아보던 사람. [ (: 익을 숙) (: 베풀 설) (: 버금 차) (: 알 지) ]

[宴會]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연설석 획순 이미지 사연설석(肆筵設席) : 자리를 베풀고 돗자리를 베푸니 연회(宴會)하는 좌석(座席)임. [ (: 방자할 사) (: 대자리 연) (: 베풀 설) (: 자리 석) ]
  • 치주고회(置酒高會) : 주연(酒宴)과 고상한 모임이라는 뜻으로, 성대한 주연(酒宴)을 베푸는 일, 또는 그 宴會를 이르는 말. [ (: 둘 치) (: 술 주) (: 높을 고) (: 모일 회) ]
  • 육산포림(肉山脯林) : 고기가 산을 이루고 포(脯)가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 몹시 사치스러운 잔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고기 육) (: 메 산) (: 포 포) (: 수풀 림) ]

[자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무고부진(無故不進) : 아무런 까닭 없이 나와야 할 자리에 나오지 않음. [ (: 없을 무) (: 예 고) (: 아닌가 부) (: 나아갈 진) ]
  • 온정정성(溫凊定省) : 자식이 효성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도리.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하며, 저녁에는 자리를 편히 마련하고, 아침에는 안부를 여쭙는 일을 이른다. [ (: 따뜻할 온) (: 서늘할 정) (: 정할 정) (: 살필 성) ]
  • 감언지지(敢言之地) : 거리낌 없이 말할 만한 자리나 처지. [ (: 감히 감) (: 말씀 언) (: 갈 지) (: 땅 지) ]
  • 계체지군(繼體之君) : 임금의 자리를 이어받을 황태자나 왕세자. [ (: 이을 계) (: 몸 체) (: 갈 지) (: 임금 군)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