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22일 화요일

적인자위지적: 賊仁者謂之賊

적인자위지적 (賊仁者謂之賊) : 인(仁)을 해(害)치는 자가 진짜 도적(盜賊)이라는 말.



賊仁者謂之賊 한자 뜻 풀이

  • 賊(도둑 적) : 도둑, 해치다, 죽이다, 훔치다, 으르다. 재물[貝]을 창[戈]으로 빼앗는다는 의미에서 '도적'의 의미 생성. '十'은 'ᄀ'의 입성 표현을 위해 사용
  • 仁(어질 인) : 어질다, 어진 이, 사람, 사람의 마음, 모든 덕(德)의 총칭. 집안에 여자가 있다는 의미에서 '편안하다'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다른 학설로 '제사 장소의 무녀(巫女)'라는 뜻으로 제사의 순조로운 진행의 의미에서 '편안하다' 뜻의 생성으로 봄
  • 者(놈 자) : 놈, 이, 때, …은, 조자(助字). 본래 장작불을 태우면서 제사지내는 모양에서 출발해, 후에 단순한 대명사로 전용되어 사용되고 있음
  • 謂(이를 위) : 이르다, 생각하다, 이름, 하다, 함께.
  • 之(갈 지)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賊(도둑 적) : 도둑, 해치다, 죽이다, 훔치다, 으르다. 재물[貝]을 창[戈]으로 빼앗는다는 의미에서 '도적'의 의미 생성. '十'은 'ᄀ'의 입성 표현을 위해 사용


[之] 갈 지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살활지권 획순 이미지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 문경지우(刎頸之友)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 목 벨 문) (: 목 경) (: 갈 지) (: 벗 우)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나무 목) (: 갈 지) (: 슬플 비) ]
  •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갈 지) (: 재주 재) ]
  • 자신지책(自身之策) : 자기(自己) 한 몸의 생활(生活)을 꾀해 나갈 계책(計策). [ (: 스스로 자) (: 몸 신) (: 갈 지) (: 꾀 책) ]

[仁] 어질 인 (어질다, 어진 이, 사람, 사람의 마음, 모든 덕(德)의 총칭)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취선보인 획순 이미지 취선보인(取善輔仁) : 선을 모으고 인을 돕는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선행을 본받아 자기의 인덕을 기르는 것처럼 친구의 유익함을 이르는 말. [ (: 취할 취) (: 착할 선) (: 도울 보) (: 어질 인) ]
  • 인자안인(仁者安仁) : 어진 사람은 천명을 알아 인(仁)에 만족하고 마음이 흔들리지 아니함. [ (: 어질 인) (: 놈 자) (: 편안할 안) (: 어질 인) ]
  • 연저지인(吮疽之仁) :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오기라는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 (: 빨 연) (: 등창 저) (: 갈 지) (: 어질 인) ]
  • 인자요산(仁者樂山) : 어진 사람은 의리에 만족하여 몸가짐이 무겁고 덕이 두터워 그 마음이 산과 비슷하므로 자연히 산을 좋아함. [ (: 어질 인) (: 놈 자) (: 좋아할 요) (: 메 산) ]
  • 인언이박(仁言利博) : 어진 말은 이로움이 넓다는 뜻으로, 인덕(仁德)이 있는 사람의 말은 널리 대중에게까지 이익을 미친다는 의미. [ (: 어질 인) (: 말씀 언) (: 넓을 박) ]

[者] 놈 자 (놈, 이, 때, …은, 조자(助字))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자심상빈 획순 이미지 사자심상빈(奢者心常貧) : 사치하는 사람은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뜻으로, 사치를 좋아하는 사람은 만족할 줄 몰라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의미. [ (: 사치할 사) (: 놈 자) (: 마음 심) (: 항상 상) (: 가난할 빈) ]
  • 빈자일등(貧者一燈) :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 가난할 빈) (: 놈 자) (: 한 일) (: 등불 등) ]
  • 인자안인(仁者安仁) : 어진 사람은 천명을 알아 인(仁)에 만족하고 마음이 흔들리지 아니함. [ (: 어질 인) (: 놈 자) (: 편안할 안) (: 어질 인) ]

[謂] 이를 위 (이르다, 생각하다, 이름, 하다, 함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명지위성 획순 이미지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 : 하늘이 하늘의 본성(天道)을 만물(萬物)에게 부여(附與)해준 것을 본성(本性)이라고 한다. [ (: 하늘 천) (: 목숨 명) (: 갈 지) (: 이를 위) (: 성품 성) ]
  • 솔성지위도(率性之謂道) :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말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하늘로부터 받은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리라고 말한다는 <중용(中庸)>의 가치. [ (: 거느릴 솔) (: 성품 성) (: 갈 지) (: 이를 위) (: 길 도) ]
  • 사친여차가위인자(事親如此可謂人子) : 어버이 섬기기를 이와 같이 하면 가히 사람의 자식(子息)이라 이를 것임. [ (: 일 사) (: 친할 친) (: 같을 여) (: 이 차) (: 옳을 가) (: 이를 위) (: 사람 인) (: 아들 자) ]
  • 적인자위지적(賊仁者謂之賊) : 인(仁)을 해(害)치는 자가 진짜 도적(盜賊)이라는 말. [ (: 도둑 적) (: 어질 인) (: 놈 자) (: 이를 위) (: 갈 지) (: 도둑 적) ]
  • 색용필장시위구용(色容必莊是謂九容) : 얼굴 모습은 반드시 씩씩하게 해야하니 이것을 구용(九容)이라 함. [ (: 빛 색) (: 얼굴 용) (: 반드시 필) (: 엄숙할 장) (: 옳을 시) (: 이를 위) (: 아홉 구) (: 얼굴 용) ]

[賊] 도둑 적 (도둑, 해치다, 죽이다, 훔치다, 으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개문납적 획순 이미지 개문납적(開門納賊) : 문을 열어 도둑이 들어오게 한다는 뜻으로, 제 스스로 화를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 (: 열 개) (: 문 문) (: 들일 납) (: 도둑 적) ]
  • 적출관문(賊出關門) : 도둑이 나간 뒤에 문을 닫는다는 뜻으로,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의미. [ (: 도둑 적) (: 날 출) (: 빗장 관) (: 문 문) ]
  • 만고역적(萬古逆賊) : 세상에 비길 데 없이 괘씸한 역적. [ (: 일만 만) (: 예 고) (: 거스를 역) (: 도둑 적) ]

[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혼비중천 획순 이미지 혼비중천(魂飛中天)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 넋 혼) (: 날 비) (: 가운데 중) (: 하늘 천) ]
  • 치망순역지(齒亡脣亦支) :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있던 것이 없어져서 불편(不便)하더라도 없는 대로 참고 살아간다는 말. [ (: 이 치) (: 잃을 망) (: 입술 순) (: 또 역) (: 가를 지) ]
  • 우문현답(愚問賢答)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 어리석을 우) (: 물을 문) (: 어질 현) (: 대답할 답) ]
  • 두구탄성(杜口呑聲) : 입을 닫고 소리를 삼킨다는 뜻으로, 입 다물고 말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 [ (: 팥배나무 두) (: 입 구) (: 삼킬 탄) (: 소리 성) ]
  • 어언박과(語言薄過) : 대단하지 아니한 말의 허물. [ (: 말씀 어) (: 말씀 언) (: 엷을 박) (: 지날 과) ]

[도적]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적반하장 획순 이미지 적반하장(賊反荷杖) :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아무 잘못도 없는 사람을 나무람을 이르는 말. [ (: 도둑 적) (: 돌이킬 반) (: 멜 하) (: 지팡이 장) ]
  • 적인자위지적(賊仁者謂之賊) : 인(仁)을 해(害)치는 자가 진짜 도적(盜賊)이라는 말. [ (: 도둑 적) (: 어질 인) (: 놈 자) (: 이를 위) (: 갈 지) (: 도둑 적) ]
  • 문불야관(門不夜關) : 문은 밤에 잠그지 않는다는 뜻으로, 도적이 없어 문을 잠그지 않는 태평성대(太平聖代 )의 세상이라는 의미. [ (: 문 문) (: 아니 불) (: 밤 야) (: 빗장 관) ]

[진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진면목 획순 이미지 진면목(眞面目) : 본디부터 지니고 있는 그대로의 상태. [ (: 참 진) (: 낯 면) (: 눈 목) ]
  • 롱가성진(弄假成眞) : (1)장난삼아 한 것이 진심으로 한 것같이 됨. (2)'농가성진'의 북한어. [ (: 거짓 가) (: 이룰 성) (: 참 진) ]
  • 토우목마(土牛木馬) : 흙으로 만든 소와 나무로 만든 말이라는 뜻으로, 겉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는 것처럼, 가문이 좋을 뿐 아무 재능이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흙 토) (: 소 우) (: 나무 목) (: 말 마) ]
  • 적인자위지적(賊仁者謂之賊) : 인(仁)을 해(害)치는 자가 진짜 도적(盜賊)이라는 말. [ (: 도둑 적) (: 어질 인) (: 놈 자) (: 이를 위) (: 갈 지) (: 도둑 적) ]
  • 진금부도(眞金不鍍) : 진짜 황금은 도금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참으로 유능한 사람은 겉치레를 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참 진) (: 쇠 금) (: 아닌가 부) (: 도금할 도)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