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13일 토요일

한자 陶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8개

한자 陶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陶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8개

  • 도 (陶)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순천(順天), 풍양(豐壤) 등이 현존한다.
  • 고요 (皐陶) : 중국 고대의 전설상의 인물. 순(舜)임금의 신하로, 구관(九官)의 한 사람이다. 법을 세우고 형벌을 제정하였으며, 옥(獄)을 만들었다고 한다.
  • 도공 (陶工) : 옹기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도관 (陶棺) : 고대에 점토를 구워서 만든 관(棺).
  • 도균 (陶鈞) : 임금이 천하를 경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기 (陶器) : 진흙으로 만들어 볕에 말리거나 약간 구운 다음, 유약을 입혀 다시 구운 그릇. 기초 재료가 되는 흙이 중간 강도이며 불투명성을 띤다. 굽는 온도는 1,100~1,250℃이다. 주로 욕조, 건축 자재, 장식품, 그릇 따위로 쓰인다. 넓은 의미로는 자기, 질그릇 따위도 포함한다.
  • 도남 (陶南) : '조윤제'의 호. (조윤제: 국문학자(1904~1976). 호는 도남(陶南). 경성 제국 대학 조선어 문학과를 나왔고 서울 대학교 문리대 학장,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장ㆍ부총장을 지냈다. 국문학 분야에 많은 업적을 남겼으며, 저서에 ≪조선 시가사강(朝鮮詩歌史綱)≫, ≪국문학사≫, ≪국문학 개설≫ 따위가 있다.)
  • 도도 (陶陶) : '도도하다'의 어근. (도도하다: 매우 화평하고 즐겁다.)
  • 도도 (陶道) : 독맥(督脈)에 속하는 혈(穴) 이름. 제1등뼈 극상 돌기와 제2등뼈 극상 돌기 사이에 있다.
  • 도로 (陶爐) : 오지그릇으로 만든 화로.
  • 도벽 (陶甓) : 오짓물을 입혀 구워 낸 벽돌.
  • 도사 (陶沙/陶砂) : 백반을 갈아 푼 물에 콜로이드를 화합시킨 물질. 종이에 발라 먹이나 물감 따위가 번지는 것을 막는 데 쓴다.
  • 도석 (陶石) : 도자기의 원료로 쓰는 진흙을 통틀어 이르는 말. 장석(長石) 따위가 자연히 분해되어 흘러 쌓여 이루어진 것으로, 빛이 희고 차지며 도자기 외에 고급 타일 및 제지용(製紙用)으로 쓰인다.
  • 도설 (陶說) : 중국 명나라 때에, 주염이 쓴 도자기에 관한 최고(最古)의 연구서. 동양 도자기 연구에 필수적인 명저로 알려진 것으로, 징더전요(景德鎭窯)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1774년에 간행하였다. 6권.
  • 도성 (陶成) : 만들어 냄.
  • 도암 (陶庵) : '이재'의 호. (이재: 조선 영조 때의 문신ㆍ학자(1680~1746). 자는 희경(熙卿). 호는 도암(陶庵)ㆍ한천(寒泉). 벼슬은 대사헌, 이조 참판을 거쳐 좌참찬에 이르렀다. 신임사화 후 설악산에 숨어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당시 낙론(洛論)의 대표적인 학자로 꼽힌다. 저서에 ≪도암집≫이 있다.)
  • 도야 (陶冶) : 도기를 만드는 일과 쇠를 주조하는 일. 또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
  • 도어 (陶漁) : 도기를 만드는 일과 물고기를 잡는 일.
  • 도업 (陶業) : 흙을 구워서 도자기, 벽돌, 기와 따위의 물건을 만드는 공업. 넓게는 유리, 시멘트, 단열재 따위의 제조업까지 포함한다.
  • 도연 (陶然) : '도연하다'의 어근. (도연하다: 술에 취하여 거나하다., 감흥 따위가 북받쳐 누를 길이 없다.)
  • 도연 (陶硯) : 도자기로 만든 벼루.
  • 도예 (陶藝) : '도자기공예'를 줄여 이르는 말. (도자기 공예: 도자기를 가공한 공예품. 또는 그렇게 하는 가공 기술.)
  • 도옥 (陶玉) : 중국 당나라 때에, 도 씨(陶氏)가 구워 만든 희고 고운 도자기.
  • 도옹 (陶翁) : '이황'의 호. (이황: 조선 시대의 유학자(1501~1570).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ㆍ퇴도(退陶)ㆍ도수(陶叟). 벼슬은 예조 판서, 양관 대제학 따위를 지냈다. 정주(程朱)의 성리학 체계를 집대성하여 이기 이원론(理氣二元論), 사칠론(四七論)을 주장하였다. 작품에 시조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저서에 ≪퇴계전서(退溪全書)≫ 따위가 있다.)
  • 도와 (陶瓦) : 잿물을 덮어서 질흙으로 구워 만든 기와.
  • 도요 (陶窯) : 도기를 굽는 가마.
  • 도용 (陶俑) : 예전에, 순장할 때에 사람 대신으로 무덤 속에 함께 묻던, 흙으로 만든 허수아비.
  • 도울 (陶鬱) : '도울하다'의 어근. (도울하다: 숨이 막힐 듯이 갑갑하다.)
  • 도은 (陶隱) : '이숭인'의 호. (이숭인: 고려 말기의 학자(1347~1392). 자는 자안(子安). 호는 도은(陶隱). 삼은의 한 사람으로, 공민왕 때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제학을 거쳐 동지춘추관사를 지냈으나, 만년에는 친원파와 친명파의 모함을 받아 여러 차례 옥사(獄事)를 겪었다. 정몽주와 함께 ≪고려실록(高麗實錄)≫을 편찬하였다. 저서에 ≪도은집≫이 있다.)
  • 도인 (陶人) : 옹기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도인 (陶印) : 질그릇을 만드는 흙을 재료로 하여 만든 도장.
  • 도자 (陶瓷/陶磁) : 도기와 자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 도잠 (陶潛) : '도연명'의 본명. (도연명: 중국 동진의 시인(365~427). 이름은 잠(潛).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연명은 자(字). 405년에 팽택현(彭澤縣)의 현령이 되었으나, 80여 일 뒤에 <귀거래사>를 남기고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였다.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불린다. 시 외의 산문 작품에 <오류선생전>, <도화원기> 따위가 있다.)
  • 도제 (陶製) : 흙을 구워서 만든 도자기 따위의 물건.
  • 도주 (陶鑄) : 도공(陶工)이 옹기를 만들고 단공(鍛工)이 금속을 녹여 부어 그릇을 만든다는 뜻으로, 인재를 양성함을 이르는 말.
  • 도주 (陶朱) : '범여'의 다른 이름. (범여: 중국 춘추 시대 월나라의 재상(?~?). 자는 소백(少伯). 회계(會稽)에서 패한 구천(句踐)을 도와 오왕(吳王) 부차(夫差)를 멸망시키고 후에 산둥(山東)의 도(陶)에 가서 도주공(陶朱公)이라고 자칭하고 큰 부(富)를 쌓았다.)
  • 도차 (陶車) : 도자기를 만들 때, 흙을 빚거나 무늬를 넣는 데 사용하는 기구. 축의 아래와 위에 넓고 둥근 널빤지를 대어 만드는데 아래 판을 발로 돌리면 위 판도 함께 돌아 그 회전력을 이용하여 작업한다.
  • 도취 (陶醉) : 술에 거나하게 취함.
  • 도치 (陶齒) : 사기로 만든 틀니. 주로 장석(長石)이나 규산(硅酸)으로 만드는데, 여러 가지 색소를 섞어 원래의 이와 같은 빛깔을 낸다.
  • 도침 (陶枕) : 자기(瓷器)로 만든 베개. 주로 여름에 사용한다.
  • 도태 (淘汰/陶汰) : 여럿 중에서 불필요하거나 부적당한 것을 줄여 없앰.
  • 도태 (陶胎) : 도자기의 본바탕이 가지고 있는, 물기 따위를 빨아들이는 성질.
  • 도토 (陶土) : 도자기의 원료로 쓰는 진흙을 통틀어 이르는 말. 장석(長石) 따위가 자연히 분해되어 흘러 쌓여 이루어진 것으로, 빛이 희고 차지며 도자기 외에 고급 타일 및 제지용(製紙用)으로 쓰인다.
  • 도편 (陶片) : 사기그릇의 깨어진 작은 조각.
  • 도하 (逃河/陶河) : 사다샛과의 물새. 편 날개의 길이는 65~80cm이며, 몸빛은 흰색, 날개 끝은 검은 갈색, 볼주머니는 황색이다. 부리는 길고 끝이 구부러졌다. 아래 주둥이의 수축할 수 있는 볼주머니에 먹이를 넣어 두면 새끼가 입으로 꺼내 먹는다. 물고기, 새우 따위를 잡아먹고 해안이나 호숫가에 사는데 중국 북부, 몽골 등지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부, 인도 등지에서 겨울을 보낸다.
  • 도홍 (陶泓) : 질흙으로 만든 벼루를 이르는 말.
  • 도화 (陶化) : 가르쳐서 옳은 길로 이끎.
  • 도화 (陶畫) : 도자기에 그린 그림.
  • 백도 (白陶) : 백색 토기라는 뜻으로, 중국 은나라 후기, 즉 안양(安陽)에 도읍한 시기에 만들어진 토기. 질이 좋고 철분이 적은 점토로 성형하여 1,000℃ 전후에서 구운 것으로 백색 또는 백색에 가까운 빛을 띤다. 주거지에서는 출토되지 않고 대형ㆍ중형의 분묘에서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지배 계층에서 사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술잔, 항아리, 술독 등의 여러 가지 모양이 있고, 동물무늬, 돌림무늬 따위로 장식된 것이 많다.
  • 양도 (洋陶) : 서양풍의 도기(陶器).
  • 울도 (鬱陶) : '울도하다'의 어근. (울도하다: 마음이 근심스러워 답답하고 울적하다., 날씨가 무덥다.)
  • 제도 (製陶) : 질그릇을 만듦.
  • 채도 (彩陶) : 중국의 허난성(河南省) 양사오(仰韶)에서 출토된 칠무늬 토기. 적색, 흑색 따위로 채색되었으며 짐승 무늬, 기하학적 무늬 따위가 새겨져 있다.
  • 청도 (靑陶) : 푸른 빛깔의 자기. 자기의 몸을 이루는 흙과 잿물에 포함된 철염의 성분이 환원염(還元焰)이기 때문에 푸른빛을 띤다. 고려 시대에 만든 청자는 기술과 무늬가 독창적이고 섬세하며, 미묘함이 세계적이다.
  • 홍도 (紅陶) : 그릇의 겉에 붉은 칠을 바르고 문질러 닦아서 붉고 반들반들하게 만든 토기(土器). 신석기 시대 및 청동기 시대의 유물이다.
  • 회도 (灰陶) : 잿빛을 띤, 거칠게 만든 토기. 중국에서 신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에 걸쳐 썼다.
  • 훈도 (薰陶) : 덕(德)으로써 사람의 품성이나 도덕 따위를 가르치고 길러 선으로 나아가게 함.
  • 흑도 (黑陶) : 그릇 면이 검고 겉면을 반들반들하게 간 토기.
  • 고령도 (高嶺陶) : 고령토로 빚어서 만든 도자기.
  • 도기상 (陶器商) : 도자기를 파는 장사. 또는 그런 장수.
  • 도기소 (陶器所) : 도기를 굽는 곳.
  • 도기화 (陶器畫) : 도자기 표면에 그림을 그려 무늬를 넣는 일. 또는 그 그림.
  • 도당씨 (陶唐氏) : 중국 오제(五帝)의 한 사람인 요(堯)를 이르는 말(?~?). 처음에 당후(唐侯)에 봉해졌다가 나중에 천자(天子)가 되어 도(陶)에 도읍을 세운 데서 유래한다.
  • 도도히 (陶陶히) : 매우 화평하고 즐겁게.
  • 도등국 (陶登局) : 신라에서, 기와나 그릇을 굽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경덕왕 때에 와기전을 고친 것이다.
  • 도산가 (陶山歌) : 조선 선조 25년(1592)에 고응척이 지은 가사. 난을 피하여 자연에 묻혀 스스로 즐거워하는 생활의 기쁨과 여유를 읊은 것으로 ≪후사유집(候謝類輯)≫에 필사본으로 전하는데, 이용기(李用基)가 편찬한 ≪악부(樂府)≫에는 <두곡선생가사>라는 제목으로 남아 있다.
  • 도산기 (陶山記) : 조선 선조 5년(1572)에 이황이 자필로 쓴 기문(記文)과 시 따위를 판각한 책. 1권 1책.
  • 도야성 (陶冶性) : 사람이 교육에 의하여 변화되고 계발될 수 있는 가능성.
  • 도연명 (陶淵明) : 중국 동진의 시인(365~427). 이름은 잠(潛).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연명은 자(字). 405년에 팽택현(彭澤縣)의 현령이 되었으나, 80여 일 뒤에 <귀거래사>를 남기고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였다.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불린다. 시 외의 산문 작품에 <오류선생전>, <도화원기> 따위가 있다.
  • 도연히 (陶然히) : 감흥 따위가 북받쳐 누를 길이 없게.
  • 도예가 (陶藝家) : 도자기 공예를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
  • 도요지 (陶窯址) : 도기를 굽던 가마의 터.
  • 도은집 (陶隱集) : 고려 말기의 학자 도은 이숭인의 문집. 조선 태종 4년(1404)에 권근이 왕명에 따라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5권 2책.
  • 도자기 (陶瓷器) : 도기(陶器), 자기(瓷器), 사기(沙器), 질그릇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점토에 장석, 석영 따위의 가루를 섞어 성형, 건조, 소성(燒成)한 제품으로, 소지(素地)의 상태, 소성 온도 따위에 따라 토기, 도기, 석기(炻器), 자기로 나눈다.
  • 도주공 (陶朱公) : '범여'의 다른 이름. (범여: 중국 춘추 시대 월나라의 재상(?~?). 자는 소백(少伯). 회계(會稽)에서 패한 구천(句踐)을 도와 오왕(吳王) 부차(夫差)를 멸망시키고 후에 산둥(山東)의 도(陶)에 가서 도주공(陶朱公)이라고 자칭하고 큰 부(富)를 쌓았다.)
  • 도취경 (陶醉境) : 술이 거나할 때와 같이 기분이 무척 좋은 지경.
  • 도취적 (陶醉的) : 어떠한 것에 마음이 쏠려 취하다시피 된 것.
  • 도칠기 (陶漆器) : 옻칠을 한 오지그릇.
  • 도행지 (陶行知) : '타오싱즈'를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타오싱즈: 중국의 교육학자(1891~1946). 창조적인 형태의 학교를 개설하고 현대 중국 교육 이론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 도혼식 (陶婚式) : 서양 풍속에서, 결혼 2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사기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 도홍경 (陶弘景) : 중국 남조(南朝) 때 양(梁)나라의 도사(452~536). 자는 통명(通明). 호는 화양은거(華陽隱居). 도교뿐만 아니라 불교와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은 문인이었다. 제왕시독(諸王侍讀) 벼슬을 지냈으며, 양나라 무제의 정치를 도와 '산중재상'으로 불렸다. 저서에 ≪진고(眞誥)≫, ≪등진은결(登眞隱訣)≫ 따위가 있다. (산중재상: 산중에 은거하면서 나라에 중대한 일이 있을 때만 나와 일을 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양(梁)나라의 도홍경이 산속에 살면서 나라에 대사(大事)가 있을 때는 늘 참여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 애도가 (愛陶家) : 도자기를 사랑하고 알아보는 데 어떤 수준에 이른 사람.
  • 오도계 (奧陶系) : 오르도비스기의 지층. 사암ㆍ이판암ㆍ점판암ㆍ석회암 따위로 이루어지며, 필석류(筆石類)ㆍ갑주어류(甲胄魚類)ㆍ앵무조개의 화석이 나온다.
  • 오도기 (奧陶紀) : 고생대의 캄브리아기와 실루리아기 사이의 시대. 약 4억 4000만~5억 년 전이며, 삼엽충ㆍ완족류 따위가 발달하였고 식물은 해조류뿐이었다.
  • 도견와계 (陶犬瓦鷄) : 도제(陶製)의 개와 와제(瓦製)의 닭이라는 뜻으로, 겉모습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어 아무 쓸모도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도도하다 (陶陶하다) : 매우 화평하고 즐겁다.
  • 도산가사 (陶山歌詞) : 조선 시대에, 이황의 시조 <도산육곡(陶山六曲)>에 이현보의 <어부가> 및 <어부단가> 14장을 첨부한 책. 1권 1책.
  • 도산별곡 (陶山別曲) : 조선 후기에, 조성신(趙星臣)이 지은 가사. 도산 서원의 풍경과 제(祭)를 올릴 때의 광경을 묘사하면서 이황의 행적과 덕을 추모하는 내용이다. 작가의 문집인 ≪염와유고(恬窩遺稿)≫에 실려 있다.
  • 도성하다 (陶成하다) : 만들어 내다.
  • 도성합금 (陶性合金) : 초내열성 재료. 내마모성과 내열성이 높은 세라믹과 인성(靭性)이 강한 금속의 분말을 배합 소결(燒結) 하여 만든다. 1,000℃ 이상의 온도에서 견딜 수 있는 경질 공구, 제트 엔진의 터빈 날개, 고체 로켓의 부품 따위에 쓴다.
  • 도야되다 (陶冶되다) : 도기가 만들어지고, 쇠가 주조되다.
  • 도야하다 (陶冶하다) : (비유적으로) 훌륭한 사람이 되도록 몸과 마음을 닦아 기르다.
  • 도연하다 (陶然하다) : 술에 취하여 거나하다.
  • 도울하다 (陶鬱하다) : 숨이 막힐 듯이 갑갑하다.
  • 도자기공 (陶瓷器工) : 도자기를 만드는 사람. 또는 그런 직종.
  • 도자기관 (陶瓷器管) : 도자기로 된 관.
  • 도주의돈 (陶朱猗頓) : 중국 춘추 시대의 큰 부자이던 '도주(陶朱)', '의돈(猗頓)'과 같다는 뜻으로, 큰 부자를 이르는 말.
  • 도질토기 (陶質土器) : 진흙으로 만든 그릇. 환원(還元) 상태에서 구운, 치밀하고 단단한 질그릇으로 회색 또는 검은색이다.
  • 도취되다 (陶醉되다) : 술에 거나하게 취하게 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陶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