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21일 금요일

한자 變에 관한 단어는 모두 1287개

한자 變에 관한 단어는 모두 128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變에 관한 단어는 모두 1287개

  • 변 (變) : 갑자기 생긴 재앙이나 괴이한 일.
  • 변 (變) : '변하다'의 어근. (변하다: 무엇이 다른 것이 되거나 혹은 다른 성질로 달라지다., 사람의 속성이나 사물의 상태 따위가 이전과 다르게 되다.)
  • 가변 (可變) : 사물의 모양이나 성질이 바뀌거나 달라질 수 있음. 또는 사물의 모양이나 성질을 바꾸거나 달라지게 할 수 있음.
  • 가변 (家變) : 집안의 재앙이나 사고.
  • 갈변 (褐變) : 과일이나 채소 따위를 칼로 깎았을 때, 그 부분이 갈색으로 변하는 일.
  • 개변 (改變) : 생각 따위를 고쳐 바꿈.
  • 격변 (激變) : 상황 따위가 갑자기 심하게 변함.
  • 경변 (硬變) : 결합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자라서 장기(臟器)가 딱딱하게 굳는 증상. 간경변증, 콩팥 경변증 따위가 있다.
  • 고변 (告變) : 변고 따위를 알림.
  • 괘변 (卦變) : 괘가 변하는 것을 보고 점치는 일.
  • 괴변 (壞變) : 무너져 모양이 바뀜.
  • 괴변 (怪變) : 예상하지 못한 괴상한 재난이나 사고.
  • 구변 (九變) : 국악에서, 아홉 곡이 끝남을 이르는 말. 종묘 제례의 강신악에는 희문(熙文)을 아홉 번 되풀이 연주하고, 문묘 제례의 영신악에는 황종궁 세 번, 중려궁 두 번, 남려궁 두 번, 이칙궁(夷則宮) 두 번 모두 네 곡을 아홉 번 연주한다.
  • 국변 (國變) : 나라의 변고나 난리.
  • 굴변 (掘變) : 무덤을 파내어 생긴 재앙이나 사고.
  • 권변 (權變) : 때와 형편에 따라 둘러대어 일을 처리하는 수단.
  • 극변 (劇變) : 상황 따위가 갑자기 심하게 변함.
  • 급변 (急變) : 상황이나 상태가 갑자기 달라짐.
  • 기변 (機變) : 때에 따라 변함.
  • 기변 (奇變) : 뜻밖의 난리.
  • 내변 (內變) : 한 나라 안에서 일어난 큰 변고.
  • 뇌변 (雷變) : 벼락이 떨어지는 변고. 특히 궁전의 종묘(宗廟)와 사직(社稷) 같은 곳에 벼락이 떨어지는 경우를 이른다.
  • 누변 (累變) : 거듭 변하는 일.
  • 다변 (多變) : 많이 변함.
  • 단변 (單變) : 동일한 원소 또는 화합물의 결정 상태가 온도 상승 또는 하강의 어느 한쪽 과정에서만 상의 변화가 생기고 반대 과정에서는 원래의 결정 구조를 유지하는 것.
  • 당변 (當變) : 뜻밖의 변이나 망신스러운 일을 당함. 또는 그 변.
  • 대변 (大變) : 많은 변화. 또는 큰 변화.
  • 대변 (待變) : 죽음의 변(變)을 기다린다는 뜻으로, 병세가 몹시 심하여 살아날 가망이 없게 된 처지를 이르는 말.
  • 돌변 (突變) : 뜻밖에 갑자기 달라지거나 달라지게 함. 또는 그런 변화.
  • 만변 (萬變) : 끝없이 변화함.
  • 망변 (芒變) : 도자기를 구울 때 가마 속에서 잿물로 기다랗게 줄무늬가 생기는 일.
  • 무변 (無變) : '무변하다'의 어근. (무변하다: 변함이 없다.)
  • 반변 (叛變/反變) : 배반하여 태도를 바꿈.
  • 발변 (發變) : 변란(變亂)이 일어남.
  • 백변 (白變) : 빛깔이 하얗게 변함.
  • 백변 (百變) : 수없이 여러 번 변함.
  • 변개 (變改) : 고쳐져 바뀜. 또는 고치어 바꿈.
  • 변격 (變格) : 일정한 규칙에서 벗어난 격식.
  • 변경 (變更) : 다르게 바꾸어 새롭게 고침.
  • 변경 (變經) : 배의 출발 자리에 대한 도착 자리의 경도 변화량.
  • 변고 (變故) :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
  • 변괴 (變怪) : 이상야릇한 일이나 재변.
  • 변국 (變局) : 평상과 다른 국면.
  • 변궁 (變宮) : 동양 음악에서, 칠음계 가운데 궁에서 일곱째 음. 칠음계의 마지막 음으로, 궁(宮)보다 11율 높고 우(羽)보다 2율 높다.
  • 변대 (變臺) : 배전용 변압기와 그 부속품을 설치한 대.
  • 변덕 (變德) : 이랬다저랬다 잘 변하는 태도나 성질.
  • 변동 (變動) : 바뀌어 달라짐.
  • 변란 (變亂) : 사변이 일어나 세상이 어지러움. 또는 그런 소란.
  • 변량 (變量) : 주어진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양.
  • 변례 (變例) : 임시로 바꾼 법례.
  • 변류 (變流) : 전류의 크기를 바꾸거나 직류와 교류를 서로 바꾸는 일.
  • 변매 (變賣) : 돈으로 쓰려고 환곡(還穀)을 타다가 팔던 일.
  • 변멸 (變滅) : 변하거나 없어지거나 함.
  • 변명 (變名) : 이름을 달리 바꿈. 또는 그렇게 바꾼 이름.
  • 변모 (變貌) : 모양이나 모습이 달라지거나 바뀜. 또는 그 모양이나 모습.
  • 변문 (變文) : 중국 당나라 중기부터 북송 초기에 걸쳐 민중 사이에서 유행한 민간 문학. 절에서 속강(俗講)을 설법하는 승려가 신자들을 교화하기 위하여 불경의 이야기를 구어나 속어로 쉽게 풀어 하던 설법에서 비롯되었으며, 운문과 산문을 교대로 사용하여 이야기해 나간다.
  • 변물 (變物) : 보통과는 다른 예사롭지 아니한 물건.
  • 변미 (變味) : 음식이 상하여 맛이 변함. 또는 그 맛.
  • 변법 (變法) : 법률을 고침. 또는 그 법률.
  • 변보 (變報) : 변이 일어난 것을 알리는 보고.
  • 변복 (變服) : 남이 알아보지 못하도록 평소와 다르게 옷을 차려입음. 또는 그런 옷차림.
  • 변분 (變分) : 함수의 증분에 대응하는 범함수의 증분의 1차 주요부.
  • 변사 (變事) : 예사롭지 아니하고 이상한 일.
  • 변사 (變詐) : 병세가 갑자기 달라짐.
  • 변사 (變辭) : 먼저 한 말을 이리저리 바꿈. 또는 그 말.
  • 변사 (變死) : 뜻밖의 사고로 죽음.
  • 변상 (變狀) : 평소와 다른 상태나 상황.
  • 변상 (變喪) : 변고로 인하여 생긴 상사(喪事).
  • 변상 (變相) : 변화한 모습이나 형상.
  • 변새 (變새) : 달라지는 모양.
  • 변색 (變色) : 놀라거나 화가 나서 얼굴빛이 달라짐.
  • 변생 (變生) : 변하여 새로 생김.
  • 변설 (變說) : 종래의 이론 따위를 변경함.
  • 변성 (變性) : 천연 단백질의 상태와 성질이 물리적ㆍ화학적 영향에 의하여 변하는 현상. 물리적 요인으로는 열ㆍ압력ㆍ자외선ㆍ엑스선ㆍ음파ㆍ동결 따위가 있고, 화학적 원인으로는 산ㆍ염기ㆍ알코올ㆍ중금속 염ㆍ요소(尿素) 따위가 있다.
  • 변성 (變姓) : 성을 갊. 또는 그렇게 간 성.
  • 변성 (變聲) : 목소리가 변함.
  • 변성 (變成) : 변하여 다르게 됨.
  • 변속 (變速) : 속도를 바꿈.
  • 변송 (變送) : 다른 것으로 바꾸어 보냄.
  • 변쇠 (變衰) : 변하여 쇠퇴하거나 낡아짐.
  • 변수 (變數) : 어떤 관계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값으로 변할 수 있는 수.
  • 변신 (變信) : 전보문을 전신 체계의 일정한 암호로 바꾸거나 수신한 전신 부호를 해독함.
  • 변신 (變身) : 몸의 모양이나 태도 따위를 바꿈. 또는 그렇게 바꾼 몸.
  • 변신 (變身) : 독일의 소설가 카프카가 지은 소설. 하루아침에 추악한 벌레로 변한 주인공의 가상적인 이야기를 통하여 현대인의 고립되고 소외된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 변심 (變心) : 마음이 변함.
  • 변압 (變壓) : 압력을 바꿈.
  • 변약 (變約) : 약속을 바꿈.
  • 변양 (變樣) : 모양을 바꿈.
  • 변역 (變域) : 함수에서, 변수가 변할 수 있는 값의 범위.
  • 변역 (變易) : 고쳐져 바뀜. 또는 고치어 바꿈.
  • 변온 (變溫) : 온도가 변함.
  • 변용 (變容) : 용모가 바뀜. 또는 그렇게 바뀐 용모.
  • 변위 (變位) : 물체가 위치를 바꿈. 또는 그 물체의 나중 위치와 처음 위치의 차이를 나타내는 벡터양. 크기와 방향을 가진다.
  • 변음 (變音) : 원음이 변하여 된 음.
  • 변이 (變移) : 세월의 흐름에 따라 바뀌고 변함.
  • 변이 (變異) : 예상하지 못한 사태나 괴이한 변고.
  • 변인 (變人) : 성질이나 모습이 여느 사람과 다른 사람.
  • 변인 (變因) : 성질이나 모습이 변하는 원인.
  • 변작 (變作) : 이미 이루어진 물체 따위를 다른 모양이나 다른 물건으로 바꾸어 만듦.


https://dict.wordrow.kr에서 變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淚에 관한 단어는 모두 94개

한자 淚에 관한 단어는 모두 9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淚에 관한 단어는 모두 94개

  • 감루 (感淚) : 매우 감격하여 흘리는 눈물.
  • 공루 (空淚) : 마음으로는 슬퍼하지 않으면서 슬픈 체 거짓으로 흘리는 눈물.
  • 귀루 (鬼淚) : 거문고의 제1괘에, 유현(遊絃)ㆍ대현(大絃)ㆍ괘상청이 걸치는 부분에 붙인 붉고 푸른 명주실. 연주를 할 때 줄이 괘에 마찰되어 생기는 잡음을 막는 역할을 한다.
  • 낙루 (落淚) : 눈물을 흘림. 또는 그 눈물.
  • 납루 (蠟淚) : 초가 불에 녹아 흘러내리는 것을 흐르는 눈물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 냉루 (冷淚) : 눈물흘림의 하나. 눈 겉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는데도 눈물이 나온다.
  • 노루 (老淚) : 늙은이의 눈물. 늙어서 기력이 떨어지고 정신이 흐려져 흐르는 눈물을 이른다.
  • 누골 (淚骨) : 눈구멍 안쪽에 있는 얇은 뼈.
  • 누관 (淚管) : 눈물샘에서 분비된 눈물이 눈의 안쪽 눈구석으로 흐르는 통로.
  • 누기 (淚器) : 눈물을 만들고, 이것을 눈에서 콧속까지 운반하는 길을 통틀어 이르는 말. 눈물샘, 눈물길, 눈물주머니, 코눈물관 따위가 있다.
  • 누낭 (淚囊) : 눈물관에서 흘러나온 눈물이 모이는 주머니. 눈물을 코눈물관을 통해 코안으로 보낸다.
  • 누당 (淚當) : 관상(觀相)에서, 눈 아래 오목하게 좀 들어간 곳을 이르는 말.
  • 누도 (淚道) : 눈물샘에서 분비된 눈물이 눈의 안쪽 눈구석으로 흐르는 통로.
  • 누로 (淚路) : 눈물샘에서 분비된 눈물이 눈의 안쪽 눈구석으로 흐르는 통로.
  • 누부 (淚阜) : 눈구석에 있는 붉은빛의 작은 돌기.
  • 누선 (淚腺) : 눈물을 분비하는 샘. 눈알이 박혀 움푹 들어간 눈구멍의 바깥 위쪽 구석에 있다.
  • 누송 (淚誦) : 눈물을 흘리며 시나 문장을 읊거나 노래를 부름.
  • 누수 (淚水) : 눈알 바깥면의 위에 있는 눈물샘에서 나오는 분비물. 늘 조금씩 나와서 눈을 축이거나 이물질을 씻어 내는데, 자극이나 감동을 받으면 더 많이 나온다.
  • 누안 (淚眼) : 눈물이 글썽글썽 어린 눈.
  • 누액 (淚液) : 눈알 바깥면의 위에 있는 눈물샘에서 나오는 분비물. 늘 조금씩 나와서 눈을 축이거나 이물질을 씻어 내는데, 자극이나 감동을 받으면 더 많이 나온다.
  • 누점 (淚點) : 아래위 눈꺼풀에 있는, 눈물길의 입구가 되는 부분. 눈을 씻어 내린 눈물이 잠시 괴었다가 여기를 통하여 눈물 소관으로 흘러 들어간다.
  • 누주 (淚珠) : 구슬 같은 눈물방울.
  • 누하 (淚河) : 몹시 흐르는 눈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누한 (淚痕) : 도자기의 표면에 눈물이 흐른 모양으로 잿물이 흘러내린 자국.
  • 누호 (淚湖) : 각막 및 결막 겉면을 씻어 내린 눈물이 눈초리 옆에 일단 괴는 곳. 눈물은 여기서 눈물점을 통하여 눈물길로 흘러 들어간다.
  • 누흔 (淚痕) : 눈물이 흐른 자국.
  • 법루 (法淚) : 부처의 공덕에 감응하여 나오는 눈물.
  • 별루 (別淚) : 이별할 때 슬퍼서 흘리는 눈물.
  • 분루 (憤淚) : 분하여 흘리는 눈물.
  • 비루 (悲淚) : 슬퍼서 흘리는 눈물.
  • 성루 (聲淚) : 우는 소리와 흘리는 눈물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수루 (愁淚) : 근심과 걱정으로 흘리는 눈물.
  • 수루 (垂淚) : 눈물을 흘림.
  • 쌍루 (雙淚) : 두 눈에서 흐르는 눈물.
  • 암루 (暗淚) : 소리 없이 흘리는 눈물.
  • 열루 (熱淚) : 마음속 깊이 사무쳐 흐르는 뜨거운 눈물.
  • 영루 (零淚) : 눈물을 흘림. 또는 그 눈물.
  • 옥루 (玉淚) : 구슬 같은 눈물.
  • 용루 (龍淚) : 임금의 눈물.
  • 우루 (雨淚) : 눈물이 비 오듯이 흐름.
  • 원루 (冤淚) : 원통하여 흘리는 눈물.
  • 유루 (流淚) : 눈물을 흘림. 또는 그 눈물.
  • 음루 (淫淚) : 그치지 아니하고 자꾸 흐르는 눈물.
  • 이루 (離淚) : 이별할 때 슬퍼서 흘리는 눈물.
  • 자루 (慈淚) : 인자한 마음에서 가엾이 여겨 흘리는 눈물.
  • 잔루 (殘淚) : 눈물 자국.
  • 장루 (粧淚) : 화장한 얼굴을 적시는 눈물.
  • 적루 (滴淚) : 눈에서 흘러 떨어지는 눈물.
  • 주루 (珠淚) : 구슬처럼 떨어지는 눈물.
  • 체루 (涕淚) : 슬프거나 감동하여 흐르는 눈물.
  • 촉루 (燭淚) : 초가 불에 녹아 흘러내리는 것을 흐르는 눈물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 최루 (催淚) : 눈물샘을 자극하여 눈물을 흘리게 함.
  • 타루 (墮淚) : 눈물을 흘림. 또는 그 눈물.
  • 풍루 (風淚) : 바람을 받을 때 흐르는 눈물.
  • 함루 (含淚) : 눈물을 머금음.
  • 향루 (鄕淚) : 고향을 그리워하면서 흘리는 눈물.
  • 혈루 (血淚) : 몹시 슬프고 분하여 나는 눈물.
  • 홍루 (紅淚) : 미인(美人)의 눈물.
  • 회루 (悔淚) : 잘못을 뉘우치고 흘리는 눈물.
  • 휘루 (揮淚) : 눈물을 뿌림.
  • 누낭염 (淚囊炎) : 눈물주머니에 생기는 염증. 트라코마 결핵, 매독 따위로 눈물길이 막혀 눈물주머니에 눈물이 괸 상태에서 세균이 침입하여 발생한다.
  • 누비관 (淚鼻管) : 눈물주머니에서 하비도(下鼻道)로 통하는 눈물길. 골성 비루관 속에 있으며 길이는 약 1.5cm이다.
  • 누선염 (淚腺炎) : 눈물샘에 생기는 염증.
  • 누소관 (淚小管) : 눈물점에서 눈물주머니까지 뻗은 가느다란 관으로 길이가 약 1cm이다.
  • 만행루 (萬行淚) : 한없이 흐르는 눈물.
  • 비루관 (鼻淚管) : 눈물주머니에서 하비도(下鼻道)로 통하는 눈물길. 골성 비루관 속에 있으며 길이는 약 1.5cm이다.
  • 소누관 (小淚管) : 눈물점에서 눈물주머니까지 뻗은 가느다란 관으로 길이가 약 1cm이다.
  • 유루증 (流淚症) : '눈물흘림'의 전 용어. (눈물흘림: 눈물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나는 상태.)
  • 일국루 (一掬淚) : 두 손으로 움켜쥘 만한 많은 눈물. 또는 한 움큼의 눈물.
  • 최루성 (催淚性) : 눈물샘을 자극하여 눈물을 흘리게 하는 성질.
  • 최루액 (催淚液) : 눈물샘을 자극하여 눈물을 흘리게 하는 액체.
  • 최루제 (催淚劑) : 눈물샘을 자극하여 눈물을 흘리게 하는 약. 또는 그런 물질.
  • 최루탄 (催淚彈) : 눈물샘을 자극하여 눈물을 흘리게 하는 약이나 물질을 넣은 탄환.
  • 호동루 (胡桐淚) : 땅속에 묻혀 오래된 호동의 나뭇진. 열을 내리고 가래를 삭이는 데 쓴다.
  • 고신원루 (孤臣冤淚) : 임금의 신임이나 사랑을 받지 못하는 외로운 신하의 원통한 눈물.
  • 낙루하다 (落淚하다) : 눈물을 흘리다.
  • 누송하다 (淚誦하다) : 눈물을 흘리며 시나 문장을 읊거나 노래를 부르다.
  • 수루하다 (垂淚하다) : 눈물을 흘리다.
  • 영루하다 (零淚하다) : 눈물을 흘리다.
  • 영풍열루 (迎風熱淚) : 바람을 맞으면 더운 눈물이 시도 때도 없이 흐르는 증상.
  • 우루하다 (雨淚하다) : 눈물이 비 오듯이 흐르다.
  • 유루하다 (流淚하다) : 눈물을 흘리다.
  • 초창함루 (怊悵含淚) : 섭섭하고 슬퍼서 눈물을 머금음.
  • 최루하다 (催淚하다) : 눈물샘을 자극하여 눈물을 흘리게 하다.
  • 타루되다 (墮淚되다) : 눈물이 흐르다.
  • 타루하다 (墮淚하다) : 눈물을 흘리다.
  • 함루하다 (含淚하다) : 눈물을 머금다.
  • 휘루하다 (揮淚하다) : 눈물을 뿌리다.
  • 최루피스톨 (催淚pistol) : 눈물샘을 자극하여 눈물을 흘리게 하는 약이나 물질을 넣은 탄환을 발사하는 권총.
  • 초창함루하다 (怊悵含淚하다) : 섭섭하고 슬퍼서 눈물을 머금다.
  • 비루관 협착 (鼻淚管狹窄) : 코안으로 흘러 들어가는 구멍이 좁아져서 눈물이 많이 나오는 병.
  • 혈의 누 (血의淚) : 이인직이 지은 우리나라 최초의 신소설. 1894년에 청일 전쟁 속에서 가족과 이별한 옥련(玉蓮)이 일본 군인의 도움으로 일본에 가서 학교를 다니다가 구완서라는 청년을 만나 미국에 유학을 가고 그곳에서 부모도 만나고 약혼도 한다는 내용으로, 문명사회에 대한 동경과 신교육, 여권 신장과 같은 새 시대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 최루 가스 (催淚gas) : 눈물샘을 자극하여 눈물을 흘리게 하는 독가스. 클로로피크린, 클로로아세토페논, 애덤자이트 따위가 있다.
  • 급성 누선염 (急性淚腺炎) : 눈물샘에 생기는 급성 염증. 유행성 감기ㆍ성홍열ㆍ관절 류머티즘ㆍ귀밑샘염 따위의 전염병을 앓은 뒤 발생하는데, 위 눈꺼풀을 뒤집어 보면 결막 밑에 눈물샘이 비대해진 것을 볼 수 있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淚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