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19일 토요일

십년감수: 十年減壽

십년감수 (十年減壽) : 수명이 십 년이나 줄 정도로 위험한 고비를 겪음.



十年減壽 한자 뜻 풀이

  • 十(열 십) : 열, 열 번, 열 곱절, 완전하다, 전부. 남북의 'ᅵ'과 동서의 'ᅳ'이 서로 교차되어 합쳐 중앙까지 모두 갖추었다는 의미에서 파생되어 수(數)에서 모두 갖춘 '10'의 의미로 '열'이라는 뜻으로 설명함
  • 年(해 년) : 해, 아첨하다, 때, 나이, 익다. 사람이 가을에 수확한 농작물[禾]을 메고 가고 있는 모양에서 한 해를 마감한다는 의미로 '해', '나이' 등의 의미 생성
  • 減(덜 감) : 덜다, 다하다, 줄다, 손상하다, 지치다. 물을 빼서 줄인다는 의미에서 '덜다', '줄다' 등의 의미 생성
  • 壽(목숨 수) : 목숨, 장수(長壽), 축수하다, 별 이름, 수명. 오래 산 늙은 노인의 모양에서 사람이 살아 있는 연한인 '목숨'의 의미나 '장수'의 의미를 표현함


[十] 열 십 (열, 열 번, 열 곱절, 완전하다, 전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세지습지우팔십 획순 이미지 삼세지습지우팔십(三歲之習至于八十) :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감. [ (: 석 삼) (: 해 세) (: 갈 지) (: 익힐 습) (: 이를 지) (: 어조사 우) (: 여덟 팔) (: 열 십) ]
  • 십벌지목(十伐之木) : 열 번 찍어 베는 나무라는 뜻으로,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가 없음을 이르는 말. [ (: 열 십) (: 칠 벌) (: 갈 지) (: 나무 목) ]
  • 십목소시(十目所視) : 여러 사람이 다 보고 있다는 뜻으로, 세상 사람을 속일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열 십) (: 눈 목) (: 바 소) (: 볼 시) ]
  • 삼십육계(三十六計) : (1)물주가 맞힌 사람에게 살돈의 서른여섯 배를 주는 노름. (2)서른여섯 가지의 꾀. 많은 모계(謀計)를 이른다. [ (: 석 삼) (: 열 십) (: 셀 계) ]
  • 십년감수(十年減壽) : 수명이 십 년이나 줄 정도로 위험한 고비를 겪음. [ (: 열 십) (: 해 년) (: 덜 감) (: 목숨 수) ]

[壽] 목숨 수 (목숨, 장수(長壽), 축수하다, 별 이름, 수명)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백수백복 획순 이미지 백수백복(百壽百福) : (1)긴 수명과 온갖 복. (2)여러 가지의 전자(篆字)로 써 놓은 '壽福' 글자. 수복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게문이나 두껍닫이 따위에 써 붙였다. [ (: 일백 백) (: 목숨 수) (: 일백 백) (: 복 복) ]
  • 십년감수(十年減壽) : 수명이 십 년이나 줄 정도로 위험한 고비를 겪음. [ (: 열 십) (: 해 년) (: 덜 감) (: 목숨 수) ]
  • 졸수(卒壽) : 졸(卒)의 약자의 모양(模樣)에서 따와 졸수(卒壽)는 구십(九十)세, 즉 90세. [ (: 군사 졸) (: 목숨 수) ]
  • 하수연(賀壽宴) : 장수(長壽)를 축하하는 잔치. 보통 환갑잔치를 이른다. [ (: 하례할 하) (: 목숨 수) (: 잔치 연) ]
  • 상수(上壽) : (1)나이가 보통 사람보다 썩 많음. 또는 그 나이. (2)100세의 나이. 또는 그 나이가 된 노인. 장수한 것을 상ㆍ중ㆍ하로 나누었을 때 가장 많은 나이를 이른다. (3)환갑잔치 따위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림. [ (: 위 상) (: 목숨 수) ]

[年] 해 년 (해, 아첨하다, 때, 나이, 익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연시매최 획순 이미지 연시매최(年矢每催) : 화살같이 매양 재촉함. [ (: 화살 시) (: 매양 매) (: 재촉할 최) ]
  • 망년교(忘年交) :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허물없이 사귄 벗. [ (: 잊을 망) (: 해 년) (: 사귈 교) ]
  • 현거지년(懸車之年) : 관직을 그만둔 나이라는 뜻으로, 벼슬에서 물러나야 하는 나이 곧 일흔 살을 이르는 말. [ (: 매달 현) (: 수레 거) (: 갈 지) (: 해 년) ]
  • 강장지년(强壯之年) : 몸이 씩씩하고 왕성한 나이의 뜻으로, 원기가 왕성한 나이인 30-40대의 나이를 의미. [ (: 굳셀 강) (: 씩씩할 장) (: 갈 지) (: 해 년) ]
  • 만년지계(萬年之計) : 아주 먼 훗날까지 걸친 큰 계획. [ (: 일만 만) (: 해 년) (: 갈 지) (: 셀 계) ]

[減] 덜 감 (덜다, 다하다, 줄다, 손상하다, 지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감선철악 획순 이미지 감선철악(減膳撤樂) : 나라에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가 있을 때에 임금이 몸소 근신하는 뜻으로 수라상의 음식 가짓수를 줄이고 노래와 춤을 가까이하지 아니하던 일. [ (: 덜 감) (: 반찬 선) (: 거둘 철) (: 풍류 악) ]
  • 십년감수(十年減壽) : 수명이 십 년이나 줄 정도로 위험한 고비를 겪음. [ (: 열 십) (: 해 년) (: 덜 감) (: 목숨 수) ]
  • 감사정배(減死定配) : 죽을죄를 지은 죄인을 처형하지 아니하고, 장소를 지정하여 귀양을 보내던 일. [ (: 덜 감) (: 죽을 사) (: 정할 정) (: 짝 배) ]
  • 감사도배(減死島配) : 죽을죄를 지은 죄인을 처형하는 대신 섬으로 귀양 보내던 일. [ (: 덜 감) (: 죽을 사) (: 섬 도) (: 짝 배) ]

[겪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평지낙상 획순 이미지 평지낙상(平地落傷) : 평지에서 넘어져 다친다는 뜻으로, 뜻밖에 불행한 일을 겪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평평할 평) (: 땅 지) (: 다칠 상) ]
  • 십년감수(十年減壽) : 수명이 십 년이나 줄 정도로 위험한 고비를 겪음. [ (: 열 십) (: 해 년) (: 덜 감) (: 목숨 수) ]
  • 풍찬노숙(風餐露宿) : 바람을 먹고 이슬에 잠잔다는 뜻으로, 객지에서 많은 고생을 겪음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먹을 찬) (宿: 묵을 숙) ]
  • 적고병간(積苦兵間) : 여러 해 동안 전쟁터에서 갖은 괴로움을 겪음. [ (: 쌓을 적) (: 쓸 고) (: 군사 병) (: 틈 간) ]
  • 칠전팔도(七顚八倒) : 일곱 번 구르고 여덟 번 거꾸러진다는 뜻으로, 수없이 실패를 거듭하거나 매우 심하게 고생함을 이르는 말. [ (: 일곱 칠) (: 넘어질 전) (: 여덟 팔) (: 넘어질 도) ]

[고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재생지인 획순 이미지 재생지인(再生之人) : 죽을 고비를 겪은 사람. [ (: 두 재) (: 날 생) (: 갈 지) (: 사람 인) ]
  • 가경(佳境) : (1)한창 재미있는 판이나 고비. (2)경치가 좋은 곳. [ (: 아름다울 가) (: 지경 경) ]
  • 생사관두(生死關頭) : 살고 죽는 것이 달린 매우 위태로운 고비. [ (: 날 생) (: 죽을 사) (: 빗장 관) (: 머리 두) ]

[수명]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백수백복 획순 이미지 백수백복(百壽百福) : (1)긴 수명과 온갖 복. (2)여러 가지의 전자(篆字)로 써 놓은 '壽福' 글자. 수복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게문이나 두껍닫이 따위에 써 붙였다. [ (: 일백 백) (: 목숨 수) (: 일백 백) (: 복 복) ]
  • 십년감수(十年減壽) : 수명이 십 년이나 줄 정도로 위험한 고비를 겪음. [ (: 열 십) (: 해 년) (: 덜 감) (: 목숨 수) ]
  • 천수(天數) : (1)타고난 수명. (2)하늘이 정한 운명. [ (: 하늘 천) (: 셀 수) ]
  • 상수(上壽) : (1)나이가 보통 사람보다 썩 많음. 또는 그 나이. (2)100세의 나이. 또는 그 나이가 된 노인. 장수한 것을 상ㆍ중ㆍ하로 나누었을 때 가장 많은 나이를 이른다. (3)환갑잔치 따위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림. [ (: 위 상) (: 목숨 수) ]
  • 남산지수(南山之壽) : 남산(南山)의 수명(壽命)이라는 뜻으로, (1) 장수(長壽)를 비는 말 (2) 종남산(終南山)이 무너지지 않듯이 사업(事業)이 오래감을 이르는 말. [ (: 남녘 남) (: 메 산) (: 갈 지) (: 목숨 수) ]

[위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여리박빙 획순 이미지 여리박빙(如履薄氷) : 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아슬아슬하고 위험한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같을 여) (: 밟을 리) (: 엷을 박) (: 얼음 빙) ]
  • 간두지세(竿頭之勢) : 대막대기 끝에 선 형세라는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형세를 이르는 말. [ (竿: 장대 간) (: 머리 두) (: 갈 지) (: 기세 세) ]
  • 수악한(手握汗) : 불끈 쥔 손바닥에서 땀이 난다는 뜻으로, 위험한 광경이나 사건의 추이를 보고 두렵고 위급하여 자신도 모르게 몸이 긴장됨을 이르는 말. [ (: 손 수) (: 쥘 악) (: 땀 한) ]
  • 호구지액(虎口之厄) : 호랑이 입의 액운이라는 뜻으로, 호랑이의 입을 맞대함과 같은 대단한 위험이라는 의미. [ (: 범 호) (: 입 구) (: 갈 지) (: 재앙 액) ]
  • 활인지방(活人之方) : (1)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법. (2)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위나 지방. [ (: 살 활) (: 사람 인) (: 갈 지) (: 모 방) ]

[정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문경지우 획순 이미지 문경지우(刎頸之友)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 목 벨 문) (: 목 경) (: 갈 지) (: 벗 우) ]
  • 난백난중(難伯難仲) : 누가 맏형이고 누가 둘째 형인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비교되는 대상의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 (: 어려울 난) (: 맏 백) (: 어려울 난) (: 버금 중) ]
  • 일반지덕(一飯之德) : 밥 한 끼를 베푸는 덕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은덕을 이르는 말. [ (: 한 일) (: 밥 반) (: 갈 지) (: 덕 덕) ]
  • 아연실색(啞然失色) : 뜻밖의 일에 얼굴빛이 변할 정도로 놀람. [ (: 벙어리 아) (: 그러할 연) (: 잃을 실) (: 빛 색) ]
  • 경성(傾城) : (1)성을 기울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태롭게 할 정도로 뛰어남을 이르는 말. (2)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 (: 기울 경) (: 성 성)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