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11일 토요일

한자 椒에 관한 단어는 모두 55개

한자 椒에 관한 단어는 모두 55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椒에 관한 단어는 모두 55개

  • 고초 (苦椒) : '고추'의 원말. (고추: '「1」'의 열매. 긴 원뿔 모양으로 처음에는 초록색이나 익을수록 빨갛게 된다. 생식하거나 익혀서 양념이나 반찬으로 쓴다.)
  • 당초 (唐椒) : 가짓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60~90cm이며, 잎은 둥글고 끝이 뾰족하다. 여름에 흰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피고 열매는 장과(漿果)이다. 잎과 열매를 식용한다. 남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온대, 열대에서 널리 재배된다.
  • 번초 (蕃椒) : 가짓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60~90cm이며, 잎은 둥글고 끝이 뾰족하다. 여름에 흰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피고 열매는 장과(漿果)이다. 잎과 열매를 식용한다. 남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온대, 열대에서 널리 재배된다.
  • 산초 (山椒) : 산초나무의 열매. 기름을 만드는 원료로 쓰고 식용 또는 약용한다.
  • 애초 (崖椒) : 산초나무의 열매. 기름을 만드는 원료로 쓰고 식용 또는 약용한다.
  • 점초 (點椒) : 초피나무의 과피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심복통(心腹痛)ㆍ구토ㆍ설사 따위에 쓰인다.
  • 진초 (秦椒) : 산초나무의 열매. 기름을 만드는 원료로 쓰고 식용 또는 약용한다.
  • 천초 (川椒) : 운향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우상 복엽이다. 5~6월에 연한 노란색을 띤 녹색 단성화가 복총상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9월에 붉은 갈색으로 익는다. 열매의 껍질은 약용하거나 향미료로 쓰고 씨는 이뇨제로 쓴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초란 (椒蘭) : 향기가 좋은 훈향(薰香).
  • 초림 (椒林) : 서자와 그 자손.
  • 초목 (椒目) : 산초나무 열매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이뇨제, 해독제, 살충제로 쓴다.
  • 초방 (椒房) : 왕비를 달리 이르는 말.
  • 초정 (椒庭) : 산초나무 열매의 가루를 바른 방이라는 뜻으로, 왕비가 거처하는 방이나 궁전 따위를 이르는 말. 산초나무는 온기가 있고 열매가 많은 식물로서, 자손이 많이 퍼지라는 뜻에서 왕비의 방 벽에 발랐다.
  • 초주 (椒酒) : 조피 열매를 섞어서 빚은 술.
  • 초홍 (椒紅) : 산초씨의 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비위를 덥게 하여 배가 차고 아프며 설사하는 데, 소화 장애ㆍ위염 따위에 쓰인다.
  • 촉초 (蜀椒) : 초피나무의 과피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심복통(心腹痛)ㆍ구토ㆍ설사 따위에 쓰인다.
  • 파초 (芭椒) : 초피나무의 과피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심복통(心腹痛)ㆍ구토ㆍ설사 따위에 쓰인다.
  • 한초 (漢椒) : 초피나무의 과피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심복통(心腹痛)ㆍ구토ㆍ설사 따위에 쓰인다.
  • 호초 (胡椒) : 후추나무의 열매. 음식의 양념으로 쓴다.
  • 화초 (花椒) : 산초나무의 열매. 기름을 만드는 원료로 쓰고 식용 또는 약용한다.
  • 개산초 (개山椒) : '「1」'의 열매.
  • 계초정 (桂椒錠) : 귤피, 천문동, 계피, 건강, 후추, 정향 따위의 가루와 곶감을 짓찧어서 납작납작하게 만든 단맛이 나는 음식.
  • 고초포 (苦椒包) : 씨를 빼낸 풋고추 속에 고기와 두부를 다져 양념한 다음에 밀가루를 묻히고 달걀 푼 것을 씌워 지진 전.
  • 산초어 (山椒魚) : 도롱뇽과의 동물. 몸의 길이는 15cm 정도이며, 갈색 바탕에 둥근 무늬가 있다. 머리는 납작하고 꼬리가 좌우로 편평하며 옆구리에 열세 줄의 홈이 있다. 물이 깨끗하고 수온이 낮은 개울, 못, 습지 따위의 낙엽 밑이나 땅속에 사는데 우리나라 특산종이다.
  • 영양초 (英陽椒) : 경상북도 영양 지방에서 나는, 질이 좋은 고추.
  • 왕초피 (王椒皮) : 운향과의 낙엽 관목. 줄기는 높이가 7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겹잎이다. 5월에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9월에 붉게 익는다. 열매는 약용하고 잎은 식용하며 종자는 기름 제조에 쓴다. 한국의 제주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좀산초 (좀山椒) : 운향과의 상록 관목. 높이는 2미터 정도이며 산초나무와 비슷하나 잎이 좁고 짧다. 6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10월에 익는다. 제주도 등지에 분포한다.
  • 천초말 (川椒末) : 초피나무 열매를 따서 말린 다음 씨를 빼고 열매껍질로 만든, 아주 잘고 보드라운 가루. 약재나 음식의 조미료로 쓰인다.
  • 천초유 (川椒油) : 초피나무의 열매로 짠 기름.
  • 청고초 (靑苦椒) : 아직 익지 아니한 푸른 고추.
  • 초박주 (椒柏酒) : 산초나무 열매와 잣을 넣어 빚은 술. 섣달 그믐날 밤에 담가서 정초에 마시면 괴질을 물리친다고 한다.
  • 초백주 (椒柏酒) : 산초나무 열매와 잣을 넣어 빚은 술. 섣달 그믐날 밤에 담가서 정초에 마시면 괴질을 물리친다고 한다.
  • 초염병 (椒鹽餠) : 밀가루 떡의 하나. 밀가루에 참기름, 조핏가루, 소금, 회향을 섞어서 소를 만들어 넣고 찐다.
  • 태양초 (太陽椒) : 햇볕에 말린 고추.
  • 호초당 (胡椒糖) : 굵은 후춧가루를 넣어서 만든 엿.
  • 호초등 (胡椒藤) : 후춧과의 상록 활엽 덩굴성 나무. 길이는 4미터 정도이며 잎은 끝이 뾰족한 달걀 모양 또는 심장 모양이다. 암수딴그루로 6~7월에 노란색의 잔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공 모양의 장과(漿果)로 붉게 익는다.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 분포한다.
  • 호초말 (胡椒末) : 후추를 갈아서 만든 가루. 양념으로 쓴다.
  • 고초아채 (苦椒芽菜) : 고추의 어린싹을 솎아 내어 데쳐서 무치거나 볶은 나물.
  • 고초엽채 (苦椒葉菜) : 고춧잎을 데쳐서 무친 나물.
  • 산초나무 (山椒나무) : 운향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우상 복엽이다. 8~9월에 흰 꽃이 줄기 끝에 산방(繖房) 화서로 피고 열매는 녹갈색의 삭과(蒴果)로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산기슭 양지에 나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오고초장 (熬苦椒醬) : 고추장에 참기름과 설탕을 치고 잘게 썬 쇠고기와 온갖 양념을 섞어서 볶은 반찬.
  • 천초자반 (川椒자반) : 초피나무의 열매로 만든 자반. 벌어지지 아니한 초피나무의 열매 위에 묽은 찹쌀가루 죽을 바르고 다시 찹쌀가루를 묻혀서 납작하게 눌러 말린 뒤에 기름을 둘러 지져서 만든다.
  • 청고초장 (靑苦椒醬) : 잔풋고추를 번철이나 프라이팬 따위에 거뭇거뭇하게 볶아 진장을 친 음식.
  • 청고초초 (靑苦椒炒) : 잔풋고추를 말렸다가 기름에 볶아 내어 소금을 약간 뿌린 음식.
  • 초방지친 (椒房之親) : 왕비의 친정 쪽 친족(親族)을 이르던 말.
  • 호초나무 (胡椒나무) : 후춧과의 열대성 상록 관목. 높이는 5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다. 암수딴그루로 5~6월에 작고 흰 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장과(漿果)로 붉게 익는다. 열매는 익기 전에 따서 말려서 향신료, 조미료, 약재 따위로 널리 쓴다. 인도 남부가 원산지로 열대 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 개산초나무 (개山椒나무) : 운향과의 상록 관목. 줄기는 높이가 4미터 정도이며,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잔톱니와 날개가 있으며 5월에 엷은 노란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모여 핀다. 공 모양의 열매는 삭과(蒴果)로 8월에 익는데 냄새가 나고 매운맛이 있다. 열매는 기침약으로, 잎은 타박상에 바르는 약으로 쓰고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산 중턱이나 골짜기에 나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민산초나무 (민山椒나무) : 운향과의 낙엽 교목. 산초나무와 비슷하나 가지에 가시가 없다.
  • 산초장아찌 (山椒장아찌) : 분디를 서리 맞기 전에 따서 만든 장아찌.
  • 왕산초나무 (王山椒나무) : 운향과의 낙엽 관목. 줄기는 높이가 7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겹잎이다. 5월에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9월에 붉게 익는다. 열매는 약용하고 잎은 식용하며 종자는 기름 제조에 쓴다. 한국의 제주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왕초피나무 (王椒皮나무) : 운향과의 낙엽 관목. 줄기는 높이가 7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겹잎이다. 5월에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9월에 붉게 익는다. 열매는 약용하고 잎은 식용하며 종자는 기름 제조에 쓴다. 한국의 제주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좀산초나무 (좀山椒나무) : 운향과의 상록 관목. 높이는 2미터 정도이며 산초나무와 비슷하나 잎이 좁고 짧다. 6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10월에 익는다. 제주도 등지에 분포한다.
  • 천초장아찌 (川椒장아찌) : 초피나무의 풋열매를 간장에 절인 반찬.
  • 청고초향적 (靑苦椒香炙) : 씨를 발라낸 풋고추를 간장과 기름에 버무리고 꼬챙이에 꿰어서 밀가루를 묻히고 달걀 푼 것을 씌워 지진 누름적.
  • 호초 해안 (胡椒海岸) : 아프리카 서부, 시에라리온 남부에서 라이베리아에 걸쳐 있는 해안. 후추 집산지로 유명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椒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折에 관한 단어는 모두 341개

한자 折에 관한 단어는 모두 34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折에 관한 단어는 모두 341개

  • 가절 (價折) : 값을 정함.
  • 결절 (決折) : 판결을 확정함.
  • 경절 (磬折) : 공경하는 태도로 경쇠 모양으로 허리를 굽혀 절함.
  • 고절 (枯折) : 말라서 꺾임.
  • 곡절 (曲折) : 구불구불 꺾이어 있는 상태.
  • 골절 (骨折) : 뼈가 부러짐.
  • 구절 (九折) : 물체가 꼬불꼬불한 모양.
  • 굴절 (屈折) : 휘어서 꺾임.
  • 단절 (短折) : 일찍 부러짐.
  • 단절 (斷折) : 꺾거나 부러뜨림.
  • 면절 (面折) : 대면하여 몹시 꾸짖음.
  • 모절 (毛折) : 머리카락이 윤기가 없어지고 부스러짐. 또는 그런 증상. 오랜 지병(持病)으로 정기가 쇠약하여져서 피모(皮毛)에 영양이 부족하여 생긴다.
  • 반절 (盤折) : 꾸불꾸불 돌아감.
  • 반절 (反折) : 경련이 일어서 몸이 뒤로 꺾이듯이 젖혀지는 증상.
  • 반절 (半折) : 하나를 반으로 가름. 또는 그렇게 가른 반.
  • 백절 (百折) : 여러 번 꺾임.
  • 부절 (剖折) : 쪼개어서 나눔.
  • 심절 (心折) : 마음이 꺾임.
  • 옥절 (玉折) : 보옥(寶玉)이 부서진다는 뜻으로, 재자(才子)나 가인(佳人)이 젊어서 죽음을 이르는 말.
  • 요절 (撓折) : 휘어져 부러짐.
  • 요절 (腰折/腰絕) : 허리가 부러진다는 뜻으로, 몹시 우스워 허리가 아플 정도로 웃는 것을 이르는 말.
  • 요절 (夭折) : 젊은 나이에 죽음.
  • 울절 (鬱折) : 고구려 때의 십사 관등 가운데 셋째 등급. 왕명의 출납과 국가의 문서, 장부 등을 맡아보았다.
  • 위절 (委折) : 순조롭지 아니하게 얽힌 이런저런 복잡한 사정이나 까닭.
  • 전절 (轉折) : 문장의 가락 따위가 돌다가 뚝 끊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절가 (折價) : 물건을 교환할 때에, 값을 견주어 받을 물건의 양을 정함.
  • 절각 (折角) : 뿔이 부러짐. 또는 그 뿔.
  • 절각 (折脚) : 다리가 부러짐. 또는 그 다리.
  • 절간 (折簡) : 온장에 글을 적어 둘로 접은 쪽지. 또는 그런 편지.
  • 절견 (折肩) : 보태평지무에서, 두 손을 얼굴 앞으로 구부려 짓되, 팔꿈치가 들리게 하는 춤사위.
  • 절계 (折桂) : 계수나무의 가지를 꺾는다는 뜻으로, 과거에 급제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절곡 (折曲) : 부러져서 굽어짐.
  • 절골 (折骨) : 뼈가 부러짐.
  • 절교 (折膠) : 아교가 굳어져 꺾이는 때라는 뜻으로, 늦가을 철을 이르는 말.
  • 절급 (折給) : 한 번에 주지 않고 몇 번에 나누어 줌.
  • 절납 (折納) : 현물로 납세하던 때에, 현물 대신 돈으로 환산하여 내던 일.
  • 절단 (折斷) : 구부려서 끊음.
  • 절류 (折柳) : 버들가지를 꺾는다는 뜻으로, 배웅하여 이별함을 이르는 말. 옛날 중국의 장안 사람이 손님을 배웅할 때에 버들가지를 꺾어 주며 재회를 기약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절목 (折木) : 나무를 꺾거나 부러뜨림.
  • 절미 (折米) : 낟알이 여러 개로 깨져서 토막 난 쌀.
  • 절반 (折半) : 하나를 반으로 가름. 또는 그렇게 가른 반.
  • 절번 (折飜) : 정대업지무에서, 좌우 팔을 어깨에서 약 2cm쯤 쳐들고 팔꿈치를 구부려 돌려 주먹을 뒤로 비트는 춤사위.
  • 절복 (折伏) : 나쁜 사람이나 외도(外道)ㆍ사도(邪道)를 꺾어 굴복시키는 일.
  • 절본 (折本) : 책을 장정하는 방법의 하나. 두루마리식으로 길게 이은 종이를 옆으로 적당한 폭으로 병풍처럼 접고, 그 앞과 뒤에 따로 표지를 붙인 오늘날의 법첩(法帖)과 같은 형태의 장정이다.
  • 절봉 (折俸) : 관리의 봉급을 반으로 깎아 지급하거나 다른 물건으로 대신 지급하던 일.
  • 절사 (折死) : 젊은 나이에 죽음.
  • 절산 (折算) :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지를 따져 헤아림.
  • 절상 (折傷) : 뼈가 부러지거나 뼈마디가 어긋나 다침. 또는 그런 부상.
  • 절색 (折色) : 중국 명나라 때에, 녹미(祿米) 대신에 다른 것을 지급하던 일.
  • 절선 (折線) : '꺾은선'의 전 용어. (꺾은선: 여러 가지 길이와 방향을 가진 선분들을 차례로 이은 선.)
  • 절세 (折稅) : 중국에서, 세금을 물품으로 대신 납부하던 일.
  • 절송 (折訟) : 송사(訟事)를 판결함.
  • 절수 (折受) : 받을 것을 한꺼번에 받지 아니하고 여러 번에 나누어서 받음.
  • 절수 (折收) : 징수액을 한꺼번에 받지 아니하고 여러 번에 나누어서 거두어들임.
  • 절수 (折水) : 바리때 씻은 물을 버리는 일.
  • 절옥 (折獄) : 역적이나 살인범 등의 중범죄를 다스리어 처리하던 일.
  • 절요 (折腰) : 허리를 꺾는다는 뜻으로, 절개를 굽히고 남에게 굽실거림을 이르는 말.
  • 절욕 (折辱) : 기를 꺾어 욕보임.
  • 절장 (折杖) : 장형(杖刑)을 감형(減刑)하던 일.
  • 절전 (折錢) : 할인(割引)하는 일.
  • 절절 (折節) : 절개나 의지 따위를 꺾음.
  • 절중 (折中) : 서로 다른 사물이나 의견, 관점 따위를 알맞게 조절하여 서로 잘 어울리게 함.
  • 절지 (折枝) : 나뭇가지를 꺾음. 또는 그 나뭇가지.
  • 절질 (折跌) : 다리가 부러지거나 접질림.
  • 절척 (折脊) : 허리와 등뼈가 끊어질 듯이 아픈 증상.
  • 절척 (折尺) :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만든 자.
  • 절초 (折草) : 거름이나 땔나무로 쓰기 위하여 풀이나 잎나무 따위를 벰.
  • 절충 (折衝) : 적의 전차(戰車)를 후퇴시킨다는 뜻으로, 이해관계가 서로 다른 상대와 교섭하거나 담판함을 이르는 말. 충(衝)은 전차의 하나이다.
  • 절충 (折衷) : 서로 다른 사물이나 의견, 관점 따위를 알맞게 조절하여 서로 잘 어울리게 함.
  • 절파 (折破) : 세력 따위를 꺾어서 부숨.
  • 절풍 (折風) : 삼국 시대에, 머리에 쓰던 고깔 모양의 건. 새의 깃털을 꽂거나 붉은 비단으로 만들어 금은 장식을 하였다.
  • 절함 (折檻) : 엄하게 꾸짖음.
  • 절화 (折花) : 가지째 꽃을 꺾음. 또는 그렇게 꺾은 꽃.
  • 좌절 (挫折) : 마음이나 기운이 꺾임.
  • 최절 (摧折) : 마음이나 기운이 꺾임.
  • 층절 (層折) : 층지고 꺾임. 또는 그런 곳.
  • 팔절 (八折) : 여덟 번 꺾은 것이라는 뜻으로, 전지(全紙)를 세 번 접어서 여덟 장으로 나눔을 이르는 말.
  • 회절 (回折) : 파동의 전파가 장애물 때문에 일부가 차단되었을 때 장애물의 그림자 부분에까지도 파동이 전파하는 현상. 장애물의 크기와 파장이 같은 정도일 때 뚜렷이 나타난다. 음파, 전자기파, 빛, 엑스선 외에 전자선, 중성자선 따위의 입자선에서도 그 양자 역학적인 파동성 때문에 이 현상이 일어난다.
  • 훼절 (毁折) : 부딪쳐서 꺾임.
  • 곡절어 (曲折語) : 형태론적 특징으로 본 언어의 한 유형. 어형과 어미의 변화로써 단어가 문장 속에서 가지는 여러 가지 관계를 나타내는 언어를 이른다. 인도ㆍ유럽 어족에 속한 대부분의 언어가 이에 속한다.
  • 골절상 (骨折傷) : 뼈가 부러지는 부상. 또는 그 상처.
  • 광굴절 (光屈折) : 빛이 한 매질로부터 다른 매질로 지날 때 그 경계면에서 방향을 바꾸어 꺾이는 현상. 빛의 속도가 매질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다.
  • 구절령 (九折嶺) : 함경북도 회령군 보을면과 무산군 풍계면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는 1,026미터.
  • 구절판 (九折坂) : 구절판찬합에 담아 먹는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 둘레의 여덟 칸에 각각 여덟 가지 음식을 담고, 가운데 둥근 칸에는 밀전병을 담아 두어, 둘레의 음식을 골고루 조금씩 전병에 싸서 먹는다.
  • 구절포 (九折包) : 구절판찬합에 담아 먹는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 둘레의 여덟 칸에 각각 여덟 가지 음식을 담고, 가운데 둥근 칸에는 밀전병을 담아 두어, 둘레의 음식을 골고루 조금씩 전병에 싸서 먹는다.
  • 굴절각 (屈折角) : 빛이나 소리가 하나의 매질을 지나 다른 매질로 들어가면서 두 매질의 경계면에서 굴절할 때, 굴절된 파동의 방향과 경계면의 법선이 이루는 각도.
  • 굴절계 (屈折計) : 프리즘을 써서 물질을 지나는 빛의 굴절률을 재는 계기.
  • 굴절구 (屈折球) : 통과하는 빛이 반드시 꺾이도록 주위의 매질과 다른 굴절률을 가진,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 공.
  • 굴절도 (屈折度) : 빛이나 전자파가 하나의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비추어 들 때, 입사각의 사인(sine)과 굴절각의 사인에 대하여 보이는 비. 이는 두 매질에서 빛 속도의 비와 같다.
  • 굴절력 (屈折力) : 빛의 방향을 바꾸는 힘.
  • 굴절률 (屈折率) : 빛이나 전자파가 하나의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비추어 들 때, 입사각의 사인(sine)과 굴절각의 사인에 대하여 보이는 비. 이는 두 매질에서 빛 속도의 비와 같다.
  • 굴절면 (屈折面) : 빛이나 소리가 굴절하는 매질의 면.
  • 굴절법 (屈折法) : 지진 탐사법의 하나. 화약을 터뜨리거나 큰 망치로 때려서 생긴 탄성파가 지각 내에서 굴절하여 전파되는 속도를 재어 지하의 구조를 조사한다.
  • 굴절선 (屈折線) : 굴절된 빛이 나아가는 길을 이은 선.
  • 굴절성 (屈折性) : 광선이나 음파가 휘어져 꺾이는 성질.
  • 굴절어 (屈折語) : 형태론적 특징으로 본 언어의 한 유형. 어형과 어미의 변화로써 단어가 문장 속에서 가지는 여러 가지 관계를 나타내는 언어를 이른다. 인도ㆍ유럽 어족에 속한 대부분의 언어가 이에 속한다.
  • 굴절파 (屈折波) :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들어가는 빛이나 소리의 파.
  • 굴절학 (屈折學) : 굴절에 관련된 모든 현상이나 원리를 다루는 학문.
  • 단굴절 (單屈折) : 입사 광선에 굴절 광선이 하나밖에 없는 굴절 현상.


https://dict.wordrow.kr에서 折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