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6일 일요일

개산시조: 開山始祖

개산시조 (開山始祖) : 절을 처음 세우거나 종파를 새로 연 승려.



開山始祖 한자 뜻 풀이

  • 開(열 개) : 열다, 산 이름, 열림, 사라지다, 끓다. 양손으로 닫힌 문을 연다는 의미에서 '열다'는 의미 생성. 반의어는 '閉(폐)닫다'
  • 山(메 산) : 메, 산신(山神), 무덤, 절, 임금의 상(象). 솟아 있는 '산'과 봉우리들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 始(처음 시) : 처음, 시작하다, 처음에, 초하루, 아침. 여자가 애를 배게 되었다는 의미에서 비로소 진정한 여자가 되었다는 의미로 '비로소', '처음'의 의미 생성
  • 祖(할아비 조) : 할아비, 조상(祖上), 사당(祠堂), 처음, 근본. 인간이 정성을 보이는 영적인 존재의 상징으로 '조상'의 의미 생성


[始] 처음 시 (처음, 시작하다, 처음에, 초하루, 아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생민지시만복지원 획순 이미지 생민지시만복지원(生民之始萬福之原) : 백성(百姓)을 태어나게 하는 시초(始初)요, 일만가지 복의 근원(根源)임. [ (: 날 생) (: 백성 민) (: 갈 지) (: 처음 시) (: 일만 만) (: 복 복) (: 갈 지) (: 언덕 원) ]
  • 유시유종(有始有終) : 처음도 있고 끝도 있다는 뜻으로, 시작한 일을 끝까지 마무리함을 이르는 말. [ (: 있을 유) (: 처음 시) (: 있을 유) (: 끝날 종) ]
  • 신종여시(愼終如始) : 끝을 신중하게 하는 것을 마치 처음 같이 한다는 뜻으로, 일의 종말(終末)에 이르러서도 처음과 같이 마음을 늦추지 않고 애쓴다는 의미. [ (: 삼갈 신) (: 끝날 종) (: 같을 여) (: 처음 시) ]
  • 삼시(三始) : 연(年)ㆍ월(月)ㆍ일(日)의 처음이라는 뜻으로, 정월 초하루의 아침을 이르는 말. [ (: 석 삼) (: 처음 시) ]

[山] 메 산 (메, 산신(山神), 무덤, 절, 임금의 상(象))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막막궁산 획순 이미지 막막궁산(寞寞窮山) : 고요하고 쓸쓸한 느낌이 드는 깊은 산속. [ (: 쓸쓸할 막) (: 쓸쓸할 막) (: 다할 궁) (: 메 산) ]
  • 형산지옥(荊山之玉) : (1)중국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보물로 전해 오는 흰 옥돌을 이르는 말. (2)어질고 착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모형나무 형) (: 메 산) (: 갈 지) (: 구슬 옥) ]
  • 산고수청(山高水淸) : 산은 높고 물은 맑다는 뜻으로, 경치가 좋음을 이르는 말. [ (: 메 산) (: 높을 고) (: 물 수) (: 맑을 청) ]
  • 춘산여소(春山如笑) : 봄철의 산이 온자(蘊藉)함을 이르는 말. [ (: 봄 춘) (: 메 산) (: 같을 여) (: 웃을 소) ]
  • 산용수상(山容水相) : 산의 솟은 모양과 물의 흐르는 모양이라는 뜻으로, 산천의 형세를 이르는 말. [ (: 메 산) (: 얼굴 용) (: 물 수) (: 서로 상) ]

[祖] 할아비 조 (할아비, 조상(祖上), 사당(祠堂), 처음, 근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현조고 획순 이미지 현조고(懸祖考) : 신주(神主)나 축문(祝文)에서 '돌아간 할아버지'를 일컫는 말. [ (: 매달 현) (: 할아비 조) (: 상고할 고) ]
  • 조항(祖行) : (1)할아버지뻘의 항렬. ⇒규범 표기는 '조항'이다. (2)할아버지뻘의 항렬. [ (: 할아비 조) (: 줄 항) ]
  • 비조(鼻祖) : (1)나중 것의 바탕이 된 맨 처음의 것. (2)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3)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 [ (: 코 비) (: 할아비 조) ]

[開] 열 개 (열다, 산 이름, 열림, 사라지다, 끓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개문납적 획순 이미지 개문납적(開門納賊) : 문을 열어 도둑이 들어오게 한다는 뜻으로, 제 스스로 화를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 (: 열 개) (: 문 문) (: 들일 납) (: 도둑 적) ]
  • 개권유득(開卷有得) : 책을 열면 소득이 있다는 뜻으로, 책을 읽게 되면 항상 유익함을 얻게 된다는 의미. [ (: 열 개) (: 말 권) (: 있을 유) (: 얻을 득) ]
  • 개물성무(開物成務) : 만물의 뜻을 깨달아 모든 일을 이룸. [ (: 열 개) (: 만물 물) (: 이룰 성) (: 힘쓸 무) ]
  • 개원절류(開源節流) : 재원(財源)을 늘리고 지출을 줄인다는 뜻으로, 부를 이루기 위하여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原則)을 비유(比喩)한 말. [ (: 열 개) (: 근원 원) (: 마디 절) (: 흐를 류) ]

[승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사명식 획순 이미지 사사명식(四邪命食) : 승려의 떳떳하지 못한 네 가지 생활 방식. 하구식(下口食), 앙구식(仰口食), 방구식(方口食), 유구식(維口食)이다. 비구는 본디 걸식 생활을 본의로 하는데 다른 생활도 함을 이르는 말이다. [ (: 넉 사) (: 간사할 사) (: 목숨 명) (: 밥 식) ]
  • 대중공양(大衆供養) : 신자(信者)가 여러 승려에게 음식을 차려 대접하는 일. [ (: 큰 대) (: 무리 중) (: 이바지할 공) (: 기를 양) ]
  • 조강(糟糠) : (1)지게미와 쌀겨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먹는 변변치 못한 음식을 이르는 말. (2)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3)교만한 승려나 거친 교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지게미 조) (: 겨 강) ]
  • 개산시조(開山始祖) : 절을 처음 세우거나 종파를 새로 연 승려. [ (: 열 개) (: 메 산) (: 처음 시) (: 할아비 조) ]
  • 비승비속(非僧非俗) : 승려도 아니고 속인도 아니라는 뜻으로, 이것도 저것도 아닌 어중간함을 이르는 말. [ (: 아닐 비) (: 중 승) (: 아닐 비) (: 풍속 속) ]

[종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개산시조 획순 이미지 개산시조(開山始祖) : 절을 처음 세우거나 종파를 새로 연 승려. [ (: 열 개) (: 메 산) (: 처음 시) (: 할아비 조) ]
  • 개산조사(開山祖師) : 절을 처음 세우거나 종파를 새로 연 승려. [ (: 열 개) (: 메 산) (: 할아비 조) (: 스승 사) ]

[처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녹야원 획순 이미지 녹야원(鹿野苑) : 인도 중부에 있던 동산. 석가모니가 다섯 비구를 위하여 처음으로 설법한 곳이다. [ (: 들 야) (: 나라 동산 원) ]
  • 통성명(通姓名) : 처음으로 인사할 때 서로 성과 이름을 알려 줌. [ (: 통할 통) (: 성 성) (: 이름 명) ]
  • 전대미문(前代未聞) : 이제까지 들어 본 적이 없음. [ (: 앞 전) (: 대신 대) (: 아닐 미) (: 들을 문) ]
  • 비조(鼻祖) : (1)나중 것의 바탕이 된 맨 처음의 것. (2)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3)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 [ (: 코 비) (: 할아비 조) ]
  • 전후곡절(前後曲折) : 일의 처음부터 끝까지의 이런저런 복잡한 사정. [ (: 앞 전) (: 뒤 후) (: 굽을 곡) (: 꺾을 절)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