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24일 금요일

한자 輦에 관한 단어는 모두 48개

한자 輦에 관한 단어는 모두 4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輦에 관한 단어는 모두 48개

  • 연 (輦) : 임금이 거둥할 때 타고 다니던 가마. 옥개(屋蓋)에 붉은 칠을 하고 황금으로 장식하였으며, 둥근기둥 네 개로 작은 집을 지어 올려놓고 사방에 붉은 난간을 달았다.
  • 경련 (京輦) : 한 나라의 중앙 정부가 있는 곳.
  • 공련 (空輦) : 임금이 거둥할 때 임금이 탄 거가(車駕)보다 앞장서서 예비로 가는 빈 연.
  • 대련 (大輦) : 큰 가마. 임금이 타는 가마 가운데 하나이다.
  • 동련 (同輦) : 임금이 타는 가마 위에 같이 탐.
  • 발련 (發輦) : 임금이 거둥함. 또는 그런 행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보련 (寶輦) : 위를 꾸미지 아니하고 만든, 임금이 타는 가마.
  • 봉련 (鳳輦) : 꼭대기에 황금의 봉황을 장식한, 임금이 타는 가마.
  • 부련 (副輦) : 임금이 거둥할 때 임금이 탄 거가(車駕)보다 앞장서서 예비로 가는 빈 연.
  • 성련 (聖輦) : 임금이 나들이할 때에 타던 연.
  • 소련 (素輦) : 임금이 상중(喪中)에 쓰던 흰 수레.
  • 시련 (侍輦) : 불상이나 죽은 사람의 위패를 연(輦) 안에 두고 절 안을 세 번씩 돌아다니는 일.
  • 신련 (神輦) : 인산(因山) 때에, 임금의 신백(神帛)을 모시고 가던 연(輦).
  • 여련 (輿輦) : 임금이 타는 수레.
  • 연곡 (輦轂) : 임금이 타던 수레.
  • 연도 (輦道) : 궁중(宮中)의 길.
  • 연로 (輦路) : 임금이 거둥하는 길.
  • 연여 (輦轝) : 임금이 타는 연(輦)과 임금의 지친(至親)이 타는 여(轝)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연차 (輦車) : 사람이 직접 손으로 끄는 수레.
  • 연하 (輦下) : 임금이 타는 수레인 연(輦)의 아래라는 뜻으로, 임금이 있는 곳을 이르는 말.
  • 옥련 (玉輦) : '연'을 높여 이르던 말. (연: 임금이 거둥할 때 타고 다니던 가마. 옥개(屋蓋)에 붉은 칠을 하고 황금으로 장식하였으며, 둥근기둥 네 개로 작은 집을 지어 올려놓고 사방에 붉은 난간을 달았다.)
  • 요련 (遙輦) : 요나라가 건국하기까지 거란의 주체를 이룬 여덟 부족을 통솔하고 있던 씨족.
  • 정련 (正輦) : 임금이 나들이할 때에 타던 연.
  • 주련 (駐輦) : 임금이 행차할 때, 도중에 잠시 가마를 머무르게 하던 일.
  • 채련 (彩輦) : 왕실의 의식 때 귀중품을 싣던 꽃무늬를 놓은 가마.
  • 하련 (下輦) : 임금이 가마에서 내리던 일.
  • 협련 (挾輦) : 임금의 가마를 호위함.
  • 혼련 (魂輦) : 인산(因山) 때에, 임금의 신백(神帛)을 모시고 가던 연(輦).
  • 동궁련 (東宮輦) : 조선 시대에, 세자가 타던 큰 가마.
  • 부련배 (副輦陪) : 임금이 거둥할 때 부련을 메는 사람.
  • 시련터 (侍輦터) : 시련하기 위하여 따로 마련한 곳.
  • 연곡하 (輦轂下) : 왕궁이 있는 도시.
  • 연메꾼 (輦메꾼) : 예전에, 연(輦)을 메는 사람을 이르던 말.
  • 연춧대 (輦춧대) : 연(輦)이나 상여 따위를 멜 때에 멍에에 가로로 대는 나무.
  • 정련배 (正輦陪) : 임금이 탄 연을 메던 사람.
  • 하련소 (下輦所) : 임금이 가마에서 내리던 곳. 임시로 마련한 곳이다.
  • 협련군 (挾輦軍) : 조선 시대에, 훈련도감에 속하여 임금이 탄 가마의 호위를 맡아 하던 군사.
  • 호련대 (扈輦隊) : 조선 시대에, 용호영에 속한 군대. 정련배, 부련배 및 의장(儀仗)을 드는 군사로 조직하였다.
  • 동련하다 (同輦하다) : 임금이 타는 가마 위에 같이 타다.
  • 발련하다 (發輦하다) : 임금이 거둥하다.
  • 시련하다 (侍輦하다) : 불상이나 죽은 사람의 위패를 연(輦) 안에 두고 절 안을 세 번씩 돌아다니다.
  • 연곡지하 (輦轂之下) : 왕궁이 있는 도시.
  • 주련하다 (駐輦하다) : 임금이 행차할 때, 도중에 잠시 가마를 머무르게 하다.
  • 중궁대련 (中宮大輦) : 왕비가 타던 큰 수레.
  • 하련하다 (下輦하다) : 임금이 가마에서 내리다.
  • 협련되다 (挾輦되다) : 임금의 가마가 호위되다.
  • 협련하다 (挾輦하다) : 임금의 가마를 호위하다.
  • 동궁 대련 (東宮大輦) : 조선 시대에, 세자가 타던 큰 가마.


https://dict.wordrow.kr에서 輦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殮에 관한 단어는 모두 32개

한자 殮에 관한 단어는 모두 32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殮에 관한 단어는 모두 32개

  • 염 (殮) : 시신을 수의로 갈아입힌 다음, 베나 이불 따위로 쌈.
  • 개렴 (改殮) : 죽은 사람의 몸을 씻긴 뒤에 옷을 입히고 염포(殮布)로 묶는 일을 다시 고치어 함.
  • 관렴 (棺殮) : 시신을 관 속에 넣음.
  • 대렴 (大殮) : 소렴을 한 다음 날, 입관을 위해 소렴한 시신을 베로 감싸서 매듭을 지음.
  • 빙렴 (聘殮) : 장례 때에 예를 갖추어 염(殮)을 함.
  • 소렴 (小殮/小斂) : 운명한 다음 날, 시신에 수의를 갈아입히고 이불로 쌈.
  • 습렴 (襲殮) : 시신을 씻긴 뒤 수의를 갈아입히고 염포로 묶는 일.
  • 염구 (殮具) : 염습할 때에, 사용하는 여러 가지 기구.
  • 염빈 (殮殯) : 시체를 염습하여 관에 넣어 안치함.
  • 염습 (殮襲) : 시신을 씻긴 뒤 수의를 갈아입히고 염포로 묶는 일.
  • 염장 (殮葬) : 시체를 염습하여 장사를 지냄.
  • 염장 (殮匠) : 시체를 염습하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염포 (殮布) : 염습할 때에 시체를 묶는 베.
  • 염혼 (殮昏) : 사람의 생애나 나라의 운명 따위가 한창인 고비를 지나 쇠퇴하여 종말에 이른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입렴 (入殮) : 시체를 관(棺)에 넣는 일.
  • 대렴금 (大殮衾) : 대렴에 쓰는 이불.
  • 대소렴 (大小殮) : 대렴(大殮)과 소렴(小殮)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소렴금 (小殮衾) : 소렴할 때에 시체를 싸는 이불.
  • 소렴포 (小殮布) : 소렴할 때에 시체를 싸는 베.
  • 염장이 (殮장이) : 시체를 염습하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염폿국 (殮布국) : 발인(發靷)하는 날 상가(喪家)에서 먹는 맑은장국. 쇠고기, 북어, 다시마, 두부 따위를 넣고 끓인다.
  • 염하다 (殮하다) : 시신을 수의로 갈아입힌 다음, 베나 이불 따위로 싸다.
  • 개렴하다 (改殮하다) : 죽은 사람의 몸을 씻긴 뒤에 옷을 입히고 염포(殮布)로 묶는 일을 다시 고치어 하다.
  • 관렴하다 (棺殮하다) : 시신을 관 속에 넣다.
  • 대렴하다 (大殮하다) : 소렴을 한 다음 날, 입관을 위해 소렴한 시신을 베로 감싸서 매듭을 짓다.
  • 빙렴하다 (聘殮하다) : 장례 때에 예를 갖추어 염(殮)을 하다.
  • 소렴하다 (小殮하다/小斂하다) : 운명한 다음 날, 시신에 수의를 갈아입히고 이불로 싸다.
  • 습렴하다 (襲殮하다) : 시신을 씻긴 뒤 수의를 갈아입히고 염포로 묶다.
  • 염빈하다 (殮殯하다) : 시체를 염습하여 관에 넣어 안치하다.
  • 염습하다 (殮襲하다) : 시신을 씻긴 뒤 수의를 갈아입히고 염포로 묶다.
  • 염잡수다 (殮잡수다) : '염습하다'의 높임말. (염습하다: 시신을 씻긴 뒤 수의를 갈아입히고 염포로 묶다.)
  • 염장하다 (殮葬하다) : 시체를 염습하여 장사를 지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殮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位에 관한 단어는 모두 990개

한자 位에 관한 단어는 모두 99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位에 관한 단어는 모두 990개

  • 위 (位) : 신주(神主), 또는 위패(位牌)로 모신 신을 세는 단위.
  • 위 (位) : 개인의 사회적 신분에 따르는 위치나 자리.
  • 각위 (覺位) : 만유의 실상을 깨달아 성불한 지위.
  • 각위 (各位) : 앞앞의 여러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
  • 객위 (客位) : 손님의 자리.
  • 갱위 (更位) : 물러났던 임금이 왕위(王位)에 다시 오름.
  • 건위 (乾位) : 남자의 신주나 위패 또는 무덤.
  • 걸위 (乞位) : 부녀자가 돈이나 옷을 바치고 비는 거지의 영위(靈位).
  • 경위 (京位) : 신라 때에, 중앙 출신 벼슬아치들에게 수여하던 벼슬 등급의 체계. 각간에서 조위(造位)에 이르기까지 모두 십칠 관등으로 구분하였다.
  • 계위 (繼位) : 왕위를 이어받음.
  • 계위 (階位) : 지위나 계층 따위의 등급.
  • 고위 (高位) : 높고 귀한 지위.
  • 고위 (考位) : 돌아가신 아버지와 각 대의 할아버지의 위패(位牌).
  • 곤위 (坤位) : 여자의 신주나 위패 또는 무덤.
  • 곤위 (壼位/坤位) : 황후의 지위.
  • 공위 (功位) : 공로에 따라서 얻는 벼슬자리.
  • 공위 (空位) : 실권이 없고 이름뿐인 직위.
  • 과위 (果位) : 수행한 공덕으로 깨달음을 얻은 지위.
  • 관위 (官位) : 예전에, 벼슬자리 또는 직위를 이르던 말.
  • 괴위 (槐位) : '삼공'을 달리 이르던 말. 중국 주나라 때에, 세 그루의 회화나무를 심어 삼공의 자리를 정한 데서 비롯되었다. (삼공: 고려 시대에, 태위(太尉)ㆍ사도(司徒)ㆍ사공(司空)의 세 벼슬을 통틀어 이르던 말. 삼사(三師)와 함께 임금의 고문 구실을 하는 국가 최고의 명예직으로 초기에 두었다가 공민왕 때에 없앴다., 의정부에서 국가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일을 맡아보던 세 벼슬.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이른다., 중국에서, 최고의 관직에 있으면서 천자를 보좌하던 세 벼슬. 주나라 때는 태사(太師)ㆍ태부(太傅)ㆍ태보(太保)가 있었고 진(秦)나라, 전한(前漢) 때는 승상(丞相)ㆍ태위(太尉)ㆍ어사대부(御史大夫), 또는 대사마(大司馬)ㆍ대사공(大司空)ㆍ대사도(大司徒)가 있었으며 후한(後漢), 당나라, 송나라 때는 태위(太尉)ㆍ사도(司徒)ㆍ사공(司空)이 있었다.)
  • 국위 (國位) : 임금의 지위. 또는 나라 원수(元首)의 지위.
  • 군위 (君位) : 임금의 지위.
  • 궐위 (闕位) : 어떤 직위나 관직 따위가 빔. 또는 그런 자리.
  • 극위 (極位) : 가장 높은 지위.
  • 기위 (寄位) : 교리의 깊고 얕음에 따라 수행의 위계(位階)에 차별을 둠.
  • 녹위 (祿位) : 녹봉과 벼슬자리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단위 (段位) : 무도, 장기, 바둑 따위에서 기량을 나타내는 단의 등급. 급(級)보다 높다.
  • 단위 (單位) : 선종(禪宗)에서, 승당 안에 명패를 붙여 지정한 좌석.
  • 단위 (單位) : 하나의 위패.
  • 단위 (單位) : 하나의 조직 따위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한 덩어리.
  • 대위 (臺位) : 삼공(三公)의 지위.
  • 대위 (代位) : 제삼자가 다른 사람의 법률적 지위를 대신하여 그가 가진 권리를 얻거나 행사하는 일. 채권자가 채무자의 권리를 대신 행사하는 일 따위이다.
  • 대위 (大位) : 높은 관위나 지위.
  • 동위 (同位) : 같은 위치.
  • 두위 (頭位) : 머리의 위치. 특히 해산할 때 태아의 머리가 있는 위치를 이른다.
  • 둔위 (臀位) : 해산할 때에, 태아가 엉덩이를 밑으로 하고 있는 자세.
  • 등위 (登位) : 임금의 자리에 오름.
  • 등위 (等位) : 같은 위치.
  • 말위 (末位) : '끝자리'의 전 용어. (끝자리: 수치의 마지막 자리. 예를 들어 563의 끝자리는 3이다.)
  • 명위 (命位) : 한 등급의 단위 몇 개를 모아 다른 등급의 단위가 되는 것을 정하는 일. 예를 들어 열 치를 한 자로, 60초를 1분으로 정하는 따위이다.
  • 묘위 (墓位) : 묘에서 지내는 제사의 비용을 마련하기 위하여 경작하던 논밭.
  • 무위 (無位) : 일정한 지위나 직위가 없음.
  • 반위 (班位) : 높고 낮음이나 좋고 나쁨 따위의 차이를 여러 층으로 구분한 단계.
  • 발위 (鉢位) : 선종에서, 승려가 식사할 때 앉는 자리.
  • 방위 (方位) : 공간의 어떤 점이나 방향이 한 기준의 방향에 대하여 나타내는 어떠한 쪽의 위치. 동서남북의 네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8방향, 16방향, 32방향으로 세분한다.
  • 배위 (配位) : 남편과 아내가 다 죽었을 때에 그 아내를 높여 이르는 말.
  • 배위 (拜位) : 절을 하는 자리. 의식을 행할 때 정하여진 규례에 따라 정한다.
  • 법위 (法位) : 승려의 지위.
  • 변위 (變位) : 물체가 위치를 바꿈. 또는 그 물체의 나중 위치와 처음 위치의 차이를 나타내는 벡터양. 크기와 방향을 가진다.
  • 보위 (寶位) : 임금의 자리.
  • 복위 (復位) : 폐위되었던 제왕이나 후비(后妃)가 다시 그 자리에 오름.
  • 본위 (本位) : 판단이나 행동에서 중심이 되는 기준.
  • 부위 (部位) : 전체에 대하여 어떤 특정한 부분이 차지하는 위치.
  • 비위 (備位) : 벼슬자리에 있음.
  • 비위 (妣位) : 돌아가신 어머니로부터 그 윗대 할머니들의 위(位).
  • 빈위 (賓位) : 명제에서, 주사(主辭)에 결합되어 그것을 규정하는 개념. 예를 들어, '개는 동물이다.', '하늘은 높다.'에서 '동물', '높다'가 이에 해당한다.
  • 사위 (斜位) : '사태위'의 전 용어. (사태위: 태아가 어머니의 배 속에서 가로와 세로의 중간에 비스듬히 놓인 위치. 자연 분만을 위해서는 세로의 위치로 하여 머리가 아래로 오도록 회전시킨다.)
  • 사위 (嗣位) : 임금의 자리를 이어받음.
  • 산위 (散位) : 위계만 있고 실제의 관직이 없던 직위.
  • 삼위 (三位) : 성부(聖父)와 성자(聖子)와 성령(聖靈)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상위 (相位) : 정승의 지위.
  • 상위 (上位) : 높은 위치나 지위.
  • 서위 (敍位) : 벼슬자리를 내려 줌.
  • 선위 (船位) : 해상에서의 배의 위치.
  • 선위 (禪位) : 임금의 자리를 물려줌.
  • 설위 (設位) : 자리를 베풀어 만듦.
  • 섭위 (攝位) : 임시로 군주의 지위를 차지함.
  • 성위 (盛位) : 고귀한 자리나 위치.
  • 성위 (星位) : 천구(天球)에서 항성(恒星)이 위치하는 자리.
  • 세위 (勢位) : 권세와 지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손위 (遜位) : 임금의 자리를 내어놓음.
  • 수위 (首位) : 첫째가는 자리나 우두머리가 되는 자리.
  • 수위 (水位) : 강, 바다, 호수, 저수지 따위의 물의 높이.
  • 순위 (順位) : 차례나 순서를 나타내는 위치나 지위.
  • 숭위 (崇位) : 높은 지위나 벼슬.
  • 승위 (僧位) : 승려의 지위.
  • 시위 (尸位) : 예전에, 제사 지낼 때에 신주(神主) 대신 시동(尸童)을 앉히던 자리.
  • 신위 (臣位) : 신하의 등급이나 지위.
  • 신위 (身位) : 신분과 지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신위 (神位) : 신주(神主)를 모셔 두는 자리.
  • 심위 (深位) : 수행을 많이 쌓아 깊고 높은 자리의 단계.
  • 양위 (讓位) : 임금의 자리를 물려줌.
  • 양위 (兩位) : 고인이 된 부부.
  • 업위 (業位) : 집안에서 재수를 맡아 도와준다는 신.
  • 역위 (逆位) : 동물 체제의 좌우가 뒤바뀌어 심장의 위치나 창자의 회전이 거꾸로 되는 따위의 현상.
  • 연위 (年位) : 나이와 지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열위 (劣位) : 남보다 못한 위치나 수준.
  • 열위 (列位) : '여러분'을 문어적으로 이르는 말. (여러분: 듣는 이가 여러 사람일 때 그 사람들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 영위 (領位) : 한 마을이나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는 사람.
  • 영위 (靈位) : 상가(喪家)에서 모시는 혼백이나 가주(假主)의 신위.
  • 영위 (榮位) : 명예롭고 영광스러운 지위.
  • 오위 (五位) : 유식종에서, 보살이 부처가 되기까지의 다섯 단계. 자량위(資糧位), 가행위(加行位), 통달위(通達位), 수습위(修習位), 구경위(究竟位)를 이른다.
  • 온위 (溫位) : 수증기를 함유하지 아니한 공기 덩어리를 열을 차단한 채 표준 기압 1,000hPa까지 압축하였다고 가정한 때의 온도. 기단(氣團)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 왕위 (王位) : 임금의 자리.
  • 외위 (外位) : 신라 때에, 오경(五京)과 구주(九州)에 둔 향직(鄕職). 악간(嶽干)에서 아척에 이르기까지 십일 관등으로 구분하였다.
  • 우위 (右位) : 정승의 지위.
  • 우위 (優位) : 남보다 나은 위치나 수준.
  • 원위 (原位) : 본디의 위치나 지위.
  • 위격 (位格) : 자유 의지를 가지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존재.


https://dict.wordrow.kr에서 位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