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18일 목요일

한자 佇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한자 佇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佇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 김저 (金佇) : 고려 말기의 무장(?~1389). 최영의 생질로 이성계를 죽이려고 모의하다가 발각되어 옥사하였다.
  • 저견 (佇見) : 멈추어 서서 바라봄.
  • 저권 (佇眷) : 멈춰 서서 뒤돌아봄.
  • 저념 (佇念) : 머물러 서서 생각에 잠김.
  • 저립 (佇立) : 우두커니 머물러 섬.
  • 저면 (佇眄) : 멈추어 바라다 봄.
  • 저상 (佇想) : 머물러 서서 생각함.
  • 주저 (周佇) : 고려 목종ㆍ현종 때의 문신(?~1024). 중국 송나라 사람으로 목종 때에 귀화하였다. 예부 상서를 지냈다. 행서(行書)를 잘 쓰고 문장에 능하여 교빙과 사명(辭命)의 대부분을 주관하였다.
  • 저견하다 (佇見하다) : 멈추어 서서 바라보다.
  • 저권하다 (佇眷하다) : 멈춰 서서 뒤돌아보다.
  • 저념하다 (佇念하다) : 머물러 서서 생각에 잠기다.
  • 저립하다 (佇立하다) : 우두커니 머물러 서다.
  • 저면하다 (佇眄하다) : 멈추어 바라다 보다.
  • 저상하다 (佇想하다) : 머물러 서서 생각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佇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揮에 관한 단어는 모두 118개

한자 揮에 관한 단어는 모두 11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揮에 관한 단어는 모두 118개

  • 거휘 (擧揮) : 법무(法舞)에서 하는 춤사위의 하나. 왼쪽에서 시작하면 오른쪽으로, 오른쪽에서 시작하면 왼쪽으로 연속하여 두 손을 모아 하늘을 향해 내뻗는다.
  • 발휘 (發揮) : 재능, 능력 따위를 떨치어 나타냄.
  • 분휘 (奮揮) : 분발하여 떨침.
  • 외휘 (外揮) : 보태평지무에서, 팔을 들어 얼굴 앞을 거쳐 밖으로 두르며 허리를 굽히고 다리를 들었다가 내리고 두른 팔을 다시 아랫배 쪽으로 내리는 춤사위.
  • 지휘 (指揮/指麾) : 합창ㆍ합주 따위에서, 많은 사람의 노래나 연주가 예술적으로 조화를 이루도록 앞에서 이끄는 일. 주로 손이나 몸동작으로 지시한다.
  • 투휘 (投揮) : 물건을 휘두름.
  • 휘각 (揮却) : 거절하여 버리고 돌아보지 아니함.
  • 휘갈 (揮喝) : 큰 소리를 지르며 지휘함.
  • 휘건 (揮巾) : 새색시가 식사할 때나 세수할 때 앞에 두르는 행주치마의 하나. 분홍 모시로 지었다.
  • 휘검 (揮劍) : 칼을 휘두름.
  • 휘루 (揮淚) : 눈물을 뿌림.
  • 휘리 (揮罹) : 후릿그물을 둘러쳐서 물고기를 잡음.
  • 휘발 (揮發) : 보통 온도에서 액체가 기체로 되어 날아 흩어지는 현상.
  • 휘쇄 (揮灑) : 물에 흔들어 씻어 깨끗이 함.
  • 휘수 (揮手) : 손짓을 하여 거절하는 뜻을 보임.
  • 휘장 (揮場) : 예전에, 금방(金榜)을 들고 과장(科場)을 돌아다니며 과거에 합격하였다고 외치던 일.
  • 휘장 (揮帳) : 피륙을 여러 폭으로 이어서 빙 둘러치는 장막.
  • 휘필 (揮筆) : 붓을 휘두른다는 뜻으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것을 이르는 말.
  • 휘한 (揮汗) : 땀을 뿌림.
  • 휘항 (揮項) : '휘양'의 원말. (휘양: 추울 때 머리에 쓰던 모자의 하나. 남바위와 비슷하나 뒤가 훨씬 길고 볼끼를 달아 목덜미와 뺨까지 싸게 만들었는데 볼끼는 뒤로 잦혀 매기도 하였다.)
  • 휘호 (揮毫) : 붓을 휘두른다는 뜻으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것을 이르는 말.
  • 목휘양 (木揮項) : 무명으로 만든 휘양.
  • 목휘항 (木揮項) : '목휘양'의 원말. (목휘양: 무명으로 만든 휘양.)
  • 지휘관 (指揮官) : 지휘권을 가지고 군대를 지휘하고 통솔하는 우두머리. 참모 총장, 사령관, 단위 부대의 부대장 따위가 있다.
  • 지휘권 (指揮權) : 단체의 행동을 통솔할 수 있는 권리.
  • 지휘기 (指揮旗) : 단체의 행동을 통솔하는 기.
  • 지휘기 (指揮機) : 비행기의 편대나 전투를 지휘하는 비행기.
  • 지휘대 (指揮臺) : 지휘자가 올라서서 지휘하도록 마련한 대.
  • 지휘도 (指揮刀) : 훈련, 열병식 따위에서 지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칼. 군도(軍刀)와 달리 날을 세우지 않는다.
  • 지휘법 (指揮法) : 합창, 합주 따위에서 노래나 연주를 조화롭게 이끌기 위하여 손, 몸, 얼굴 표정 따위로 지휘하는 방법.
  • 지휘봉 (指揮棒) : 지휘관이 쓰는 막대기.
  • 지휘부 (指揮部) : 목적을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하여 단체의 행동을 통솔하는 본부.
  • 지휘사 (指揮使) : 고려 시대에 둔, 지방관의 하나. 충렬왕 6년(1280)에 없앴다.
  • 지휘선 (指揮船) : 선단에서 다른 배를 통솔하는 배.
  • 지휘소 (指揮所) : 지휘관과 그 참모가 모여서 부대를 지휘할 수 있도록 마련한 곳.
  • 지휘자 (指揮者) : 합창이나 합주 따위에서, 노래나 연주를 앞에서 조화롭게 이끄는 사람.
  • 지휘정 (指揮艇) : 지휘 본부의 구실을 하는 배.
  • 지휘탑 (指揮塔) : 지휘 구역이 넓거나 지형이 지휘에 부적당하여 따로 세워 지휘하는 망대.
  • 지휘함 (指揮艦) : 함대에서 지휘 본부의 구실을 하는 군함.
  • 총발휘 (總發揮) : 재능이나 능력 따위를 모두 펼쳐 나타냄.
  • 총지휘 (總指揮) : 전체를 총괄하여 통솔함.
  • 휘발도 (揮發度) : 보통 온도에서 액체가 기체로 되어 날아 흩어지는 정도.
  • 휘발분 (揮發分) : 석탄이나 석유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휘발성이 큰 성분.
  • 휘발산 (揮發酸) : 휘발성이 큰 산.
  • 휘발성 (揮發性) : 보통 온도에서 액체가 기체로 되어 날아 흩어지는 성질.
  • 휘발유 (揮發油) : 끓는점이 30~200℃인 휘발성 경질 석유 제품.
  • 휘호료 (揮毫料) : 붓으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려 준 데 대한 보수.
  • 도지휘사 (都指揮使) : 중국 명나라 때에 둔, 도지휘사사의 으뜸 벼슬.
  • 발휘되다 (發揮되다) : 재능, 능력 따위가 떨쳐져 나타나다.
  • 발휘하다 (發揮하다) : 재능, 능력 따위를 떨치어 나타내다.
  • 부지휘관 (副指揮官) : 지휘관을 보좌하거나 대리하는 지휘관.
  • 분휘하다 (奮揮하다) : 분발하여 떨치다.
  • 불휘발성 (不揮發性) : 기체로 변하여 날아가지 아니하는 성질.
  • 비휘발도 (比揮發度) : 한 성분의 휘발도를 다른 성분의 휘발도로 나눈 수치.
  • 삼색휘장 (三色揮帳) : 빨강ㆍ노랑ㆍ파랑의 색으로 된, 상여의 휘장.
  • 석상휘호 (席上揮毫) : 그림이나 글씨를 앉은자리에서 즉시 그리거나 쓰는 일.
  • 슬상내휘 (膝上內揮) : 정대업지무에서, 허리를 구부리고 두 손을 모아 무릎 위에서 안으로 둘러 어깨 아래로 놓는 사위.
  • 일필휘지 (一筆揮之) : 글씨를 단숨에 죽 내리 씀.
  • 지휘명령 (指揮命令) : 상급 관청이 하급 관청에 그 소관 사무에 관하여 내리는 명령.
  • 지휘하다 (指揮하다/指麾하다) : 목적을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하여 단체의 행동을 통솔하다.
  • 진두지휘 (陣頭指揮) : 전투나 사업 따위를 직접 앞장서서 지휘함.
  • 총지휘관 (總指揮官) : 전군을 지휘하는 사람.
  • 총지휘자 (總指揮者) : 전체를 총괄하여 통솔하는 사람.
  • 투휘하다 (投揮하다) : 물건을 휘두르다.
  • 확휘건단 (廓揮乾斷) : 과단성 있게 다스림.
  • 휘각하다 (揮却하다) : 거절하여 버리고 돌아보지 아니하다.
  • 휘갈하다 (揮喝하다) : 큰 소리를 지르며 지휘하다.
  • 휘검하다 (揮劍하다) : 칼을 휘두르다.
  • 휘루하다 (揮淚하다) : 눈물을 뿌리다.
  • 휘리하다 (揮罹하다) : 후릿그물을 둘러쳐서 물고기를 잡다.
  • 휘발되다 (揮發되다) : 보통 온도에서 액체가 기체로 되어 날아 흩어지게 되다.
  • 휘발성유 (揮發性油) : 유화의 물감을 녹이는 기름. 테레빈유나 휘발유 따위를 이른다.
  • 휘발하다 (揮發하다) : 보통 온도에서 액체가 기체로 되어 날아 흩어지다.
  • 휘쇄하다 (揮灑하다) : 물에 흔들어 씻어 깨끗이 하다.
  • 휘수하다 (揮手하다) : 손짓을 하여 거절하는 뜻을 보이다.
  • 휘장걸음 (揮帳걸음) : 말을 둥그렇게 몰아 달리게 하는 걸음.
  • 휘장장원 (揮場壯元) : 과거(科擧)에 장원(壯元)하여 그 글이 시험장에 내걸리고 찬양을 받던 사람.
  • 휘필하다 (揮筆하다) :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다. 붓을 휘두른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휘한하다 (揮汗하다) : 땀을 뿌리다.
  • 휘호하다 (揮毫하다) :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다. 붓을 휘두른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도지휘사사 (都指揮使司) : 중국 명나라 때에, 오군 도독부에 속하여 위(衛)를 지휘하던 지방 관아. 전국에 10여 개가 있었다.
  • 불휘발성유 (不揮發性油) : 기체로 변하여 날아가지 아니하는 식물성 기름.
  • 저휘발성탄 (低揮發性炭) : 78~86%의 비휘발성 탄소와 14~22%의 휘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석탄.
  • 총발휘하다 (總發揮하다) : 재능이나 능력 따위를 모두 펼쳐 나타내다.
  • 총지휘하다 (總指揮하다) : 전체를 총괄하여 통솔하다.
  • 일필휘지하다 (一筆揮之하다) : 글씨를 단숨에 죽 내리 쓰다.
  • 진두지휘하다 (陣頭指揮하다) : 전투나 사업 따위를 직접 앞장서서 지휘하다.
  • 확휘건단하다 (廓揮乾斷하다) : 과단성 있게 다스리다.
  • 중휘발성 역청탄 (中揮發性瀝靑炭) : 휘발 성분을 23~31% 함유하고 있는 역청탄.
  • 비휘발성 기억 장치 (非揮發性記憶裝置) : 전원이 끊어져 에너지 공급이 중단되어도 저장된 기억 내용을 보존할 수 있는 기억 장치. 자기 디스크 장치, 자기 박막 기억 장치, 자심 기억 장치, 자기 테이프 장치 따위가 있다.
  • 지휘소 연습 (指揮所演習) : 지휘소의 이동, 설치 따위에 대한 작전 연습. 각급 부대의 지휘소 요원에 대하여 실시한다.
  • 휘발유 기관 (揮發油機關) : 가솔린을 연료로 하는 내연 기관.
  • 지휘권 남용죄 (指揮權濫用罪) : 지휘관이 전투를 벌이거나 병력을 이동시키는 따위의 지휘에서 자신의 권한을 넘어 행사한 죄.
  • 휘발성 바니시 (揮發性varnish) : 수지, 아스팔트, 셀룰로스를 휘발성 용제로 녹여 만든 합성 도료.
  • 휘발유 발동기 (揮發油發動機) : 가솔린을 연료로 하는 내연 기관.
  • 휘발유 절약기 (揮發油節約機) : 가솔린 기관의 운영 조건에 맞는 합리적인 혼합물을 만들어 연소 효율을 높이는 기구나 장치. 주로 묽은 농도의 혼합물을 만들기 위하여 공기량을 많게 하거나 흘러나오는 연료의 양을 제한하는 작용을 한다.
  • 유도탄 통제 지휘망 (誘導彈統制指揮網) : 유도탄의 발사ㆍ유도ㆍ통제를 맡아보는 여러 지휘소 사이의 체계.
  • 공중 지휘 (空中指揮) : 비행 중인 항공기에 대한 전투 지휘.
  • 소송 지휘 (訴訟指揮) : 소송 절차를 적법하게 진행시켜 법률을 신속하고 충분하게 함으로써 소송 자료를 완전히 수집하여 빠른 시일 안에 공평하고 적정한 재판을 하기 위한 법원의 활동.


https://dict.wordrow.kr에서 揮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