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5일 일요일

한자 累에 관한 단어는 모두 176개

한자 累에 관한 단어는 모두 176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累에 관한 단어는 모두 176개

  • 누 (累) : 남의 잘못으로 말미암아 받게 되는 정신적인 괴로움이나 물질적인 손해.
  • 가루 (家累) : 집안 생활에 관한 근심 걱정.
  • 가루 (加累) : 재앙을 더함.
  • 계루 (繫累/係累) : 다른 일이나 사물에 얽매임.
  • 누가 (累家) : 대대로 이어 온 집안.
  • 누가 (累加) : 같은 수를 거듭하여 보탬.
  • 누감 (累減) : 거듭하여 덜어 냄.
  • 누경 (累經) : 연거푸 치름.
  • 누계 (累計) : 소계(小計)를 계속하여 덧붙여 합산함. 또는 그런 합계.
  • 누년 (累年) : 여러 해 동안.
  • 누누 (屢屢/累累) : 말 따위를 여러 번 반복함.
  • 누대 (屢代/累代) : 여러 대.
  • 누덕 (累德) : 덕을 욕되게 함. 또는 그런 행위.
  • 누도 (屢度/累度) : 여러 차례.
  • 누란 (累卵) : 층층이 쌓아 놓은 알이란 뜻으로, 몹시 위태로운 형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누만 (累萬) : 여러 만(萬)이라는 뜻으로, 아주 많은 수를 이르는 말.
  • 누백 (累百) : 여러 백(百)이라는 뜻으로, 많은 수를 이르는 말.
  • 누범 (累犯) : 형법에서, 금고 이상의 형을 받아 그 집행이 끝나거나 면제된 사람이 3년 안에 다시 금고 이상에 해당하는 죄를 범하는 일. 또는 그런 사람.
  • 누변 (累變) : 거듭 변하는 일.
  • 누삭 (累朔) : 여러 달.
  • 누산 (累算) : 소계(小計)를 계속하여 덧붙여 합산함. 또는 그런 합계.
  • 누서 (累黍) : 예전에, 율관을 정할 때 기장알을 포개어 척도로 삼던 일.
  • 누세 (累歲) : 여러 해.
  • 누세 (累世) : 여러 대.
  • 누수 (累囚) : 옥에 갇힘. 또는 그런 사람.
  • 누승 (累乘) : 같은 수나 식을 거듭 곱하는 일. 또는 그렇게 하여 얻어진 수. 제곱, 세제곱, 네제곱 따위가 있다.
  • 누시 (屢時/累時) : 시간이 누적됨. 또는 겹겹이 쌓인 시간.
  • 누식 (累息) : 공포나 긴장으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함.
  • 누언 (累言/屢言) : 여러 번 말함.
  • 누역 (累譯) : 여러 사람 또는 여러 언어의 통역을 거침.
  • 누엽 (累葉) : 여러 해.
  • 누욕 (累辱) : 여러 차례 욕을 보거나 모욕을 당함.
  • 누월 (累月) : 여러 달.
  • 누일 (累日) : 여러 날을 계속함.
  • 누재 (累載) : 여러 해.
  • 누적 (累積) : 포개어 여러 번 쌓음. 또는 포개져 여러 번 쌓임.
  • 누전 (累戰) : 여러 번 싸움.
  • 누조 (累朝) : 여러 대를 이어 온 조정이나 왕위.
  • 누조 (累祖) : 여러 대의 조상.
  • 누증 (累增) : 어떤 기준에 따라 상대적으로 조금씩 더함.
  • 누진 (累進) : 지위, 등급 따위가 차차 올라감.
  • 누차 (屢次/累次) : 여러 차례.
  • 누차 (累差) : '누적오차'를 줄여 이르는 말. (누적 오차: 관측 수효가 늘어나도 그 크기가 0에 가까워지지 않는 오차.)
  • 누책 (累責) : 연루되어 있는 책임.
  • 누천 (累遷) : 여러 번 옮김.
  • 누천 (累千) : 여러 천. 또는 많은 수.
  • 누층 (累層) : 여러 층.
  • 누칠 (累七) : 사람이 죽은 날부터 49일까지, 명복을 빌기 위하여 7일마다 공양하는 일.
  • 누토 (累土) : 흙을 쌓아 올림. 또는 쌓아 올린 흙.
  • 누퇴 (累退) : 지위, 등급 따위가 차차 내려감.
  • 누회 (屢回/累回) : 여러 차례.
  • 물루 (物累) : 몸을 얽매는 세상의 온갖 괴로운 일.
  • 번루 (煩累) : 번거로운 근심과 걱정.
  • 복루 (僕累) : 부착(附着)되어 쌓임.
  • 봉루 (蓬累) : 물건을 머리에 이고 양손으로 붙들고 감.
  • 세루 (世累) : 세상의 번잡하고 괴로운 일.
  • 소루 (小累) : 두공, 첨차, 한대, 제공, 장여, 화반 따위를 받치는 네모진 나무.
  • 속루 (俗累) : 세상살이에 연관된 너저분한 일.
  • 연루 (連累/緣累) : 남이 저지른 범죄에 연관됨.
  • 적루 (積累) : 포개어 여러 번 쌓음. 또는 포개져 여러 번 쌓임.
  • 정루 (情累) : 인정에 이끌림.
  • 죄루 (罪累) : 죄에 연루되는 일.
  • 진루 (塵累) : 세상살이에 연관된 너저분한 일.
  • 하루 (瑕累) : 옥의 얼룩진 흔적이라는 뜻으로, '흠'을 이르는 말. (흠: 어떤 물건의 이지러지거나 깨어지거나 상한 자국., 어떤 사물의 모자라거나 잘못된 부분., 사람의 성격이나 언행에 나타나는 부족한 점.)
  • 흔루 (釁累) : 스스로 저질러서 만들어 낸 잘못.
  • 누감세 (累減稅) : 과세 물건의 수량 또는 금액이 증가함에 따라 세율이 낮아지는 조세.
  • 누거만 (累巨萬) : 매우 많음. 또는 매우 많은 액수.
  • 누누이 (屢屢이/累累이) : 여러 번 자꾸.
  • 누동궁 (累東宮) : 궁중에서, 선조(先祖)의 친척을 이르던 말.
  • 누리개 (累里介) : 수평재나 경사재의 위 끝이 들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눌러 대는 나무.
  • 누만금 (累萬金) : 아주 많은 액수의 돈.
  • 누산기 (累算器) : 중앙 처리 장치 안에서 연산의 결과나 중간값을 일시적으로 보관해 두기 위한 기억 장치. 연산 장치의 구성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 누세기 (累世紀) : 여러 세기.
  • 누승근 (累乘根) : 어떤 수 a를 거듭 곱하여 x가 되었을 때, ax에 대하여 이르는 말. 제곱근, 세제곱근, 네제곱근 따위가 있다.
  • 누진세 (累進稅) : 과세 대상의 수량이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세금.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따위이다.
  • 누진율 (累進率) : 가격, 수량 따위가 더하여 감에 따라 점점 높아지는 비율.
  • 누진적 (累進的) : 가격, 수량 따위가 더하여 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그에 대한 비율이 점점 높아지는 것.
  • 누진제 (累進制) : 형을 집행할 때, 재판에서 선고한 형기를 여러 단계로 나누고 형을 받은 사람의 개선 정도에 따라 점차 처우를 완화하는 제도.
  • 누천년 (累千年) : 여러 천 년의 오랜 세월.
  • 누층법 (累層法) : 지도에 지형을 그리는 방법의 하나. 높이에 따라 색을 달리하여 높낮이를 뚜렷이 나타낸다.
  • 누퇴세 (累退稅) : 과세 대상에 일정한 정도까지는 누진 세율을 적용하고 그 이상에서는 비례 세율이나 역진 세율을 적용하는 세금.
  • 연루자 (連累者) : 남이 저지른 범죄에 연관된 사람.
  • 가루하다 (加累하다) : 재앙을 더하다.
  • 계루되다 (繫累되다/係累되다) : 다른 일이나 사물에 얽매이다.
  • 계루하다 (繫累하다/係累하다) : 다른 일이나 사물에 얽매이다.
  • 구복지루 (口腹之累) : 먹고살 걱정.
  • 궁년누세 (窮年累世) : 자신의 일생(一生)과 자손 대대.
  • 누가되다 (累加되다) : 거듭하여 보태어지다.
  • 누가하다 (累加하다) : 같은 수를 거듭하여 보태다.
  • 누감되다 (累減되다) : 어떤 기준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줄다.
  • 누감하다 (累減하다) : 어떤 기준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줄이다.
  • 누거만금 (累巨萬金) : 매우 많은 돈.
  • 누거만년 (累巨萬年) : 아주 오랜 세월.
  • 누거만재 (累巨萬財) : 매우 많은 재산.
  • 누경하다 (累經하다) : 연거푸 치르다.
  • 누계되다 (累計되다) : 소계(小計)가 계속하여 덧붙어 합산되다.
  • 누계하다 (累計하다) : 소계(小計)를 계속하여 덧붙여 합산하다.
  • 누대구조 (累帶構造) : 화학 조성이 다른 불연속적인 부분으로 된 결정 구조. 고용체(固溶體)에서 결정이 성장하는 과정에 있어서 모액(母液)의 성분이 변화하여 다른 성분을 차례차례로 결정 생성 한다. 화성암 가운데 사장석, 휘석 따위에서 볼 수 있다.
  • 누대봉사 (累代奉祀) : 여러 대의 조상의 제사를 받듦.


https://dict.wordrow.kr에서 累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幽에 관한 단어는 모두 151개

한자 幽에 관한 단어는 모두 15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幽에 관한 단어는 모두 151개

  • 구유 (九幽) : 구지(九地)의 땅속.
  • 매유 (埋幽) : 시체나 유골 따위를 땅속에 묻음.
  • 벽유 (僻幽) : 궁벽하고 외진 곳이나, 도회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산골.
  • 심유 (尋幽) : 경치 좋은 곳을 물어 찾음.
  • 심유 (深幽) : '심유하다'의 어근. (심유하다: 깊고 그윽하다.)
  • 유객 (幽客) : 세상일을 피하여 한가하게 사는 사람.
  • 유거 (幽居) : 속세를 떠나 외딴곳에서 삶. 또는 그런 거처.
  • 유경 (幽境) : 아주 외떨어지고 조용한 곳.
  • 유계 (幽界) : 사람이 죽은 뒤에 그 혼이 가서 산다고 하는 세상.
  • 유곡 (幽谷) : 깊은 산골짜기.
  • 유궁 (幽宮) : 깊숙한 곳에 있는 궁전.
  • 유규 (幽閨) : 부녀자가 거처하는 방.
  • 유기 (幽奇) : '유기하다'의 어근. (유기하다: 그윽하고 기이하다.)
  • 유도 (幽都) : 사람이 죽은 뒤에 그 혼이 가서 산다고 하는 세상.
  • 유독 (幽獨) : '유독하다'의 어근. (유독하다: 쓸쓸하여 외롭다.)
  • 유령 (幽靈) : 노르웨이의 극작가 입센이 지은 희곡. 사회에서 명성이 있던 아버지로부터 성병을 이어받아 파멸되어 가던 아들을 어머니가 약을 주어 죽게 한다는 내용으로, 허위에 찬 결혼 생활에서 파생된 비극을 그린 사회극(社會劇)이다. 모두 3막으로 되어 있으며, 1881년에 발표하였다.
  • 유령 (幽靈) : 죽은 사람의 혼령이 생전의 모습으로 나타난 형상.
  • 유명 (幽冥) : 깊숙하고 어두움.
  • 유명 (幽明) : 어둠과 밝음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유문 (幽門) : 위의 아래쪽에서 샘창자와 경계를 이루는 부분. 위벽을 이루는 돌림 근육층이 이 부분에서 발달하여 조임근을 이루어 음식물이 내려가는 것을 조절한다.
  • 유벽 (幽僻) : '유벽하다'의 어근. (유벽하다: 한적하고 외지다.)
  • 유사 (幽思) : 깊은 생각. 또는 고요한 생각.
  • 유서 (幽棲) : 그윽한 거주.
  • 유수 (幽愁) : 남모를 깊은 근심.
  • 유수 (幽邃) : '유수하다'의 어근. (유수하다: 깊숙하고 그윽하다.)
  • 유수 (幽囚) : 잡아 가둠.
  • 유실 (幽室) : 조용하고 그윽한 곳에 있는 방.
  • 유심 (幽深) : '유심하다'의 어근. (유심하다: 깊숙하고 그윽하다.)
  • 유아 (幽雅) : '유아하다'의 어근. (유아하다: 그윽하고 품위가 있다.)
  • 유암 (幽暗) : '유암하다'의 어근. (유암하다: 그윽하고 어둠침침하다.)
  • 유액 (幽厄) : 몸이 갇혀 있는 액운(厄運).
  • 유야 (幽夜) : 그윽함이 느껴지는 밤. 또는 쓸쓸한 밤.
  • 유언 (幽言) : 깊고 그윽한 말.
  • 유연 (幽然) : '유연하다'의 어근. (유연하다: 속이 깊고 조용하다.)
  • 유열 (幽咽) : 조용히 흐느껴 욺. 또는 그렇게 우는 소리.
  • 유왕 (幽王) : 중국 주나라 제12대 왕(?~B.C.771?). 본명은 희열(姬涅). 황후와 황태자를 폐위하고, 총희(寵姬) 포사(褒似)와 그 아들을 황후와 태자로 봉하는 등 방자한 짓을 행하여 외척 신후(申侯)에게 살해되었다. 재위 기간은 기원전 782~771년이다.
  • 유우 (幽愚) : 사리를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말하는 이가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 유우 (幽憂) : 남모르게 간직한 근심.
  • 유운 (幽韻) : 그윽한 운치.
  • 유원 (幽遠) : '유원하다'의 어근. (유원하다: 심오하여 아득하다.)
  • 유원 (幽園) : 깊고 그윽한 동산.
  • 유유 (幽幽) : '유유하다'의 어근. (유유하다: 깊고 그윽하다.)
  • 유음 (幽陰) : 으슥한 그늘.
  • 유인 (幽人) : 어지러운 세상을 피하여 조용한 곳에 숨어 사는 사람.
  • 유재 (幽齋) : 조용한 서재.
  • 유적 (幽寂) : '유적하다'의 어근. (유적하다: 깊숙하고 고요하다.)
  • 유절 (幽絕) : 사람들이 사는 곳에서 멀리 떨어진 고요한 장소.
  • 유정 (幽靜) : '유정하다'의 어근. (유정하다: 그윽하고 조용하다.)
  • 유준 (幽峻) : '유준하다'의 어근. (유준하다: 깊숙하고 험준하다.)
  • 유진 (幽眞) : 고요하고 자연 그대로임.
  • 유찬 (幽贊) : 남의 눈에 뜨이지 아니하는 곳에서 도와줌.
  • 유처 (幽處) : 속세를 떠나 외딴곳에서 삶. 또는 그런 거처.
  • 유천 (幽天) : 구천(九天)의 하나. 서북쪽 하늘을 이른다.
  • 유천 (幽賤) : 세상에 드러나지 아니한 천한 사람.
  • 유취 (幽趣) : 그윽한 정취(情趣).
  • 유치 (幽致) : 그윽한 경치.
  • 유칩 (幽縶) : 붙잡혀 감옥에 갇힘.
  • 유택 (幽宅) : 송장이나 유골을 땅에 묻어 놓은 곳. 흙으로 둥글게 쌓아 올리기도 하고 돌로 평평하게 만들기도 하는데, 대개 묘석을 세워 누구의 것인지 표시한다.
  • 유폐 (幽閉) : 아주 깊숙이 가두어 둠.
  • 유학 (幽壑) : 깊은 산골짜기.
  • 유한 (幽閑) : '유한하다'의 어근. (유한하다: 여자의 인품이 조용하고 그윽하다.)
  • 유항 (幽巷) : 깊숙이 들어간 통로.
  • 유현 (幽顯) : 사람의 눈에 띄지 아니하는 곳과 눈에 띄는 곳.
  • 유현 (幽玄) : 이치나 아취(雅趣)가 알기 어려울 정도로 깊고 그윽하며 미묘함.
  • 유협 (幽峽) : 그윽한 골짜기.
  • 유혼 (幽昏) : '유혼하다'의 어근. (유혼하다: 그윽하고 어둡다.)
  • 유혼 (幽魂) : 죽은 사람의 넋.
  • 유회 (幽懷) : 마음속 깊이 품은 생각.
  • 유흥 (幽興) : 그윽한 흥취.
  • 천유 (闡幽) : 알려지지 아니한 이치를 밝힘.
  • 청유 (淸幽) : 속세와 떨어져, 아담하고 깨끗하며 그윽함. 또는 그런 곳.
  • 통유 (通幽) : 바둑에서, 유현(幽玄)의 경지를 지났다는 뜻으로, 6단을 달리 이르는 말.
  • 현유 (顯幽) : 나타났다 숨었다 함.
  • 면유폐 (免幽閉) : 무기 도형으로 5년을 지냈거나 유기 유형으로 3년을 지낸 죄수에게 옥내(屋內) 유폐(幽閉)를 면해 주던 일.
  • 유령란 (幽靈蘭) : 난초과의 균근 식물. 높이는 7~20cm이고 뿌리가 굵고 짧으며 산호처럼 갈라진다. 8~10월에 연한 갈색 꽃이 핀다. 침엽수 숲에서 자라는데 부전고원에서 백두산 지역까지 분포한다.
  • 유령선 (幽靈船) : 배에 타고 있던 사람이 어떤 원인으로 죽고, 구제받지 못한 영혼이 그대로 배 안에 남아 바다를 표류한다는 전설 속의 배. 그 배를 만나면 재난을 당한다고 한다.
  • 유령주 (幽靈株) : 주식회사를 설정하거나 신주(新株)를 발행할 때, 발기인이나 이사가 주식에 대하여 돈을 내지 않았는데도 낸 것처럼 위장하여 발행한 주식.
  • 유령체 (幽靈體) :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거짓 실체.
  • 유령판 (幽靈版) : 책 따위에서, 실제보다 많은 판수(版數)로 과장해서 표시한 판.
  • 유령표 (幽靈票) : 없는 투표자를 있는 사람으로 만들고 꾸며 낸 표.
  • 유령화 (幽靈火) : 그림이나 연극 따위에서, 유령의 곁에 타고 있는 불.
  • 유명계 (幽冥界) : 신불(神佛)이 있는 세계.
  • 유문부 (幽門部) : 위의 넓은 몸통과 샘창자 사이에 있는 부분.
  • 유수히 (幽邃히) : 깊숙하고 그윽하게.
  • 유유히 (幽幽히) : 깊고 그윽하게.
  • 유한히 (幽閑히) : 여자의 인품이 조용하고 그윽하게.
  • 유현체 (幽玄體) : 언외(言外)에 깊은 정취가 있는 가체(歌體).
  • 의유당 (意幽堂) : 조선 순조 때의 문인(1727~1823). 남편이 함흥 판관으로 부임할 때에 따라가서 지은 ≪의유당일기≫로 이름을 남겼다.
  • 고적유명 (考績幽明) : 관리의 성적을 따져서 진퇴(進退)를 결정함.
  • 노주유거 (蘆洲幽居) : 박인로가 지은 시조. 번거로운 속세를 벗어나 자연 속에서 한가히 지내고자 하는 심정을 읊은 것으로, ≪노계집≫에 실려 있다.
  • 만년유택 (萬年幽宅) : 송장이나 유골을 땅에 묻어 놓은 곳. 흙으로 둥글게 쌓아 올리기도 하고 돌로 평평하게 만들기도 하는데, 대개 묘석을 세워 누구의 것인지 표시한다.
  • 매유하다 (埋幽하다) : 시체나 유골 따위를 땅속에 묻다.
  • 벽암유석 (碧巖幽石) : 푸른 이끼가 낀 바위와 그윽한 돌.
  • 심산유곡 (深山幽谷) : 깊은 산속의 으슥한 골짜기.
  • 심유하다 (尋幽하다) : 경치 좋은 곳을 물어 찾다.
  • 심유하다 (深幽하다) : 깊고 그윽하다.
  • 유거하다 (幽居하다) : 속세를 떠나 외딴곳에서 살다.
  • 유경벽설 (幽經僻說) : 경전에 나오는 좀처럼 볼 수 없는 말.
  • 유곡가인 (幽谷佳人) : 동양화에서, 낭떠러지에 있는 춘란(春蘭)을 다룬 화제. 춘란을 가인에 비유하는 것으로, 문인화에서 많이볼 수 있다.


https://dict.wordrow.kr에서 幽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