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25일 금요일

담부지역: 擔負之役

담부지역 (擔負之役) : (1)막벌이 일. (2)짐을 지는 일.



擔負之役 한자 뜻 풀이

  • 擔(멜 담) : 메다, 짐, 짊어짐, 맡은 일, 맡다.
  • 負(질 부) : 지다, 경쟁에서 짐, 씌우다, 업다, 입다. 본래 사람이 화폐를 가졌다는 의미에서 '믿다'는 의미인데, 후에 '빚을 지다'는 의미에서 '지다'는 의미를 파생하고 '짊어지다', '당하다' 등의 의미까지 파생함
  • 之(갈 지)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役(부릴 역) : 부리다, 수자리, 싸움, 병사, 요역(徭役). 몽둥이를 들고 돌아다니면서 노역을 시킨다는 의미에서 '부리다'는 의미를 생성함


[之] 갈 지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살활지권 획순 이미지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 문경지우(刎頸之友)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 목 벨 문) (: 목 경) (: 갈 지) (: 벗 우)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나무 목) (: 갈 지) (: 슬플 비) ]

[役] 부릴 역 (부리다, 수자리, 싸움, 병사, 요역(徭役))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견마지역 획순 이미지 견마지역(犬馬之役) :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는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이르는 말. [ (: 개 견) (: 말 마) (: 갈 지) (: 부릴 역) ]
  • 담부지역(擔負之役) : (1)막벌이 일. (2)짐을 지는 일. [ (: 멜 담) (: 질 부) (: 갈 지) (: 부릴 역) ]
  • 형역(形役) : 정신이 물질의 지배를 받음. 또는 공명과 잇속에 얽매임. [ (: 형상 형) (: 부릴 역) ]

[擔] 멜 담 (메다, 짐, 짊어짐, 맡은 일, 맡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가무담석 획순 이미지 가무담석(家無擔石) : 석(石)은 한 항아리, 담(擔)은 두 항아리의 뜻으로, 집에 조금도 없다는 말로, 집에 재물(財物)의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 [ (: 집 가) (: 없을 무) (: 멜 담) (: 돌 석) ]
  • 담부지역(擔負之役) : (1)막벌이 일. (2)짐을 지는 일. [ (: 멜 담) (: 질 부) (: 갈 지) (: 부릴 역) ]
  • 추무담석(秋無擔石) : 중국의 주나라에서 담(擔)은 2석(石), 석(石)은 1석으로 아주 적은 분량을 이르던 데서, 집이 가난해서 가을에도 아무 수확이 없음을 이르는 말. [ (: 가을 추) (: 없을 무) (: 멜 담) (: 돌 석) ]

[負] 질 부 (지다, 경쟁에서 짐, 씌우다, 업다, 입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형 획순 이미지 부형(負荊) : 스스로 가시나무를 짊어진다는 뜻으로, 사죄함을 이르는 말. [ (: 질 부) (: 모형나무 형) ]
  • 부신입화(負薪入火) : 섶을 짊어지고 불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자신의 그릇된 짓으로 인해 화를 당한다는 의미. [ (: 질 부) (: 섶나무 신) (: 들 입) (: 불 화) ]
  • 담부지역(擔負之役) : (1)막벌이 일. (2)짐을 지는 일. [ (: 멜 담) (: 질 부) (: 갈 지) (: 부릴 역) ]
  • 여위부과(如蝟負瓜) : 고슴도치가 오이를 짊어진 것 같다는 뜻으로, 남에게 진 빚이 많음을 이르는 말. [ (: 같을 여) (: 고슴도치 위) (: 질 부) (: 오이 과) ]
  • 부채여산(負債如山) : 남에게 진 빚이 산더미처럼 많음. [ (: 질 부) (: 빚 채) (: 같을 여) (: 메 산) ]

[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 획순 이미지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옳을 가) (: 줄 여) (: 이룰 성)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희출망외(喜出望外) :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이 뜻밖에 생김. [ (: 기쁠 희) (: 날 출) (: 바랄 망) (: 바깥 외) ]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막벌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담부지역 획순 이미지 담부지역(擔負之役) : (1)막벌이 일. (2)짐을 지는 일. [ (: 멜 담) (: 질 부) (: 갈 지) (: 부릴 역) ]
  • 장석친구(長席親舊) : 골목 어귀의 길가에 모여 막벌이를 하는 사람. [ (: 길 장) (: 자리 석) (: 친할 친) (: 옛 구)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