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19일 수요일

각필: 閣筆

각필 (閣筆) : 글 쓰는 붓을 깍지에 꽂는다는 뜻으로, 붓을 놓음을 이르는 말.



閣筆 한자 뜻 풀이

  • 閣(문설주 각) : 문설주, 세우다, 싣다, 시렁, 문갑(文匣).
  • 筆(붓 필) : 붓, 쓰다, 덧보태어 쓰다, 산문(散文), 필적(筆迹). 손으로 붓을 잡은 모양인데, 후에 재료인 '竹(죽)'을 더함


[筆] 붓 필 (붓, 쓰다, 덧보태어 쓰다, 산문(散文), 필적(筆迹))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능문능필 획순 이미지 능문능필(能文能筆) : 글 짓는 솜씨와 글씨가 모두 능함. 또는 그런 사람. [ (: 능할 능) (: 글월 문) (: 능할 능) (: 붓 필) ]
  • 필삭포폄(筆削褒貶) : 쓰고 삭제하고 칭찬하고 나무란다는 뜻으로, 글에 대해 쓸 곳은 써 넣고 지울 곳은 지우고, 칭찬해야 할 곳은 칭찬하고, 나무랄 곳은 나무라는 공자의 춘추필법(春秋筆法)의 의미처럼 대의명분(大義名分)을 밝혀 세우는 사필(史筆)의 준엄한 논법(論法)의 의미. [ (: 붓 필) (: 깎을 삭) (: 기릴 포) (: 떨어뜨릴 폄) ]
  • 필력종횡(筆力縱橫) : 문장(文章)을 자유자재(自由自在)로 잘 지음을 이르는 말. [ (: 붓 필) (: 힘 력) (: 늘어질 종) (: 가로 횡) ]
  • 총명불여둔필(聰明不如鈍筆) : 총명(聰明)은 둔필만 못하다는 뜻으로, 아무리 기억력(記憶力)이 좋다 해도 그때그때 적어 두어야 한다는 말. [ (: 귀밝을 총) (: 밝을 명) (: 아니 불) (: 같을 여) (: 무딜 둔) (: 붓 필) ]
  • 단필정죄(丹筆定罪) : 법규 적용에서 서면에 왕이 주필(朱筆)로써 그 죄형을 정하여 기록하던 일. [ (: 붉을 단) (: 붓 필) (: 정할 정) (: 허물 죄) ]

[閣] 문설주 각 (문설주, 세우다, 싣다, 시렁, 문갑(文匣))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고당화각 획순 이미지 고당화각(高堂畵閣) : 높다랗게 짓고 호화(豪華)롭게 꾸민 집. [ (: 높을 고) (: 집 당) (: 그림 화) (: 문설주 각) ]
  • 각필(閣筆) : 글 쓰는 붓을 깍지에 꽂는다는 뜻으로, 붓을 놓음을 이르는 말. [ (: 문설주 각) (: 붓 필) ]
  • 고루거각(高樓巨閣) : 높고 크게 지은 집. [ (: 높을 고) (: 다락 루) (: 클 거) (: 문설주 각) ]
  • 사상누각(沙上樓閣) : 모래 위에 세운 누각이라는 뜻으로, 기초가 튼튼하지 못하여 오래 견디지 못할 일이나 물건을 이르는 말. [ (: 모래 사) (: 위 상) (: 문설주 각) ]
  • 공중누각(空中樓閣) : 공중에 떠 있는 누각이라는 뜻으로, 아무런 근거나 토대가 없는 사물이나 생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빌 공) (: 가운데 중) (: 문설주 각) ]

[붓]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각필 획순 이미지 각필(閣筆) : 글 쓰는 붓을 깍지에 꽂는다는 뜻으로, 붓을 놓음을 이르는 말. [ (: 문설주 각) (: 붓 필) ]
  • 삼촌불률(三寸不律) : 길이가 세 치밖에 안 되는 짧은 붓. [ (: 석 삼) (: 마디 촌) (: 아니 불) (: 법 률) ]
  • 필주묵벌(筆誅墨伐) : 붓과 먹으로 징벌한다는 뜻으로, 남의 죄과를 신문(新聞)ㆍ잡지(雜誌) 따위를 통(通)해 글로써 공격(攻擊)함을 이르는 말. [ (: 붓 필) (: 벨 주) (: 먹 묵) (: 칠 벌) ]
  • 필단불군속(筆端不窘束) : 붓끝이 묶여 움직이지 못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붓을 마음대로 움직이는 것처럼 문장 따위를 거침없이 짓는 것을 이르는 말. [ (: 붓 필) (: 바를 단) (: 아니 불) (: 막힐 군) (: 묶을 속)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조익모습: 朝益暮習

조익모습 (朝益暮習) : 아침에 더하고 저녁에 익힌다는 뜻으로, 아침에 가르침을 받아 지식을 더하고 저녁에 그것을 익히는 것처럼 학문 연마에 열중함을 이르는 말.



朝益暮習 한자 뜻 풀이

  • 朝(아침 조) : 아침, 처음, 뵙다, 조회(朝會)하다, 찾아보다. 해가 떠서 햇빛을 빛내기 시작한다는 뜻에서 '아침'의 의미 생성. 후에 국가 정사를 논하는 '조정(朝廷)' 의미 파생
  • 益(더할 익) : 더하다, 넘치다, 보탬, 보람, 이득. 본래 그릇에 물을 부은 모양을 의미해서 '더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이득' 의미 파생
  • 暮(저물 모) : 저물다, 해질 무렵, 밤, 끝, 늦다. 해가 풀숲에 가린 저녁의 의미인 '莫(막)'이 '없다'로 사용되자 후에 '日(일)'을 더해 '저녁'의 의미를 별도로 만듦
  • 習(익힐 습) : 익히다, 숙달하다, 익다, 길들이다, 습관. 새끼 새가 날마다 나는 법을 익힌다는 의미에서 '익히다' 생성


[暮] 저물 모 (저물다, 해질 무렵, 밤, 끝, 늦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조조모모 획순 이미지 조조모모(朝朝暮暮) : (1)매일 아침 매일 저녁. (2)매일 아침저녁으로. [ (: 아침 조) (: 아침 조) (: 저물 모) (: 저물 모) ]
  • 조체모개(朝遞暮改) : 아침에 갈았는데 저녁에 다시 고친다는 뜻으로, 벼슬아치를 너무 자주 갈아 치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아침 조) (: 갈마들 체) (: 저물 모) (: 고칠 개) ]
  • 조출모입(朝出暮入) : (1)날마다 아침에 일찍 나갔다가 저녁에 늦게 들어온다는 뜻으로, 집에 있는 시간이 얼마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사물이 항상 바뀌어 정체됨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아침 조) (: 날 출) (: 저물 모) (: 들 입) ]
  • 조개모변(朝改暮變) : 아침저녁으로 뜯어고친다는 뜻으로, 계획이나 결정 따위를 자주 고침을 이르는 말. [ (: 아침 조) (: 고칠 개) (: 저물 모) (: 변할 변) ]
  • 조운모월(朝雲暮月) : 아침의 구름과 저녁의 달. [ (: 아침 조) (: 구름 운) (: 저물 모) (: 달 월) ]

[朝] 아침 조 (아침, 처음, 뵙다, 조회(朝會)하다, 찾아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조조모모 획순 이미지 조조모모(朝朝暮暮) : (1)매일 아침 매일 저녁. (2)매일 아침저녁으로. [ (: 아침 조) (: 아침 조) (: 저물 모) (: 저물 모) ]
  • 조체모개(朝遞暮改) : 아침에 갈았는데 저녁에 다시 고친다는 뜻으로, 벼슬아치를 너무 자주 갈아 치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아침 조) (: 갈마들 체) (: 저물 모) (: 고칠 개) ]
  • 조석공양(朝夕供養) : 아침저녁으로 웃어른께 음식을 드림. [ (: 아침 조) (: 저녁 석) (: 이바지할 공) (: 기를 양) ]
  • 조출모입(朝出暮入) : (1)날마다 아침에 일찍 나갔다가 저녁에 늦게 들어온다는 뜻으로, 집에 있는 시간이 얼마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사물이 항상 바뀌어 정체됨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아침 조) (: 날 출) (: 저물 모) (: 들 입) ]
  • 조반석죽(朝飯夕粥) : 아침에는 밥을 먹고, 저녁에는 죽을 먹는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한 살림을 이르는 말. [ (: 아침 조) (: 밥 반) (: 저녁 석) (: 죽 죽) ]

[益] 더할 익 (더하다, 넘치다, 보탬, 보람, 이득)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익우 획순 이미지 삼익우(三益友)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 석 삼) (: 더할 익) (: 벗 우) ]
  • 손상익하(損上益下) : 윗사람에게 해를 끼쳐서 아랫사람을 이롭게 함. [ (: 덜 손) (: 위 상) (: 더할 익) (: 아래 하) ]
  • 다다익판(多多益辦) : 많으면 많을수록 더 잘 처리(處理)함. [ (: 많을 다) (: 많을 다) (: 더할 익) (: 힘쓸 판) ]
  • 택우교지유소보익(擇友交之有所補益) : 벗을 가려 사귀면 도움과 유익(有益)함이 있을 것임. [ (: 가릴 택) (: 벗 우) (: 사귈 교) (: 갈 지) (: 있을 유) (: 바 소) (: 기울 보) (: 더할 익) ]
  • 삼익지우(三益之友) : 사귀어 이로운 세 부류(部類)의 벗으로서, 정직(正直)한 사람과 성실(誠實)한 사람과 견문(見聞)이 넓은 사람을 이름. [ (: 석 삼) (: 더할 익) (: 갈 지) (: 벗 우) ]

[習] 익힐 습 (익히다, 숙달하다, 익다, 길들이다, 습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자학자습 획순 이미지 자학자습(自學自習) : 남의 가르침을 받지 아니하고 스스로 배우고 익힘. [ (: 스스로 자) (: 배울 학) (: 스스로 자) (: 익힐 습) ]
  • 삼세지습지우팔십(三歲之習至于八十) :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감. [ (: 석 삼) (: 해 세) (: 갈 지) (: 익힐 습) (: 이를 지) (: 어조사 우) (: 여덟 팔) (: 열 십) ]
  • 폐풍악습(弊風惡習) : 폐해(弊害)가 되는 나쁜 풍습(風習). [ (: 해어질 폐) (: 바람 풍) (: 악할 악) (: 익힐 습) ]
  • 학이시습지불역열호(學而時習之不亦說乎) :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 (: 배울 학) (: 말 이을 이) (: 때 시) (: 익힐 습) (: 갈 지) (: 아니 불) (: 또 역) (: 기쁠 열) (: 온 호) ]
  • 삼세지습(三歲之習) : 세살 적 버릇. [ (: 석 삼) (: 해 세) (: 갈 지) (: 익힐 습) ]

[그것]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박인방증 획순 이미지 박인방증(博引旁證) : 널리 예(例)를 인용하고 두루 증거를 보여 논함. [ (: 넓을 박) (: 당길 인) (: 곁 방) (: 증거 증) ]
  • 온고지신(溫故知新) :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다. [ (: 따뜻할 온) (: 예 고) (: 알 지) (: 새 신) ]
  • 견물생심(見物生心) :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 (: 볼 견) (: 만물 물) (: 날 생) (: 마음 심) ]
  • 법고창신(法古創新) : 옛 것을 법으로 삼아 새 것을 창조한다는 뜻으로, 과거를 밑거름으로 해서 새로운 것을 도출해낸다는 의미. [ (: 법 법) (: 예 고) (: 비롯할 창) (: 새 신) ]
  • 목불식정(目不識丁) : 아주 간단한 글자인 '丁' 자를 보고도 그것이 '고무래'인 줄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까막눈임을 이르는 말. [ (: 눈 목) (: 아니 불) (: 알 식) (: 넷째 천간 정) ]

[아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조조모모 획순 이미지 조조모모(朝朝暮暮) : (1)매일 아침 매일 저녁. (2)매일 아침저녁으로. [ (: 아침 조) (: 아침 조) (: 저물 모) (: 저물 모) ]
  • 조체모개(朝遞暮改) : 아침에 갈았는데 저녁에 다시 고친다는 뜻으로, 벼슬아치를 너무 자주 갈아 치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아침 조) (: 갈마들 체) (: 저물 모) (: 고칠 개) ]
  • 조석공양(朝夕供養) : 아침저녁으로 웃어른께 음식을 드림. [ (: 아침 조) (: 저녁 석) (: 이바지할 공) (: 기를 양) ]
  • 온정정성(溫凊定省) : 자식이 효성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도리.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하며, 저녁에는 자리를 편히 마련하고, 아침에는 안부를 여쭙는 일을 이른다. [ (: 따뜻할 온) (: 서늘할 정) (: 정할 정) (: 살필 성) ]
  • 조출모입(朝出暮入) : (1)날마다 아침에 일찍 나갔다가 저녁에 늦게 들어온다는 뜻으로, 집에 있는 시간이 얼마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사물이 항상 바뀌어 정체됨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아침 조) (: 날 출) (: 저물 모) (: 들 입) ]

[연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불치하문 획순 이미지 불치하문(不恥下問) : 손아랫사람이나 지위나 학식이 자기만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일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함. [ (: 아니 불) (: 부끄러워할 치) (: 아래 하) (: 물을 문) ]
  • 난행고행(難行苦行) : (1)아주 심하게 고생함. (2)몹시 괴로운 수행. [ (: 어려울 난) (: 갈 행) (: 쓸 고) (: 갈 행) ]
  • 학여불급(學如不及) : 학문은 미치지 못하는 것처럼 한다는 뜻으로, 학문을 연마하는 것은 마치 달아나는 사람을 뒤쫓되 늘 미치지 못하는 것 같다는 의미. 곧 끈질긴 노력을 거듭하여도 학문의 오묘한 진리에 도달하기가 어려우므로, 한결 더 분발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 [ (: 배울 학) (: 같을 여) (: 아니 불) (: 미칠 급) ]
  • 조익모습(朝益暮習) : 아침에 더하고 저녁에 익힌다는 뜻으로, 아침에 가르침을 받아 지식을 더하고 저녁에 그것을 익히는 것처럼 학문 연마에 열중함을 이르는 말. [ (: 아침 조) (: 더할 익) (: 저물 모) (: 익힐 습) ]

[열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망아지경 획순 이미지 망아지경(忘我之境) : 어떤 사물에 마음을 빼앗겨 자기 자신을 잊어버리는 경지. [ (: 잊을 망) (: 나 아) (: 갈 지) (: 지경 경) ]
  • 아예서직(我藝黍稷) : 나는 기장과 피를 심는 일에 열중(熱中)함. [ (: 나 아) (: 재주 예) (: 기장 서) (: 기장 직) ]
  • 발분망식(發憤忘食) : 끼니까지도 잊을 정도로 어떤 일에 열중하여 노력함. [ (: 필 발) (: 결낼 분) (: 잊을 망) (: 밥 식) ]
  • 야이망침(夜而忘寢) : 밤이 되어도 잠자는 것을 잊었다는 뜻으로, 어떤 사물에 열중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 (: 밤 야) (: 말 이을 이) (: 잊을 망) (: 잠잘 침) ]

[저녁]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조조모모 획순 이미지 조조모모(朝朝暮暮) : (1)매일 아침 매일 저녁. (2)매일 아침저녁으로. [ (: 아침 조) (: 아침 조) (: 저물 모) (: 저물 모) ]
  • 조체모개(朝遞暮改) : 아침에 갈았는데 저녁에 다시 고친다는 뜻으로, 벼슬아치를 너무 자주 갈아 치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아침 조) (: 갈마들 체) (: 저물 모) (: 고칠 개) ]
  • 조석공양(朝夕供養) : 아침저녁으로 웃어른께 음식을 드림. [ (: 아침 조) (: 저녁 석) (: 이바지할 공) (: 기를 양) ]

[지식]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문외한 획순 이미지 문외한(門外漢) : (1)어떤 일에 직접 관계가 없는 사람. (2)어떤 일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 [ (: 문 문) (: 바깥 외) (: 한수 한) ]
  • 개권유득(開卷有得) : 책을 열면 소득이 있다는 뜻으로, 책을 읽게 되면 항상 유익함을 얻게 된다는 의미. [ (: 열 개) (: 말 권) (: 있을 유) (: 얻을 득) ]
  • 타산지석(他山之石) : 다른 산의 나쁜 돌이라도 자신의 산의 옥돌을 가는 데에 쓸 수 있다는 뜻으로, 본이 되지 않은 남의 말이나 행동도 자신의 지식과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경≫ <소아(小雅)>에 나오는 말이다. [ (: 다를 타) (: 메 산) (: 갈 지) (: 돌 석) ]

[학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실사구시 획순 이미지 실사구시(實事求是)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의 학문에 큰 영향을 주었다. [ (: 열매 실) (: 일 사) (: 구할 구) (: 옳을 시) ]
  • 현가불철(絃歌不輟) :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 (: 악기줄 현) (: 노래 가) (: 아니 불) (: 그칠 철) ]
  • 확연대공(廓然大公) :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 (: 클 확) (: 그러할 연) (: 큰 대) (: 공변될 공) ]

[가르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제이면명 획순 이미지 제이면명(提耳面命) : 귀에 입을 가까이하고 얼굴을 맞대고 가르쳐 명함. 또는 간곡히 타이르고 가르침. [ (: 끌 제) (: 귀 이) (: 낯 면) (: 목숨 명) ]
  • 자학자습(自學自習) : 남의 가르침을 받지 아니하고 스스로 배우고 익힘. [ (: 스스로 자) (: 배울 학) (: 스스로 자) (: 익힐 습) ]
  • 암구명촉(暗衢明燭) : 어두운 거리에 밝은 등불이라는 뜻으로, 삶의 가르침을 주는 책을 이르는 말. [ (: 어두울 암) (: 네거리 구) (: 밝을 명) (: 촛불 촉) ]
  • 치가교자(治家敎子) : 집안을 다스리고 자손을 가르침. [ (: 다스릴 치) (: 집 가) (: 가르칠 교) (: 아들 자) ]
  • 부형자제(父兄子弟) : 아버지나 형의 가르침을 받고 자란 젊은이. [ (: 아비 부) (: 맏 형) (: 아들 자) (: 아우 제)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