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30일 금요일

복과화생: 福過禍生

복과화생 (福過禍生) : 지나친 행복(幸福)은 도리어 재앙(災殃)의 원인(原因)이 됨.



福過禍生 한자 뜻 풀이

  • 福(복 복) : 복, 간직하다, 복을 받다, 하늘의 도움, 제사에 쓴 고기·술. 신에게 술단지 같은 제물을 바치는 모양에서 '복을 빈다'는 의미로 '행복'의 의미 생성
  • 過(지날 과) : 지나다, 허물, 기름통, 수레바퀴의 굴대에 치는 기름을 담는 통, 들르다. 오른쪽 모양은 '骨(골)'의 변형으로, 발음으로도 사용되면서, '뼈'의 의미에 '과거'나 '후회'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지나가다'는 의미에서 '지나치다', '잘못', '과거' 등의 의미를 파생함
  • 禍(재난 화) : 재난, 재앙을 미치다, 죄, 무너지다, 황폐한 곳. 示는 초인간적인 하늘의 상징 표현이고, 오른쪽 모양은 '骨(골)'의 변형으로 잔해만 남았다는 의미에서 '재앙'의 뜻 생성
  • 生(날 생) : 나다, 낳다, 살다, 살리다, 삶.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 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生] 날 생 (나다, 낳다, 살다, 살리다, 삶)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재생지인 획순 이미지 재생지인(再生之人) : 죽을 고비를 겪은 사람. [ (: 두 재) (: 날 생) (: 갈 지) (: 사람 인) ]
  • 살생유택(殺生有擇) :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 (: 죽일 살) (: 날 생) (: 있을 유) (: 가릴 택) ]
  • 전처소생(前妻所生) : 전처의 몸에서 난 자식. [ (: 앞 전) (: 아내 처) (: 바 소) (: 날 생) ]
  • 억만창생(億萬蒼生) : 수많은 백성. [ (: 억 억) (: 일만 만) (: 푸를 창) (: 날 생) ]

[禍] 재난 화 (재난, 재앙을 미치다, 죄, 무너지다, 황폐한 곳)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화복무문유인자초 획순 이미지 화복무문유인자초(禍福無門惟人自招) : 화와 복에는 문이 따로 없음. 오직 사람이 스스로 부르는 것임. [ (: 재난 화) (: 복 복) (: 없을 무) (: 문 문) (: 생각할 유) (: 사람 인) (: 스스로 자) (: 부를 초) ]
  • 언유소화(言有召禍) : 말은 화를 부름이 있다는 뜻으로, 말은 이따금 화단(禍端)을 불러올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말씀 언) (: 있을 유) (: 부를 소) (: 재난 화) ]
  • 화생우해타(禍生于懈惰) : 화는 게으르고 나태한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게으름이나 나태함이 화를 만들게 되듯이 성실해야 함을 경계하는 말. [ (: 재난 화) (: 날 생) (: 어조사 우) (: 게으를 해) (: 게으를 타) ]
  • 양화구복(禳禍求福) : 재앙을 물리치고 복(福)을 구함. [ (: 제사이름 양) (: 재난 화) (: 구할 구) (: 복 복) ]
  • 자취기화(自取其禍) : 자기에게 재앙이 되는 일을 함. 또는 그 일로 화를 입게 됨. [ (: 스스로 자) (: 취할 취) (: 그 기) (: 재난 화) ]

[福] 복 복 (복, 간직하다, 복을 받다, 하늘의 도움, 제사에 쓴 고기·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화복무문유인자초 획순 이미지 화복무문유인자초(禍福無門惟人自招) : 화와 복에는 문이 따로 없음. 오직 사람이 스스로 부르는 것임. [ (: 재난 화) (: 복 복) (: 없을 무) (: 문 문) (: 생각할 유) (: 사람 인) (: 스스로 자) (: 부를 초) ]
  • 당대발복(當代發福) : 풍수지리에서, 부모를 좋은 묏자리에 장사 지낸 덕으로 그 아들 대에서 부귀를 누리게 됨. [ (: 마땅할 당) (: 대신 대) (: 필 발) (: 복 복) ]
  • 생민지시만복지원(生民之始萬福之原) : 백성(百姓)을 태어나게 하는 시초(始初)요, 일만가지 복의 근원(根源)임. [ (: 날 생) (: 백성 민) (: 갈 지) (: 처음 시) (: 일만 만) (: 복 복) (: 갈 지) (: 언덕 원) ]
  • 복부중지(福不重至) : 복은 거듭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복은 한꺼번에 둘씩 오지 않는다는 의미. [ (: 복 복) (: 아닌가 부) (: 무거울 중) (: 이를 지) ]
  • 백수백복(百壽百福) : (1)긴 수명과 온갖 복. (2)여러 가지의 전자(篆字)로 써 놓은 '壽福' 글자. 수복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게문이나 두껍닫이 따위에 써 붙였다. [ (: 일백 백) (: 목숨 수) (: 일백 백) (: 복 복) ]

[過] 지날 과 (지나다, 허물, 기름통, 수레바퀴의 굴대에 치는 기름을 담는 통, 들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언박과 획순 이미지 어언박과(語言薄過) : 대단하지 아니한 말의 허물. [ (: 말씀 어) (: 말씀 언) (: 엷을 박) (: 지날 과) ]
  • 개과천선(改過遷善) :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 (: 고칠 개) (: 지날 과) (: 옮길 천) (: 착할 선) ]
  • 개과자신(改過自新) :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 (: 고칠 개) (: 지날 과) (: 스스로 자) (: 새 신) ]
  • 과맥전대취(過麥田大醉) : 보리밭을 지나가도 크게 취한다는 뜻으로, 밀밭을 지나다 밀 냄새만 맡아도 취하는 것처럼,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을 놀리는 말로 사용함. [ (: 지날 과) (: 보리 맥) (: 밭 전) (: 큰 대) (: 취할 취) ]
  • 제수유과수물성책(弟雖有過須勿聲責) : 아우에게 비록 허물이 있더라도 모름지기 큰소리로 꾸짖지 않음. [ (: 아우 제) (: 비록 수) (: 있을 유) (: 지날 과) (: 모름지기 수) (: 말 물) (: 소리 성) (: 꾸짖을 책) ]

[원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결국원인 획순 이미지 결국원인(結局原因) : 어떤 판국의 결말을 결정하는 데 가장 가까운 원인. [ (: 맺을 결) (: 판 국) (: 언덕 원) (: 인할 인) ]
  • 결자해지(結者解之) :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저지른 일은 자기가 해결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 맺을 결) (: 놈 자) (: 풀 해) (: 갈 지) ]
  • 격화소양(隔靴搔瘍) : 신발 위로 발의 무좀을 긁는다는 뜻으로, 원인 치유를 하지 못하고 변죽만 울린다는 의미. 혹은 마음에 차지 않는다는 의미. [ (: 사이 뜰 격) (: 가죽신 화) (: 긁을 소) (: 종기 양) ]
  • 낙시고인(樂是苦因) : 안락이 고통의 원인임을 이르는 말. [ (: 옳을 시) (: 쓸 고) (: 인할 인) ]
  • 복과화생(福過禍生) : 지나친 행복(幸福)은 도리어 재앙(災殃)의 원인(原因)이 됨. [ (: 복 복) (: 지날 과) (: 재난 화) (: 날 생) ]

[재앙]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지분혜탄 획순 이미지 지분혜탄(芝焚蕙嘆) : 지초가 불타니 혜초가 탄식한다는 뜻으로, 동류(同類)가 입은 재앙이 자기에게도 근심이 되는 것처럼 안타까워함. [ (: 지초 지) (: 불사를 분) (: 향풀 이름 혜) (: 탄식할 탄) ]
  • 선기자타(善騎者墮) : 말을 잘 타는 사람이 말에서 떨어진다는 뜻으로, 한 가지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그 재주만 믿고 자만하다가 도리어 재앙을 당한다는 의미. [ (: 착할 선) (: 말 탈 기) (: 놈 자) (: 떨어질 타) ]
  • 자작얼(自作孼) : 자기가 저지른 일 때문에 생긴 재앙. [ (: 스스로 자) (: 지을 작) (: 서자 얼) ]
  • 감선철악(減膳撤樂) : 나라에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가 있을 때에 임금이 몸소 근신하는 뜻으로 수라상의 음식 가짓수를 줄이고 노래와 춤을 가까이하지 아니하던 일. [ (: 덜 감) (: 반찬 선) (: 거둘 철) (: 풍류 악) ]
  • 연미지액(燃眉之厄) : 눈썹에 불이 붙은 것처럼 매우 급하게 닥친 액화. [ (: 사를 연) (: 눈썹 미) (: 갈 지) (: 재앙 액) ]

[행복]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임하선어 획순 이미지 임하선어(臨河羨魚) : 물가에 임해서 물고기를 탐낸다는 뜻으로, 부질없이 행복이나 이득을 바란다는 의미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강 이름 하) (: 부러워할 선) (: 고기 어) ]
  • 양화구복(禳禍求福) : 재앙을 물리치고 복(福)을 구함. [ (: 제사이름 양) (: 재난 화) (: 구할 구) (: 복 복) ]
  • 복과화생(福過禍生) : 지나친 행복(幸福)은 도리어 재앙(災殃)의 원인(原因)이 됨. [ (: 복 복) (: 지날 과) (: 재난 화) (: 날 생) ]
  • 복생어미(福生於微) : 복은 작은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행복은 조그마한 일에서부터 싹튼다는 의미. [ (: 복 복) (: 날 생) (: 어조사 어) (: 작을 미) ]
  • 다행다복(多幸多福) : 운이 좋고 복이 많음. [ (: 많을 다) (: 다행할 행) (: 많을 다) (: 복 복)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