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29일 월요일

한자 蔟에 관한 단어는 모두 7개

한자 蔟에 관한 단어는 모두 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蔟에 관한 단어는 모두 7개

  • 상족 (上蔟) : 막잠을 자고 나서 고치를 지을 때가 된 누에를 섶이나 발에 올림. 또는 그 일.
  • 태주 (太蔟) : 음력 정월을 이르는 말.
  • 상족실 (上蔟室) : 누에를 섶이나 발에 올리는 방.
  • 청대주 (靑大蔟) : 사청성(四淸聲)의 하나. 대주에서 한 옥타브 위의 음이다.
  • 청태주 (淸太蔟) : 태주에서부터 한 옥타브 위의 음.
  • 태주궁 (太蔟宮) : 조선 세종 때에, 원나라 임우의 ≪대성악보≫에서 채택하여 문묘 제례악으로 전하여 오는, 태주를 으뜸으로 한 곡.
  • 상족하다 (上蔟하다) : 막잠을 자고 나서 고치를 지을 때가 된 누에를 섶이나 발에 올리다.


https://dict.wordrow.kr에서 蔟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酪에 관한 단어는 모두 29개

한자 酪에 관한 단어는 모두 29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酪에 관한 단어는 모두 29개

  • 간락 (乾酪) : '건락'의 원말. (건락: 우유 속에 있는 카세인을 뽑아 응고ㆍ발효시킨 식품. 단백질, 지방,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으며 요리, 제과 따위에 쓰인다.)
  • 건락 (乾酪) : 우유 속에 있는 카세인을 뽑아 응고ㆍ발효시킨 식품. 단백질, 지방,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으며 요리, 제과 따위에 쓰인다.
  • 낙농 (酪農) : 젖소나 염소 따위를 기르고 그 젖을 이용하는 산업.
  • 낙산 (酪酸) : 탄소 원자 수가 4개인 카복실산으로, 불쾌한 냄새가 나는 무색의 액체. 뷰탄올의 산화에 의하거나 당류 따위의 뷰티르산 발효에 의하여 얻어진다. 물ㆍ알코올ㆍ에테르 따위에 잘 녹으며, 버터, 치즈 따위의 유지(乳脂) 속에 글리세린에스터로 존재한다. 합성 향료의 원료나 가죽을 다루는 데 쓴다. 화학식은 CH3CH2CH2COOH.
  • 낙소 (酪素) : 인단백질의 하나. 포유류의 젖 속에 들어 있는 단백질의 80%를 차지한다. 보통 우유에 산을 가한 다음 침전시켜 얻는다. 식사 대용품ㆍ의약품ㆍ접착제ㆍ인조 섬유를 만드는 데 쓴다.
  • 낙유 (酪乳) : 지방분을 빼고 유산균을 넣어 발효시킨 우유. 식이 요법에 많이 쓴다.
  • 낙장 (酪漿) : 소나 양의 젖.
  • 양락 (羊酪) : 양젖의 지방질을 굳혀서 만든 식료품.
  • 예락 (醴酪) : 단술과 우유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우락 (牛酪) : 우유의 지방을 분리하여 응고시킨 식품. 빵에 발라 먹거나 요리 재료로 이용한다.
  • 유락 (乳酪) : 우유로 만든 식품. 특히 버터나 식용 크림을 이른다.
  • 타락 (駝酪) : 소의 젖. 백색으로, 살균하여 음료로 마시며 아이스크림, 버터, 치즈 따위의 원료로도 쓴다.
  • 건락소 (乾酪素) : 인단백질의 하나. 포유류의 젖 속에 들어 있는 단백질의 80%를 차지한다. 보통 우유에 산을 가한 다음 침전시켜 얻는다. 식사 대용품ㆍ의약품ㆍ접착제ㆍ인조 섬유를 만드는 데 쓴다.
  • 낙농업 (酪農業) : 젖소나 염소 따위를 기르고 그 젖을 이용하는 산업.
  • 낙농장 (酪農場) : 우유를 생산하는 농장.
  • 낙농품 (酪農品) : 우유로부터 생산되는 모든 식료품. 버터, 치즈, 연유, 분유 따위가 있다.
  • 낙산균 (酪酸菌) : 탄수화물을 발효시켜 뷰티르산을 생성하는 균. 긴 막대기 모양의 균으로 산소를 싫어한다.
  • 낙산물 (酪産物) : 소나 염소의 젖을 짜서 이를 원료로 제조한 산물.
  • 낙제품 (酪製品) : 우유로부터 생산되는 모든 식료품. 버터, 치즈, 연유, 분유 따위가 있다.
  • 양타락 (羊駝酪) : 양의 젖을 끓여서 죽처럼 걸쭉하게 만든 음식.
  • 우락유 (牛酪乳) : 버터를 만들 때 젖당의 일부가 젖산 발효를 하여 카세인이 굳어 된 젖. 지방질이 적으며 젖먹이의 영양물로 쓰인다.
  • 우락지 (牛酪脂) : 우유에서 뽑아낸 지방. 버터를 만들 때 쓴다.
  • 타락병 (駝酪餠) : 떡의 하나. 밀가루ㆍ꿀ㆍ우유를 한데 반죽하여 둥글납작하게 반대기를 지어 꽃 모양으로 만든 도장을 찍고, 화로 위에 얹어 익힌다.
  • 타락죽 (駝酪粥) : 죽의 하나. 물에 불린 쌀을 맷돌에 갈아서 절반쯤 끓이다가 우유를 섞어서 쑨다.
  • 낙농산물 (酪農産物) : 소나 염소의 젖을 짜서 이를 원료로 제조한 산물.
  • 낙농 기계 (酪農機械) : 우유나 유제품의 제조ㆍ가공에 사용하는 기계.
  • 낙농 진흥법 (酪農振興法) : 낙농업의 향상과 발전에 필요한 제도를 확립함으로써 농촌 경제의 향상과 발전을 꾀하기 위하여 마련된 법률.
  • 낙농 미생물학 (酪農微生物學) : 낙농품의 제조, 보존 및 우유와 그 제품에 대한 공중위생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 미생물학의 한 분야이다.
  • 감마 아미노낙산 (gammaamino酪酸) : 글루탐산과 함께 뇌 조직에 많은 아미노산. 정신 발육 지체아의 작업 능률을 올리거나 간질이나 고혈압 자각증에 효과가 있다. 화학식은 C4H9NO2.


https://dict.wordrow.kr에서 酪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歡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0개

한자 歡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歡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0개

  • 갈환 (竭歡) : 환락을 마음껏 누림.
  • 고환 (高歡) : 중국 북제(北齊)의 창시자(496~547). 후위를 동서로 분열하고, 동위의 실권을 잡았다.
  • 교환 (交歡/交驩) : 서로 사귀며 즐거움을 나눔.
  • 구환 (舊歡) : 예전의 환락(歡樂).
  • 비환 (悲歡) : 슬픔과 기쁨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승환 (承歡) : 사람의 기분을 맞추어 기쁘게 함.
  • 애환 (哀歡) : 슬픔과 기쁨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진환 (盡歡) : 기쁨이 다함.
  • 합환 (合歡) : 모여서 기쁨을 함께함.
  • 환낙 (歡諾) : 기꺼이 승낙함.
  • 환담 (歡談) : 정답고 즐겁게 서로 이야기함. 또는 그런 이야기.
  • 환대 (歡待) : 반갑게 맞아 정성껏 후하게 대접함.
  • 환락 (歡樂) : 아주 즐거워함. 또는 아주 즐거운 것.
  • 환성 (歡聲) : 기쁘고 반가워서 지르는 소리.
  • 환송 (歡送) : 떠나는 사람을 기쁜 마음으로 보냄.
  • 환심 (歡心) : 기뻐하고 즐거워하는 마음.
  • 환어 (歡語) : 즐겨 이야기를 함.
  • 환연 (歡然/驩然) : '환연하다'의 어근. (환연하다: 마음에 즐겁고 기쁘다.)
  • 환열 (歡悅) : 매우 기뻐함. 또는 큰 기쁨.
  • 환영 (歡迎) : 오는 사람을 기쁜 마음으로 반갑게 맞음.
  • 환오 (歡娛) : 아주 즐거워함. 또는 아주 즐거운 것.
  • 환유 (歡遊) : 즐겁게 놂.
  • 환전 (歡轉) : 만수무 따위에서, 즐거운 표정을 짓고 소매를 뿌리며 몸을 돌리는 춤사위.
  • 환정 (歡情) : 기뻐하고 즐거워하는 마음.
  • 환호 (歡呼) : 기뻐서 큰 소리로 부르짖음.
  • 환흡 (歡洽) : '환흡하다'의 어근. (환흡하다: 즐겁고 흡족하다.)
  • 환희 (歡喜) : 매우 기뻐함. 또는 큰 기쁨.
  • 대환영 (大歡迎) : 성대하게 환영함. 또는 그런 환영.
  • 상환암 (上歡庵) :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에 있는 절. 법주사의 말사로, 태조 이성계가 왕이 되기 전에 여기서 백일기도를 하였다고 하며, 부근에 은폭동(隱瀑洞), 태봉산(胎封山) 따위의 명승고적이 있다.
  • 합환목 (合歡木) : 콩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 높이는 3~5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우상 복엽이다. 6~7월에 가지 끝에 연분홍색의 꽃이 피고 열매는 협과(莢果)로 9~10월에 열린다. 나무는 가구와 수공 재료로, 나무껍질은 약재로 쓴다. 한국의 황해도 이남과 일본, 중국, 인도, 이란, 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 합환주 (合歡酒) : 전통 혼례식에서 신랑 신부가 서로 잔을 바꾸어 마시는 술.
  • 합환피 (合歡皮) : 자귀나무의 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정신을 안정시키고 피를 잘 돌게 하며 부기를 내리고 해수(咳嗽)를 다스린다. 강장제, 접골약(接骨藥), 모생약(毛生藥) 따위에 쓴다.
  • 환락가 (歡樂街) : 술집, 요릿집, 극장, 도박장 따위의 유흥장이 많이 늘어선 거리.
  • 환락경 (歡樂境) : 아주 즐거운 경지.
  • 환락장 (歡樂場) : 환락을 즐기는 장소.
  • 환락향 (歡樂鄕) : 술집, 요릿집, 극장, 도박장 따위의 유흥장이 많이 늘어선 거리.
  • 환송곡 (歡送曲) : 떠나는 사람을 기쁜 마음으로 보내는 뜻으로 울리는 악곡.
  • 환송사 (歡送辭) : 떠나는 사람을 기쁜 마음으로 보내는 뜻으로 하는 인사말.
  • 환송연 (歡送宴) : 떠나는 사람을 기쁜 마음으로 보내는 뜻으로 베푸는 연회.
  • 환송장 (歡送場) : 떠나는 사람을 기쁜 마음으로 보내는 뜻으로 열리는 행사가 이루어지는 곳이나 자리.
  • 환송회 (歡送會) : 떠나는 사람을 기쁜 마음으로 보내는 뜻으로 베푸는 모임.
  • 환연히 (歡然히/驩然히) : 마음에 즐겁고 기쁘게.
  • 환영곡 (歡迎曲) : 오는 사람을 반갑게 맞이하는 뜻으로 울리는 악곡.
  • 환영문 (歡迎門) : 오는 사람을 반갑게 맞이하는 뜻으로 특별히 세운 문. 아치 따위가 있다.
  • 환영문 (歡迎文) : 오는 사람을 반갑게 맞이하는 뜻을 적은 글.
  • 환영사 (歡迎辭) : 오는 사람을 반갑게 맞이하는 뜻으로 하는 인사말.
  • 환영연 (歡迎宴) : 오는 사람을 반갑게 맞이하는 뜻으로 베푸는 연회.
  • 환영탑 (歡迎塔) : 오는 사람을 반갑게 맞이하는 뜻으로 문구를 새겨 도시의 큰길가에 세우는 탑 형식의 가장물.
  • 환영회 (歡迎會) : 오는 사람을 반갑게 맞이하는 뜻으로 베푸는 모임.
  • 환호성 (歡呼聲) : 기뻐서 크게 부르짖는 소리.
  • 환화무 (歡花舞) : 가인전목단에서, 가운데 놓인 꽃을 희롱하다가 꽃가지를 꺾어서, 들고 있는 반(盤) 위에 굴리며 즐겁게 추는 춤.
  • 환희광 (歡喜光) : 십이광의 하나로, 보문(普門)을 밝히는 신통력이 있는 아미타불의 광명의 덕.
  • 환희일 (歡喜日) : 부처가 기뻐하는 날이라는 뜻으로, 하안거를 마치는 음력 7월 15일을 이르는 말. 뒤에는 변하여 매달 보름을 이른다.
  • 환희지 (歡喜地) : 십지(十地)의 첫 단계. 보살이 일대(一大) 아승지겁(阿僧祗劫)의 수행을 하여 미혹을 끊고 이치의 한 부분을 증득(證得)한 경지로, 이 경지에 이른 사람은 이대(二大) 아승지겁을 지난 뒤에 성불한다. 이 단계에 이르면 자리이타의 행(行)을 이루어서 마음에 기뻐함이 많다 하여 이르는 말이다.
  • 환희천 (歡喜天) : 불교의 수호신. 형상은 코끼리 머리에 사람의 몸을 하고 있으며, 단신(單身)과 쌍신(雙身)이 있다. 구천팔백의 귀왕들을 거느리고 삼천 세계와 삼보를 수호하며, 부부를 화합하게 하고 자식을 점지하는 능력을 가졌다고 한다.
  • 갈환하다 (竭歡하다) : 환락을 마음껏 누리다.
  • 교환하다 (交歡하다/交驩하다) : 서로 사귀며 즐거움을 나누다.
  • 만심환희 (滿心歡喜) : 만족하여 아주 기뻐함.
  • 불환희일 (佛歡喜日) : 승려들이 음력 4월 16일부터 시작한 수행을 끝마치는, 음력 7월 15일을 이르는 말. 이날에 승려들이 수행하는 동안의 잘못을 뉘우치고 서로 훈계하는 행사를 하며, 모든 승려들이 기뻐한다는 데서 이르는 말이다.
  • 숙수지환 (菽水之歡) : 콩과 물만 먹는 가난한 생활 속에서의 즐거움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중에도 부모를 잘 섬겨 그 마음을 기쁘게 함을 이르는 말.
  • 승환하다 (承歡하다) : 사람의 기분을 맞추어 기쁘게 하다.
  • 신심환희 (信心歡喜) : 아미타불의 구원을 조금도 의심치 아니하고 믿어서, 극락에 왕생할 수 있음을 기뻐함.
  • 일실동환 (一室同歡) : 한집안에서 같이 기뻐함.
  • 일일지환 (一日之歡) : 잠깐 동안의 기쁨.
  • 족도환무 (足蹈歡舞) : 격렬한 춤사위로 신명 나고 즐겁게 추는 춤.
  • 진환하다 (盡歡하다) : 기쁨이 다하다.
  • 초환희지 (初歡喜地) : 십지(十地)의 첫 단계. 보살이 일대(一大) 아승지겁(阿僧祗劫)의 수행을 하여 미혹을 끊고 이치의 한 부분을 증득(證得)한 경지로, 이 경지에 이른 사람은 이대(二大) 아승지겁을 지난 뒤에 성불한다. 이 단계에 이르면 자리이타의 행(行)을 이루어서 마음에 기뻐함이 많다 하여 이르는 말이다.
  • 합환하다 (合歡하다) : 모여서 기쁨을 함께하다.
  • 환낙하다 (歡諾하다) : 기꺼이 승낙하다.
  • 환담하다 (歡談하다) : 정답고 즐겁게 서로 이야기하다.
  • 환대하다 (歡待하다) : 반갑게 맞아 정성껏 후하게 대접하다.
  • 환락하다 (歡樂하다) : 아주 즐거워하다.
  • 환송하다 (歡送하다) : 떠나는 사람을 기쁜 마음으로 보내다.
  • 환어하다 (歡語하다) : 즐겨 이야기를 하다.
  • 환여평석 (歡如平昔) : 원한을 버리고 옛정을 다시 회복함.
  • 환연하다 (歡然하다/驩然하다) : 마음에 즐겁고 기쁘다.
  • 환열하다 (歡悅하다) : 매우 기뻐하다.
  • 환영하다 (歡迎하다) : 오는 사람을 기쁜 마음으로 반갑게 맞다.
  • 환오하다 (歡娛하다) : 아주 즐거워하다.
  • 환유하다 (歡遊하다) : 즐겁게 놀다.
  • 환천희지 (歡天喜地) : 하늘도 즐거워하고 땅도 기뻐한다는 뜻으로, 아주 즐거워하고 기뻐함을 이르는 말.
  • 환호작약 (歡呼雀躍) : 크게 소리를 지르고 뛰며 기뻐함.
  • 환호하다 (歡呼하다) : 기뻐서 큰 소리로 부르짖다.
  • 환흡하다 (歡洽하다) : 즐겁고 흡족하다.
  • 환희광불 (歡喜光佛) : '아미타불'의 다른 이름. 십이광불의 하나로, 보문을 밝히는 신통력이 끝없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아미타불: 서방 정토에 있는 부처. 대승 불교 정토교의 중심을 이루는 부처로, 수행 중에 모든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대원(大願)을 품고 성불하여 극락에서 교화하고 있으며, 이 부처를 염하면 죽은 뒤에 극락에 간다고 한다.)
  • 환희롭다 (歡喜롭다) : 큰 기쁨이 있다.
  • 환희천법 (歡喜天法) : 환희천을 본존으로 하여 모든 재난을 없애고 부귀영화를 비는 수법(修法).
  • 환희하다 (歡喜하다) : 매우 기뻐하다.
  • 희비애환 (喜悲哀歡) : 기쁨과 슬픔과 애처로움과 즐거움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대성환희천 (大聲歡喜天) : 불교의 수호신. 형상은 코끼리 머리에 사람의 몸을 하고 있으며, 단신(單身)과 쌍신(雙身)이 있다. 구천팔백의 귀왕들을 거느리고 삼천 세계와 삼보를 수호하며, 부부를 화합하게 하고 자식을 점지하는 능력을 가졌다고 한다.
  • 대환영하다 (大歡迎하다) : 성대하게 환영하다.
  • 만년장환지곡 (萬年長歡之曲) : '가곡'을 달리 이르는 말. (가곡: 우리나라 전통 성악곡의 하나. 시조의 시를 5장 형식으로, 피리ㆍ젓대ㆍ가야금ㆍ거문고ㆍ해금 따위의 관현악 반주에 맞추어 부른다. 평조와 계면조 두 음계에 남창과 여창의 구분이 있다.)
  • 만심환희하다 (滿心歡喜하다) : 만족하여 아주 기뻐하다.
  • 환여평석하다 (歡如平昔하다) : 원한을 버리고 옛정을 다시 회복하다.
  • 환천희지하다 (歡天喜地하다) : 아주 즐거워하고 기뻐하다. 하늘도 즐거워하고 땅도 기뻐한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환호작약하다 (歡呼雀躍하다) : 크게 소리를 지르고 뛰며 기뻐하다.
  • 환희의 신비 (歡喜의神祕) : 묵주 기도를 바치며 묵상하는 세 가지 신비 중 첫 번째 신비. 성모 마리아의 기쁨에 대한 내용이다.
  • 교환 경기 (交歡競技) : 친선을 증진하기 위하여 외국 선수를 초청하여 벌이는 운동 경기.
  • 성삼 환호 (聖三歡呼) : 성찬의 전례(典禮)에서 감사송 다음으로 하느님을 찬미하는 환호.


https://dict.wordrow.kr에서 歡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望에 관한 단어는 모두 543개

한자 望에 관한 단어는 모두 543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望에 관한 단어는 모두 543개

  • 망 (望) : 상대편의 동태를 알기 위하여 멀리서 동정을 살피는 일.
  • 망 (望) : 명성(名聲)과 인망(人望)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망 (望) : 태양, 지구, 달이 순서대로 한 직선 위에 놓이는 때. 또는 그때의 달. 달의 반구(半球) 전체가 햇빛을 받아 밝게 빛난다.
  • 가망 (可望) : 될 만하거나 가능성이 있는 희망.
  • 가망 (加望) : 조선 시대에, 벼슬아치를 추천할 때 삼망(三望)에 올리거나 삼망 외에 추가로 올리던 일.
  • 간망 (懇望) : 간절히 바람.
  • 갈망 (渴望) : 간절히 바람.
  • 결망 (觖望/缺望) : 바라는 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원망함.
  • 경망 (競望) : 다투어 희망함.
  • 경망 (敬望) : 삼가 바란다는 뜻으로, 한문 투의 편지에 쓰는 말.
  • 계망 (繼望) : 희망을 걺.
  • 고망 (顧望) : 되돌아보거나 둘러봄.
  • 과망 (科望) : 과거에 급제하리라고 뭇사람으로부터 받는 신망(信望).
  • 과망 (過望) : 분수에 넘치게 바람.
  • 관망 (觀望) : 풍경 따위를 멀리서 바라봄.
  • 교망 (翹望) : 발돋움하여 바라본다는 뜻으로, 몹시 기다림을 이르는 말.
  • 기망 (期望/企望) : 어떠한 일이 이루어지기를 바람.
  • 기망 (冀望) : 어떤 일을 이루거나 하기를 바람.
  • 기망 (旣望) : 음력으로 매달 열엿샛날.
  • 기망 (器望) : 재주와 지혜가 남달리 뛰어나다는 평판.
  • 기망 (祈望) : 빌고 바람.
  • 기망 (幾望) : 음력으로 매달 열나흗날 밤. 또는 그날 밤의 달.
  • 낙망 (落望) : 희망을 잃음.
  • 난망 (難望) : 바라기 어려움.
  • 누망 (縷望) : 한 가닥 실낱같이 가늘게 남아 있는 희망.
  • 다망 (多望) : 바라는 바가 많음.
  • 단망 (單望) : 조선 시대에, 관리를 천거할 때 세 사람을 추천하는 삼망(三望)의 관례를 따르지 않고 한 사람만을 추천하던 일.
  • 단망 (旦望) :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단망 (斷望) : 희망이 끊어짐. 또는 희망을 끊어 버림.
  • 대망 (臺望) : 조선 시대에, 사헌부나 사간원의 관원을 임명할 때 세 사람의 후보자 가운데서 추천하던 일.
  • 대망 (待望) : 기다리고 바람.
  • 대망 (大望) : 큰 희망.
  • 덕망 (德望) : 덕행으로 얻은 명망.
  • 만망 (萬望) : 지성으로 바람.
  • 만망 (晩望) : 해 질 녘의 조망(眺望).
  • 말망 (末望) : 벼슬아치를 추천하는 삼망(三望) 가운데 끝자리. 또는 그 사람.
  • 망간 (望竿) : 무엇을 표시하기 위하여 세우거나 박은 말뚝.
  • 망간 (望間) : 음력 보름께.
  • 망강 (望講) : 보름마다 선생 앞에서 배운 글이나 들은 말을 외는 일.
  • 망거 (望炬) : 조선 시대에, 공사(公私)의 큰 행사나 의정(議政) 이상이 공무로 다닐 때 앞길을 밝히던 횃불.
  • 망견 (望見) : 멀리 바라봄.
  • 망곡 (望哭) : 먼 곳에서 임금이나 어버이의 상사를 당했을 때에, 곡을 할 장소에 몸소 가지 못하고 그쪽을 향하여 슬피 욺.
  • 망구 (望九) : 사람의 나이가 아흔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여든한 살을 이르는 말.
  • 망군 (望軍) : 높은 곳에서 적의 동정을 살피던 군사.
  • 망기 (望旗) : 망대에 걸어 놓는 깃발.
  • 망기 (望記) : 삼망(三望)의 내용을 기록한 종이.
  • 망기 (望祈) : 멀리 떨어져 있는 조상, 부모, 형제 따위를 그리워하며 그러한 대상이 있는 쪽을 바라보고 절을 함. 또는 그렇게 하는 절.
  • 망기 (望氣) : 나타나 있는 기운을 보아서 일의 조짐을 알아냄.
  • 망꾼 (望꾼) : 망을 보는 사람.
  • 망단 (望斷) : 어떤 바라던 일이 실패함.
  • 망달 (望達) : 사회적으로 지위가 높고 귀하게 되기를 바람.
  • 망대 (望臺) : 적이나 주위의 동정을 살피기 위하여 높이 세운 곳.
  • 망덕 (望德) : 향주 삼덕의 하나. 하느님의 은총과 인자한 허락에 의하여 천당에서의 행복을 바라는 덕이다.
  • 망료 (望燎) : 제사가 끝나서 태우는 지방(紙榜)이나 축문(祝文)이 모두 탈 때까지 지켜보는 일.
  • 망루 (望樓) : 적이나 주위의 동정을 살피기 위하여 높이 지은 다락집.
  • 망륙 (望六) : 사람의 나이가 예순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쉰한 살을 이르는 말.
  • 망배 (望拜) : 멀리 떨어져 있는 조상, 부모, 형제 따위를 그리워하며 그러한 대상이 있는 쪽을 바라보고 절을 함. 또는 그렇게 하는 절.
  • 망백 (望百) : 백(百)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아흔한 살을 이르는 말.
  • 망보 (望報) : 조선 시대에, 벼슬아치의 후보자 세 사람의 이름을 써서 보고하던 일. 또는 그 보고.
  • 망사 (望祀) : 섶을 태우며 멀리 산천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일.
  • 망사 (望士) : 명망이 있는 선비.
  • 망상 (望床) : 큰 잔치 때에, 보기 좋게 과실ㆍ떡ㆍ어육 따위의 음식을 높이 괴어 차려 놓은 큰 상.
  • 망색 (望色) : 안색을 살핌.
  • 망석 (望石) : 무덤 앞의 양쪽에 세우는 한 쌍의 돌기둥. 돌 받침 위에 여덟모 진 기둥을 세우고 맨 꼭대기에 둥근 대가리를 얹는다.
  • 망양 (望洋) : 크고 넓어서 끝이 없는 모양.
  • 망어 (望魚) : 멸칫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22~30cm이다. 몸은 옆으로 납작하고 뾰족한 칼 모양이며, 비늘이 잘다. 몸빛은 은빛을 띤 백색이다. 봄과 여름에 강으로 올라와 산란한다. 압록강, 대동강, 임진강, 한강, 금강, 영산강 등지의 민물과 짠물이 합쳐지는 곳에 분포한다.
  • 망예 (望瘞) : 제사를 마치고 축문(祝文)과 폐백(幣帛)을 파묻을 때에 헌관(獻官)과 집례(執禮)가 이를 지켜보던 일.
  • 망예 (望霓) : 가뭄에 비를 몹시 기다린다는 뜻으로, 간절히 원함을 이르는 말.
  • 망오 (望五) : 쉰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마흔하나를 이르는 말.
  • 망와 (望瓦) : 지붕의 마루 끝에 세우는, 와당이 달린 암막새.
  • 망외 (望外) : 바라거나 희망하는 것 이상의 것.
  • 망운 (望雲) :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함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적인걸(狄仁傑)이 타향에서 부모가 계신 쪽의 구름을 바라보고 어버이를 그리워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 망원 (望遠) : 멀리 바라봄.
  • 망월 (望月) : 달을 바라봄.
  • 망월 (望月) : 음력 보름날 밤에 뜨는 둥근달.
  • 망일 (望日) : 음력 보름날.
  • 망전 (望前) : 음력 보름이 되기 이전.
  • 망전 (望奠) : 상중(喪中)인 집에서 죽은 이에게 매달 음력 보름날 아침에 지내는 제사.
  • 망정 (望呈) : 선거 따위에서 하는 후보자에 대한 추천서.
  • 망정 (望定) : 조선 시대에, 관원 후보로 세 사람을 우선 지명하던 일.
  • 망제 (望祭) : 가뭄이 심할 때 북교(北郊)에 나가서 악(嶽), 해(海), 독(瀆), 명산(名山), 대천(大川) 따위의 19신위(神位)에게 비를 내려 달라고 빌던 제사.
  • 망제 (望帝) : '두견'을 달리 이르는 말. 중국 촉(蜀)나라 사람인 망제(望帝)의 죽은 넋이 두견이 되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두견: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 망조 (望朝) : 조선 시대에, 보름날 베풀던 큰 조회(朝會).
  • 망족 (望族) : 명망이 있는 집안.
  • 망존 (望尊) : '망존하다'의 어근. (망존하다: 궁중에서, 대보름이나 한가윗날 밤에 달에 제를 드리다.)
  • 망주 (望柱) : 무덤 앞의 양쪽에 세우는 한 쌍의 돌기둥. 돌 받침 위에 여덟모 진 기둥을 세우고 맨 꼭대기에 둥근 대가리를 얹는다.
  • 망중 (望重) : '망중하다'의 어근. (망중하다: 명망이 높다.)
  • 망질 (望秩) : 섶을 태우며 멀리 산천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일.
  • 망참 (望參) : 음력 보름날에 사당에 절하고 뵘. 또는 그 예식.
  • 망창 (望窓) : 누각 따위의 벽 위쪽에 바라보기 좋게 뚫은 창.
  • 망첩 (望帖) : 본인에게 관리로 추천된 사실을 알리는 글.
  • 망촉 (望蜀) : 농(隴)을 얻고서 촉(蜀)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 망춘 (望春) : 물푸레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2~3미터이며, 잎은 마주난다. 이른 봄에 잎보다 먼저 노란 꽃이 피고 9월에 삭과(蒴果)인 열매를 맺는데, 옴ㆍ여드름ㆍ종기ㆍ연주창 따위에 약재로 쓰인다. 흔히 울타리용으로 재배한다. 우리나라 특산종이고 중국, 일본 등지에는 다른 변종이 분포한다.
  • 망칠 (望七) : 일흔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 망통 (望筒/望筩) : 삼망(三望)의 내용을 기록한 종이.
  • 망팔 (望八) : 여든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일흔한 살을 이르는 말.
  • 망풍 (望風) : 높은 명망을 듣고 우러러 사모함.
  • 망향 (望鄕) : 고향을 그리워하며 생각함.
  • 망호 (望毫) : 예전에, 매사냥을 할 때 매를 잘 알아볼 수 있도록 매의 꼬리에 달던 흰 털. 흔히 두루미의 깃으로 만든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望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