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16일 수요일

파현: 破顯

파현 (破顯) : 사견(邪見)과 사도(邪道)를 깨고 정법(正法)을 드러내는 일. 삼론종의 근본 교의이다.



破顯 한자 뜻 풀이

  • 破(깨뜨릴 파) : 깨뜨리다, 무너지다, 깨지다, 다하다, 악곡 이름. 돌을 부수는 의미에서 '깨다' 등의 의미 생성
  • 顯(나타날 현) : 나타나다, 영달하다, 나타내다, 광명, 명백하다. 자가 발음과 함께 사람 머리를 드러내다는 의미에서 '나타나다'는 뜻을 표현함


[破] 깨뜨릴 파 (깨뜨리다, 무너지다, 깨지다, 다하다, 악곡 이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경가파산 획순 이미지 경가파산(傾家破産) : 재산을 모두 털어 없애어 집안이 형편없이 기울어짐. [ (: 기울 경) (: 집 가) (: 깨뜨릴 파) (: 낳을 산) ]
  • 파경지탄(破鏡之歎) : 부부(夫婦) 사이의 영원(永遠)한 이별(離別)을 서러워 하는 탄식(歎息). [ (: 깨뜨릴 파) (: 거울 경) (: 갈 지) (: 탄식할 탄) ]
  • 파체위소(破涕爲笑) : 울음을 그치고 웃음을 짓는다는 뜻으로, 슬픔을 기쁨으로 바꾼다는 의미. [ (: 깨뜨릴 파) (: 눈물 체) (: 할 위) (: 웃을 소) ]
  • 파옥수간(破屋數間) : 부서진 집 몇 칸이라는 뜻으로, 허물어지고 협소(狹小)한 집을 의미하는 말. [ (: 깨뜨릴 파) (: 집 옥) (: 셀 수) (: 틈 간) ]
  • 파옹구아(破甕救兒) : 항아리를 깨뜨려 아이를 구한다는 뜻으로, 송(宋)의 사마광(司馬光)이 어릴 때 물독에 빠진 아이를 돌로 깨뜨려 구했다는 고사에서 어린아이의 지혜로움을 의미함. [ (: 깨뜨릴 파) (: 독 옹) (: 건질 구) (: 아이 아) ]

[顯] 나타날 현 (나타나다, 영달하다, 나타내다, 광명, 명백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파현 획순 이미지 파현(破顯) : 사견(邪見)과 사도(邪道)를 깨고 정법(正法)을 드러내는 일. 삼론종의 근본 교의이다. [ (: 깨뜨릴 파) (: 나타날 현) ]
  • 현고(顯考) : (1)예전에, '고조부'를 높여 이르던 말. (2)돌아가신 아버지의 신주나 축문 첫머리에 쓰는 말. [ (: 나타날 현) (: 상고할 고) ]
  • 막현호은(莫顯乎隱) : 숨는 것보다 더 잘 드러나는 것이 없다는 뜻으로, 남이 보지 않는 곳에서 한 일은 매우 잘 드러나는 것처럼 홀로 있을 때에도 도리(道理)에 어그러짐이 없도록 삼가야 한다[愼獨(신독)]는 의미. [ (: 없을 막) (: 나타날 현) (: 온 호) (: 숨을 은) ]
  • 현비(顯妣) :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 [ (: 나타날 현) (: 죽은어미 비) ]
  • 현증조고(顯曾祖考) : 돌아가신 증조할아버지의 신주나 축문 첫머리에 쓰는 말. [ (: 나타날 현) (: 일찍 증) (: 할아비 조) (: 상고할 고) ]

[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 획순 이미지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옳을 가) (: 줄 여) (: 이룰 성)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희출망외(喜出望外) :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이 뜻밖에 생김. [ (: 기쁠 희) (: 날 출) (: 바랄 망) (: 바깥 외) ]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근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미도지반 획순 이미지 미도지반(迷途知反) : 길을 잃으면 돌아올 줄 안다는 뜻으로, 바른 길을 찾다가 못 찾으면 근본에서 다시 생각할 줄을 안다는 의미. [ (: 미혹할 미) (: 길 도) (: 알 지) (: 돌이킬 반) ]
  • 법고창신(法古創新) : 옛 것을 법으로 삼아 새 것을 창조한다는 뜻으로, 과거를 밑거름으로 해서 새로운 것을 도출해낸다는 의미. [ (: 법 법) (: 예 고) (: 비롯할 창) (: 새 신) ]
  • 천하지대본(天下之大本) : 하늘 밑에서의 큰 근본(根本). [ (: 하늘 천) (: 아래 하) (: 갈 지) (: 큰 대) (: 밑 본) ]
  • 부위자강(父爲子綱) : 삼강(三綱)의 하나.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 (: 아비 부) (: 할 위) (: 아들 자) (: 벼리 강) ]
  • 전초제근(剪草除根) : 풀을 베고 뿌리를 캐내다는 뜻으로, 즉 미리 폐단(弊端)의 근본(根本)을 없애 버림. [ (: 벨 전) (: 풀 초) (: 덜 제) (: 뿌리 근) ]

[사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파현 획순 이미지 파현(破顯) : 사견(邪見)과 사도(邪道)를 깨고 정법(正法)을 드러내는 일. 삼론종의 근본 교의이다. [ (: 깨뜨릴 파) (: 나타날 현) ]
  • 생로병사(生老病死) : 사람이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네 가지 고통. [ (: 날 생) (: 늙을 로) (: 병 병) (: 죽을 사) ]
  • 사도팔도(四都八道) : 네 개의 도읍과 여덟 개의 도라는 뜻으로, 한반도 전체를 이르던 말. [ (: 넉 사) (: 도읍 도) (: 여덟 팔) (: 길 도) ]
  • 위정척사(衛正斥邪) : 구한말에, 주자학을 지키고 가톨릭을 물리치기 위하여 내세운 주장. 본디 정학(正學)과 정도(正道)를 지키고 사학(邪學)과 이단(異端)을 물리치자는 것으로, 외국과의 통상 반대 운동으로 이어졌다. [ (: 지킬 위) (: 바를 정) (: 물리칠 척) (: 간사할 사) ]
  • 파사현정(破邪顯正) : 사견(邪見)과 사도(邪道)를 깨고 정법(正法)을 드러내는 일. 삼론종의 근본 교의이다. [ (: 깨뜨릴 파) (: 간사할 사) (: 나타날 현) (: 바를 정) ]

[준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감회 획순 이미지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 상담(嘗膽) :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 (: 맛볼 상) (: 쓸개 담) ]
  • 경성(傾城) : (1)성을 기울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태롭게 할 정도로 뛰어남을 이르는 말. (2)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 (: 기울 경) (: 성 성) ]
  • 영탈(穎脫) : 주머니 속의 송곳 끝이 밖으로 튀어나와 있다는 뜻으로, 뛰어나고 훌륭한 재능이 밖으로 드러나는 데가 있음을 이르는 말. [ (: 이삭 영) (: 벗을 탈) ]
  • 춘장(春丈) : 춘부장(春府丈)의 준말. [ (: 봄 춘) (: 어른 장)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