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1월 16일 월요일

박리다매: 薄利多賣

박리다매 (薄利多賣) : 이익을 적게 보고 많이 파는 것.



薄利多賣 한자 뜻 풀이

  • 薄(엷을 박) : 엷다, 동자기둥, 풀 이름, 쪼구미, 빛 따위가 엷다. 풀이 아주 작고 얇아 물에 뜰 정도라는 의미에서 '얇다'는 의미 생성. 후에 '천하다', '야박하다' 등의 의미 파생
  • 利(날카로울 리) : 날카롭다, 편하다, 이롭다, 이익, 이자. 벼[禾]를 베는 칼[刀]의 의미에서 '날카롭다'는 의미 생성. 후에 수확의 결과로 인해 '이익', '편하다' 등의 의미 파생
  • 多(많을 다) : 많다, 많아지다, 많게 하다, 후하다, 낫다. 본래는 고기[肉]를 포개놓은 모양에서 '많다' 생성
  • 賣(팔 매) : 팔다. 본래 [出+買]의 의미에서 재화가 나간다는 '팔다'는 의미 생성


[利] 날카로울 리 (날카롭다, 편하다, 이롭다, 이익, 이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리사복(私利私腹) : 사사로운 이익과 욕심. [ (: 사사 사) (: 날카로울 리) (: 사사 사) (: 배 복) ]
  • 단지고초장통시구리래(短池孤草長通市求利來) : 짧은 연못엔 외로운 풀만 길어나고, 시장(市場)을 통(通)하니 이익(利益)을 구(求)하여 옴. [ (: 짧을 단) (: 못 지) (: 외로울 고) (: 풀 초) (: 길 장) (: 통할 통) (: 저자 시) (: 구할 구) (: 날카로울 리) (: 올 래) ]

[多] 많을 다 (많다, 많아지다, 많게 하다, 후하다, 낫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하기다야 획순 이미지 하기다야(何其多也) : 의외로 많음을 이르는 말. [ (: 어찌 하) (: 그 기) (: 많을 다) (: 잇기 야) ]
  • 다사다단(多事多端) : 여러 가지 일이나 까닭이 서로 뒤얽혀 복잡함. [ (: 많을 다) (: 일 사) (: 많을 다) (: 바를 단) ]
  • 다발장리(多發將吏) : 조선 시대에, 수령이 죄인을 잡으려고 많은 수의 포교(捕校)와 사령(使令)을 보내던 일. [ (: 많을 다) (: 필 발) (: 장수 장) (: 벼슬아치 리) ]

[薄] 엷을 박 (엷다, 동자기둥, 풀 이름, 쪼구미, 빛 따위가 엷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언박과 획순 이미지 어언박과(語言薄過) : 대단하지 아니한 말의 허물. [ (: 말씀 어) (: 말씀 언) (: 엷을 박) (: 지날 과) ]
  • 여리박빙(如履薄氷) : 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아슬아슬하고 위험한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같을 여) (: 밟을 리) (: 엷을 박) (: 얼음 빙) ]
  • 후왕박래(厚往薄來) : 갈 때는 후하게 하고, 올 때는 박하게 한다는 뜻으로, 과거 왕이 제후에게 돌아갈 때는 후하게 선물을 내리고, 조회를 올 때는 공물을 적게 바치게 함으로써 제후나 신하를 회유(懷柔)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 (: 두터울 후) (: 갈 왕) (: 엷을 박) (: 올 래) ]
  • 박색(薄色) : 아주 못생긴 얼굴. 또는 그런 사람. 흔히 여자에게 많이 쓴다. [ (: 엷을 박) (: 빛 색) ]
  • 박주산채(薄酒山菜) : (1)맛이 변변하지 못한 술과 산나물. (2)자기가 내는 술과 안주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 (: 엷을 박) (: 술 주) (: 메 산) (: 나물 채) ]

[賣] 팔 매 (팔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양상화매 획순 이미지 양상화매(兩相和賣) : 파는 쪽과 사는 쪽이 서로 잘 의논하여서 물건을 팔고 삼. [ (: 서로 상) (: 고를 화) (: 팔 매) ]
  • 헐가방매(歇價放賣) : 헐값으로 마구 팔아 버림. [ (: 쉴 헐) (: 값 가) (: 놓을 방) (: 팔 매) ]
  • 입도선매(立稻先賣) : (1)'입도선매'의 북한어. (2)아직 논에서 자라고 있는 벼를 미리 돈을 받고 팖. [ (: 벼 도) (: 먼저 선) (: 팔 매) ]
  • 박리다매(薄利多賣) : 이익을 적게 보고 많이 파는 것. [ (: 엷을 박) (: 날카로울 리) (: 많을 다) (: 팔 매) ]
  • 매염봉우(賣鹽逢雨) : 소금을 팔다가 비를 만났다는 뜻으로, 하려는 일에 뜻하지 아니한 장애가 생기게 됨을 이르는 말. [ (: 팔 매) (: 소금 염) (: 만날 봉) (: 비 우) ]

[상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다천과귀 획순 이미지 다천과귀(多賤寡貴) : 모든 상품(商品)은 다과(多寡)에 의(依)해서 그 값의 고하(高下)가 이루어짐. [ (: 많을 다) (: 천할 천) (: 적을 과) (: 귀할 귀) ]
  • 박리다매(薄利多賣) : 이익을 적게 보고 많이 파는 것. [ (: 엷을 박) (: 날카로울 리) (: 많을 다) (: 팔 매) ]

[수익]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불로소득 획순 이미지 불로소득(不勞所得) : 직접 일을 하지 아니하고 얻는 수익. 이자, 배당금, 지대(地代)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 (: 아니 불) (: 일할 로) (: 바 소) (: 얻을 득) ]
  • 박리다매(薄利多賣) : 이익을 적게 보고 많이 파는 것. [ (: 엷을 박) (: 날카로울 리) (: 많을 다) (: 팔 매) ]
  • 무자가색(務玆稼穡) : 때맞춰 심고 힘써 일하며 많은 수익(收益)을 거둠. [ (: 힘쓸 무) (: 이 자) (: 심을 가) (: 거둘 색) ]

[의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 묶을 속) (: 손 수) (: 없을 무) (: 꾀 책) ]
  • 공전절후(空前絶後)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 빌 공) (: 앞 전) (: 끊을 절) (: 뒤 후) ]
  • 우이독경(牛耳讀經) : 쇠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 (: 소 우) (: 귀 이) (: 읽을 독) (: 지날 경) ]
  • 백불일실(百不一失) :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 (: 일백 백) (: 아니 불) (: 한 일) (: 잃을 실) ]

[이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박리다매 획순 이미지 박리다매(薄利多賣) : 이익을 적게 보고 많이 파는 것. [ (: 엷을 박) (: 날카로울 리) (: 많을 다) (: 팔 매) ]
  • 의려지정(倚閭之情) : 자녀나 배우자가 돌아오기를 초조하게 기다리는 마음. [ (: 의지할 의) (: 이문 려) (: 갈 지) (: 뜻 정) ]
  • 아신만래의려후지(我身晩來椅閭侯之) : 내 몸이 늦게 올 때면 이문에 기대어 기다리심. [ (: 나 아) (: 몸 신) (: 늦을 만) (: 올 래) (: 걸상 의) (: 이문 려) (: 제후 후) (: 갈 지) ]

[이익]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차풍사선 획순 이미지 차풍사선(借風使船) : 바람을 빌려 배를 부린다는 뜻으로, 돈을 빌려 임시변통한다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 [ (: 빌 차) (: 바람 풍) (使: 부릴 사) (: 배 선) ]
  • 사리사복(私利私腹) : 사사로운 이익과 욕심. [ (: 사사 사) (: 날카로울 리) (: 사사 사) (: 배 복) ]
  • 단지고초장통시구리래(短池孤草長通市求利來) : 짧은 연못엔 외로운 풀만 길어나고, 시장(市場)을 통(通)하니 이익(利益)을 구(求)하여 옴. [ (: 짧을 단) (: 못 지) (: 외로울 고) (: 풀 초) (: 길 장) (: 통할 통) (: 저자 시) (: 구할 구) (: 날카로울 리) (: 올 래) ]
  • 불비지혜(不費之惠) : 자기에게는 해가 될 것이 없어도 남에게는 이익이 될 만하게 베풀어 주는 은혜. [ (: 아니 불) (: 쓸 비) (: 갈 지) (: 은혜 혜) ]
  • 척촌지리(尺寸之利) : 얼마 되지 않는 약간의 이익. [ (: 자 척) (: 마디 촌) (: 갈 지) (: 날카로울 리)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