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 25일 금요일

한자 黛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한자 黛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黛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 녹대 (綠黛) : 푸른 빛깔의 눈썹연필.
  • 대미 (黛眉) : 눈썹연필로 그린 눈썹.
  • 대색 (黛色) : 검푸른 색.
  • 대청 (黛靑) : 눈썹연필처럼 검푸름.
  • 대흑 (黛黑) : 눈썹을 그리는 먹.
  • 동대 (東垈/東黛) : 중국 타이산산(泰山山)을 달리 이르는 말. 오악(五岳) 가운데 동쪽에 있는 데서 비롯된 명칭이다.
  • 분대 (粉黛) : 분을 바른 얼굴과 먹으로 그린 눈썹.
  • 청대 (靑黛) : 쪽에서 얻는 짙푸른 물감.
  • 취대 (翠黛) : 눈썹을 그리는 데에 쓰는 푸른 먹.
  • 홍대 (紅黛) : 연지와 눈썹을 그리는 먹.
  • 반분대 (半粉黛) : 살짝 칠한 엷은 화장.
  • 청대독 (靑黛독) : 청대(靑黛)를 바른 오지그릇이나 질그릇이라는 뜻으로, 몹시 검푸른 색깔의 물건을 이르는 말.
  • 분백대록 (粉白黛綠) : 얼굴에 분을 희게 바르고 눈썹을 푸르게 그린다는 뜻으로, 여인이 곱게 화장하는 일이나 곱게 화장한 여인을 이르는 말.
  • 분백대흑 (粉白黛黑) : 얼굴에 분을 희게 바르고 눈썹을 검게 그린다는 뜻으로, 여인이 곱게 화장하는 일이나 곱게 화장한 여인을 이르는 말.


https://dict.wordrow.kr에서 黛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陣에 관한 단어는 모두 280개

한자 陣에 관한 단어는 모두 28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陣에 관한 단어는 모두 280개

  • 진 (陣) : 군사들의 대오(隊伍)를 배치한 것. 또는 그 대오가 있는 곳.
  • 진 (陣) : '사람의 무리' 또는 '집단'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강진 (強陣) : 튼튼한 진지(陣地). 또는 강한 진영(陣營).
  • 개진 (凱陣) : 싸움에 이기고 진영으로 돌아옴.
  • 개진 (開陣) : 군사를 철수하고 진영을 열어 놓음.
  • 결진 (結陣) : 많은 사람이 모여 기세를 올리면서 단체 행동을 함.
  • 곡진 (曲陣) : 정대업지무에서, 안 줄에 서서 추는 사람들이 배열하여 서는 방법의 하나. 36명의 무희들이 오색단갑과 청단주(靑段胄)를 입고 예악에 맞추어 움직이는 맨 처음의 동작이다.
  • 공진 (拱陣) : 사방을 포위한 것같이 된 진지.
  • 군진 (軍陣) : 전장에서 적과의 전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펼치는 전투 대형.
  • 귀진 (鬼陣) : '바둑'을 달리 이르는 말. (바둑: 두 사람이 검은 돌과 흰 돌을 나누어 가지고 바둑판 위에 번갈아 하나씩 두어 가며 승부를 겨루는 놀이. 두 집 이상이 있어야 살며, 서로 에워싼 집을 많이 차지하면 이긴다., 바둑을 둘 때에 쓰는 둥글납작한 돌. 흰 돌과 검은 돌의 두 가지이며 상수(上手)가 흰 돌을 차지한다.)
  • 귀진 (歸陣) : 진지(陣地)로 돌아오거나 돌아감.
  • 내진 (內陣) : 벽이나 기둥을 겹으로 두른 건물의 안쪽 둘레에 세운 칸.
  • 내진 (內陣) : 절에서 본존을 모신 집.
  • 논진 (論陣) : 논쟁이나 토론, 변론 따위를 하는 사람들의 구성이나 배치.
  • 대진 (對陣) : 시합이나 경기에서, 적수로서 겨룸.
  • 대진 (大陣) : 많은 군사로 이루어진 진영.
  • 둔진 (屯陣) : 머물러 진을 침.
  • 문진 (文陣) : 문장의 우열을 놓고 경쟁하는 문학의 세계를 군진(軍陣)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 문진 (蚊陣) : 모여서 날아다니는 모기의 무리.
  • 방진 (方陣) : 병사들을 사각형으로 배치하여 친 진(陣).
  • 배진 (配陣) : 싸움에 대비하여 진이 배진되거나 진을 배치함.
  • 병진 (兵陣) : 군대가 진을 치고 있는 곳.
  • 본진 (本陣) : 예전에, 지휘를 하는 본부가 있던 군영.
  • 산진 (山陣) : 산속에 친 진.
  • 삼진 (三陣) : 진을 치는 세 가지 방법. 천진(天陣), 지진(地陣), 인진(人陣)을 이른다.
  • 선진 (先陣) : 본영(本營)의 앞에 자리 잡거나 앞장서서 나아가는 부대.
  • 설진 (設陣) : 진을 침.
  • 숙진 (宿陣) : 군대가 훈련이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병영 밖에서 머물러 지내는 일. 노영(露營), 사영(舍營), 촌락 노영 따위가 있다.
  • 습진 (習陣) : 예전에, 진법을 연습하던 일.
  • 안진 (雁陣) : 줄지어 날아가는 기러기의 행렬.
  • 양진 (兩陣) : 전투나 운동 경기에서, 서로 대적(對敵)하고 있는 두 편의 진(陣).
  • 열진 (列陣) : 군사를 벌여서 진을 침. 또는 그 진.
  • 예진 (銳陣) : 정대업지무에서, 내무(內舞)가 직진(直陣)에서 예각의 진으로 변하는 장면.
  • 외진 (外陣) : 벽이나 기둥을 겹으로 두른 건물에서 바깥쪽 둘레에 세운 칸.
  • 원진 (圓陣) : 둥글게 진을 침. 또는 그런 진.
  • 유진 (留陣) : 군사들이 머물러 있음. 또는 군사들을 머물러 있게 함.
  • 육진 (肉陣) : 여자를 줄 세워서 병풍의 대용으로 한 것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양국충(楊國忠)이 겨울에 자신의 비첩 가운데 뚱뚱한 자를 골라서 줄 세우고 찬 바람을 막은 데에서 유래한다.
  • 융진 (戎陣) : 전장에서 적과의 전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펼치는 전투 대형.
  • 이진 (移陣) : 진지(陣地)나 진(陣)을 옮김.
  • 이진 (二陣) : 단체 경기에서, 선수 가운데 주전급이 아닌 선수.
  • 인진 (人陣) : 예전에, 진을 치는 세 가지 방법 가운데 하나. 전투에서 말, 수레를 쓰는 일과 문무(文武)를 쓰는 일이다.
  • 일진 (一陣) : 군사들의 한 무리.
  • 임진 (臨陣) : 전쟁터에 나섬.
  • 입진 (入陣) : 진영이나 진지, 성채(城砦) 따위에 들어감.
  • 재진 (在陣) : 진중(陣中)에 있음.
  • 적진 (敵陣) : 적이 모여 있는 진지나 진영.
  • 전진 (前陣) : 여러 진 가운데 앞에 친 진.
  • 전진 (戰陣) : 전투를 하려고 벌여 친 진.
  • 제진 (梯陣) : 군대, 군함, 항공기를 사다리꼴로 편성한 진형.
  • 종진 (縱陣) : 앞뒤로 늘어서도록 친 진이나 함대의 대형.
  • 지진 (地陣/地陳) : 예전에, 진을 치는 세 가지 방법 가운데 하나. 하천과 구릉 따위의 지형을 이용하여 전쟁에 유리하게 치는 일이다.
  • 직진 (直陣) : 정대업지무에서, 안쪽 줄에 서서 추는 사람들이 곡진(曲陣)으로부터 변하는 장면. 홍(紅)은 남쪽으로 한 줄, 흑(黑)은 북쪽으로 한 줄로 각각 나란히 서고, 청(靑)과 백(白)은 남북의 끝을 막아, 청은 동쪽으로 백은 서쪽으로 각각 한 줄에 서서 직사각형이 되고, 황(黃)은 곡진에서의 위치대로 선다.
  • 진각 (陣角) : 예전에, 진영의 네 모퉁이를 이르던 말.
  • 진내 (陣內) : 진지의 안.
  • 진도 (陣刀) : 군인이 허리에 차는 칼. 일정한 형식을 지니고 있으며 지휘를 할 때에 사용하기도 한다.
  • 진도 (陣圖) : 진지(陣地)의 모양을 그린 그림.
  • 진두 (陣頭) : 군진(軍陣)의 맨 앞.
  • 진루 (陣壘) : 진을 친 보루.
  • 진막 (陣幕) : 군사들이 진을 치고 야영하는 천막.
  • 진망 (陣亡) : 전쟁터에서 적과 싸우다 죽음.
  • 진몰 (陣歿/陣沒) : 전쟁터에서 적과 싸우다 죽음.
  • 진무 (陣舞) : 진법(陣法)으로 벌이어 서서 추는 춤.
  • 진문 (陣門) : 진영(陣營)으로 드나드는 문.
  • 진법 (陣法) : 안진(雁陣), 학익진(鶴翼陣) 따위와 같이 전투를 수행하기 위하여 진(陣)을 치는 방법.
  • 진법 (陣法) : 조선 시대에, 문종의 명으로 편찬한 교범서(敎範書). 문종과 수양 대군이 조선 전기의 중앙 군제를 오위(五衛) 체제로 개편하는 과정에서 마련한 부대 편제와 용병술 및 군사 조련의 기본을 밝혔다. 1492년에 간행하였다.
  • 진상 (陣上) : 군대나 부대의 안.
  • 진설 (陣說) : 조선 시대에, 한효순이 펴낸 병서(兵書). 고금(古今)의 진법(陣法)이나 행군에 관한 부분을 가려 뽑고 논병(論兵)에 대한 기록을 더한 것이다. 1책.
  • 진세 (陣勢) : 진영(陣營)의 형세.
  • 진열 (陣列) : 벌여 놓은 진(陣)의 배열.
  • 진영 (陣營) : 정치적ㆍ사회적ㆍ경제적으로 구분된 서로 대립되는 세력의 어느 한쪽.
  • 진오 (陣伍) : 군대의 대열.
  • 진용 (陣容) : 한 단체가 집단을 이루고 있는 구성원의 짜임새.
  • 진운 (陣雲) : 진(陣)을 친 것처럼 생긴 구름.
  • 진전 (陣前) : 진지(陣地)의 앞.
  • 진중 (陣中) : 군대나 부대의 안.
  • 진지 (陣地) : 언제든지 적과 싸울 수 있도록 설비 또는 장비를 갖추고 부대를 배치하여 둔 곳.
  • 진처 (陣處) : 진을 치고 있는 곳.
  • 진터 (陣터) : 진지(陣地)로 삼기에 적당한 곳. 또는 진지로 삼은 곳.
  • 진통 (陣痛) : 해산할 때에, 짧은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배의 통증. 분만을 위하여 자궁이 불수의적(不隨意的)으로 수축함으로써 일어난다.
  • 진풍 (陣風) : 갑자기 불다가 금세 그치는 센 바람. 흔히 눈이나 비가 오기 전에 분다.
  • 진항 (陣行) : 벌여 놓은 진(陣)의 배열.
  • 진행 (陣行) : 군대의 배열.
  • 진형 (陣形) : 진(陣)을 친 형태.
  • 착진 (着陣) : 진지에 도착함.
  • 천진 (天陣) : 예전에, 진을 치는 세 가지 방법 가운데 하나. 해와 달과 별의 상호 위치 변화를 이용하여 일기 조건에 맞게 친 진이다.
  • 체진 (滯陣) : 진중(陣中)에 머무름.
  • 출진 (出陣) : 싸움터로 나아감.
  • 타진 (打陣) : 야구에서, 타자의 진용(陣容)을 이르는 말.
  • 퇴진 (退陣) : 군대의 진지를 뒤로 물림.
  • 파진 (破陣) : 적진을 쳐부숨.
  • 파진 (罷陣) : 군대의 진영을 풀어 흩어지게 함.
  • 패진 (敗陣) : 싸움에서 진 진영(陣營).
  • 포진 (布陣) : 전쟁이나 경기 따위를 치르기 위하여 진을 침.
  • 필진 (筆陣) : 정기 간행물에 기고하는 집필자들로 구성된 집단.
  • 합진 (合陣) : 전투를 위하여 다른 군사의 진에 합세하여 진을 침.
  • 행진 (行陣) : 군대가 대열을 지어 먼 거리를 이동하는 일.
  • 횡진 (橫陣) : 가로로 늘어서도록 친 진이나 함대의 대형.
  • 후진 (後陣) : 여러 진 가운데서 맨 뒤의 진.
  • 가새진 (가새陣) : 호남 풍물놀이에서 행하는 놀이의 하나. 대포수가 영기(令旗)를 도둑질하여 잡색들을 데리고 가위가 벌어진 모양으로 나가 도래진을 치고 상쇠는 반대로 갈라져 나가 진을 치며 논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陣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繩에 관한 단어는 모두 95개

한자 繩에 관한 단어는 모두 95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繩에 관한 단어는 모두 95개

  • 간승 (間繩) : 일정한 거리마다 눈표를 붙인 긴 노끈. 씨를 뿌리거나 모종할 때 쓴다.
  • 결승 (結繩) : 끈이나 새끼 따위로 매듭을 지음. 또는 그 매듭.
  • 고승 (菰繩) : 골풀을 비비어 꼰 줄.
  • 구승 (矩繩) : 곱자와 먹줄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규승 (糾繩) : 노를 꼼.
  • 마승 (麻繩) : 삼 껍질로 꼰 노끈. 매우 질기다.
  • 박승 (縛繩) : 죄인을 잡아 묶는 노끈.
  • 부승 (腐繩) : 썩은 새끼.
  • 세승 (細繩) : 가는 노끈.
  • 승구 (繩矩) : 먹줄과 곡척(曲尺)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승기 (繩伎) : 줄광대나 줄꾼이 줄 위를 걸어 다니면서 여러 가지 재주를 보이는 놀이. 광대줄과 어름이 있다. 2011년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제58호.
  • 승도 (繩渡) : 줄광대나 줄꾼이 줄 위를 걸어 다니면서 여러 가지 재주를 보이는 놀이. 광대줄과 어름이 있다. 2011년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제58호.
  • 승도 (繩度) : 생활상의 예법과 제도(制度)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승률 (繩律) : 여러 사람이 다 같이 지키기로 작정한 법칙. 또는 제정된 질서.
  • 승묵 (繩墨) : 먹통에 딸린 실줄. 먹을 묻혀 곧게 줄을 치는 데 쓴다.
  • 승문 (繩文) : 새끼줄 모양의 무늬.
  • 승비 (繩菲) : 상복(喪服)을 입을 때 신는 짚신.
  • 승삭 (繩索) : 노와 새끼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승상 (繩牀) : 직사각형 가죽 조각의 두 끝에 네모진 다리를 대어 접고 펼 수 있게 만든, 휴대하기 편리한 의자. 예전에, 벼슬아치들이 외출할 때 들려 가지고 다니면서 길에서 깔고 앉기도 하고 말을 탈 때에 디디기도 하였다.
  • 승승 (繩繩) : 대(代)가 끊어지지 않음.
  • 승직 (繩直) : '승직하다'의 어근. (승직하다: 먹줄처럼 곧다.)
  • 승척 (繩尺) : 먹줄과 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승파 (繩播) : 뽕나무의 씨를 새끼줄에 문질러서 그 새끼줄째 심는 일.
  • 승혜 (繩鞋) : 삼이나 노 따위로 짚신처럼 삼은 신. 흔히 날을 여섯 개로 한다.
  • 승희 (繩戲) : 줄광대나 줄꾼이 줄 위를 걸어 다니면서 여러 가지 재주를 보이는 놀이. 광대줄과 어름이 있다. 2011년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제58호.
  • 양승 (量繩) : 논밭을 측량할 때 사용하던 줄 모양의 자.
  • 엄승 (嚴繩) : 엄중하게 징벌함.
  • 연승 (延繩) : 물고기를 잡는 기구의 하나. 긴 낚싯줄에 여러 개의 낚시를 달아 물속에 늘어뜨려 고기를 잡는다.
  • 입승 (入繩) : 절에서 기강(紀綱)을 맡은 소임. 대중의 진퇴(進退)와 동작을 지시하는 소임으로, 유나(維那)와 비슷하다.
  • 입승 (立繩) : 절에서 기강(紀綱)을 맡은 소임. 대중의 진퇴(進退)와 동작을 지시하는 소임으로, 유나(維那)와 비슷하다.
  • 적승 (赤繩) : 인연을 맺는 붉은 끈. 또는 부부의 인연.
  • 제승 (製繩) : 새끼를 꼼.
  • 조승 (釣繩) : 물건을 걸어 두거나 차는 데에 쓰는, 작은 갈고리를 달아 놓은 줄.
  • 조승 (弔繩) : 손으로 끌어 잡고 오르내리는 운동에 쓰는 줄. 한쪽 끝을 천장에 매달아 놓고 사용한다.
  • 준승 (準繩) : 평면의 경사를 재기 위하여 치는 먹줄이나 수준기.
  • 중승 (重繩) : 엄중히 다스림.
  • 지승 (紙繩) : 종이를 비벼 꼬아서 만든 끈.
  • 채승 (綵繩) : 오색 비단실로 가늘게 꼰 줄.
  • 철승 (鐵繩) : 쇠로 만든 줄.
  • 축승 (縮繩) : 장구의 좌우 마구리를 잇는 줄. 무명실을 꼬아 붉게 물들여서 만든다.
  • 투승 (投繩) : 올가미를 던짐. 또는 그 올가미.
  • 포승 (捕繩) : 죄인을 잡아 묶는 노끈.
  • 홍승 (紅繩) : 편경 틀에 경을 매다는 붉은 노끈.
  • 화승 (火繩) : 불을 붙게 하는 데 쓰는 노끈. 대의 속살을 꼬아 만든 것으로, 옛날 총열에 화약과 탄알을 재고 이 노끈에 불을 댕겨 귀약통에 대어 폭발시켰다.
  • 희승 (戲繩) : 줄광대나 줄꾼이 줄 위를 걸어 다니면서 여러 가지 재주를 보이는 놀이. 광대줄과 어름이 있다. 2011년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제58호.
  • 낙승문 (絡繩文) : 새끼줄 모양의 무늬.
  • 승망틀 (繩網틀) : 새끼 잠망(蠶網)을 만드는 틀.
  • 승목문 (繩目文) : 새끼줄 모양의 무늬.
  • 승석문 (繩席文) : 삿자리 모양의 무늬.
  • 승제자 (繩梯子) : 두 가닥의 튼튼한 줄에 세장을 질러 만든 사다리. 가닥마다 머리끝에 쇠갈고리를 달았다.
  • 승혜전 (繩鞋廛) : 예전에, 미투리나 짚신을 팔던 가게.
  • 양승기 (揚繩機) : 새끼, 참바 따위를 꼬거나 실 따위를 감았다 풀었다 할 수 있도록 만든 작은 얼레.
  • 월로승 (月老繩) : 전설에서, 월하노인이 가지고 있다는 주머니의 붉은 끈. 이것으로 남녀의 인연을 맺어 준다고 한다.
  • 저연승 (底延繩) : 닻을 이용하여 바닥에 놓는 주낙. 저층의 물고기를 낚는 데 쓴다.
  • 적승자 (赤繩子) : '월하노인'을 달리 이르는 말. (월하노인: 부부의 인연을 맺어 준다는 전설상의 늙은이. 중국 당나라의 위고(韋固)가 달밤에 어떤 노인을 만나 장래의 아내에 대한 예언을 들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제승기 (製繩機) : 볏짚으로 새끼를 꼬는 기계. 발로 돌리는 것과 동력(動力)으로 돌리는 것이 있다.
  • 종려승 (椶櫚繩) : 종려털로 꼰 줄.
  • 지를승 (지를繩) : 화약의 심지.
  • 지승반 (紙繩盤) : 종이로 꼰 노끈으로 엮어 만들고 칠을 한 소반.
  • 투승량 (投繩量) : 투승하는 양.
  • 포승술 (捕繩術) : 포승을 쓰는 방법.
  • 포승줄 (捕繩줄) : 죄인을 잡아 묶는 노끈.
  • 화승대 (火繩대) : 화승의 불로 터지게 만든 구식 총.
  • 화승문 (花繩文) : 꽃을 끈으로 이어 맨 모양의 무늬. 통일 신라 시대 뼈 단지의 겉면에 많이 나타난다.
  • 화승작 (火繩作) : 일정한 길이의 화승에 불을 붙여서 달아 놓고, 그것이 다 타기 전에 글을 짓던 일.
  • 화승줄 (火繩줄) : 불을 붙게 하는 데 쓰는 줄.
  • 화승총 (火繩銃) : 화승의 불로 터지게 만든 구식 총.
  • 결승지정 (結繩之政) : 고대 중국의 정치를 이르는 말. 문자가 없던 때이므로 새끼로 매듭을 지어 일의 대소(大小)를 표시한 데서 유래한다.
  • 규구준승 (規矩準繩) : 목수가 쓰는 걸음쇠, 곱자, 수준기, 다림줄을 통틀어 이르는 말.
  • 규승하다 (糾繩하다) : 노를 꼬다.
  • 무승자박 (無繩自縛) : 새끼도 없는데 스스로를 묶는다는 뜻으로, 사람이 깨우침과 깨우치지 못함에 각각 묶이어 자유롭지 못함을 이르는 말.
  • 살통조승 (살筒釣繩) : 전동을 달아 허리에 차는 조승. 쇠나 뿔로 만든다.
  • 승승하다 (繩繩하다) : 대(代)가 끊어지지 아니하다.
  • 승직하다 (繩直하다) : 먹줄처럼 곧다.
  • 승파하다 (繩播하다) : 뽕나무의 씨를 새끼줄에 문질러서 그 새끼줄째 심다.
  • 엄승하다 (嚴繩하다) : 엄중하게 징벌하다.
  • 월로적승 (月老赤繩) : 전설에서, 월하노인이 가지고 있다는 주머니의 붉은 끈. 이것으로 남녀의 인연을 맺어 준다고 한다.
  • 인승배근 (引繩排根) : 새끼줄을 걸어서 잡아당겨 뿌리째 뽑아 버린다는 뜻으로, 둘이서 새끼를 꼬는 것처럼 힘을 합하여 남을 배척하고 그와 사귀지 않도록 함을 이르는 말.
  • 인승비근 (引繩批根) : 새끼줄을 걸어서 잡아당겨 뿌리째 뽑아 버린다는 뜻으로, 둘이서 새끼를 꼬는 것처럼 힘을 합하여 남을 배척하고 그와 사귀지 않도록 함을 이르는 말.
  • 자승자박 (自繩自縛) : 자기의 줄로 자기 몸을 옭아 묶는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말과 행동에 자기 자신이 옭혀 곤란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장장채승 (長長綵繩) : 오색의 비단실로 꼰 긴 동아줄.
  • 적승계족 (赤繩繫足) : 혼인의 인연을 맺어줌. 전설에 나오는 월하노인(月下老人)이 붉은 끈을 가지고 다니다가 인연이 있는 남녀가 있으면 그들이 모르게 그 끈으로 다리를 매어 놓는데, 그렇게 되면 어떤 경우라도 반드시 부부가 된다고 한다.
  • 전통조승 (箭筒釣繩) : 전동을 달아 허리에 차는 조승. 쇠나 뿔로 만든다.
  • 제승하다 (製繩하다) : 새끼를 꼬다.
  • 주승지기 (走繩之伎) : 줄 위에서 달리는 기예라는 뜻으로, '줄타기'를 달리 이르는 말. (줄타기: 줄광대나 줄꾼이 줄 위를 걸어 다니면서 여러 가지 재주를 보이는 놀이. 광대줄과 어름이 있다. 2011년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제58호.)
  • 투승하다 (投繩하다) : 올가미를 던지다.
  • 흑승지옥 (黑繩地獄) : 팔열 지옥의 하나. 살생이나 절도의 죄를 지은 사람이 가는데, 뜨거운 쇠사슬로 얽어매고 뜨겁게 단 도끼나 톱ㆍ칼로 몸을 베고 끊는다는 지옥이다.
  • 오키나와현 (Okinawa[沖繩]縣) : 일본 남쪽 오키나와 제도에 속하는 섬을 포함하는 현(縣). 해안 단구가 잘 발달되어 있고 연안에는 산호초가 많으며, 여름에는 태풍의 진로가 되어 피해가 심하다. 제이 차 세계 대전 후 미국 통치하에 있다가 1972년에 반환되었다. 사탕수수, 파인애플, 제당(製糖), 시멘트 공업 따위가 발달하였다. 현청 소재지는 나하(那霸), 면적은 2,254㎢.
  • 화승작하다 (火繩作하다) : 일정한 길이의 화승에 불을 붙여서 달아 놓고, 그것이 다 타기 전에 글을 짓다.
  • 자승자박하다 (自繩自縛하다) : (비유적으로) 제 마음으로 번뇌를 일으켜 괴로움을 만들다.
  • 오키나와 제도 (Okinawa[沖繩]諸島) : 일본 오키나와 본도(本島)와 그 서북쪽에 펼쳐 있는 화산섬을 통틀어 이르는 이름.
  • 승석문 토기 (繩席紋土器) : 삿자리 모양의 무늬가 표면에 나타나는, 원삼국 시대 이후의 토기.
  • 결승 문자 (結繩文字) : 글자가 없던 시대에, 새끼줄이나 띠 따위에 매듭을 지어 기호로 삼은 문자. 고대 중국을 비롯하여 잉카 제국, 티베트, 아프리카 등지에서 사용한 흔적이 있다.
  • 연승 어업 (延繩漁業) : 무명이나 나일론으로 만든 긴 끈의 곳곳에 낚시찌를 달아 일정한 수면에 띄우고 낚시찌와 낚시찌 사이에 낚싯바늘을 드리워 고기를 낚아 올리는 어업. 주로 남태평양 수역에서 학꽁치나 다랑어, 고등어 따위의 어업에 사용한다.
  • 전동 조승 (箭筒釣繩) : 궁술에서, 화살을 넣은 통을 달아서 허리에 차는 걸개. 금속이나 뿔로 만든다.


https://dict.wordrow.kr에서 繩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裡에 관한 단어는 모두 16개

한자 裡에 관한 단어는 모두 16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裡에 관한 단어는 모두 16개

  • 리 (裡/裏) : '가운데' 또는 '속'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가운데: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루어지는 범위의 안.)
  • 고리 (庫裡) : 절에서, 부처에게 올리는 밥이나 승려의 음식을 마련하는 곳.
  • 이리 (裡里) : 전라북도에 있던 시. 1995년 5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익산군과 합쳐져 익산시가 신설되면서 폐지되었다.
  • 첩리 (帖裡) : 무관이 입던 공복(公服). 직령(直領)으로서, 허리에 주름이 잡히고 큰 소매가 달렸는데, 당상관은 남색이고 당하관은 분홍색이다.
  • 경쟁리 (競爭裡) : 경쟁하는 가운데.
  • 극비리 (極祕裡) : 다른 사람들에게는 전혀 알려지지 않은 가운데.
  • 불참리 (不參裡) : 당연히 참석해야 할 사람이 참석하지 않은 상태.
  • 비밀리 (祕密裡) : 관련 당사자 이외에 남이 모르는 가운데.
  • 성공리 (成功裡) : 일이 성공적으로 잘되는 가운데.
  • 성황리 (盛況裡) : 모임 따위에 사람이 많이 모여 규모나 분위기가 성대한 상황을 이룬 가운데.
  • 암묵리 (暗默裡) : 자기의 의사를 겉으로 나타내지 아니하는 상태.
  • 암암리 (暗暗裡) : 남이 모르는 사이.
  • 인기리 (人氣裡) : 인기를 누리는 가운데.
  • 절찬리 (絕讚裡) : 지극한 칭찬을 받는 가운데.
  • 평화리 (平和裡) : 평화로운 가운데.
  • 극비밀리 (極祕密裡) : 다른 사람들에게는 전혀 알려지지 않은 가운데.


https://dict.wordrow.kr에서 裡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