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5일 월요일

심산유곡: 深山幽谷

심산유곡 (深山幽谷) : 깊은 산속의 으슥한 골짜기.



深山幽谷 한자 뜻 풀이

  • 深(깊을 심) : 깊다, 깊게 하다, 깊이, 얕지 아니함, 심히. 깊이를 재기 좋은 물[水(수)]의 뜻을 더해 깊이가 '깊다'는 의미에서 강조하고, 후에 깊이가 있는 상황까지 확대됨. 오른쪽 부분이 발음 역할도 함
  • 山(메 산) : 메, 산신(山神), 무덤, 절, 임금의 상(象). 솟아 있는 '산'과 봉우리들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 幽(그윽할 유) : 그윽하다, 숨다, 멀다, 어둡다, 가두다. 산이 깊숙하다는 의미에서 '그윽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저승'의 의미 확대
  • 谷(골 곡) : 골, 흉노(匈奴)의 임금, 골짜기, 계곡, 우묵한 골짜기. 산 속의 능선을 그대로 옮겨놓은 모양으로, '골짜기'의 의미 생성


[山] 메 산 (메, 산신(山神), 무덤, 절, 임금의 상(象))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막막궁산 획순 이미지 막막궁산(寞寞窮山) : 고요하고 쓸쓸한 느낌이 드는 깊은 산속. [ (: 쓸쓸할 막) (: 쓸쓸할 막) (: 다할 궁) (: 메 산) ]
  • 형산지옥(荊山之玉) : (1)중국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보물로 전해 오는 흰 옥돌을 이르는 말. (2)어질고 착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모형나무 형) (: 메 산) (: 갈 지) (: 구슬 옥) ]
  • 산고수청(山高水淸) : 산은 높고 물은 맑다는 뜻으로, 경치가 좋음을 이르는 말. [ (: 메 산) (: 높을 고) (: 물 수) (: 맑을 청) ]
  • 춘산여소(春山如笑) : 봄철의 산이 온자(蘊藉)함을 이르는 말. [ (: 봄 춘) (: 메 산) (: 같을 여) (: 웃을 소) ]
  • 산용수상(山容水相) : 산의 솟은 모양과 물의 흐르는 모양이라는 뜻으로, 산천의 형세를 이르는 말. [ (: 메 산) (: 얼굴 용) (: 물 수) (: 서로 상) ]

[幽] 그윽할 유 (그윽하다, 숨다, 멀다, 어둡다, 가두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심산유곡 획순 이미지 심산유곡(深山幽谷) : 깊은 산속의 으슥한 골짜기. [ (: 깊을 심) (: 메 산) (: 그윽할 유) (: 골 곡) ]
  • 잠덕지유광(潛德之幽光) : 숨겨져 있는 덕의 그윽한 빛이라는 뜻으로,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유덕(有德)한 사람의 그윽한 빛이라는 의미. [ (: 잠길 잠) (: 덕 덕) (: 갈 지) (: 그윽할 유) (: 빛 광) ]
  • 동심화의라산첩수성유(洞深花意懶山疊水聲幽) : 마을이 깊으니 꽃의 뜻(開花)이 게으르고, 산이 쌓이고 쌓이니 물소리가 그윽함. [ (: 골 동) (: 깊을 심) (: 꽃 화) (: 뜻 의) (: 게으를 라) (: 메 산) (: 겹쳐질 첩) (: 물 수) (: 소리 성) (: 그윽할 유) ]
  • 벽암유석(碧巖幽石) : 푸른 이끼가 낀 바위와 그윽한 돌. [ (: 푸를 벽) (: 바위 암) (: 그윽할 유) (: 돌 석) ]
  • 출척유명(黜陟幽明) : 어둡고 밝음에 따라 물리치고 올린다는 뜻으로, 관리의 공적이 없는 그릇된[幽] 사람은 내쫓고, 공적이 좋고 많은 올바른[明] 사람은 승진(昇進)시킨다는 의미. [ (: 내칠 출) (: 오를 척) (: 그윽할 유) (: 밝을 명) ]

[深] 깊을 심 (깊다, 깊게 하다, 깊이, 얕지 아니함, 심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측수심매인심 획순 이미지 측수심매인심(測水深昧人心) : 물 속 깊이는 알아도 사람의 마음속은 모른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사람의 마음은 헤아리기가 어렵다는 말. [ (: 잴 측) (: 물 수) (: 깊을 심) (: 어두울 매) (: 사람 인) (: 마음 심) ]
  • 심심산천(深深山川) : 깊고 깊은 산천. [ (: 깊을 심) (: 깊을 심) (: 메 산) (: 내 천) ]
  • 연심세구(年深歲久) : (1)'연심세구'의 북한어. (2)세월이 매우 오래됨. [ (: 깊을 심) (: 해 세) (: 오랠 구) ]
  • 심산유곡(深山幽谷) : 깊은 산속의 으슥한 골짜기. [ (: 깊을 심) (: 메 산) (: 그윽할 유) (: 골 곡) ]
  • 장림심처(長林深處) : 길게 뻗친 숲의 깊숙한 곳. [ (: 길 장) (: 수풀 림) (: 깊을 심) (: 머무를 처) ]

[谷] 골 곡 (골, 흉노(匈奴)의 임금, 골짜기, 계곡, 우묵한 골짜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심산유곡 획순 이미지 심산유곡(深山幽谷) : 깊은 산속의 으슥한 골짜기. [ (: 깊을 심) (: 메 산) (: 그윽할 유) (: 골 곡) ]
  • 산고곡심(山高谷深) : 산이 높고 골짜기가 깊음. [ (: 메 산) (: 높을 고) (: 골 곡) (: 깊을 심) ]
  • 출곡천교(出谷遷喬) : 골짜기에서 나와 높은 곳으로 옮겨간다는 뜻으로, 새가 봄에 깊은 산골에서 높은 나무 위에 옮아앉는다는 것에서 사람의 출세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날 출) (: 골 곡) (: 옮길 천) (: 높을 교) ]
  • 산명곡응(山鳴谷應) : 산이 울면 골짜기가 응한다는 뜻으로, 소리가 산과 골짜기에 울림을 이르는 말. [ (: 메 산) (: 울 명) (: 골 곡) (: 응할 응) ]

[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해륙진미 획순 이미지 해륙진미(海陸珍味)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 (: 바다 해) (: 뭍 륙) (: 보배 진) (: 맛 미) ]
  • 막막궁산(寞寞窮山) : 고요하고 쓸쓸한 느낌이 드는 깊은 산속. [ (: 쓸쓸할 막) (: 쓸쓸할 막) (: 다할 궁) (: 메 산) ]
  • 형산지옥(荊山之玉) : (1)중국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보물로 전해 오는 흰 옥돌을 이르는 말. (2)어질고 착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모형나무 형) (: 메 산) (: 갈 지) (: 구슬 옥) ]

[그윽]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암향부동 획순 이미지 암향부동(暗香浮動) : 그윽한 향기가 은은히 떠돎. [ (: 어두울 암) (: 향기 향) (: 뜰 부) (: 움직일 동) ]
  • 심산유곡(深山幽谷) : 깊은 산속의 으슥한 골짜기. [ (: 깊을 심) (: 메 산) (: 그윽할 유) (: 골 곡) ]
  • 잠덕지유광(潛德之幽光) : 숨겨져 있는 덕의 그윽한 빛이라는 뜻으로,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유덕(有德)한 사람의 그윽한 빛이라는 의미. [ (: 잠길 잠) (: 덕 덕) (: 갈 지) (: 그윽할 유) (: 빛 광) ]
  • 고색창연(古色蒼然) : 오래되어 예스러운 풍치나 모습이 그윽함. [ (: 예 고) (: 빛 색) (: 푸를 창) (: 그러할 연) ]
  • 요조숙녀(窈窕淑女) : 말과 행동이 품위가 있으며 얌전하고 정숙한 여자. [ (: 아득할 요) (: 정숙할 조) (: 맑을 숙) (: 여자 녀) ]

[사용]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우문현답 획순 이미지 우문현답(愚問賢答)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 어리석을 우) (: 물을 문) (: 어질 현) (: 대답할 답) ]
  • 설상가상(雪上加霜)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 (: 눈 설) (: 위 상) (: 더할 가) (: 서리 상) ]
  • 옹산화병(甕算畵餠) :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독 옹) (: 셈할 산) (: 그림 화) (: 떡 병) ]
  • 양두색이(兩豆塞耳) : 두 콩으로 귀를 막는다는 뜻으로, 콩알 두 알로도 귀를 막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것처럼 조그마한 것이 큰 지장을 초래함을 비유하여 주로 마음이 물욕에 가려지면 도리를 분별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콩 두) (: 막을 색) (: 귀 이) ]

[산속]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막막궁산 획순 이미지 막막궁산(寞寞窮山) : 고요하고 쓸쓸한 느낌이 드는 깊은 산속. [ (: 쓸쓸할 막) (: 쓸쓸할 막) (: 다할 궁) (: 메 산) ]
  • 천산만수(千山萬水) : 천 개의 산과 만 개의 내라는 뜻으로, 많은 산과 여러 갈래의 많은 시내를 이르는 말. [ (: 일천 천) (: 메 산) (: 일만 만) (: 물 수) ]
  • 심산유곡(深山幽谷) : 깊은 산속의 으슥한 골짜기. [ (: 깊을 심) (: 메 산) (: 그윽할 유) (: 골 곡) ]
  • 산림문하(山林門下) : 학덕은 높으나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산속에 숨어 사는 선비의 제자. [ (: 메 산) (: 수풀 림) (: 문 문) (: 아래 하) ]
  • 암혈지사(巖穴之士) : 속세를 떠나 깊은 산속에 숨어 사는 선비. [ (: 바위 암) (: 구멍 혈) (: 갈 지) (: 선비 사) ]

[의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 묶을 속) (: 손 수) (: 없을 무) (: 꾀 책) ]
  • 공전절후(空前絶後)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 빌 공) (: 앞 전) (: 끊을 절) (: 뒤 후) ]
  • 우이독경(牛耳讀經) : 쇠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 (: 소 우) (: 귀 이) (: 읽을 독) (: 지날 경)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