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7일 금요일

한자 鰭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한자 鰭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鰭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 기각 (鰭脚) : 고래나 물개류 따위에서 볼 수 있는 지느러미 모양으로 된 다리. 평편하여 헤엄치기에 알맞게 되어 있다.
  • 기상 (鰭狀) : 물고기의 지느러미와 같은 모양.
  • 기조 (鰭條) : 물고기의 지느러미를 지탱하는 각질이나 골질의 뼈대와 같은 구조물. 극조와 연조가 있다.
  • 둔기 (臀鰭) : 물고기 지느러미의 하나. 항문과 꼬리지느러미 사이의 배 가운데를 지나는 선에 있는 지느러미로 물고기가 곧게 나아가는 것을 돕는다.
  • 미기 (尾鰭) : 물고기의 꼬리를 이루는 지느러미. 추진력을 주며 방향을 조절한다.
  • 배기 (背鰭) : 물고기의 등에 있는 지느러미.
  • 복기 (腹鰭) : 물고기의 배에 달린 지느러미. 좌우에 한 쌍이 있으며 몸의 균형을 잡고 몸을 나아가게 하는 역할을 한다.
  • 부기 (副鰭) :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혹은 뒷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사이에 있는 비교적 작은 지느러미. 고등어, 삼치, 참다랑어 따위에서 볼 수 있다.
  • 우기 (偶鰭) : 한 쌍으로 된 지느러미. 가슴지느러미, 배지느러미가 있다.
  • 타기 (舵鰭) : 아래쪽이 넓고, 직각 세모꼴의 키 모양으로 생긴 지느러미.
  • 담기골 (擔鰭骨) : 어류의 지느러미를 지탱하는 골격.
  • 조기강 (條鰭綱) : 척추동물문의 한 강. 피부는 골질로 된 비늘이 있으며, 아가미뚜껑과 부레가 있다. 당멸치목, 여을면목, 뱀장어목, 메기목 따위가 있다.
  • 총기류 (總鰭類) : 고생대 데본기에 나타난 어류군의 하나. 중생대 백악기에 와서 거의 사라졌으나 현재 남아 있는 것으로는 실러캔스가 있는데, 어류와 양서류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며 남아프리카와 마다가스카르섬 근해에 분포한다.
  • 총기어 (總鰭魚) : 총기류의 물고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https://dict.wordrow.kr에서 鰭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蓐에 관한 단어는 모두 7개

한자 蓐에 관한 단어는 모두 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蓐에 관한 단어는 모두 7개

  • 욕로 (蓐勞) : 산후에 기혈이 소모된 상태에서 몸조리를 잘못하여 생기는 허로 증상.
  • 욕식 (褥食/蓐食) : 아침 일찍이 떠나게 되어, 잠자리 속에서 아침을 먹는 일.
  • 욕초 (褥草/蓐草) : 가축을 기르는 우리에 까는 마른풀.
  • 인욕 (茵蓐) : 왕골이나 부들 따위로 짠 자리.
  • 임욕 (臨褥/臨蓐) : 임신 말기 또는 해산 초기를 이르는 말.
  • 잠욕 (蠶蓐) : 누에를 치기 위하여 풀로 만든 자리.
  • 욕식하다 (褥食하다/蓐食하다) : 아침 일찍이 떠나게 되어, 잠자리 속에서 아침을 먹다.


https://dict.wordrow.kr에서 蓐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完에 관한 단어는 모두 411개

한자 完에 관한 단어는 모두 41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完에 관한 단어는 모두 411개

  • 김완 (金完) : 조선 중기의 무신(1577~1635). 자는 자구(子具). 임진왜란 때에 무공을 세워 용맹이 알려졌고, 이괄의 난을 평정하여 진무공신에 올랐다. 그 뒤 부총관ㆍ전라 우수사를 거쳐 훈련원 도정, 황해도 병마절도사를 지냈다.
  • 미완 (未完) : 아직 덜 됨.
  • 보완 (補完) : 모자라거나 부족한 것을 보충하여 완전하게 함.
  • 완간 (完刊) : 총서나 전집 따위를 빠진 것 없이 모두 발간함.
  • 완결 (完結) : 완전하게 끝을 맺음.
  • 완결 (完決) : 완전히 결정함.
  • 완고 (完稿) : 완성된 원고.
  • 완고 (完固) : '완고하다'의 어근. (완고하다: 완전하고 튼튼하다.)
  • 완골 (完骨) : 귀의 뒷부분에 약간 소복하게 나온 뼈.
  • 완공 (完工) : 공사를 완성함.
  • 완교 (完校) : 인쇄물의 교정을 끝냄.
  • 완구 (完具) : 빠짐없이 완전히 갖춤.
  • 완구 (完救) : 어려운 처지로부터 완전하게 구제함.
  • 완구 (完久) : '완구하다'의 어근. (완구하다: 어떤 상태가 완전하여 오래 견딜 수 있다. 또는 오래갈 수 있다.)
  • 완국 (完局) : 완전하여 결점이 없는 판국.
  • 완납 (完納) : 남김없이 완전히 납부함.
  • 완덕 (完德) : 완전한 덕행.
  • 완독 (完讀) : 글이나 책 따위를 끝까지 모두 읽음.
  • 완뢰 (完牢) : '완뢰하다'의 어근. (완뢰하다: 굳세고 튼튼하다.)
  • 완료 (完了) : 완전히 끝마침.
  • 완멸 (完滅) : 완전히 멸망하거나 사라져 없어짐. 또는 그렇게 되게 함.
  • 완문 (完文) : 조선 시대에, 어떤 사실이나 권리, 특전 등을 인정해 준다는 의미로 해당 관아에서 발급하던 증명 또는 허가 문서.
  • 완미 (完美) : 완전하여 결함이 없음.
  • 완백 (完伯) : 조선 시대 전라도의 관찰사.
  • 완벽 (完璧) : 흠이 없는 구슬이라는 뜻으로, 결함이 없이 완전함을 이르는 말.
  • 완보 (完補) : 완전히 보충함.
  • 완보 (完甫) : 양주 별산대놀이 다섯째 과장에 등장하는 인물 가운데 하나. 붉은 바탕의 탈에 갓을 쓰고 꽹과리를 든 팔먹중 가운데 어른 중이다.
  • 완본 (完本) : 한 질을 이루고 있는 책에서 권수가 완전하게 갖추어진 책.
  • 완봉 (完封) : 완전히 봉하거나 봉쇄함.
  • 완부 (完膚) : 흠이 없이 완전한 상태인 살가죽.
  • 완불 (完拂) : 남김없이 완전히 지불함.
  • 완비 (完備) : 빠짐없이 완전히 갖춤.
  • 완산 (完山) : '전주'의 옛 이름. 백제 때의 이름으로 그 후에도 한동안 이 이름으로 불리었다. (전주: 전라북도 중앙부에 있는 시. 제지업이 발달하였으며, 특히 창호지ㆍ장판지ㆍ태극선의 생산으로 유명하다. 명승지로 경기전, 조경단(肇慶壇) 따위가 있으며 전주비빔밥으로 유명하다. 전라북도의 도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206.22㎢.)
  • 완석 (完席) : 사헌부나 사간원의 벼슬아치들이 원의할 때 앉던 자리.
  • 완선 (完善) : '완선하다'의 어근. (완선하다: 나무랄 데가 없다.)
  • 완성 (完成) : 완전히 다 이룸.
  • 완성 (完城) : 성을 보전함.
  • 완수 (完遂) : 뜻한 바를 완전히 이루거나 다 해냄.
  • 완숙 (完熟) : 열매 따위가 완전히 무르익음.
  • 완승 (完勝) : 완전하게 또는 여유 있게 이김. 또는 그런 승리.
  • 완실 (完實) : '완실하다'의 어근. (완실하다: 완전하고 확실하다.)
  • 완역 (完譯) : 전체를 완전하게 번역함. 또는 그런 번역.
  • 완연 (完然) : '완연하다'의 어근. (완연하다: 흠이 없이 완전하다.)
  • 완영 (完營) : 조선 시대에, 전주에 있던 전라 감영을 달리 이르던 말. 전주의 옛 이름이 완산주(完山州)인 데에서 유래한다.
  • 완영 (完泳) : 목표 지점까지 완전히 헤엄침.
  • 완읍 (完邑) : 비교적 번화한 고을.
  • 완의 (完議) : 충분히 의논하여 참석자 전원이 합의한 내용.
  • 완인 (完人) : 병이 완전히 나은 사람.
  • 완장 (完葬) : 완전하게 장사(葬事)를 지냄.
  • 완재 (完載) : 신문이나 잡지 따위에 작품 전체를 끝까지 다 실음.
  • 완전 (完全) : 필요한 것이 모두 갖추어져 모자람이나 흠이 없음.
  • 완접 (完楪) : 완전하게 갖춘 접시의 한 벌.
  • 완정 (完整) : 완전히 갖춤. 또는 완전히 갖추어져 있음.
  • 완정 (完定) : 완전히 결정함.
  • 완제 (完制) : 호남 지방에서 특별히 부르는, 시조의 창법.
  • 완제 (完製) : 완전히 만듦. 또는 그런 제품.
  • 완제 (完除) : 나눗셈에서, 몫이 정수로만 되고 나머지가 없게 되는 일.
  • 완제 (完濟) : 채무를 완전히 갚음.
  • 완조 (完調) : 호남 지방에서 특별히 부르는, 시조의 창법.
  • 완족 (完足) : 완전히 만족함.
  • 완존 (完存) : 완전하게 존재함.
  • 완주 (完走) : 목표한 지점까지 다 달림.
  • 완준 (完準) : 인쇄물의 교정을 끝냄.
  • 완질 (完帙) : 한 질을 이루고 있는 책에서 권수가 완전하게 갖추어진 책.
  • 완찰 (完察) : 조선 시대 전라도의 관찰사.
  • 완창 (完唱) : 판소리 한 마당을 처음부터 끝까지 부르는 일.
  • 완천 (完薦) : 추천이 끝남.
  • 완취 (完聚) : 성곽을 완성하고 사람들을 모아서 살게 함.
  • 완치 (完治) : 병을 완전히 낫게 함.
  • 완쾌 (完快) : 병이 완전히 나음.
  • 완투 (完投) : 야구에서, 한 투수가 교대 없이 한 경기에서 끝까지 던지는 일.
  • 완파 (完破) : 물건이나 건물 따위를 완전히 깨뜨림.
  • 완패 (完敗) : 완전하게 패함.
  • 완폄 (完窆) : 완전하게 장사(葬事)를 지냄.
  • 완평 (完平) : 완전히 평정함.
  • 완필 (完畢) : 완전하게 끝마침.
  • 완합 (完合) : 상처 따위가 완전히 아묾.
  • 완호 (完護) : 나라에서 법률로 특수한 집단의 생명이나 생활의 안전을 유지하게 해 주던 일. 또는 그런 제도. 주로 야인(野人)이나 왜구, 또는 승려들에게 이 제도를 적용하였다.
  • 완호 (完戶) : 조선 시대에, 식구가 여덟 이상이 되던 집.
  • 완호 (完好) : '완호하다'의 어근. (완호하다: 훌륭하게 갖추어져 원만하다.)
  • 전완 (全完) : '전완하다'의 어근. (전완하다: 어떤 일을 모두 이루거나 다 하다., 필요한 것이 모두 갖추어져 부족함이 없다.)
  • 추완 (追完) : 민법에서, 법률적으로 필요한 요건을 구비하지 못한 법률 행위가 뒤에 필요한 요건을 보충하여 유효하게 성립하는 일.
  • 강완숙 (姜完淑) : 천주교 초창기의 순교자(1760~1801). 중국인 신부 주문모로부터 영세를 받고 전도 사업과 자선 사업에 힘썼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사학죄인(邪學罪人)으로 몰려 처형되었다.
  • 김완규 (金完圭) : 독립운동가(1876~1949). 호는 송암(松巖). 3ㆍ1 운동 때에 민족 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2년간 옥고를 치렀고, 출옥 후 천도교 도사(道師)로서 종교 활동과 민족 운동을 계속하였다.
  • 명완벽 (明完璧) : 구한말의 가야금 연주자(1842~1929). 자는 덕조(德祚). 호는 진당(眞堂). 장악원 아악사장으로, 가곡ㆍ여창(女唱)에 뛰어났고, 악기를 잘 연주하였으며 특히 가야금의 명수였다.
  • 미완료 (未完了) : 아직 끝나지 않음.
  • 미완성 (未完成) : 아직 덜 됨.
  • 박동완 (朴東完) : 3ㆍ1 운동 때 민족 대표 33인 가운데 한 사람(1885~1941). 호는 근곡(槿谷). ≪기독신보≫를 통하여 민족 사상을 고취하였으며, '신간회'를 조직하여 활동하다가 하와이로 망명하였다. (신간회: 1927년에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의 대립을 막고 항일 투쟁에서 민족 단일 전선을 펼 목적으로 조직한 민족 운동 단체. 이상재를 회장으로 추대하여 결성하였는데, 항일 투쟁에 많은 활약을 하였지만 내부 분열로 1931년에 해산하였다.)
  • 보완세 (補完稅) : 복세 제도를 취하는 조세 체계 아래에서 조세 원칙을 보다 잘 실현할 목적으로 기간(基幹)이 되는 세를 보충하기 위하여 부과하는 세금. 소득세에 대한 재산세, 소비세에 대한 유통세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 보완재 (補完財) : 서로 보완 관계에 있는 재화(財貨).
  • 불완석 (不完石) : 축이 나거나 덜 담아서 꽉 차지 않은 곡식 섬.
  • 불완전 (不完全) : 완전하지 않거나 완전하지 못함.
  • 불완품 (不完品) :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한 물품.
  • 완결성 (完結性) : 완전히 끝을 맺은 상태나 특성.
  • 완결형 (完結型) : 필기시험 문제 형식의 하나. 문항의 중간중간에 빈칸을 주고 적합한 단어나 구(句)를 써넣게 하는 형식이다.
  • 완고히 (完固히) : 완전하고 튼튼하게.
  • 완교지 (完校紙) : 교정을 끝낸 교정지.
  • 완구히 (完久히) : 어떤 상태가 완전하여 오래 견딜 수 있게. 또는 오래갈 수 있게.
  • 완료상 (完了相) :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동작상(動作相). '-아[어] 있다'로 표시하며 각 시제마다 있다.


https://dict.wordrow.kr에서 完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燕에 관한 단어는 모두 131개

한자 燕에 관한 단어는 모두 13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燕에 관한 단어는 모두 131개

  • 연 (燕) :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에, 선비족(鮮卑族)의 모용씨(慕容氏)가 건설한 나라. 4세기 초에서 5세기 초에 걸쳐 전연(前燕), 후연(後燕), 서연(西燕), 남연(南燕), 북연(北燕)이 있었다.
  • 연 (燕)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정평(定平), 영평(永平), 전주(全州), 곡산(谷山) 등이 현존한다.
  • 연 (燕) : 중국 전국 시대에, 주나라 무왕(武王)의 동생 소공석이 세운 나라. 지금의 허베이(河北) 북부를 영토로 하고 베이징(北京)을 수도로 하였는데, 기원전 222년에 진시황에게 망하였다.
  • 관연 (官燕) : 빛깔이 희고 깨끗하여 고급 중국요리로 쓰는 제비의 둥지. 또는 그것을 재료로 하여 만든 요리.
  • 귀연 (歸燕) : 보금자리로 돌아가는 제비.
  • 남연 (南燕) : 중국 오호 십육국 가운데 선비(鮮卑)의 모용덕(慕容德)이 398년 무렵 지금의 허난성(河南省) 화현(滑縣)에 세운 나라. 조카 모용초(慕容超)가 왕위를 계승했으나 410년 동진(東晉)의 유유(劉裕)에게 망했다.
  • 모연 (毛燕) : 중국요리에 쓰는 제비 집의 하나. 털이 섞이고 피의 흔적이 있으며 빛깔이 검고 품질이 좋지 못하다.
  • 박연 (朴淵/朴燕) : '벨테브레이'의 우리나라 이름. (벨테브레이: 조선 인조 때에 귀화한 네덜란드 선원(1595~?). 우리나라 이름은 박연(朴淵). 인조 6년(1628)에 표류하다 제주도에 상륙하여 귀화하였다. 훈련도감에서 전술을 가르치고 대포를 제작하였다.)
  • 북연 (北燕) : 오호 십육국의 하나. 한인(漢人) 풍발(馮跋)이 409년에 후연(後燕)을 없애고 용성(龍城)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로, 436년에 북위(北魏)의 태무제에게 멸망하였다.
  • 사연 (社燕) : 제빗과의 새. 몸의 길이는 18cm 정도이며 등은 윤기가 있는 푸른빛을 띤 검은색이고 배는 흰색이다. 이마에서 위쪽 가슴에 걸쳐 검은 테로 둘러싸인 밤색의 큰 반점이 있다. 꽁지가 가위 모양으로 갈라져 있고 날개가 발달하여 빨리 난다. 열대 또는 아열대인 인도,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겨울을 보내고 봄에 우리나라에서 처마 밑에 집을 짓고 살다가 가을에 날아간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번식한다.
  • 서연 (西燕) : 384년에 선비족이 산시성(山西省) 남부에 세운 나라. 394년에 후연에게 멸망하였다.
  • 석연 (石燕) : 완족동물의 화석 동물. 껍데기는 석회질로 새의 날개 모양이며, 표면에는 방사상의 선이 있고 내부에는 나선형의 완골이 있다. 지층 비교에 유용한 표준 화석으로, 고생대 실루리아기에서부터 중생대 쥐라기에 이르는 사이, 주로 석탄기에 생존하였다.
  • 석연 (石燕) : 중국의 영릉(零陵), 영주(永州), 기양(祈陽) 따위에서 나는 화석. 모양이 제비나 조개와 비슷하며, 광물성 생약으로 난산(難産), 임질(淋疾) 따위에 쓰인다.
  • 연거 (燕居) : 한가하게 집에 있음.
  • 연경 (燕京) : 중국 베이징(北京)의 옛 이름. 옛날 연나라의 도읍이었으므로 이렇게 부른다.
  • 연과 (燕窠) : 제비 집.
  • 연구 (燕口) : '연귀'의 원말. (연귀: 두 재를 맞추기 위하여 나무 마무리가 보이지 않게 귀를 45도 각도로 비스듬히 잘라 맞춘 곳.)
  • 연귀 (燕口) : 두 재를 맞추기 위하여 나무 마무리가 보이지 않게 귀를 45도 각도로 비스듬히 잘라 맞춘 곳.
  • 연녀 (燕女) : 여색에 빠짐.
  • 연대 (燕臺) : 중국 베이징 부근에 있던 높은 대(臺). 전국 시대에 연나라의 소왕이 구축하여 그 건물 안에 천금(千金)을 두고 천하의 현자(賢者)를 불러들였다.
  • 연맥 (燕麥) : 볏과의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 높이는 60~90cm이며, 잎은 가늘고 길다. 봄에 두세 개의 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핀다. 열매는 식용하거나 가축의 먹이로 쓴다. 산지(山地)에 심어 가꾼다.
  • 연미 (燕尾) : 제비의 꼬리.
  • 연사 (燕射) : 신하들을 위로하는 궁중의 잔치 때에 실시하던 활쏘기 경기. 예궁(禮弓)을 사용하였다.
  • 연상 (燕商) : 예전에, 중국 연경(燕京)을 왕래하던 무역상.
  • 연석 (燕席) : 일을 하지 않고 편안하게 지냄.
  • 연소 (燕巢) : 해안의 바위틈에 사는 금사연의 둥지. 물고기나 바닷말을 물어다가 침을 발라서 만든 것으로 중국요리의 상등 국거리이다.
  • 연식 (燕息) : 한가로이 집에서 쉼.
  • 연실 (燕室) : 잠깐 동안 머물러 쉴 수 있도록 마련해 놓은 방.
  • 연악 (燕樂) : 중국에서, 궁중 잔치 때에 연주하던 음악을 통틀어 이르던 말. 수나라 문제가 당시의 음악을 아악과 속악으로 정리하고, 그 속악을 달리 이르던 말이다. 아악이 예법을 지키는 것과는 달리 새로운 유행이나 서역(西域)에서 들어온 호악(胡樂) 따위도 도입하였다.
  • 연안 (宴安/燕安) : 몸이 한가하고 마음이 편안함.
  • 연암 (燕巖) : '박지원'의 호. (박지원: 조선 정조 때의 문장가ㆍ실학자(1737~1805). 자는 중미(仲美)ㆍ미중(美仲). 호는 연암(燕巖)ㆍ연상(煙湘). 정조 4년(1780)에 진하사(進賀使) 박명원(朴明源)의 수행원으로 청나라에 다녀와서 ≪열하일기≫를 저술하여 유려한 문장과 진보적 사상으로 이름을 떨쳤다. 북학론을 주장하였고 이용후생(利用厚生)의 실학을 강조하였다. 문집에 ≪연암집≫이 있다.)
  • 연오 (燕烏) : 까마귓과의 새. 몸의 길이는 33cm 정도로 까마귀보다 약간 작으며, 검은색이고 목둘레와 배가 희다. 한국, 유럽, 아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 연와 (燕窩) : 해안의 바위틈에 사는 금사연의 둥지. 물고기나 바닷말을 물어다가 침을 발라서 만든 것으로 중국요리의 상등 국거리이다.
  • 연익 (燕翼) : 조상이 자손을 편안하게 살도록 도움. 또는 그런 꾀.
  • 연자 (燕子) : 제빗과의 새. 몸의 길이는 18cm 정도이며 등은 윤기가 있는 푸른빛을 띤 검은색이고 배는 흰색이다. 이마에서 위쪽 가슴에 걸쳐 검은 테로 둘러싸인 밤색의 큰 반점이 있다. 꽁지가 가위 모양으로 갈라져 있고 날개가 발달하여 빨리 난다. 열대 또는 아열대인 인도,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겨울을 보내고 봄에 우리나라에서 처마 밑에 집을 짓고 살다가 가을에 날아간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번식한다.
  • 연작 (燕雀) : 제비와 참새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연조 (燕趙) : 중국 전국 시대에, 연과 조의 두 나라 땅을 아울러 이르던 말. 현재의 허베이성(河北省) 북부와 산시성(山西省) 서부 지역으로, 예로부터 우국지사가 많았다고 한다.
  • 연조 (燕朝) : 천자(天子)가 보통 때에 안식을 취하는 궁전.
  • 연족 (燕足) : 제비의 발.
  • 연추 (燕雛) : 제비의 새끼.
  • 연출 (燕出) : 천자가 남의 눈에 띄지 않는 수수한 옷을 입고 몰래 살피러 다니는 일.
  • 연침 (燕寢) : 왕이 평상시에 한가롭게 거처하던 궁궐.
  • 연하 (燕賀) : 제비가 사람이 집을 짓는 것을 축하하며 기뻐한다는 뜻으로, 남이 집을 지은 것을 축하하는 말.
  • 연한 (燕閑) : '연한하다'의 어근. (연한하다: 아무런 근심이나 걱정이 없고 몸과 마음이 한가하다.)
  • 연행 (燕行) : 사신이 중국의 베이징에 가던 일. 또는 그 일행.
  • 월연 (越燕) : 제빗과의 새. 몸의 길이는 18cm 정도이며 등은 윤기가 있는 푸른빛을 띤 검은색이고 배는 흰색이다. 이마에서 위쪽 가슴에 걸쳐 검은 테로 둘러싸인 밤색의 큰 반점이 있다. 꽁지가 가위 모양으로 갈라져 있고 날개가 발달하여 빨리 난다. 열대 또는 아열대인 인도,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겨울을 보내고 봄에 우리나라에서 처마 밑에 집을 짓고 살다가 가을에 날아간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번식한다.
  • 자연 (紫燕) : 보랏빛으로 보이는 제비.
  • 전연 (前燕) : 337년에 중국의 오호 십육국 가운데 선비족(鮮卑族)의 모용외가 지금의 허베이(河北)ㆍ산둥(山東)ㆍ허난(河南)ㆍ산시(山西) 지방을 아울러 세운 나라. 370년 3대 모용위(慕容暐) 때에 전진(前秦)의 왕 부견(苻堅)에게 망하였다.
  • 주연 (周燕) :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 춘연 (春燕) : 봄 제비.
  • 해연 (海燕) : 슴샛과의 새. 제비와 비슷하나 검은 갈색이고 꽁지깃에 흰 띠가 있다. 부리는 갈퀴처럼 끝이 굽었고 물갈퀴가 있다. 해안의 도서에서 무리를 이루어 번식하는 여름새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호연 (胡燕) : 칼샛과의 새. 몸의 길이는 18cm 정도로 제비와 비슷한데 검은 갈색에 허리, 목, 턱이 희며 나는 속도가 빨라 소리가 들리고 높은 산이나 해안 절벽에 분포한다. 여름 철새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번식하고 말레이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겨울을 보낸다.
  • 후연 (後燕) : 중국의 오호 십육국 가운데, 384년에 선비족인 모용수(慕容垂)가 허베이성(河北省) 중산(中山)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북위(北魏)의 압박을 받았으며 409년에 북연의 풍발(馮跋)에게 멸망하였다.
  • 금사연 (金絲燕) : 칼샛과의 새. 제비와 비슷하며, 산란기에 침샘에서 끈적끈적한 액체를 분비하여 동굴의 바위틈에 보금자리를 만든다. 이 제비 집을 '연와(燕窩)'라고 하며 고급 중화 요리에 쓴다.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 맞연귀 (맞燕口) : 직각으로 맞춤하도록 두 개의 막대가 맞추어지는 부분을 45도로 잘라 그대로 맞춘 연귀.
  • 반연귀 (半燕口) : 연귀를 반만 내고 안쪽을 직각으로 잘라 대어 맞추는 연귀 맞춤.
  • 쌍연곡 (雙燕曲) : 고려 시대의 가요. 충렬왕이 중국 원나라에 갔을 때, 원나라 황제가 베푸는 술자리에서, 황제가 고려의 노래를 듣기 원하자 송방영(宋邦英)과 송영(宋英)에게 지어 부르게 한 것으로, 가사는 전하지 않고 ≪동국통감≫에 유래만 전한다.
  • 연구창 (燕口瘡) : 입술에 생긴 종기. 주로 입가가 헐며, 진물이 난다.
  • 연귀소 (燕歸巢) : 첨수무ㆍ검무ㆍ춘앵전 따위에서, 두 팔을 벌리고 뒷걸음쳐 나가는 춤사위.
  • 연귀실 (燕口실) : 연귀에 있는 실 모양의 장식물.
  • 연귀자 (燕口자) : 연귀를 맞추는 데 쓰는 45도 각도로 을모진 틀자.
  • 연귀판 (燕口板) : 나무의 마구리를 45도가 되게 깎을 때 쓰는 틀.
  • 연기군 (燕岐郡) : 충청남도 동쪽에 있던 군. 농업˙광업 외에 특히 양잠업이 발달하였으며, 명승지로 비암사ㆍ운주산성ㆍ원수산ㆍ연희루 따위가 있다. 면적은 361.44㎢. 2012년 6월에 폐지되었다.
  • 연나라 (燕나라) : 중국 전국 시대에, 주나라 무왕(武王)의 동생 소공석이 세운 나라. 지금의 허베이(河北) 북부를 영토로 하고 베이징(北京)을 수도로 하였는데, 기원전 222년에 진시황에게 망하였다.
  • 연미복 (燕尾服) : 남자용 서양 예복. 보통 검은 나사로 만드는데, 가슴은 두 겹이고 단추는 셋이며, 저고리의 앞은 허리 아래가 없고 뒤는 두 갈래로 길게 내려와 마치 제비의 꼬리처럼 보인다.
  • 연미형 (燕尾形) : 제비의 꼬리처럼 기름하고 둘로 갈라진 모양.
  • 연복자 (燕覆子) : 으름덩굴의 열매.
  • 연산군 (燕山君) : 조선 제10대 왕(1476~1506). 이름은 융(隆). 무오사화, 갑자사화를 일으켜 많은 선비들을 죽였다. 폭군으로 지탄받아 중종반정으로 폐위되었다. 재위 기간은 1494~1506년이다.
  • 연설복 (燕褻服) : 평상시에 입는 옷.
  • 연암집 (燕巖集) : 조선 정조 때의 실학자 박지원의 시문집. 시문ㆍ서간과 <열하일기> 따위가 수록되어 있으며, 광무 5년(1901)에 김택영이 간행하였다. 9권 3책.
  • 연와탕 (燕窩湯) : 중국요리의 하나. 해안의 바위틈에 사는 금사연의 둥지로 만든다.
  • 연자가 (燕子歌) : 팔잡가의 하나. 사설은 판소리 <춘향가>에서 사랑가의 첫 대목, <흥부가>에서 제비 후리러 나가는 장면, 새타령의 한 구절 따위로 이루어진다.
  • 연자무 (燕子舞) : 기생이 추는 칼춤의 하나.
  • 연자전 (燕子箋) : 중국 명나라 말기에 완대성이 지은 희곡. 안녹산의 난을 배경으로, 서생 곽도량(霍都粱)의 그림을 보고 그를 그리워하던 고관의 딸 비운(飛雲)이 종이에 자신의 마음을 적자 제비가 그것을 물어다 곽생에게 전하여 주어 서로 사모하게 되면서 겪게 되는 파란만장한 사랑을 그린 것으로, 곤곡(崑曲) 가운데 걸작으로 꼽힌다.
  • 연자화 (燕子花) :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0∼70cm이며, 잎은 칼 모양이다. 5∼6월에 진한 자주색 꽃이 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의 삭과(蒴果)이다. 습지에서 자라는데 한국의 지리산, 일본, 만주,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 연천조 (燕千鳥) : 제비물떼샛과의 새. 제비와 비슷한데 몸의 길이는 23cm 정도이며 등은 갈색, 뒷머리는 붉은 갈색, 배는 흰색이다. 남부 유럽, 남부 아시아, 북부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하는데 봄이 되면 한국, 일본, 동부 시베리아에서 여름을 보낸다.
  • 연풍대 (燕風臺) : 기생이 추는 칼춤의 하나.
  • 연풍태 (燕風態) : 춘앵무(春鶯舞)나 승무와 같이 가장 활발한 리듬의 기생 춤을 이르는 말.
  • 연한히 (燕閑히) : 아무런 근심이나 걱정이 없고 몸과 마음이 한가하게.
  • 연함석 (燕含石) : 중국의 영릉(零陵), 영주(永州), 기양(祈陽) 따위에서 나는 화석. 모양이 제비나 조개와 비슷하며, 광물성 생약으로 난산(難産), 임질(淋疾) 따위에 쓰인다.
  • 연행가 (燕行歌) : 조선 고종 때에, 홍순학이 지은 장편 가사. 고종 3년(1866) 4월에 주청사 유후조(柳厚祚)의 서장관으로 중국 청나라 연경(燕京)에 갔다가 그해 8월 말에 귀국하기까지의 기행ㆍ견문을 적은 작품이다.
  • 연행록 (燕行錄) : 조선 시대에, 사신이나 그 수행원이 중국을 다녀와서 보고 느낀 것을 쓴 기행문. 박지원의 ≪열하일기≫, 홍대용의 ≪을병연행록≫ 따위가 있다.
  • 연화발 (燕火발) : 한자 부수의 하나. '불화(火)' 부수가 '無', '熱' 따위에서 '灬'로 쓰일 때의 이름이다.
  • 촉연귀 (鏃燕口) : 촉을 내어 물리게 한 연귀.
  • 큰연귀 (큰燕口) : 직각으로 맞춤하도록 두 개의 막대가 맞추어지는 부분을 45도로 잘라 그대로 맞춘 연귀.
  • 깍지연귀 (깍지燕口) : 겉은 연귀 맞춤이 되고 안은 사개맞춤이 되는 맞춤.
  • 노연분비 (勞燕分飛) : 때까치와 제비가 서로 나뉘어 날아간다는 뜻으로, 사람들 사이의 이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담헌연기 (湛軒燕記) : 조선 영조 때 홍대용이 쓴 연경(燕京) 견문록. 연경에 이르는 도중의 풍물, 중국인들과의 문답, 인물평 따위를 수록하였다. 6권 6책.
  • 동풍신연 (東風新燕) : 봄바람을 타고 새로 날아온 제비.
  • 맞댄연귀 (맞댄燕口) : 직각으로 맞춤하도록 두 개의 막대가 맞추어지는 부분을 45도로 잘라 그대로 맞춘 연귀.
  • 부연사신 (赴燕使臣) : 조선 시대에, 베이징으로 가던 사신.
  • 부연사행 (赴燕使行) : 부연사신이 행차하는 일.
  • 사개연귀 (사개燕口) : 겉은 연귀 맞춤이 되고 안은 사개맞춤이 되는 맞춤.
  • 안촉연귀 (안鏃燕口) : 안쪽을 연귀로 하고 촉을 내어 물리게 한 연귀.
  • 안팎연귀 (안팎燕口) : 안쪽과 바깥쪽은 연귀로 하고 그 내부는 맞대거나 장부 또는 촉을 내어 물리게 된 연귀 맞춤.
  • 어목연석 (魚目燕石) : 물고기의 눈과 중국 옌산(燕山)에서 나는 돌은 구슬처럼 보이나 구슬이 아니라는 뜻으로, 진짜와 비슷하나 본질은 완전히 다른 것을 이르는 말.
  • 연거하다 (燕居하다) : 한가하게 집에 있다.
  • 연귀장부 (燕口장부) : 연귀 안에 물리게 된 장부.
  • 연모지제 (燕毛之制) : 제례를 지내고 술을 마실 때에, 수염과 머리카락의 색깔로 앉는 차례를 정하는 제도.


https://dict.wordrow.kr에서 燕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湍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한자 湍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湍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 격단 (激湍) : 몹시 빠르게 흐르는 여울.
  • 급단 (急湍) : 물살이 매우 센 여울. 또는 그런 상태.
  • 단류 (湍流) : 급하고 세차게 흐르는 물.
  • 단수 (湍水) : 소용돌이치는 물.
  • 비단 (飛湍) : 물살이 세고 빠른 여울.
  • 장단 (長湍) : 경기도 장단군에 있는 한 읍. 군청 소재지이다.
  • 현단 (懸湍) : 절벽에서 곧장 쏟아져 내리는 물줄기.
  • 장단곡 (長湍曲) : 고려 초기의 가요. 고려 태조가 장단 지방에 갔을 때 그 지방 백성들이 태조의 은덕을 칭송하여 지었다고 하며, ≪고려사≫ <악지(樂志)>에 그 유래만 전한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장단군 (長湍郡) : 경기도 서북쪽에 있던 군. 쌀, 보리, 콩, 인삼 따위의 농산물이 많이 났으나, 6ㆍ25 전쟁으로 생긴 휴전선 때문에 지금은 폐허가 되었다. 명승지로 화장사(華藏寺), 영통사(靈通寺), 고려 숙종릉(肅宗陵), 신라 경순왕릉(敬順王陵) 따위가 있다. 지금 휴전선 이남 지역은 현재의 파주시에 편입되었다. 군청 소재지는 장단, 면적은 724㎢.


https://dict.wordrow.kr에서 湍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