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3일 수요일

한자 魯에 관한 단어는 모두 67개

한자 魯에 관한 단어는 모두 6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魯에 관한 단어는 모두 67개

  • 노 (魯) : 기원전 1055년에 주(周)나라 무왕의 아우인 주공(周公) 단(旦)이 지금의 산둥성(山東省) 취푸(曲阜)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기원전 249년 34대 경공(頃公) 때에 초(楚)나라에 멸망하였다.
  • 노 (魯)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함평(咸平), 강화(江華), 광주(光州) 등 10여 본이 현존한다.
  • 노둔 (駑鈍/魯鈍) : '노둔하다'의 어근. (노둔하다: 둔하고 어리석어 미련하다.)
  • 노론 (魯論) : 중국 한나라 때에 노나라에서 전해진 논어. 20편.
  • 노무 (魯莽/鹵莽) : '노무하다'의 어근. (노무하다: 거칠고 서투르다.)
  • 노박 (魯朴) : '노박하다'의 어근. (노박하다: 어수룩하고 순박하다.)
  • 노상 (魯桑) : 뽕나뭇과의 낙엽 교목. 높이는 5~7미터이며, 잎은 각 마디에서 한 개씩 어긋나고 심장 모양이다. 가지는 다른 뽕나무보다 굵고 각 마디에서 꺾어지면서 반대쪽으로 구부러진다. 5월에 수상(穗狀) 화서로 꽃이 피고 열매는 6~7월에 검게 익는다. 관상용으로도 재배하며 잎은 누에의 먹이로 쓴다.
  • 노성 (魯省) : → 루성. (루성: 중국 산둥성(山東省)의 다른 이름.)
  • 노시 (魯詩) : 중국의 노나라 사람 신배(申培)가 전하였다는 시경. 일부분만 전한다.
  • 노신 (魯迅) : '루쉰'을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루쉰: 중국의 작가(1881~1936). 본명은 저우수런(周樹人). 일본에서 유학하여 의학을 배우다가 문학으로 전환하였다. 민중애, 사회악과 인간악의 증오 및 투쟁 정신이 작품 전체에 흐르고 있다. 작품에 <아큐정전(阿Q正傳)>, <광인 일기> 따위가 있다.)
  • 노어 (魯魚) : 노(魯) 자와 어(魚) 자가 비슷하여 틀리기 쉽다는 데서, 글씨를 잘못 쓰기 쉬움을 이르는 말.
  • 노작 (魯斫) : 땅을 파거나 흙을 고르는 데 쓰는 농기구. 'ㄱ' 자 모양으로 생긴 쇠 부분의 한쪽에는 넓적한 날이 있고 다른 한쪽에는 괴구멍이 있는데, 이 괴구멍에 긴 자루를 끼워서 사용한다. 자루는 질이 단단한 참나무, 느티나무 따위로 만들며, 길이는 대체로 150cm 안팎이다. 날의 모양에 따라 가짓잎괭이, 삽괭이, 수숫잎괭이, 토란잎괭이 따위가 있다.
  • 노주 (魯酒) : 약하고 부드러운 술.
  • 노질 (駑質/魯質) : 둔하고 미련한 성질.
  • 노호 (魯縞) : 중국 노나라에서 나던 고운 비단.
  • 담로 (擔魯) : 백제 초기에, 왕자나 왕족을 파견하여 다스리던 지방 행정 구역. 전국에 22개를 두었다.
  • 루성 (Lu[魯]省) : 중국 산둥성(山東省)의 다른 이름.
  • 비로 (祕露/祕魯) : '페루'의 음역어. (페루: 남아메리카 서북부 태평양 연안에 있는 공화국. 잉카 제국의 중심지로, 1821년에 에스파냐에서 독립하였다. 철광석ㆍ목화ㆍ사탕수수 따위가 주산물이고 어업이 발달하였으며, 주민은 인디오와 메스티소로 대부분 가톨릭교도이고, 주요 언어는 에스파냐어이다. 수도는 리마, 면적은 128만 5216㎢.)
  • 오로 (奧魯) : 군(軍)에 출정한 장정의 급여를 담당하던, 유목민이나 포로로 조직한 소집단.
  • 완로 (頑魯) : '완로하다'의 어근. (완로하다: 고집이 세고 둔하며 어리석다.)
  • 우로 (愚魯) : '우로하다'의 어근. (우로하다: 어리석고 매우 둔하다.)
  • 임노 (任魯) : 조선 순조 때의 학자(1755~1828). 자는 득여(得汝). 호는 영서거사(穎西居士). 임성주의 문인으로 그의 주기론을 계승하였다.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에만 전념하다가 50세가 넘어 현감이 되어 선정을 베풀었으나 모함을 입고 귀양을 갔다.
  • 제노 (齊魯) : 중국 춘추 시대의 제나라와 노나라를 아울러 이르는 말. 각각 공자와 맹자가 태어난 곳이므로 교육ㆍ문화의 중심지로 비유된다.
  • 추로 (鄒魯) : 추나라는 맹자의 출생지이고 노나라는 공자의 출생지인 데서 공자와 맹자를 달리 이르는 말.
  • 거로가 (去魯歌) : 공자가 그의 조국인 노나라를 떠나면서 지은 노래.
  • 김노경 (金魯敬) : 조선 후기의 문신(1766~1840). 자는 가일(可一). 호는 유당(酉堂). 이조ㆍ예조ㆍ병조 판서, 대사헌 등을 지냈으며, 글씨를 잘 써 아들 김정희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작품에 신라 경순왕 전비(新羅敬順王殿碑)의 비문 따위가 있다.
  • 김병로 (金炳魯) : 법조인ㆍ정치가(1887~1964). 호는 가인(街人). 일본에 유학 중 ≪학지광≫의 편집장을 지냈고, 1927년에는 신간회의 중앙 집행 위원장을 지냈다. 8ㆍ15 광복 후 한민당(韓民黨) 창설에 참여하고, 대법원장 등을 지냈다.
  • 김약로 (金若魯) : 조선 시대의 문신(1694~1753). 자는 이민(而敏). 호는 만휴당(晩休堂). 승문원 정자가 되어 ≪숙종실록≫ 보충의 잘못을 논하다가 유배되었다. 뒤에 육조의 판서를 거쳐 우의정, 좌의정 등을 지냈다.
  • 김재로 (金在魯) : 조선 후기의 문신(1682~1759). 자는 중례(仲禮). 호는 청사(淸沙)ㆍ허주자(虛舟子). 숙종 36년(1710)에 문과에 급제하고 지평, 수찬을 거쳐 좌의정, 영의정을 지냈다. 노론(老論)의 선봉으로 활약하였으며, 청빈한 재상으로 이름이 높았다.
  • 남영로 (南永魯) : 조선 후기의 문인(1810~1857). 호는 담초(潭樵). 문장과 서화에 능하였고, <옥루몽>과 <옥련몽>을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노나라 (魯나라) : 기원전 1055년에 주(周)나라 무왕의 아우인 주공(周公) 단(旦)이 지금의 산둥성(山東省) 취푸(曲阜)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기원전 249년 34대 경공(頃公) 때에 초(楚)나라에 멸망하였다.
  • 노남자 (魯男子) : 여색(女色)을 좋아하지 않는 남자.
  • 노둔히 (駑鈍히/魯鈍히) : 둔하고 어리석어 미련하게.
  • 노릉지 (魯陵志) : 조선 인조 때에, 윤순거(尹舜擧)가 지은 책. 잡기(雜記)와 소설이 곁들여 있다. 2권 1책.
  • 노산군 (魯山君) : 조선 단종이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그 신분이 격하되었을 때에 붙여진 칭호.
  • 노추산 (魯鄒山/老秋山) :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산. 태백산맥에 속한다. 높이는 1,322미터.
  • 독로강 (禿魯江) : 평안북도 강계군 용림면에서 시작하여 강계, 위원(渭原)을 거쳐 압록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길이는 238km.
  • 박노갑 (朴魯甲) : 소설가(1905~1951). 호는 도촌(島村). 1933년에 단편 <아해>를 발표하여 문단에 데뷔하였다. 도시인의 일상적 생활을 즐겨 다루었으며, 작품에 <공상기>ㆍ<삼인행(三人行)> 따위가 있다.
  • 변영로 (卞榮魯) : 시인ㆍ수필가(1898~1961). 호는 수주(樹州). 신시(新詩)의 선구자였고 수필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작품에 시집 ≪조선의 마음≫, 수필집 ≪명정 40년≫ 따위가 있다.
  • 보로사 (普魯斯) : '프로이센'의 음역어. (프로이센: 독일 동북부, 발트해 기슭에 있던 지방. 1701년에 프로이센 왕국이 세워졌으나 제이 차 세계 대전 후 소련 및 폴란드에 점령되었으며 이름도 없어졌다.)
  • 보로서 (普魯西) : '프로이센'의 음역어. (프로이센: 독일 동북부, 발트해 기슭에 있던 지방. 1701년에 프로이센 왕국이 세워졌으나 제이 차 세계 대전 후 소련 및 폴란드에 점령되었으며 이름도 없어졌다.)
  • 안노공 (顔魯公) : '안진경'의 다른 이름. 노군개국공(魯郡開國公)에 봉해져 이렇게 이른다. (안진경: 중국 당나라 때의 정치가ㆍ서예가(709~784?). 자는 청신(淸臣). 안녹산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다. 저서에 ≪안노공집(顔魯公集)≫ 따위가 있다.)
  • 이상로 (李相魯) : 시인ㆍ수필가(1916~1973). 호는 소향(素鄕). 1947년에 언론계에 투신하면서 이상주의적 미학을 추구하는 시와 현실 고발적인 저항의 자세를 보여 주는 수필을 썼다. 작품에 시집 ≪이상로전시집(李相魯全詩集)≫, 수필집 ≪옥석혼효(玉石混淆)≫ 따위가 있다.
  • 이응로 (李應魯) : 동양화가(1904~1989). 호는 죽사(竹史)ㆍ고암(顧菴). 1958년에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에 동양 미술 학교를 세우고, 1967년에는 동베를린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렀다. 작품에 <소>, <콤포지션>, <무(舞)> 따위가 있다.
  • 정종로 (鄭宗魯) :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1738~1816). 자는 사앙(士仰). 호는 입재(立齋)ㆍ무적옹(無適翁).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벼슬이 지평에 이르렀으며, 성리학에 정통하였다. 주리론(主理論)과 주기론(主氣論)을 절충시킨 학설을 내세웠다.
  • 추로학 (鄒魯學) : 공자와 맹자의 학문. 곧 유학(儒學)을 이른다.
  • 토로번 (吐魯蕃) : → 투루판. (투루판: 중국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 가운데, 우루무치(烏魯木齊) 동남쪽에 있는 도시. 톈산 남로(天山南路)에 있는 교통 요충지이며, 오아시스로 이루어져 있다.)
  • 노둔하다 (駑鈍하다/魯鈍하다) : 둔하고 어리석어 미련하다.
  • 노만주의 (魯漫主義) : 꿈이나 공상의 세계를 동경하고 감상적인 정서를 중시하는 창작 태도.
  • 노무하다 (魯莽하다/鹵莽하다) : 거칠고 서투르다.
  • 노박하다 (魯朴하다) : 어수룩하고 순박하다.
  • 노사영언 (魯史零言) : 조선 선조 때에 이항복이 ≪춘추좌씨전≫을 연구하고 그 전문(傳文)을 사류별(事類別)로 뽑아 1가(家)의 체계를 만든 책. 30권 15책.
  • 노어지오 (魯魚之誤) : 노(魯) 자와 어(魚) 자가 비슷하여 틀리기 쉽다는 데서, 글씨를 잘못 쓰기 쉬움을 이르는 말.
  • 달로화적 (達魯花赤) : '다루가치'의 음역어. (다루가치: 중국 원나라 때에, 고려의 점령 지역에 두었던 벼슬. 점령 지역의 백성들을 직접 다스리거나 내정에 관여하였다.)
  • 어로불변 (魚魯不辨) : 어(魚) 자와 노(魯) 자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무식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연계노해 (連鷄魯蟹) : 충청남도 연산에서 나는 닭과 노성에서 나는 게.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 완로하다 (頑魯하다) : 고집이 세고 둔하며 어리석다.
  • 우로하다 (愚魯하다) : 어리석고 매우 둔하다.
  • 정여노위 (政如魯衛) : 두 나라의 정치가 서로 비슷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의 시조 주공(周公)과 위나라의 시조 강숙(康叔)이 형제인 데에서 온 말이다.
  • 추로지향 (鄒魯之鄕) : 공자와 맹자의 고향이라는 뜻으로, 예절을 알고 학문이 왕성한 곳을 이르는 말.
  • 노산군일기 (魯山君日記) : ≪단종실록≫의 처음 이름. 조선 세조 3년(1457)에 단종이 노산군으로 격하됨에 따라 실록에 붙여진 명칭으로 숙종 30년(1704)에 ≪단종실록≫으로 바뀌었다.
  • 노신잡감선집 (魯迅雜感選集) : '루쉰잡감선집'을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루쉰잡감선집: 1933년에 중국 근대 문학의 창시자인 루쉰(魯迅)의 사회ㆍ문예 평론집을 취추바이(瞿秋白)가 편찬한 책. 사회를 날카롭게 풍자하는 문예 평론들로 이루어져 있다.)
  • 루쉰잡감선집 (Lu Xun[魯迅]雜感選集) : 1933년에 중국 근대 문학의 창시자인 루쉰(魯迅)의 사회ㆍ문예 평론집을 취추바이(瞿秋白)가 편찬한 책. 사회를 날카롭게 풍자하는 문예 평론들로 이루어져 있다.
  • 어로불변하다 (魚魯不辨하다) : (비유적으로) 아주 무식하다. 어(魚) 자와 노(魯) 자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노국 공주 (魯國公主) : 고려 공민왕의 왕비(?~1365). 중국 원나라 위왕(魏王)의 딸로 공민왕 14년(1365)에 난산(難産)으로 죽었다.
  • 노봉 서원 (魯峯書院) : 충청북도 청주시 문의면에 있었던 서원. 조선 선조 이후에 세웠으며, 송인수ㆍ정렴ㆍ송시열 등을 배향(配享)하였다.
  • 노국 대장 공주 (魯國大長公主) : 고려 공민왕의 왕비(?~1365). 중국 원나라 위왕(魏王)의 딸로 공민왕 14년(1365)에 난산(難産)으로 죽었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魯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退에 관한 단어는 모두 538개

한자 退에 관한 단어는 모두 53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退에 관한 단어는 모두 538개

  • 퇴 (退) : 본채의 앞뒤나 좌우에 딸린 반 칸 너비의 칸살.
  • 퇴 (退) : 바치는 물건을 물리치는 일. 또는 그 물건.
  • 감퇴 (減退) : 기운이나 세력 따위가 줄어 쇠퇴함.
  • 격퇴 (擊退) : 적을 쳐서 물리침.
  • 견퇴 (見退) : 남에게 거절을 당함.
  • 겸퇴 (謙退) : 겸손히 사양하고 물러남.
  • 근퇴 (筋退) : 손톱과 발톱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 노퇴 (老退) : 늙어 스스로 관직에서 물러남.
  • 누퇴 (累退) : 지위, 등급 따위가 차차 내려감.
  • 돌퇴 (돌退) : 건물의 둘레에 쭉 붙여 지은 툇간.
  • 둔퇴 (遁退) : 자리나 위치에서 물러남.
  • 멸퇴 (滅退) : 쳐부수어 물리침.
  • 명퇴 (名退) : 정년이나 징계에 의하지 아니하고, 근로자가 스스로 신청하여 직장을 그만둠. 또는 그런 일.
  • 무퇴 (無退) : 후퇴하거나 물러서지 아니함.
  • 무퇴 (舞退) : 궁중 무용에서, 춤을 추며 앞으로 나아가다가 발로 뛰며 뒤로 물러 나오는 동작.
  • 백퇴 (白退) : 옳고 그름을 판결하여 주지 않고 소송장을 그대로 기각함.
  • 범퇴 (凡退) : 야구에서, 타자가 아무 소득 없이 물러감.
  • 불퇴 (不退) : 물러나지 아니함.
  • 사퇴 (仕退) : 벼슬아치가 정한 시각에 사무를 마치고 물러 나오던 일.
  • 사퇴 (蛇退) : 뱀의 허물. 어린이의 경풍(驚風)과 여러 가지 외과(外科) 질환 치료에 쓴다.
  • 사퇴 (辭退) : 윗사람에게 작별을 고하고 물러남.
  • 사퇴 (辭退) : 어떤 일을 그만두고 물러섬.
  • 서퇴 (暑退) : 더위가 물러감.
  • 선퇴 (蟬退) : 매미가 탈바꿈할 때 벗은 허물. 성질이 차서 두드러기, 경풍(驚風) 따위에 쓴다.
  • 쇠퇴 (衰退/衰頹) : 기세나 상태가 쇠하여 전보다 못하여 감.
  • 슬퇴 (膝退) : 무릎을 꿇은 채 뒤로 물러감.
  • 신퇴 (申退) : 벼슬아치가 신시(申時)에 관아에서 퇴근하던 일.
  • 실퇴 (실退) : 좁게 놓은 툇마루.
  • 억퇴 (抑退) : 억눌러 물리침.
  • 역퇴 (逆退) : 뒤로 물러남.
  • 열퇴 (熱退) : 열이 서서히 내림.
  • 염퇴 (恬退) : 명예나 이익에 뜻이 없어서 벼슬을 내어놓고 물러남.
  • 용퇴 (勇退) : 후진에게 길을 열어 주기 위하여 스스로 관직 따위에서 물러남.
  • 은퇴 (隱退) : 직임에서 물러나거나 사회 활동에서 손을 떼고 한가히 지냄.
  • 음퇴 (蔭退) : 음관(蔭官)이 문과에 급제하던 일.
  • 인퇴 (人退) : 사람의 머리털을 불에 태워 만든 재. 고약의 원료나 지혈제로 쓰고 또 어린아이의 경련이나 열, 임질, 대소변 불통에 쓴다.
  • 인퇴 (引退) : 직무를 그만두고 물러남.
  • 일퇴 (日退) : 나날이 퇴보함.
  • 자퇴 (自退) : 스스로 물러남.
  • 전퇴 (前退) : 집채의 앞쪽에 다른 기둥을 세워 만든 조그마한 칸살.
  • 점퇴 (漸退) : 점점 뒤로 물러남.
  • 점퇴 (點退) : 받은 물건을 살펴보아 마음에 들지 아니한 것은 도로 물리침.
  • 정퇴 (停退) : 기한을 뒤로 물림.
  • 조퇴 (潮退) : 밀려들어 왔던 조수가 밀려 나감.
  • 조퇴 (早退) : 정하여진 시간 이전에 물러남.
  • 중퇴 (中退) : '중도퇴학'을 줄여 이르는 말. (중도 퇴학: 학생이 과정을 다 마치지 못하고 중도에서 학교를 그만둠.)
  • 지퇴 (知退) : 물러날 것을 앎.
  • 진퇴 (進退) : 앞으로 나아가고 뒤로 물러남.
  • 척퇴 (斥退) : 물리쳐 도로 쫓음.
  • 철퇴 (撤退) : 거두어 가지고 물러남.
  • 축퇴 (縮退) : 양자 역학에서, 하나의 에너지 준위(準位)에 대하여 두 개 이상의 상태가 존재하는 일.
  • 탈퇴 (脫退) : 관계하고 있던 조직이나 단체 따위에서 관계를 끊고 물러남.
  • 퇴각 (退却) : 뒤로 물러감.
  • 퇴간 (退間) : → 툇간. (툇간: 안둘렛간 밖에다 딴 기둥을 세워 만든 칸살.)
  • 퇴거 (退去) : 있던 자리에서 옮겨 가거나 떠남.
  • 퇴경 (退耕) : 벼슬을 그만두고 시골에 가서 농사를 지음.
  • 퇴경 (退京) : 서울에서 머무르다가 시골로 물러감.
  • 퇴경 (退境) : 어떠한 경계 밖으로 물러남.
  • 퇴계 (退溪) : '이황'의 호. (이황: 조선 시대의 유학자(1501~1570).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ㆍ퇴도(退陶)ㆍ도수(陶叟). 벼슬은 예조 판서, 양관 대제학 따위를 지냈다. 정주(程朱)의 성리학 체계를 집대성하여 이기 이원론(理氣二元論), 사칠론(四七論)을 주장하였다. 작품에 시조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저서에 ≪퇴계전서(退溪全書)≫ 따위가 있다.)
  • 퇴공 (退供) : 부처 앞에 공양하였던 물건을 물림. 또는 그런 일.
  • 퇴관 (退棺) : 장례에서, 나장(裸葬)을 하려고 하관할 때에 시신을 꺼내고 관을 벗겨 치움. 또는 그런 절차.
  • 퇴관 (退官) : 벼슬을 내놓고 물러감.
  • 퇴광 (退壙) : 임금의 시신을 묻는 광중에 관을 모시고 남은 앞쪽 빈 곳. 죽은 사람과 함께 묻는 그릇이나 악기 따위를 넣은 돌함을 묻는 곳이다.
  • 퇴교 (退校) : 현역이나 예비역에 있다가 군역으로부터 완전히 물러난 장교.
  • 퇴교 (退校) : 다니던 학교를 그만둠.
  • 퇴군 (退軍) : 싸움터에서 군대가 물러남. 또는 군대를 물러나게 함.
  • 퇴궐 (退闕) : 대궐에서 물러 나옴.
  • 퇴귀 (退鬼) : 민간 신앙에서, 굿을 하여 재앙을 일으키는 귀신을 물리침. 또는 그런 일.
  • 퇴근 (退勤) : 일터에서 근무를 마치고 돌아가거나 돌아옴.
  • 퇴기 (退期) : 기한을 물림.
  • 퇴기 (退妓) : 지금은 기생이 아니지만 전에 기생 노릇을 하던 여자를 이르는 말.
  • 퇴단 (退團) : 단체에서 나감.
  • 퇴대 (退待) : 물러가서 명령을 기다림.
  • 퇴둔 (退屯) : 물러나서 진을 침.
  • 퇴둔 (退遁) : 물러나 숨음.
  • 퇴등 (退燈) : 지방 관아에서, 수령이 잘 때 등불을 끄던 일.
  • 퇴량 (退樑) : 툇기둥과 안기둥에 얹는 짧은 보.
  • 퇴령 (退令) : 지방 관아에서 구실아치와 사령들에게 물러가도록 허락하던 명령.
  • 퇴로 (退路) : 뒤로 물러날 길.
  • 퇴로 (退老) : 늙어서 벼슬에서 물러남.
  • 퇴리 (退吏) : 퇴직한 관리.
  • 퇴문 (退門) : 툇마루로 드나드는 문.
  • 퇴물 (退物) : 윗사람이 쓰다가 물려준 물건.
  • 퇴박 (退박) : 마음에 들지 아니하여 물리치거나 거절함.
  • 퇴방 (退房) : 과거(科擧) 시험장에서 물러나던 일.
  • 퇴병 (退兵) : 병사들이 물러남.
  • 퇴보 (退步) : 뒤로 물러감.
  • 퇴봉 (退封) : 진상물을 바칠 시기를 놓침. 또는 그런 일.
  • 퇴분 (退盆) : 화분에서 물린다는 뜻으로, 화분에 심은 화초를 뽑아 땅에 옮기어 심거나 버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퇴사 (退舍) : 물러나서 머무름.
  • 퇴사 (退士) : 벼슬을 내놓고 물러나 은둔하고 있는 선비.
  • 퇴사 (退仕) : 낮은 벼슬아치나 구실아치가 직위를 내놓고 물러나던 일.
  • 퇴사 (退思) : 물러나서 생각함.
  • 퇴사 (退社) : 회사에서 퇴근함.
  • 퇴사 (退寺) : 승려가 다시 속인이 됨. 또는 그런 일.
  • 퇴산 (退散) : 모였던 것이 흩어짐.
  • 퇴상 (退床) : 혼인 잔치 때에 큰상을 받았다가 물린 뒤에 상을 받은 사람의 집으로 음식을 싸 보내는 일.
  • 퇴상 (退霜) : 첫서리가 상강을 지나서 늦게 내림. 또는 그 첫서리.
  • 퇴색 (退色/褪色) : 무엇이 낡거나 몰락하면서 그 존재가 희미해지거나 볼품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https://dict.wordrow.kr에서 退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里에 관한 단어는 모두 317개

한자 里에 관한 단어는 모두 31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里에 관한 단어는 모두 317개

  • 리 (里) : → 이. (이: 지방 행정의 말단 구역. 몇 개의 촌락이 모여 이루어지며, 읍과 면(面)의 아래에 둔다. 어말에 붙어 특정 동리의 이름을 나타낼 때에는 '리'로 바뀐다.)
  • 리 (里) : 생황 육자관의 구음(口音).
  • 리 (里) : 거리의 단위. 1리는 약 0.393km에 해당한다.
  • 이 (里) : 지방 행정의 말단 구역. 몇 개의 촌락이 모여 이루어지며, 읍과 면(面)의 아래에 둔다. 어말에 붙어 특정 동리의 이름을 나타낼 때에는 '리'로 바뀐다.
  • 가리 (加里) : '칼리'의 음역어. (칼리: 알칼리 금속 원소의 하나. 식물 회(灰) 가운데 탄산염으로 들어 있으며, 이온으로서 동식물의 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금속 원소 가운데 이온화 경향이 가장 큰 원소로서 산화하기 쉽고, 물에 넣으면 수소를 내고 수산화 칼륨이 되며, 자줏빛의 불꽃을 내며 탄다. 환원제ㆍ칼륨 화합물의 원료로 쓴다. 원자 기호는 K, 원자 번호는 19, 원자량은 39.0983., 칼륨의 탄산염. 수산화 칼륨의 용액에 이산화 탄소를 작용하게 하여 만든다. 물에 잘 녹는 흰 가루로 수용액은 염기성이다. 연성(軟性) 비누, 경질(硬質) 유리 따위의 원료ㆍ염료ㆍ표백 따위에 쓴다. 화학식은 K2CO3., 칼륨염을 통틀어 이르는 말.)
  • 가리 (街里) : → 거리. (거리: 사람이나 차가 많이 다니는 길.)
  • 강리 (康里) : '캉글리'의 음역어. (캉글리: 몽골 킵차크한국의 주류를 이룬 터키계 유목민.)
  • 고리 (故里) : 자기가 태어나서 자란 곳.
  • 교리 (郊里) : 주로 시골에서, 여러 집이 모여 사는 곳.
  • 구리 (九里) : 경기도에 있는 시. 1986년에 경기도 남양주군 구리읍이 승격하여 이루어진 도시이다. 명승지로 동구릉 따위가 있다. 면적은 33.29㎢.
  • 구리 (舊里) : 자기가 태어나서 자란 곳.
  • 노리 (露里) : 러시아에서 이정(里程)을 나타내는 데 사용하는 단위. 1노리는 1,066미터에 해당한다.
  • 도리 (道里) : 어떤 곳으로부터 다른 곳까지 이르는 거리의 이수(里數).
  • 동리 (桐里) : '신재효'의 호. (신재효: 조선 고종 때의 판소리 작가(1812~1884). 자는 백원(百源). 호는 동리(桐里). 종래 계통 없이 불러오던 광대 소리를 통일하여 <춘향가>, <심청가>, <박타령>, <토끼 타령>, <적벽가>, <가루지기타령>의 여섯 마당으로 판소리 사설을 정리하였고, 판소리 이론의 정립에도 힘썼다.)
  • 동리 (洞里) : 지방 행정 구역의 최소 구획인 동(洞)과 이(里)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면리 (面里) : 지방 행정 단위인 면(面)과 이(里)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방리 (坊里) : 주로 시골에서, 여러 집이 모여 사는 곳.
  • 방리 (方里) : 사방으로 일 리(里)가 되는 넓이.
  • 산리 (山里) : 산속에 있는 마을.
  • 상리 (上里) : 위쪽에 있는 마을. 다른 마을의 위쪽이나 지대가 높은 곳을 이른다.
  • 설리 (薛里) : 조선 시대에, 내시부에서 임금에게 올리는 음식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벼슬.
  • 섭리 (섭里) : → 설리. (설리: 조선 시대에, 내시부에서 임금에게 올리는 음식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벼슬.)
  • 솝리 (솝里) : '이리'의 옛 이름. (이리: 전라북도에 있던 시. 1995년 5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익산군과 합쳐져 익산시가 신설되면서 폐지되었다.)
  • 여리 (閭里) : 백성의 살림집이 많이 모여 있는 곳.
  • 연리 (戀里) : 많은 창녀를 두고 매음 영업을 하는 집. 또는 그런 집이 모여 있는 곳.
  • 영리 (英里) : 야드파운드법에 의한 거리의 단위. 1영리는 약 1.6km에 해당한다. 기호는 mil.
  • 오리 (梧里) : '이원익'의 호. (이원익: 조선 중기의 명신(1547~1634). 자는 공려(公勵). 호는 오리(梧里). 1569년 문과에 급제하여 우의정, 영의정을 지냈다. 임진왜란 때 대동강 서쪽을 잘 방어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이 되었으며 대동법을 시행하여 공부(貢賦)를 단일화하였다. 저서에 ≪오리집≫, ≪오리일기≫가 있다.)
  • 유리 (羐里) : 중국 은나라 때의 감옥. 은나라의 주왕(紂王)이 주나라의 문왕(文王)을 가두었던 곳인데, 전하여 옥사(獄舍)나 뇌옥(牢獄)의 뜻으로도 쓰인다.
  • 육리 (陸里) : 야드파운드법에 의한 거리의 단위. 1육리는 약 1.6km에 해당한다. 기호는 mil.
  • 읍리 (邑里) : 읍내에 속한 리(里).
  • 이갑 (里甲) : 중국 명나라 때 시행한 부역법(賦役法)과 그에 따른 촌락의 자치적 행정 조직. 110호(戶)를 1리(里)로 하고 그 가운데 부유한 10호를 이장 호(里長戶)로 지정하고, 나머지 100호는 갑수 호(甲首戶)라 하여 10갑(甲)으로 나누어, 이장이 1년씩 번갈아 조세를 징수하고 조세 대장과 호적부의 작성 및 치안 유지 따위를 맡았다. 청나라에도 계승되었으나 후에 보갑제로 고쳤다.
  • 이거 (里居) : 벼슬을 그만두고 시골에서 삶. 또는 그런 사람.
  • 이거 (里居) : 시골 주소.
  • 이락 (里落) : 주로 시골에서, 여러 집이 모여 사는 곳.
  • 이려 (里閭) : 동네 어귀에 세운 문.
  • 이리 (異里) : 자기 고향이 아닌 고장.
  • 이리 (裡里) : 전라북도에 있던 시. 1995년 5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익산군과 합쳐져 익산시가 신설되면서 폐지되었다.
  • 이문 (里門) : 동네 어귀에 세운 문.
  • 이민 (里民) : 동리의 주민.
  • 이사 (里社) : 마을에서 지신(地神)을 위하여 마련한 집.
  • 이서 (里胥) : 촌락의 하급 관리.
  • 이속 (里俗) : 마을의 풍속.
  • 이수 (里數) : 거리를 '리(里)'의 단위로 나타낸 수.
  • 이숙 (里塾) : 마을 안에 있는 글방.
  • 이인 (里人) : 마을 사람.
  • 이인 (里仁) : 인심이 어질고 아름다운 풍속이 행해지는 고장.
  • 이임 (里任) : 조선 시대에, 지방의 동리에서 호적에 관한 일과 그 밖의 공공사무를 맡아보던 사람.
  • 이장 (里長) : 조선 시대에, 지방의 동리에서 호적에 관한 일과 그 밖의 공공사무를 맡아보던 사람.
  • 이재 (里宰) : 조선 시대에, 지방의 동리에서 호적에 관한 일과 그 밖의 공공사무를 맡아보던 사람.
  • 이정 (里丁) : 나이가 젊고 기운이 좋은 마을의 남자.
  • 이정 (里程) : 어떤 곳으로부터 다른 곳까지 이르는 거리의 이수(里數).
  • 이정 (里正) : 조선 시대에, 지방 행정 조직의 최말단인 이(里)의 책임자. 수령의 통제를 받는 면임(面任)의 아래 직위이며 다섯 집을 통괄하는 통주(統主)의 위인데, 조선 후기에 들어서 낮은 신분의 사람들이 임명되기도 하여 이정(里丁)이라고도 하였다.
  • 이중 (里中) : 동리(洞里)의 안.
  • 이징 (里徵) : 지방 벼슬아치가 공금을 사사로이 썼거나 납세 의무자가 없어졌을 때, 그것을 이민(里民)에게 강제로 대신 물리던 일.
  • 이항 (里巷) : 마을의 거리.
  • 이허 (里許) : 십 리쯤 됨. 또는 십 리쯤 되는 곳.
  • 이회 (里會) : 동네의 일을 의논하는 모임.
  • 이후 (里堠) : 이정(里程)을 표시하기 위하여 쌓던, 조금 높직한 평지.
  • 인리 (仁里) : 풍속이 아름다운 시골.
  • 인리 (鄰里) : 이웃 마을.
  • 인리 (人里) : 사람이 많이 사는 동네.
  • 일리 (一里) : 한 마을의 전체. 또는 온 동네.
  • 재리 (梓里) : 예전에, 뽕나무와 가래나무를 심었던 데서 고향을 이르는 말.
  • 전리 (田里) : 자기가 태어나서 자란 곳.
  • 정리 (程里) : 어떤 곳으로부터 다른 곳까지 이르는 거리의 이수(里數).
  • 주리 (州里) : 큰 도시에서 떨어져 있는 시골이나 마을.
  • 척리 (戚里) : 임금의 외척이 모여 사는 곳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외척을 이르는 말.
  • 촌리 (村里) : 주로 시골에서, 여러 집이 모여 사는 곳.
  • 타리 (他里) : 자기가 사는 동리 이외의 동리.
  • 하리 (下里) : 아래쪽에 있는 마을. 다른 마을의 아래쪽이나 중심권에서 먼 쪽, 지대가 낮은 곳을 이른다.
  • 해리 (海里) : 거리의 단위. 바다 위나 공중에서 긴 거리를 나타낼 때 쓴다. 1해리는 1,852미터에 해당하나 나라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배의 속도를 표시할 때는 시속 1해리를 1노트(knot)로 한다. 기호는 n mile.
  • 향리 (鄕里) : 자기가 태어나서 자란 곳.
  • 가리산 (加里山) : 강원도 홍천군 두촌면과 춘천시 동면 사이에 있는 산. 태백산맥에 속하며 소양강이 시작하는 곳이다. 높이 1,051미터.
  • 고고리 (姑姑里) : 중국 원나라 때에, 부인들이 나들이할 때 머리에 쓰던 관(冠). 우리나라에 전해져 족두리의 원형(原形)이 되었다고 한다.
  • 곤리도 (昆里島) :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면 곤리에 있는 섬. 연안 일대는 부근 바다에서 행하는 수산업의 중심지이며, 특히 굴과 김의 양식이 활발하다. 면적은 11.9㎢.
  • 곶리도 (串里島) : 전라북도 군산시에 속하는 섬. 면적은 1.21㎢.
  • 관십리 (官十里) : 관가에서 정한 십 리. 보통 십 리보다 조금 가깝다.
  • 관오리 (官五里) : 관가에서 정한 오 리. 보통 오 리보다 조금 가깝다.
  • 구만리 (九萬里) : 아득하게 먼 거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굴포리 (屈浦里) : 함경북도 웅기에 있는 구석기 시대의 유적지. 1963년에 3만 년 전의 유물인 붉은 간 토기, 방추차와 함께 다수의 뗀석기 및 석기 제작지가 발견되었다.
  • 궐리가 (闕里歌) : 조선 중기에 지어졌다고 추정되는 가사(歌辭). 착한 일을 권장하는 내용으로, 윤리와 도덕을 후학(後學)에게 일깨우고자 한 작품이다. 작가는 조식이라고 기록된 사본과 이황이라고 기록된 사본이 있어 분명하지 않다.
  • 기리거 (記里車) : 조선 시대에, 거리를 재던 수레. 세종 때 만든 것으로, 십 리를 지나면 자동적으로 목인(木人)이 나와 북을 치는 장치가 되어 있다.
  • 누리개 (累里介) : 수평재나 경사재의 위 끝이 들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눌러 대는 나무.
  • 달리도 (達里島) :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동에 속하는 섬. 면적은 2.34㎢.
  • 도리고 (道里攷) : 조선 시대에, 서울을 중심으로 하여 각 방면으로 통하는 본선 도로 및 중간에서 갈라지는 지선 도로의 이수(里數)를 나타낸 책. 1책.
  • 도리표 (道里表) : 예전에, '이정표'를 이르던 말. (이정표: 육로의 이정을 기록한 일람표.)
  • 도설리 (都薛里) : 조선 시대에, 내시부에 속하여 궁궐의 음식을 주관하는 일을 맡아보던 설리들의 우두머리.
  • 도섭리 (都薛里) : → 도설리. (도설리: 조선 시대에, 내시부에 속하여 궁궐의 음식을 주관하는 일을 맡아보던 설리들의 우두머리.)
  • 도입리 (道入里) : → 도드리. '도드리'를 한자를 빌려서 쓴 말이다. (도드리: 농악 십이채의 셋째 가락의 이름., → 도드리장단.)
  • 동리계 (洞里契) : 동네의 일을 위하여 동네 사람이 모으는 계.
  • 동리형 (洞里刑) : 마을의 이름으로 주던 형벌.
  • 마을리 (마을里) : 한자 부수의 하나. '重', '野' 따위에 쓰인 '里'를 이른다.
  • 만리경 (萬里鏡) : 두 개 이상의 볼록 렌즈를 맞추어서 멀리 있는 물체 따위를 크고 정확하게 보도록 만든 장치.
  • 만리마 (萬里馬) : 하루에 만 리를 달리는 말이라는 뜻으로, 천리마보다 훨씬 빨리 달리는 말임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 만리성 (萬里城) : 매우 긴 성.
  • 만리수 (萬里愁) : 끝없는 시름.
  • 만리화 (萬里花) : 물푸레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1.5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끝이 뾰족한 달걀 모양이다. 봄에 노란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10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금강산, 설악산 등지에 분포한다.
  • 만리후 (萬里侯) : 왕도(王都)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봉해진 제후(諸侯).
  • 만주리 (滿洲里) : → 만저우리. (만저우리: 몽골과 러시아 국경 가까이에 있는 도시. 시베리아 철도에 이어지는 빈저우 철도(濱洲鐵道)의 종점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里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