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20일 월요일

한자 慳에 관한 단어는 모두 15개

한자 慳에 관한 단어는 모두 15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慳에 관한 단어는 모두 15개

  • 가린 (慳吝) : '가린하다'의 어근. (가린하다: 아니꼬울 만큼 몹시 인색하다.)
  • 간결 (慳結) : 자기의 신명과 재물을 아끼는 마음. 이 마음이 사람을 결박하여 해탈을 방해하므로 '결(結)'이라 한다.
  • 간린 (慳吝) : 칠죄종(七罪宗)의 하나. 하는 짓이 소심하고 인색함을 이른다.
  • 간법 (慳法) : 교법(敎法)을 아껴 남에게 알려 주지 않거나 베풀지 않는 마음.
  • 간심 (慳心) : 인색한 마음.
  • 간자 (慳者) : 간악하고 무자비한 사람.
  • 간탐 (慳貪) : '간탐하다'의 어근. (간탐하다: 몹시 인색하고 욕심이 많다.)
  • 이간 (二慳) : 재간(財慳)과 법간(法慳)을 아울러 이르는 말. 재간은 재물을 아껴 남에게 주지 못하는 인색함이고, 법간은 부처의 교법을 아껴 남에게 가르치지 않는 인색함이다.
  • 가린스레 (慳吝스레) : 다랍고 인색하게.
  • 가린하다 (慳吝하다) : 아니꼬울 만큼 몹시 인색하다.
  • 간린스레 (慳吝스레) : '가린스레'의 원말. (가린스레: 다랍고 인색하게.)
  • 간탐하다 (慳貪하다) : 몹시 인색하고 욕심이 많다.
  • 가린스럽다 (慳吝스럽다) : 다랍고 인색하다.
  • 가린주머니 (慳吝주머니) : 재물에 인색한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간린스럽다 (慳吝스럽다) : '가린스럽다'의 원말. (가린스럽다: 다랍고 인색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慳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輛에 관한 단어는 모두 27개

한자 輛에 관한 단어는 모두 2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輛에 관한 단어는 모두 27개

  • 량 (輛) : 전철이나 열차의 차량을 세는 단위.
  • 거량 (車輛) : → 차량. (차량: 도로나 선로 위를 달리는 모든 차를 통틀어 이르는 말., 열차의 한 칸.)
  • 차량 (車輛) : 도로나 선로 위를 달리는 모든 차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차량세 (車輛稅) : 예전에, 각종 차량에 매겼던 지방세.
  • 무한궤도 차량 (無限軌道車輛) : 차체 양측에 하나씩 달린 두 개의 무한궤도 위를 달리는 차량. 탱크, 장갑차, 불도저 따위가 있다.
  • 캐터필러 차량 (caterpillar車輛) : 차체 양측에 하나씩 달린 두 개의 무한궤도 위를 달리는 차량. 탱크, 장갑차, 불도저 따위가 있다.
  • 적외선식 차량 감지기 (赤外線式車輛感知機) : 차량의 엔진에서 방출되는 높은 온도의 적외선을 감지함으로써 통과 차량을 검출하는 방식의 차량 감지기.
  • 군용 차량 (軍用車輛) : 군사적 목적으로 쓰는 자동차나 열차.
  • 긴급 차량 (緊急車輛) : 소방용 또는 구급용 자동차나 그 외에 법령이 정하는 자동차로서 긴급 용무를 위하여 법령에 정해진 규정에 따라 운행하는 차량. 사이렌을 울리고 적색 및 녹색의 점멸등을 설치한다. 도로 교통법상의 각종 특례를 받을 수 있다.
  • 내연 차량 (內燃車輛) : 내연 기관을 원동기로 하는 차량.
  • 설계 차량 (設計車輛) : 도로 설계의 기초를 위하여 설정하는 개념적 차량. 일반적으로 소형 자동차ㆍ보통 자동차ㆍ세미트레일러 연결차의 세 종류가 있으며, 각각 주행 속도ㆍ회전 반경ㆍ가감속 특성 따위에 대한 표준화된 자료를 가지고 있어 도로의 기하 구조를 설계할 때 고려 대상이 된다.
  • 장갑 차량 (裝甲車輛) : 적의 총포 공격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차체를 강철판으로 덧씌운 차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전차, 장갑 인원 수송차, 장갑 열차 따위가 있다.
  • 전투 차량 (戰鬪車輛) : 군인들이 탑승한 채로 전투를 벌일 수 있게끔 만든 장갑(裝甲) 또는 비(非)장갑 차량.
  • 차량 공업 (車輛工業) : 철도 차량 공업을 일반적으로 이르는 말. 주문 생산을 하며, 자동차 공업과 같은 조립 공업이다.
  • 차량 공학 (車輛工學) : 기관차와 객화차의 구조 및 운영에서 나오는 기술적인 문제들과 그 이용률을 최대한으로 높이는 문제들을 연구하는 학문. 공학의 한 분야이다.
  • 차량 도선 (車輛渡船) : 특정한 항로로 화물을 실은 채 차량을 운반하는 배.
  • 차량 저울 (車輛저울) : 선로로 나르는 짐을 차량째로 재는 저울. 저울의 짐판은 선로 밑에, 저울 기구들은 그 밑의 홈에 있으며 계량하는 곳은 선로 옆에 있다.
  • 차량 진동 (車輛振動) : 차량과 선로, 차량과 차량, 기계 설비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역학적 진동. 대상에 따라 주행부 용수철의 윗부분 진동과 아랫부분 진동, 그리고 차체의 휨 진동이 있다.
  • 차량 한계 (車輛限界) : 철도에서, 차량의 각 부분이 궤도의 바깥 공간을 침범하지 아니하도록 규정한 한계.
  • 철도 차량 (鐵道車輛) : 철도 선로 위에서 여객 또는 화물의 운수에 쓰는 차량. 동력차, 여객차, 화차로 나눈다.
  • 첨단 차량 (尖端車輛) : 각종 자동화 조작 장치와 컴퓨터 단말기, 통신 장비 따위를 갖추어 좀 더 안전하고 편안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
  • 특수 차량 (特殊車輛) : 어떤 특수한 활동에 적당한 차체와 장비를 갖춘 차량. 공수(空輸) 후차(後車), 파괴차, 설상차(雪上車), 트랙터 따위가 있다.
  • 차량 감지기 (車輛感知機) : 도로의 정체 감시와 신호의 적절한 제어를 위하여 길 위에 설치하는 기기.
  • 차량 단말기 (車輛端末機) : 차량의 위치 파악, 교통 정보의 수신, 진행 경로의 표현 등 운전자의 주행에 편의를 주기 위하여 차량 내에 설치하는 장치.
  • 차량 사무소 (車輛事務所) : 열차 운행, 열차 수송과 전 승무원의 배치 따위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곳. 지방 철도청에 소속된 기관으로 주로 큰 역에서 볼 수 있다.
  • 완전 무한궤도 차량 (完全無限軌道車輛) : 전차 따위와 같이 양측의 무한대나 무한궤도에 의하여 완전히 운전ㆍ조종되는 차량.
  • 차량 탑재 장치 (車輛搭載裝置) : 차량의 위치 파악, 교통 정보의 수신, 진행 경로의 표현 등 운전자의 주행에 편의를 주기 위하여 차량 내에 설치하는 장치.


https://dict.wordrow.kr에서 輛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儈에 관한 단어는 모두 8개

한자 儈에 관한 단어는 모두 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儈에 관한 단어는 모두 8개

  • 가쾌 (家儈) : 집 흥정을 붙이는 일을 직업으로 가진 사람.
  • 괴부 (儈夫) : 물품의 매매를 중개하는 상인.
  • 시쾌 (市儈) : 예전에, 장에서 흥정 붙이는 일을 직업으로 하던 사람.
  • 아쾌 (牙儈) : 사고파는 사람 사이에 들어 흥정을 붙이는 일을 하는 사람.
  • 여쾌 (女儈) : 중매하는 여자.
  • 장쾌 (駔儈) : 예전에, 장판마다 돌아다니며 과일이나 나무 따위의 흥정을 붙이고 돈을 받던 사람.
  • 쾌우 (儈牛) : 소를 사고팔 때, 중간에서 흥정을 붙이는 일.
  • 쾌우하다 (儈牛하다) : 소를 사고팔 때, 중간에서 흥정을 붙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儈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輝에 관한 단어는 모두 79개

한자 輝에 관한 단어는 모두 79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輝에 관한 단어는 모두 79개

  • 광휘 (光輝) : 눈부시게 훌륭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덕휘 (德輝) : 덕에서 나는 빛.
  • 명휘 (明輝) : 밝게 빛남. 또는 그런 물건.
  • 섬휘 (蟾輝) : 달 속에 있는 두꺼비의 빛이란 뜻으로, '달빛'을 이르는 말. (달빛: 달에서 비쳐 오는 빛.)
  • 성휘 (星輝) : 별의 반짝이는 빛.
  • 십휘 (十輝) : 서운관이나 관상감에서 햇빛이 변하는 상태를 관측하던 열 가지 방법. 침(祲), 상(象), 휴(鑴), 감(監), 암(闇), 맹(瞢), 미(彌), 서(叙), 제(隮), 상(想)을 이른다.
  • 안휘 (顔輝) : 중국 원나라의 화가(?~?). 자는 추월(秋月). 불교, 도교의 도상(圖像)과 귀신화에 능하였고, 힘찬 선과 어두운 색조가 특색이다. 작품에 <하마철괴도(蝦蟆鐵拐圖)> 따위가 있다.
  • 애휘 (愛輝) : → 아이후이. (아이후이: 중국 동북부, 헤이룽강(黑龍江) 유역의 도시. 교통망은 헤이룽강과 낙후된 도로로 이루어져 있지만, 넓은 지역의 상업 중심지이며 조그만 공장들도 많이 들어서 있다.)
  • 양휘 (揚輝) : 들어서 빛냄.
  • 여휘 (餘輝) : 나중에까지 남아 있는 빛.
  • 재휘 (再輝) : 탄소가 많은 강철을 7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천천히 식힐 때에, 붉은색이 줄다가 700℃ 정도에서 일시적으로 그 빛이 세어진 뒤 어두운 붉은색으로 변하는 현상.
  • 청휘 (晴暉/晴輝) : 맑은 날에 비치는 햇빛.
  • 휘광 (輝光) : 빛이 남. 또는 찬란한 빛.
  • 휘도 (輝度) : 광원(光源)의 단위 면적당 밝기의 정도. 단위는 제곱미터당 칸델라(㏅), 스틸브(Sb), 람베르트(Lambert) 따위를 쓴다.
  • 휘석 (輝石) : 철, 마그네슘, 칼슘 따위로 이루어진 규산염 광물. 사방 정계 또는 단사 정계에 속하며 검은색, 검은 녹색, 검은 갈색을 띠고 유리 광택이 있다. 조암 광물의 하나로 화성암 속에서 난다.
  • 휘선 (輝線) : 선 스펙트럼에서 밝게 빛나는 선.
  • 휘신 (輝燼) : 미리 자외선 따위로 자극하여 축광(蓄光)한 인광체(燐光體)에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을 비추면 일시적으로 휘도(輝度)가 증가하였다가 보통보다 빨리 축광량이 줄어드는 현상.
  • 휘암 (輝巖) : 휘석(輝石)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성암. 엷은 녹색 또는 어두운 녹색을 띤다.
  • 휘요 (輝耀) : 밝게 빛남.
  • 휘점 (輝點) : 브라운관의 형광면에 전자 빔이 닿아서 밝게 빛나는 부분. 휘점의 밝기는 전자 빔의 세기와 속도가 클수록 밝으며, 그 빛은 형광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 휘탄 (輝炭) : 석탄층 가운데에서 광택이 강한 부분의 석탄. 줄무늬 모양이며 주로 식물의 목질부(木質部)가 탄화(炭化)하여 이루어진다.
  • 휘황 (輝煌) : '휘황하다'의 어근. (휘황하다: 광채가 나서 눈부시게 번쩍이다., 행동이 온당하지 못하고 못된 꾀가 많아서 야단스럽기만 하고 믿을 수 없다.)
  • 김계휘 (金繼輝) : 조선 중기의 문신(1526~1582). 자는 중회(重晦). 호는 황강(黃岡). 명종 때 김홍도(金弘度)의 일파라 하여 쫓겨났으나 복직하여 부승지, 전한(典翰), 직제학(直提學)을 지냈다.
  • 유봉휘 (柳鳳輝) : 조선 후기의 문신(1659~1727). 자는 계창(季昌). 호는 만암(晩菴). 문과에 급제한 후 벼슬이 이조 판서에 이르렀다. 1710년에는 군포(軍布)의 폐지를 건의하였으며, 연잉군(延礽君)의 왕세제 책봉에 반대하였다가 뒤에 반역죄로 몰려 죽었다.
  • 유휘암 (榴輝巖) : 석류석과 휘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변성암. 고압형(高壓型)의 변성대에서 나는 염기성암으로, 완정질의 알갱이 모양이다.
  • 이동휘 (李東輝) : 독립운동가(1872~1935). 호는 성재(誠齋). 대한 제국 육군 참령(參領)을 지냈다. 신민회 조직에 참여하였으며, 1919년에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총리에 취임하였으나, 이 무렵 공산당으로 전향하여 소련으로부터 받은 독립운동 자금을 고려 공산당 조직 기금으로 유용하여 사임했다.
  • 적휘공 (赤輝公) : 잉엇과의 민물고기. 큰 것은 몸의 길이가 1미터이고 약간 옆으로 납작하며, 대개 등은 검푸르고 배는 누르스름하다. 주둥이는 둔하고 입가에 두 쌍의 수염이 있다. 남미와 오스트레일리아, 마다가스카르섬을 제외한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 투휘석 (透輝石) : 칼슘과 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휘석. 단사 정계에 속하는 짧은 기둥 모양의 결정으로서, 초록색을 띠며 유리 광택이 있다. 반려암, 현무암의 중요한 구성 광물이다.
  • 휘동광 (輝銅鑛) : '휘동석'의 전 용어. (휘동석: 구리의 황화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사방 정계에 속하며 검은 회색을 띠고 금속광택이 있다. 흔히 덩이 모양이며 구리 광맥 가운데에서 산출되는데 구리의 중요한 원광(原鑛)이다.)
  • 휘동석 (輝銅石) : 구리의 황화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사방 정계에 속하며 검은 회색을 띠고 금속광택이 있다. 흔히 덩이 모양이며 구리 광맥 가운데에서 산출되는데 구리의 중요한 원광(原鑛)이다.
  • 휘록암 (輝綠巖) : 현무암과 같은 화학 조직을 가진 화강암질의 반심성암. 염기성 사장석과 보통 휘석(輝石)을 주성분으로 하는데, 입자가 거칠고 유리질이 적으며, 대개 어두운 초록색이나 잿빛 초록색을 띤다.
  • 휘불석 (輝沸石) : 단사 정계에 속하는 불석의 하나. 흔히 회색 또는 흰색을 띠고 갈라진 면은 진주광택이 난다. 금속 광맥이나 화강암 따위에서 줄기 모양을 이루고 있다.
  • 휘안광 (輝安鑛) : '휘안석'의 전 용어. (휘안석: 안티모니의 황화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사방 정계에 속하는 바늘 모양 또는 기둥 모양의 결정으로, 엷은 회색을 띠고 금속광택이 있으나 공기 중에 두면 차차 빛을 잃어 검은색으로 바뀐다. 안티모니의 원료 광석으로 쓴다.)
  • 휘안석 (輝安石) : 안티모니의 황화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사방 정계에 속하는 바늘 모양 또는 기둥 모양의 결정으로, 엷은 회색을 띠고 금속광택이 있으나 공기 중에 두면 차차 빛을 잃어 검은색으로 바뀐다. 안티모니의 원료 광석으로 쓴다.
  • 휘은광 (輝銀鑛) : '휘은석'의 전 용어. (휘은석: 황화 은(黃化銀)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등축 정계에 속하며 검은 회색을 띠고 금속광택이 있다. 열수 광상에서 나며 은의 원광으로 쓰인다.)
  • 휘은석 (輝銀石) : 황화 은(黃化銀)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등축 정계에 속하며 검은 회색을 띠고 금속광택이 있다. 열수 광상에서 나며 은의 원광으로 쓰인다.
  • 휘철광 (輝鐵鑛) : '휘철석'의 전 용어. (휘철석: 적철석의 하나. 결정면이 잘 발달하여 있고 구릿빛의 금속광택이 난다.)
  • 휘철석 (輝鐵石) : 적철석의 하나. 결정면이 잘 발달하여 있고 구릿빛의 금속광택이 난다.
  • 휘황히 (輝煌히) : 광채가 나서 눈부시게 번쩍이는 상태로.
  • 광휘로이 (光輝로이) : 눈이 부실 정도로 빛이 밝게.
  • 광휘롭다 (光輝롭다) : 눈이 부실 정도로 빛이 밝다.
  • 광휘하다 (光輝하다) : 환하고 아름답게 눈이 부시다.
  • 명휘하다 (明輝하다) : 밝게 빛나다.
  • 봉필생휘 (蓬蓽生輝) : 누추한 집을 빛내 준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에 귀한 손이 찾아옴을 이르는 말.
  • 양휘산법 (楊輝算法) : 중국 남송(南宋)의 수학자 양휘(楊輝)가 지은 수학책. 조선 세종 15년(1433)에 경주에서 간행한 책이 남아 있다. 7권.
  • 양휘하다 (揚輝하다) : 들어서 빛내다.
  • 연하일휘 (煙霞日輝) : 안개와 노을과 빛나는 햇살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자연 경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휘광하다 (輝光하다) : 빛이 나다.
  • 휘수연광 (輝水鉛鑛) : '휘수연석'의 전 용어. (휘수연석: 몰리브데넘의 황화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육방 정계에 속하는 판(板) 모양 또는 비늘 모양의 결정을 이루며 연한 회색을 띠고 금속광택이 있다. 페그마타이트 또는 열수 광상(熱水鑛床) 따위에서 나며 몰리브데넘의 중요한 원광으로 쓰인다.)
  • 휘수연석 (輝水鉛石) : 몰리브데넘의 황화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육방 정계에 속하는 판(板) 모양 또는 비늘 모양의 결정을 이루며 연한 회색을 띠고 금속광택이 있다. 페그마타이트 또는 열수 광상(熱水鑛床) 따위에서 나며 몰리브데넘의 중요한 원광으로 쓰인다.
  • 휘요하다 (輝耀하다) : 밝게 빛나다.
  • 휘창연광 (輝蒼鉛鑛) : '휘창연석'의 전 용어. (휘창연석: 비스무트의 황화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사방 정계에 속하며 대부분 바늘 모양의 결정을 이룬다. 회백색을 띠고 금속광택이 있다.)
  • 휘창연석 (輝蒼鉛石) : 비스무트의 황화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사방 정계에 속하며 대부분 바늘 모양의 결정을 이룬다. 회백색을 띠고 금속광택이 있다.
  • 휘황찬란 (輝煌燦爛) : '휘황찬란하다'의 어근. (휘황찬란하다: 광채가 나서 눈부시게 번쩍이다., 행동이 온당하지 못하고 못된 꾀가 많아서 야단스럽기만 하고 믿을 수 없다.)
  • 휘황하다 (輝煌하다) : 광채가 나서 눈부시게 번쩍이다.
  • 휘록각섬암 (輝綠角閃巖) : 휘록암의 동력 변성 작용으로 생긴 각섬암.
  • 휘록응회암 (輝綠凝灰巖) : 제3기 이전의 지층에서 나는 염기성의 응회암.
  • 휘안티몬광 (輝Antimon鑛) : '휘안티몬석'의 전 용어. (휘안티몬석: 안티모니의 황화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사방 정계에 속하는 바늘 모양 또는 기둥 모양의 결정으로, 엷은 회색을 띠고 금속광택이 있으나 공기 중에 두면 차차 빛을 잃어 검은색으로 바뀐다. 안티모니의 원료 광석으로 쓴다.)
  • 휘안티몬석 (輝Antimon石) : 안티모니의 황화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사방 정계에 속하는 바늘 모양 또는 기둥 모양의 결정으로, 엷은 회색을 띠고 금속광택이 있으나 공기 중에 두면 차차 빛을 잃어 검은색으로 바뀐다. 안티모니의 원료 광석으로 쓴다.
  • 휘코발트광 (輝cobalt鑛) : '휘코발트석'의 전 용어. (휘코발트석: 황, 비소, 코발트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등축 정계에 속하는 육면체 또는 정팔면체의 결정을 이루며 은백색을 띠고 금속광택이 있다. 코발트의 원광(原鑛)이며 청색 물감의 재료로 쓰인다.)
  • 휘코발트석 (輝cobalt石) : 황, 비소, 코발트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등축 정계에 속하는 육면체 또는 정팔면체의 결정을 이루며 은백색을 띠고 금속광택이 있다. 코발트의 원광(原鑛)이며 청색 물감의 재료로 쓰인다.
  • 휘황찬란하다 (輝煌燦爛하다) : 광채가 나서 눈부시게 번쩍이다.
  • 후이현 고묘 (Hui[輝]縣古墓) : 중국 허난성(河南省) 후이현에 있는 전국 시대의 고분군(古墳群). 1930년경부터 전국 시대의 유물이 출토되어 널리 알려졌다.
  • 휘수연 정광 (輝水鉛精鑛) : 황화 몰리브데넘 광물을 이르는 말.
  • 고동 휘석 (古銅輝石) : 규산 고토와 규산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규산염 광물. 사방 정계에 속하며, 안산암ㆍ반려암ㆍ현무암 따위에 포함되어 있고, 옅은 갈색을 띠며 구릿빛 광택이 난다.
  • 단사 휘석 (單斜輝石) : 단사 정계(單斜晶系)에 속하는 휘석을 통틀어 이르는 말.
  • 배경 휘도 (背景輝度) : 관측되고 있는 표적과 대비되는 바탕의 밝기.
  • 비취 휘석 (翡翠輝石) : 나트륨과 알루미늄의 규산염으로 이루어진 휘석. 단사 정계에 속하며 흰색, 푸른색, 보라색 따위를 띤다. 고압(高壓)으로 생긴 변성암 가운데서 난다.
  • 사방 휘석 (斜方輝石) : 사방 정계에 속하는 광물 가운데 칼슘, 알루미늄, 망가니즈를 함유하지 않은 휘석을 통틀어 이르는 말. 완화 휘석, 고동 휘석, 자소 휘석 따위가 있다.
  • 완화 휘석 (頑火輝石) :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규산염 광물. 사방 정계(斜方晶系)에 속하는 사방 휘석의 하나로 흔히 규산 철을 함유한다. 가는 바늘 모양이나 실 모양으로 누런색, 회색, 녹색 따위를 띠며 변성암이나 인석 가운데 들어 있다.
  • 자소 휘석 (紫蘇輝石) : 철과 마그네슘의 규산염 광물로 이루어진 사방 휘석(斜方輝石). 사방 정계(斜方晶系)에 속하는 기둥 모양의 결정으로, 검은 갈색 또는 검은색을 띠며 금속광택이 있다. 화성암이나 심성암 따위에서 나는데, 사방 휘석 가운데 가장 흔한 종류이다.
  • 장미 휘석 (薔薇輝石) : 망가니즈와 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규산염 광물. 삼사 정계에 속하며, 진한 붉은색의 유리 광택이 난다. 대부분 덩어리 모양으로 표면은 풍화(風化)하여 검은 갈색이나 검은색을 띠며, 주로 망가니즈 광상 중에서 난다.
  • 청동 휘석 (靑銅輝石) : 사방 정계에 속하는 휘석의 하나. 짧은 기둥 모양의 결정으로 짙은 녹색을 띠며, 청동 광택이 있다. 완화 휘석과 자소 휘석의 중간 변종이다.
  • 회철 휘석 (灰鐵輝石) : 철이 들어 있는 휘석의 하나.
  • 휘도 신호 (輝度信號) : 화상(畫像)의 밝기만을 제어하는 컬러텔레비전 신호.
  • 광휘 열처리 (光輝熱處理) : 금속을 진공이나 보호 가스 속에서 달군 다음 천천히 식히는 열처리. 열처리 과정에서 금속이 산화되는 것을 막고 금속 겉면의 윤기를 보존하기 위하여 한다.
  • 휘석 안산암 (輝石安山巖) : 휘석과 사장석(斜長石)을 주성분으로 하는 안산암. 녹색을 띠며 토목 및 건축용 석재(石材)로 쓰인다.
  • 휘선 스펙트럼 (輝線spectrum) : 원자나 이온이 빛을 낼 때에 가느다란 선으로 이루어지는 스펙트럼. 원자마다 고유의 독특한 선 스펙트럼이 있는데, 원자가 어떤 에너지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옮길 때에 생기며, 이로부터 원소의 종류ㆍ에너지 준위의 위치 및 성질을 알 수 있다.
  • 자동 휘도 조절 회로 (自動輝度調節回路) : 주위의 밝기에 따라 브라운관의 휘도(輝度)를 자동적으로 바꾸기 위한 회로. 주로 텔레비전 수상기에 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輝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