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31일 금요일

한자 路에 관한 단어는 모두 989개

한자 路에 관한 단어는 모두 989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路에 관한 단어는 모두 989개

  • 노 (路)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개성(開城), 태원(太原) 등이 현존한다.
  • 로 (路) : '큰 도로를 가운데 둔 동네'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가로 (街路) : 시가지의 넓은 도로. 일반적으로 교통안전을 위하여 차도(車道)와 보도(步道)로 구분되어 있다.
  • 간로 (間路) : → 샛길. (샛길: 사이에 난 길., 큰길에서 갈라져 나간 작은 길. 또는 큰길로 통하는 작은 길.)
  • 개로 (開路) : 길을 틈.
  • 객로 (客路) : 여행하는 길. 또는 나그네가 가는 길.
  • 갱로 (坑路) : 광산에서, 갱 안에 뚫어 놓은 길. 사람이 드나들며, 광석이나 자재를 나르거나 바람을 통하게 하는 데 쓴다.
  • 거로 (去路) : 떠나가는 길.
  • 경로 (經路) : 지나는 길.
  • 경로 (徑路) : 폭이 좁은 호젓한 길.
  • 계로 (季路) : '자로'의 다른 이름. (자로: 중국 춘추 시대 노나라의 유학자(B.C.543~B.C.480). 성은 중(仲). 이름은 유(由). 자로는 자. 공자의 제자로 십철(十哲)의 한 사람으로 정사(政事)에 뛰어났으며 공자를 제일 잘 섬겼다고 한다.)
  • 계로 (溪路/谿路) : 산골에 난 길.
  • 공로 (孔路) : 사람이 많이 다니는 큰길.
  • 공로 (攻路) : 공격하여 나가는 길. 또는 공격하기 위하여 만든 길.
  • 공로 (空路) : 일정하게 운항하는 항공기의 지정된 공중 통로.
  • 공로 (公路) : 많은 사람과 차가 다니는 큰길.
  • 과로 (過路) : 지나가는 길.
  • 관로 (官路) : 예전에, 국가에서 관리하던 간선길.
  • 관로 (管路) : 물이나 가스 따위의 유체가 흐르는 관. 수도관, 가스관, 송유관 따위가 있다.
  • 광로 (光路) : 빛이 지나가는 길. 굴절률과 거리의 곱으로 나타낸다.
  • 구로 (舊路) : 예전부터 있던 길을, 새로 낸 길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구로 (衢路) : 네거리나 갈림길을 이르는 말.
  • 궤로 (軌路) : 기차나 전차의 바퀴가 굴러가도록 레일을 깔아 놓은 길.
  • 귀로 (歸路) : 돌아오는 길.
  • 규로 (逵路) : 아홉 방향으로 통하는 길이라는 뜻으로, 사방으로 통하는 큰길을 이르는 말.
  • 근로 (近路) : 가까운 길.
  • 급로 (汲路) : 물을 길어 나르는 길.
  • 기로 (岐路) : 여러 갈래로 갈린 길.
  • 난로 (難路) : 험한 길.
  • 남로 (南路) : 경기도 이남의 충청도와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를 통틀어 이르는 말.
  • 노거 (路車) : 제후(諸侯)가 타고 다니던 수레.
  • 노견 (路肩) : → 갓길. (갓길: 고속 도로나 자동차 전용 도로 따위에서 자동차가 달리는 도로 폭 밖의 가장자리 길. 위급한 차량이 지나가거나 고장 난 차량을 임시로 세워 놓기 위한 길이다.)
  • 노고 (路鼓) : 국악에서 쓰는 아악기의 하나. 붉은 칠을 한 긴 북 두 개를 포개어 가자(架子)에 건 사면고(四面鼓)이다. 음악의 매 악절 끝에 두 번씩 쳐서 박자를 맞추며, 인신(人神)의 제사인 문묘(文廟)와 선농(先農) 따위에 쓰였다.
  • 노곤 (路困) : 먼 길에 지치고 시달려서 생긴 피로나 병.
  • 노기 (路岐) : 여러 갈래로 갈린 길.
  • 노도 (路鼗) : 국악기의 하나. 몸통이 긴 작은북 두 개를 십자형으로 자루에 꿴 것으로, 각 북의 허리 양쪽에 가죽끈을 매달아 자루를 돌릴 때마다 끈이 북에 부딪쳐 소리를 낸다. 자루 꼭대기에는 활짝 핀 연꽃 위에 나는 새를 앉혔다.
  • 노독 (路毒) : 먼 길에 지치고 시달려서 생긴 피로나 병.
  • 노두 (路頭) : 사람이나 차가 많이 다니는 길.
  • 노등 (路燈) : 길거리에 설치한 등.
  • 노류 (路柳) : 길가의 버들.
  • 노마 (路馬) : 임금이 타는 수레를 끌던 말.
  • 노면 (路面) : 길의 바닥 표면.
  • 노문 (路文) : 조선 시대에, 공무로 지방에 가는 벼슬아치의 도착 예정일을 미리 그곳 관아에 알리던 공문. 지방에 가는 벼슬아치에게 각 지방의 역에서 말과 침식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마패 대신 발급하였는데, 여기에는 마필의 수, 수행하는 종의 수, 노정 따위를 상세히 기록하였다.
  • 노문 (路門) : 대궐의 삼문(三門) 가운데 가장 안쪽에 있는 궁문(宮門).
  • 노반 (路盤) : 도로를 포장하기 위하여 땅을 파고 잘 다져 놓은 땅바닥.
  • 노방 (路傍) : 길의 양쪽 가장자리.
  • 노변 (路邊) : 길의 양쪽 가장자리.
  • 노비 (路費) : 먼 길을 떠나 오가는 데 드는 비용.
  • 노상 (路上) : 길의 바닥 표면.
  • 노상 (路床) : 표층과 노반(路盤)을 통하여 확대된 면적에 분포하는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아랫부분.
  • 노선 (路線) : 개인이나 조직 따위가 일정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지향하여 나가는 견해의 방향이나 행동 방침.
  • 노수 (路需) : 먼 길을 떠나 오가는 데 드는 비용.
  • 노순 (路順) : 가야 할 길의 순서.
  • 노실 (路室) : 나그네를 치거나 묵게 하는 집.
  • 노용 (路用) : 먼 길을 떠나 오가는 데 드는 비용.
  • 노인 (路人) : 위만 조선 우거왕 때의 재상(?~?). 조선상(朝鮮相)의 관직을 지냈으며 한 무제의 군대가 조선을 침략했을 때 주화론(主和論)을 주장하였다.
  • 노인 (路引) : 조선 시대에, 관아에서 병졸(兵卒)이나 보통 장사하는 사람 또는 외국인에게 내주던 여행권.
  • 노인 (路人) : 길에 오가는 사람.
  • 노자 (路資) : 먼 길을 떠나 오가는 데 드는 비용.
  • 노장 (路葬) : 죽은 미혼 남녀의 혼령이 악귀가 되어 나타나 화를 미치게 하는 일이 없도록 그 시체를 사람의 왕래가 많은 길에 묻는 일.
  • 노전 (路奠) : 발인할 때에, 문 앞에서 지내는 제사.
  • 노전 (路錢) : 먼 길을 떠나 오가는 데 드는 비용.
  • 노정 (路頂) : 길바닥에서 가장 높이 솟은 부분.
  • 노정 (路程) : 목적지까지의 거리. 또는 목적지까지 걸리는 시간.
  • 노제 (路祭) : 발인할 때에, 문 앞에서 지내는 제사.
  • 노중 (路中) : 길을 가는 중간.
  • 노차 (路車) : 제후(諸侯)가 타고 다니던 수레.
  • 노차 (路次) : 길의 가운데.
  • 노찬 (路饌) : 길을 오가는 동안 먹는 음식.
  • 노촌 (路村) : 도로를 따라 양쪽 또는 한쪽에 가옥이 모여 열상(列狀)의 형태를 나타내는 촌락. 자연조건에 의하여 이루어진 불규칙적인 것과, 계획적으로 도로를 내고 토지를 경작하여 이루어진 것이 있다.
  • 노측 (路側) : 길의 양쪽 가장자리.
  • 노침 (路寢) : 천자, 제후 또는 임금의 정전(正殿).
  • 노폭 (路幅) : 길의 너비.
  • 노표 (路標) : 길 가는 사람의 편의를 위하여 도로의 뻗어 나간 방향이나 이정(里程) 따위를 표시하여 길가에 세운, 돌이나 나무로 된 푯말.
  • 농로 (農路) : 농사에 이용되는 길. 농가와 경지 사이 또는 경지와 경지 사이를 연결하여, 사람이나 차량이 다니고 비료나 수확물 따위를 운반하는 길을 이른다.
  • 누로 (淚路) : 눈물샘에서 분비된 눈물이 눈의 안쪽 눈구석으로 흐르는 통로.
  • 당로 (當路) : 정권을 잡음.
  • 대로 (大路) : 어떤 목적을 향하여 나아가는 활동의 큰 방향.
  • 도로 (逃路) : 도망쳐 달아나는 길.
  • 도로 (徒路) : 걸어서 가는 길.
  • 도로 (道路) : 사람, 차 따위가 잘 다닐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비교적 넓은 길.
  • 말로 (末路) : 사람의 일생 가운데에서 마지막 무렵.
  • 명로 (冥路) : 사람이 죽은 뒤에 간다는 영혼의 세계.
  • 목로 (木路) : 얕은 물에서 배가 다닐 만한 곳에 나뭇가지를 꽂아 표시한 뱃길.
  • 문로 (門路) : 임금의 수레가 드나드는 대궐 정문의 길.
  • 미로 (迷路) : 입구에서 목표물에 이르는 길에 막다른 골목을 만들어 놓고 인간이나 동물의 행동, 특히 학습 과정을 연구하는 장치.
  • 반로 (返路) : 어디를 갔다가 돌아오는 길.
  • 반로 (畔路) : 논두렁 위로 좁게 난 길.
  • 범로 (犯路) : 통행을 금한 길을 지나다님.
  • 벽로 (僻路) : 사람이 드물게 다니는, 외지고 으슥한 길.
  • 별로 (別路) : 헤어져 떠나는 길.
  • 북로 (北路) : 북쪽으로 가는 길.
  • 분로 (分路) : 여러 갈래로 갈린 길.
  • 사로 (射路) : 수목이 우거진 지역 따위에서 총포의 사격을 위하여 터놓은 통로.
  • 사로 (斜路) : 큰길에서 갈라져 빗나간 길.
  • 사로 (邪路) : 그릇되고 옳지 않은 길.
  • 사로 (仕路) : 벼슬아치 노릇을 하는 길.
  • 사로 (死路) : 막다른 길. 또는 죽음의 길.
  • 사로 (絲路) : 작은 길.


https://dict.wordrow.kr에서 路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