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18일 토요일

한자 礁에 관한 단어는 모두 33개

한자 礁에 관한 단어는 모두 33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礁에 관한 단어는 모두 33개

  • 초 (礁) : 물속에 잠겨 보이지 아니하는 바위나 산호.
  • 거초 (裾礁) : 섬이나 대륙에 가까운 얕은 바다에서 육지를 둘러싸듯 발달하는 산호초.
  • 노초 (露礁) : 바다 가운데에 수면 위로 솟아 나와 있는 암석.
  • 보초 (堡礁) : 육지에서 분리되어 해안을 따라 길게 발달한 고리 모양의 산호초. 이곳과 해안 사이에는, 초호라는 해수가 드나드는 호수가 있다.
  • 부초 (浮礁) : 목재 따위로 물속에 만들어 놓은 물고기의 서식처.
  • 사초 (沙礁/砂礁) : 물속에 쌓여 있는 모래 더미.
  • 암초 (暗礁) : 물속에 잠겨 보이지 아니하는 바위나 산호.
  • 어초 (漁礁) : 물고기가 많이 모여드는 유리한 조건을 갖춘 어장의 한 형태. 암초, 모래톱 따위의 자연적인 것으로 만들어진 경우와 블록, 암석, 폐선(廢船), 폐차(廢車) 따위를 바다에 가라앉혀 인공적으로 만드는 경우가 있다.
  • 어초 (魚礁) : 물고기들이 모여들고 번식하는 바다 밑의 도도록한 곳.
  • 이초 (離礁) : 항해 중에 암초에 걸린 배가 암초에서 떨어져 다시 뜸.
  • 자초 (自礁) : 스스로 배를 몰아 암초에 부딪치게 하거나 암초 위에 올라앉게 함.
  • 좌초 (坐礁) : 배가 암초에 얹힘.
  • 초석 (礁石) : 물속에 잠겨 보이지 아니하는 바위나 산호.
  • 초표 (礁標) : 바닷길의 안전을 위하여 암초 같은 곳에 세우는 경계표지.
  • 초호 (礁湖) : 산호초 때문에 섬 둘레에 바닷물이 얕게 괸 곳.
  • 환초 (環礁) : 고리 모양으로 배열된 산호초. 안쪽은 얕은 바다를 이루고 바깥쪽은 큰 바다와 닿아 있다. 주로 태평양과 인도양에 분포한다.
  • 대보초 (大堡礁) : 오스트레일리아 동북 해안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산호초 군락. 길이는 2,000km, 폭은 15~140km이며 면적은 34만 5400㎢이다. 산호해에 서식하는 진귀한 생물과 아름다운 풍경으로 유명하여 1975년에 해중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산호초 (珊瑚礁) : 산호충의 골격과 분비물인 탄산 칼슘이 퇴적되어 형성된 암초. 열대나 아열대의 얕은 바다에 형성된다.
  • 생물초 (生物礁) : 정착성 또는 군체(群體) 생물의 유해로 된, 큰 퇴적암의 구조. 거의가 산호류, 조류, 선태류, 해면류 따위의 유해이다.
  • 석화초 (石花礁) : 산호충의 골격과 분비물인 탄산 칼슘이 퇴적되어 형성된 암초. 열대나 아열대의 얕은 바다에 형성된다.
  • 유기초 (有機礁) : 산호, 조류(藻類), 이끼류, 해면(海綿) 따위와 같이 주로 바다에서 사는 고착성 생물들의 유해가 쌓여 형성된 작은 언덕과 같은 구조.
  • 환초호 (環礁湖) : 산호초 때문에 섬 둘레에 바닷물이 얕게 괸 곳.
  • 산호초항 (珊瑚礁港) : 환초의 내부 또는 보초와 육지 사이의 수면을 이용한 항구. 열대 지방에만 있다.
  • 이초하다 (離礁하다) : 항해 중에 암초에 걸린 배가 암초에서 떨어져 다시 뜨다.
  • 자초하다 (自礁하다) : 스스로 배를 몰아 암초에 부딪치게 하거나 암초 위에 올라앉게 하다.
  • 조초산호 (造礁珊瑚) : 산호초를 만드는 산호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돌산호목이다.
  • 좌초되다 (坐礁되다) : 배가 암초에 얹히게 되다.
  • 좌초하다 (坐礁하다) : 배가 암초에 얹히다.
  • 비키니 환초 (Bikini環礁) : 태평양 서부 마셜 제도 서북쪽에 있는 환초. 미국의 신탁 통치령으로, 1946~1958년 원자 폭탄ㆍ수소 폭탄의 실험장이 되었다. 면적은 5㎢.
  • 환초상 조직 (環礁狀組織) : 어떤 광물이 다른 광물 또는 광물군의 안쪽과 바깥쪽을 고리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는 상태.
  • 인공 어초 (人工魚礁) : 물고기가 많이 모이도록 하기 위하여 암석, 폐선(廢船), 콘크리트 블록 따위를 바닷속에 넣어 놓은 것.
  • 대상 산호초 (帶狀珊瑚礁) : 해안선을 따라 띠 모양으로 좁고 길게 이루어진 산호초.
  • 융기 산호초 (隆起珊瑚礁) : 해수면 위로 드러난 산호초. 해수면 아래에서 형성된 산호초가 지각 변동으로 인한 융기에 의하여 상승하여 생긴 것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礁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誇에 관한 단어는 모두 43개

한자 誇에 관한 단어는 모두 43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誇에 관한 단어는 모두 43개

  • 과공 (誇功) : 공로를 자랑함.
  • 과긍 (誇矜) : 뽐내고 자랑함.
  • 과대 (誇大) : 작은 것을 큰 것처럼 과장함.
  • 과부 (誇負) : 뽐내며 자부함.
  • 과상 (誇尙) : 뽐내듯이 행동함.
  • 과시 (誇示) : 자랑하여 보임.
  • 과언 (誇言) : 자만하며 말을 함. 또는 그 말.
  • 과장 (誇張) : 사실보다 지나치게 불려서 나타냄.
  • 과칭 (誇稱) : 사실보다 불려서 말함.
  • 교과 (驕誇) : 교만하게 뽐냄.
  • 긍과 (矜誇) : 뽐내고 자랑함.
  • 부과 (浮誇) : 실없이 들뜨고 과장함.
  • 자과 (自誇) : 스스로 과시하고 자랑함.
  • 허과 (虛誇) : 실상은 아무것도 없으면서 허풍을 치며 자랑함.
  • 과대광 (誇大狂) : 과대망상에 걸린 사람.
  • 과장기 (誇張氣) : 사실보다 지나치게 불려서 나타내려는 기색.
  • 과장법 (誇張法) : 사물을 실상보다 지나치게 과도하게 혹은 작게 표현함으로써 문장의 효과를 높이는 수사법. 예를 들면, '눈이 빠지도록 기다리고 있었다.' 따위가 있다.
  • 과장적 (誇張的) : 사실보다 지나치게 불려서 나타내는 것.
  • 과장증 (誇張症) : 병적으로 사실을 과장하는 증세.
  • 자과심 (自誇心) : 스스로 과시하고 자랑하려는 마음.
  • 과공하다 (誇功하다) : 공로를 자랑하다.
  • 과긍하다 (誇矜하다) : 뽐내고 자랑하다.
  • 과대광고 (誇大廣告) : 상품의 내용을 실제보다 과장하여 광고하는 일. 공정 거래법의 규제 대상이 된다.
  • 과대망상 (誇大妄想) : 사실보다 과장하여 터무니없는 헛된 생각을 하는 증상.
  • 과대하다 (誇大하다) : 작은 것을 큰 것처럼 과장하다.
  • 과부하다 (誇負하다) : 뽐내며 자부하다.
  • 과상하다 (誇尙하다) : 뽐내듯이 행동하다.
  • 과시하다 (誇示하다) : 사실보다 크게 나타내어 보이다.
  • 과언하다 (誇言하다) : 자만하며 말을 하다.
  • 과장되다 (誇張되다) : 사실보다 지나치게 불려서 나타나다.
  • 과장하다 (誇張하다) : 사실보다 지나치게 불려서 나타내다.
  • 과칭하다 (誇稱하다) : 뽐내어 말하다.
  • 교과하다 (驕誇하다) : 교만하게 뽐내다.
  • 긍과하다 (矜誇하다) : 뽐내고 자랑하다.
  • 부과하다 (浮誇하다) : 실없이 들뜨고 과장하다.
  • 자과하다 (自誇하다) : 스스로 과시하고 자랑하다.
  • 허과하다 (虛誇하다) : 실상은 아무것도 없으면서 허풍을 치며 자랑하다.
  • 과대망상광 (誇大妄想狂) : 사실보다 과장하여 터무니없는 헛된 생각을 하는 증상.
  • 과대망상증 (誇大妄想症) : 사실보다 과장하여 터무니없는 헛된 생각을 하는 증상.
  • 과장스럽다 (誇張스럽다) : 사실보다 지나치게 불려서 나타내는 듯하다.
  • 과장성 정신병질 (誇張性精神病質) : 실제보다 크게 보이고 싶어 하는 성격이 지나쳐서 발생하는 정신병. 자기를 남에게 인식시키기 위하여 건강이나 명예까지도 희생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 과시 효과 (誇示效果) : 소비 지출이 자신의 소득 수준에 따르지 아니하고 타인을 모방함으로써 늘어나게 되는 사회적ㆍ심리적 효과. 저축이 줄어드는 현상이 일어난다.
  • 자기 과시 (自己誇示) : 자기의 존재를 인정받기 위하여 남에게 자기를 과장하여 나타내는 심리적 경향.


https://dict.wordrow.kr에서 誇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戟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2개

한자 戟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2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戟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2개

  • 극 (戟) : 중국 고대의 무기. 과(戈)와 흡사한데 전국 시대에 많이 썼으며, 처음에는 청동제였으나 한나라 이후에는 철제였다. 의장용으로 많이 썼다.
  • 검극 (劍戟) : 칼과 창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교극 (交戟) : 창을 엇갈리게 맞댄다는 뜻으로, '싸움'을 이르는 말. (싸움: 싸우는 일.)
  • 극가 (戟架) : 창을 걸어 놓는 도구.
  • 극수 (戟手) : 화가 난 모양이나 용맹스럽고 위세가 있는 모양을 이르는 말.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을 펴고 사람을 가리키는 모양이 극(戟)과 비슷하여 생긴 말이다.
  • 극순 (戟盾) : 창과 방패를 아울러 이르는 말.
  • 극진 (戟塵) : 싸움터에서 이는 먼지나 티끌.
  • 극형 (戟形) : 식물의 잎이 창날처럼 된 모양. 메꽃의 잎 따위가 있다.
  • 당극 (幢戟) : 기(旗)가 달린 창(槍).
  • 대극 (大戟) : '「1」'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부종(浮腫), 적취(積聚) 따위에 쓴다.
  • 도극 (刀戟) : 칼과 창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병극 (兵戟) : 싸움에 쓰는 창이라는 뜻으로, '무기'를 이르는 말. (무기: 전쟁이나 싸움에 사용되는 기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 어떤 일을 하거나 이루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나 도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극 (刺戟) : 어떠한 작용을 주어 감각이나 마음에 반응이 일어나게 함. 또는 그런 작용을 하는 사물.
  • 전극 (電戟) : 번갯불처럼 번쩍이는 창(槍).
  • 지극 (持戟) : 창을 지님. 또는 그런 병사.
  • 파극 (巴戟) : 부조초의 뿌리를 말린 것. 뼈와 힘줄을 튼튼하게 한다.
  • 화극 (畫戟) : 색칠을 하거나 그림을 그려 넣은 창의 하나. 의장용으로 쓴다.
  • 대극과 (大戟科) : 쌍떡잎식물의 갈래꽃류의 한 과. 초본이나 목본으로 한국에 10속 21종이 있는데 전 세계에 약 280속 8,000여 종이 분포한다. 대극(大戟), 등대풀, 피마자 따위가 있다.
  • 도극경 (倒戟鯨) : 돌고랫과의 동물. 몸의 길이는 암컷이 7미터, 수컷이 10미터 정도이다. 몸빛은 등 쪽이 흑색이고 배 쪽이 흰색으로 그 경계가 뚜렷하며 눈 위, 등지느러미 뒤 및 몸 옆에 흰색의 무늬가 있다. 주둥이는 뭉뚝하며, 등지느러미는 곧게 서 있고 가슴지느러미발은 달걀 모양이다. 성질이 사납고 물고기, 다른 돌고래, 해양 포유류를 잡아먹는데 전 세계에 분포한다.
  • 방천극 (方天戟) : 언월도(偃月刀)나 창 모양으로 만든 옛날 중국 무기의 하나.
  • 색자극 (色刺戟) : 눈에 색의 지각을 생기게 하는 빛의 방사에 의한 자극. 눈에 들어오는 방사가 가진 분광 특성에 따라서 색을 감지한다.
  • 암대극 (巖大戟) :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40~8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피침 모양의 타원형이다. 5월에 황록색 꽃이 줄기 끝에 산형(繖形)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겉에 돌기가 있다. 독이 있으며 바닷가 바위틈에 나는데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자극량 (刺戟量) : 자극의 세기와 지속 시간의 곱.
  • 자극력 (刺戟力) : 감각이나 마음에 반응이 일어나게 하는 힘.
  • 자극물 (刺戟物) : 감각이나 마음에 반응이 일어나게 하는 물질.
  • 자극성 (刺戟性) : 일정한 외부의 작용에 반응을 일으키는 성질.
  • 자극소 (刺戟素) : 생리적인 필요에 따라 일정한 자극을 일으키게 하는 물질 성분.
  • 자극어 (刺戟語) : 연상 실험이나 반응 시간 연구에서 자극으로 사용하는 단어.
  • 자극역 (刺戟域) : 외부의 자극을 받아 감각하는 범위.
  • 자극역 (刺戟閾) : 감각을 일으키는 데에 필요한 최소의 자극량 또는 물리적 에너지.
  • 자극적 (刺戟的) : 자극하는 성질이 있는.
  • 자극정 (刺戟頂) : 유기체가 반응할 수 있는 자극의 최대치. 그 이상의 자극을 가하면 감각이 일어나지 않는다.
  • 자극제 (刺戟劑) : 사람의 기분이나 마음을 자극하여 분발하게 하는 사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극취 (刺戟臭) : 코에 작용하여 자극을 주는 냄새.
  • 파극천 (巴戟天) : 부조초의 뿌리를 말린 것. 뼈와 힘줄을 튼튼하게 한다.
  • 흰대극 (흰大戟) :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0~50cm이며, 줄기를 자르면 흰색의 즙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주걱 모양이다. 6~7월에 노란 꽃이 줄기 끝에 산형(繖形) 화서로 피고 열매는 둥근 모양의 삭과(蒴果)로 9월에 익는다. 뿌리는 약용한다. 들이나 바닷가에서 자라는데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 개지극당 (皆知戟幢) : 신라 때에, 창을 주로 사용하던 군대. 신문왕 10년(690)에 설치하였으며, 군인들 옷깃의 빛깔은 검정ㆍ빨강ㆍ하양의 세 가지였다.
  • 교극하다 (交戟하다) : '싸움하다'를 달리 이르는 말. 창을 엇갈리게 맞댄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싸움하다: 서로 싸우다.)
  • 극수하다 (戟手하다) : 화가 나다. 또는 용맹스러운 위세가 나다.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을 펴고 사람을 가리키는 모양이 극(戟)과 비슷하여 생긴 말이다.
  • 두메대극 (두메大戟) :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0~15cm이고 뭉쳐나며, 잎은 어긋난다. 6~7월에 꽃이 산형(繖形) 화서로 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표면에 혹 모양의 돌기가 있다. 독이 있으며 제주 특산종으로 산지(山地)에 난다.
  • 망극득모 (亡戟得矛) : 극(戟)을 잃고 모(矛)를 얻는다는 뜻으로, 물건 따위를 얻거나 잃는 데에 있어 그 이해를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방천화극 (方天畫戟) : 언월도(偃月刀)나 창 모양으로 만든 옛날 중국 무기의 하나.
  • 삼자극치 (三刺戟値) : 시료(試料)의 색광(色光)에 맞추기 위하여 혼합에 필요한 붉은색, 녹색, 푸른색의 세 가지 빛의 세기.
  • 성기전극 (星旗電戟) : 별처럼 무수한 깃발과 번쩍이는 창이란 뜻으로, 군대의 진용이 대단함을 이르는 말.
  • 자극기아 (刺戟飢餓) : 끊임없이 강한 자극을 추구하고 갈망하는 심적 상태.
  • 자극되다 (刺戟되다) : 외부에서 작용이 가해져 감각이나 마음에 반응이 일어나게 되다.
  • 자극성물 (刺戟性物) : 신경이나 감각 따위에 반응이 일어나게 하는 성질이 있는 물질.
  • 자극역시 (刺戟閾時) : 어떤 자극에 대한 반응이 생길 때에 자극이 효력을 갖는 데에 걸리는 최소의 자극 시간.
  • 자극하다 (刺戟하다) : 외부에서 작용을 주어 감각이나 마음에 반응이 일어나게 하다.
  • 타당자극 (妥當刺戟) : 일정한 감각 기관이 흥분하기에 가장 적합한 자극. 시각 기관에 대한 빛, 청각 기관에 대한 소리 따위이다.
  • 피자극성 (被刺戟性) :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반응하여 흥분이 일어나는 성질.
  • 개지극당감 (皆知戟幢監) : 신라 때에, 개지극당에 속한 무관 벼슬. 정원은 4명으로 모두 왕궁이 있는 왕도(王都)에 두었으며, 관등은 나마(奈麻)부터 사지(舍知)까지였다.
  • 자극량의 법칙 (刺戟量의法則) : 자극량의 역치(閾値)는 자극의 강도나 지속 시간에 관계없이 늘 일정하다는 법칙.
  • 기계적 자극 (機械的刺戟) : 기계나 기구 따위를 사용하여 생물체에 작용함으로써 어떤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일.
  • 무조건 자극 (無條件刺戟) : 무조건 반사를 일으키는 자극.
  • 부적합 자극 (不適合刺戟) : 어떤 감각 세포나 감각 기관이 부자연스럽게 흥분되는 자극. 실험이나 진단, 치료 따위에 사용하며, 눈에 대한 기계적인 자극이나 자외선에 의한 자극 따위를 들 수 있다.
  • 역학적 자극 (力學的刺戟) : 기계나 기구 따위를 사용하여 생물체에 작용함으로써 어떤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일.
  • 이학적 자극 (理學的刺戟) : 기계적, 전기적 자극 외에 한열(寒熱), 기압, 광선, 음향 따위로 생긴 일체의 자극.
  • 자극형 예산 (刺戟型豫算) : '팽창예산'을 달리 이르는 말. 경기를 자극하려고 편성한 예산이라는 뜻이다. (팽창 예산: 정부의 여러 가지 정책을 경비에 적극적으로 올려서, 조세 따위의 경영 세입이 모자랄 경우에는 공채를 발행하여서라도 정부 정책을 수행하게 하는 예산.)
  • 갑상샘 자극 호르몬 (甲狀샘刺戟hormone) : 갑상샘 성숙과 갑상샘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 뇌하수체 앞엽에서 분비된다.
  • 갑상선 자극 호르몬 (甲狀腺刺戟hormone) : '갑상샘자극호르몬'의 전 용어. (갑상샘 자극 호르몬: 갑상샘 성숙과 갑상샘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 뇌하수체 앞엽에서 분비된다.)
  • 색소포 자극 호르몬 (色素胞刺戟hormone) : 색소 과립의 활동을 조절하는 신경 호르몬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생식샘 자극 호르몬 (生殖샘刺戟hormone) : 생식샘에 작용하여 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
  •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 (melanin細胞刺戟hormone) : 뇌하수체 중엽에서 분비되어 피부의 빛깔을 검게 하는 호르몬.
  • 고유 자극 (固有刺戟) : 기관의 활동으로 기관 안에서 일어나는 자극. 근육이 수축하면 근육 안의 신경 근육 방추(神經筋肉紡錘)가 자극을 받는 일 따위가 이에 속한다.
  • 기초 자극 (基礎刺戟) : 삼색 표색계에서 세 기본 자극의 상대적 크기를 정하는 데 쓰는 특수한 색자극.
  • 등가 자극 (等價刺戟) : 정도는 조금씩 다르지만 같은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들. 동물에게 두 그림을 변별하는 훈련을 한 뒤에 한 그림을 약간 고쳐도 반응의 정도가 달라지지 않을 때, 그 그림 같은 것을 이른다.
  • 상한 자극 (上限刺戟) : 그 이상의 자극을 가하면 감각이 일어나지 않는, 자극 강도의 한계치.
  • 신호 자극 (信號刺戟) : 동물의 본능이나 행동을 일으키는 자극. 가시고기 암컷이 배를 수컷에게 드러내어 보이면 배의 색깔이 수컷을 자극하여 교미 행동이 시작되는데, 이 배의 색깔을 유발원이라고 한다.
  • 역하 자극 (閾下刺戟) : 자극역보다 약한 자극.
  • 자극 결장 (刺戟結腸) :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창자의 운동이 증가하여 설사나 변비가 생기고 아랫배가 아픈 만성 질환.
  • 자극 배란 (刺戟排卵) : 교미나 그 밖의 방법으로 암컷의 질의 점막을 자극하였을 때에 일어나는 배란. 토끼에게서 볼 수 있다.
  • 자극 비료 (刺戟肥料) : 농작물에 자극을 주어 발육을 촉진하는 간접 비료. 대부분은 적은 양이지만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오히려 해가 된다.
  • 자극 요법 (刺戟療法) : 질병에 대한 회복력을 높이기 위하여 인체에 적절한 물리적ㆍ화학적 자극을 주는 요법. 온열 요법, 침구(鍼灸) 따위가 있다.
  • 자극 운동 (刺戟運動) : 식물의 운동 현상 가운데 외부의 자극에 대한 세포의 응답으로 나타나는 운동.
  • 자극 착오 (刺戟錯誤) : 기존의 경험이나 지식 때문에 자극의 성질을 잘못 지각하는 일. 즉각적인 경험을 내성할 때 중개된 경험이 개입되어 생긴다.
  • 적당 자극 (適當刺戟) : 어떤 감각 세포나 감각 기관이 자연의 상태에서 받아들이는 자극. 눈에서의 빛의 자극, 귀에서의 음파 자극 따위를 이른다.
  • 적응 자극 (適應刺戟) : 어떤 감각 세포나 감각 기관이 자연의 상태에서 받아들이는 자극. 눈에서의 빛의 자극, 귀에서의 음파 자극 따위를 이른다.
  • 적합 자극 (適合刺戟) : 어떤 감각 세포나 감각 기관이 자연의 상태에서 받아들이는 자극. 눈에서의 빛의 자극, 귀에서의 음파 자극 따위를 이른다.
  • 조건 자극 (條件刺戟) : 조건 반사나 조건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자극.
  • 종말 자극 (終末刺戟) : 유기체가 반응할 수 있는 자극의 최대치. 그 이상의 자극을 가하면 감각이 일어나지 않는다.
  • 성장 자극제 (成長刺戟劑) : 가축의 성장을 자극하기 위하여 사료에 넣는 첨가제. 살리실산 나트륨, 섬유 성장 물질 따위가 있다.
  • 자극 감수성 (刺戟感受性) :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반응하여 흥분이 일어나는 성질.
  • 자극 반응설 (刺戟反應說) : 생물체는 자극에 대하여 반응하고 자극과 반응의 결합이 더욱 강화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학설. 손다이크의 연합주의에서 비롯하였다.
  • 자극 요법제 (刺戟療法劑) : 몸의 조직을 자극하여 치료 능력을 높이는 약. 피부 질환이나 알레르기 증상을 치료하는 데에 쓴다.
  • 자극 자극설 (刺戟刺戟說) : 학습은 자극에 따라 상황에 대한 의미가 부여됨으로써 이루어지며 강화가 따로 필요하지 아니하다는 학설.
  • 자극 전도계 (刺戟傳導系) : 심방에서 발생한 수축 자극을 심실에 전하는 근육성의 통로.
  • 자극 처리법 (刺戟處理法) : 유층(油層)이나 가스층에 자극을 주어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 뇌막 자극 증상 (腦膜刺戟症狀) : 수막을 자극하여 생긴 증상. 두통, 구역질, 구토를 일으키거나 목이 뻣뻣해지기도 하며, 흔히 수막염ㆍ거미막밑 출혈 때에 나타난다.
  • 자극 반응 기제 (刺戟反應機制) : 생물체는 자극에 대하여 반응하고 자극과 반응의 결합이 더욱 강화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학설. 손다이크의 연합주의에서 비롯하였다.
  • 자극 반응 이론 (刺戟反應理論) : 생물체는 자극에 대하여 반응하고 자극과 반응의 결합이 더욱 강화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학설. 손다이크의 연합주의에서 비롯하였다.
  • 자극 전도 장애 (刺戟傳導障礙) : 굴심방 결절 흥분이 심장 근육까지 제대로 닿지 못하는 상태.
  • 전기 자극 치료 (電氣刺戟治療) : 저주파 전류로 근육이나 신경을 자극하여 치료하는 방법. 신경 마비, 근육 무력증, 운동 신경의 전도 장애 따위에 쓰인다.
  • 회전 자극 검사 (回轉刺戟檢査) : 인체나 동물을 일정한 축(軸)의 둘레로 회전하게 하여 각속도로 자극을 주어 그때에 생기는 여러 반응을 살피는 검사.
  • 난포 자극 호르몬 (卵胞刺戟hormone) : 뇌하수체 앞엽에서 분비되는 생식샘 자극 호르몬. 여성의 소포 발육과 성숙을 촉진하고 무게를 늘린다.
  • 비유 자극 호르몬 (泌乳刺戟hormone) : '젖분비호르몬'의 전 용어. (젖분비 호르몬: 뇌하수체에서 분비하는 호르몬의 하나. 젖분비에 관여한다.)
  • 성선 자극 호르몬 (性腺刺戟hormone) : 생식샘에 작용하여 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
  • 심장 자극 전도계 (心臟刺戟傳導系) : 심장을 자율적으로 수축하고, 심장의 각 부분에 일정한 순서로 자극을 전달하는 특수한 심장 근육 섬유.
  • 여포 자극 호르몬 (濾胞刺戟hormone) : '소포성숙호르몬'의 전 용어. (소포 성숙 호르몬: 뇌하수체 앞엽에서 분비되는 생식샘 자극 호르몬. 여성의 소포 발육과 성숙을 촉진하고 무게를 늘린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戟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悴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한자 悴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悴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 노췌 (老悴) : '노췌하다'의 어근. (노췌하다: 늙어서 몸이 마르고 핼쑥하다.)
  • 상췌 (傷悴) : 마음이 상하여 얼굴이나 몸이 핏기 없이 파리하고 해쓱하여짐.
  • 영췌 (營悴/營瘁) : 기운이 좋음과 병에 시달림.
  • 진췌 (盡悴/盡瘁) : 몸이 여위도록 마음과 힘을 다하여 애씀.
  • 진취 (盡悴/盡瘁) : 몸이 여위도록 마음과 힘을 다하여 애씀.
  • 초췌 (憔悴/顦顇) : '초췌하다'의 어근. (초췌하다: 병, 근심, 고생 따위로 얼굴이나 몸이 여위고 파리하다.)
  • 췌안 (悴顔) : 여윈 얼굴.
  • 췌용 (悴容) : 초췌한 얼굴.
  • 초췌히 (憔悴히/顦顇히) : 병, 근심, 고생 따위로 얼굴이나 몸이 여위고 파리하게.
  • 노췌하다 (老悴하다) : 늙어서 몸이 마르고 핼쑥하다.
  • 상췌하다 (傷悴하다) : 마음이 상하여 얼굴이나 몸이 핏기 없이 파리하고 해쓱하여지다.
  • 진췌하다 (盡悴하다/盡瘁하다) : 몸이 여위도록 마음과 힘을 다하여 애쓰다.
  • 진취하다 (盡悴하다/盡瘁하다) : 몸이 여위도록 마음과 힘을 다하여 애쓰다.
  • 초췌하다 (憔悴하다/顦顇하다) : 병, 근심, 고생 따위로 얼굴이나 몸이 여위고 파리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悴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剄에 관한 단어는 모두 7개

한자 剄에 관한 단어는 모두 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剄에 관한 단어는 모두 7개

  • 경마 (剄馬) : 말의 목을 벰.
  • 경사 (剄死) : 스스로 목을 찔러 죽음.
  • 경살 (剄殺) : 목을 베어 죽임.
  • 자경 (自剄) : 스스로 자신의 목을 베거나 찌름. 또는 그렇게 하여 죽음.
  • 경마하다 (剄馬하다) : 말의 목을 베다.
  • 경사하다 (剄死하다) : 스스로 목을 찔러 죽다.
  • 경살하다 (剄殺하다) : 목을 베어 죽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剄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