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14일 수요일

동빙한설: 凍氷寒雪

동빙한설 (凍氷寒雪) : 얼어붙은 얼음과 차가운 눈이라는 뜻으로, 심한 추위를 이르는 말.



凍氷寒雪 한자 뜻 풀이

  • 凍(얼 동) : 얼다, 춥다, 옥, 돌 등이 아름답고 투명한 모양, 움직이다, 세차게 퍼붓는 비.
  • 氷(얼음 빙) : 얼음, 얼다, 오싹하다, 기름, 전동(箭筒) 뚜껑. 물이 변한 얼음의 의미에서 '이수변[얼(빙)]'을 만듦
  • 寒(찰 한) : 차다, 오싹하다, 가난하다, 천하다, 그만두다. 집안에 풀들을 놓은 상태에 아래에 얼음이 있는 모양에서 '차다'는 의미 생성
  • 雪(눈 설) : 눈, 눈이 오다, 씻다, 희다, 깨끗하다. 빗자루 모양에서 하늘에서 내리는 '눈'을 의미함


[凍] 얼 동 (얼다, 춥다, 옥, 돌 등이 아름답고 투명한 모양, 움직이다, 세차게 퍼붓는 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동빙한설 획순 이미지 동빙한설(凍氷寒雪) : 얼어붙은 얼음과 차가운 눈이라는 뜻으로, 심한 추위를 이르는 말. [ (: 얼 동) (: 얼음 빙) (: 찰 한) (: 눈 설) ]
  • 동빙가절(凍氷可折) : 물도 얼음이 되면 쉽게 부러진다는 뜻으로, 사람의 성격도 때에 따라 변한다는 말. [ (: 얼 동) (: 얼음 빙) (: 옳을 가) (: 꺾을 절) ]
  • 동족방뇨(凍足放尿) : 언 발에 오줌 누기라는 뜻으로, 잠시 동안만 효력이 있을 뿐 효력이 바로 사라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얼 동) (: 발 족) (: 놓을 방) (尿: 오줌 뇨) ]

[寒] 찰 한 (차다, 오싹하다, 가난하다, 천하다, 그만두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동설한 획순 이미지 삼동설한(三冬雪寒) : 눈 내리고 추운 겨울 석 달 동안. [ (: 석 삼) (: 겨울 동) (: 눈 설) (: 찰 한) ]
  • 천한백옥(天寒白屋) : 추운 날의 허술한 초가집이라는 뜻으로, 엄동설한에 떠는 가난한 생활을 이르는 말. [ (: 하늘 천) (: 찰 한) (: 흰 백) (: 집 옥) ]
  • 탕위한연(蕩爲寒煙) : 깨어져 연무(煙霧)가 된다는 뜻으로, 이전에 있었던 건물 따위가 흔적도 없이 없어지고 그 부근에는 오직 쓸쓸한 안개만이 감돌고 있다는 의미. [ (: 쓸어없앨 탕) (: 할 위) (: 찰 한) (: 연기 연) ]
  • 맹한사조(盟寒沙鳥) : 갈매기와의 약속이 희미해진다는 뜻으로, 은거(隱居)하여 갈매기를 벗삼아 지내다가, 다시 벼슬길에 오름을 이르는 말. [ (: 맹세 맹) (: 찰 한) (: 모래 사) (: 새 조) ]
  • 포의한사(布衣寒士) : 베옷을 입은 가난한 선비라는 뜻으로, 벼슬이 없는 가난한 선비를 이르는 말. [ (: 베 포) (: 옷 의) (: 찰 한) (: 선비 사) ]

[氷] 얼음 빙 (얼음, 얼다, 오싹하다, 기름, 전동(箭筒) 뚜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여리박빙 획순 이미지 여리박빙(如履薄氷) : 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아슬아슬하고 위험한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같을 여) (: 밟을 리) (: 엷을 박) (: 얼음 빙) ]
  • 빙청옥결(氷淸玉潔) : 얼음같이 맑고 옥같이 깨끗한 심성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얼음 빙) (: 맑을 청) (: 구슬 옥) (: 깨끗할 결) ]
  • 월하빙인(月下氷人) : 월하노인(月下老人)과 빙상인(氷上人)이라는 뜻으로, 중매를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 달 월) (: 아래 하) (: 얼음 빙) (: 사람 인) ]
  • 빙기옥골(氷肌玉骨) : (1)살결이 맑고 깨끗한 미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매화의 곱고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얼음 빙) (: 살 기) (: 구슬 옥) (: 뼈 골) ]
  • 동빙한설(凍氷寒雪) : 얼어붙은 얼음과 차가운 눈이라는 뜻으로, 심한 추위를 이르는 말. [ (: 얼 동) (: 얼음 빙) (: 찰 한) (: 눈 설) ]

[雪] 눈 설 (눈, 눈이 오다, 씻다, 희다, 깨끗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설상가상 획순 이미지 설상가상(雪上加霜)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 (: 눈 설) (: 위 상) (: 더할 가) (: 서리 상) ]
  • 영설지재(詠雪之才) : 여자의 뛰어난 글재주. 중국 진나라 사(謝) 씨의 딸이 시를 짓는데 눈을 보고 바람에 날리는 버들가지 같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 (: 읊을 영) (: 눈 설) (: 갈 지) (: 재주 재) ]
  • 삼동설한(三冬雪寒) : 눈 내리고 추운 겨울 석 달 동안. [ (: 석 삼) (: 겨울 동) (: 눈 설) (: 찰 한) ]
  • 설중군자(雪中君子) : 눈 속의 군자라는 뜻으로, 사군자(四君子)의 하나인 매화의 딴 이름임. [ (: 눈 설) (: 가운데 중) (: 임금 군) (: 아들 자) ]
  • 풍상설우(風霜雪雨) : 바람과 서리와 눈과 비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바람 풍) (: 서리 상) (: 눈 설) (: 비 우) ]

[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설상가상 획순 이미지 설상가상(雪上加霜)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 (: 눈 설) (: 위 상) (: 더할 가) (: 서리 상) ]
  • 영설지재(詠雪之才) : 여자의 뛰어난 글재주. 중국 진나라 사(謝) 씨의 딸이 시를 짓는데 눈을 보고 바람에 날리는 버들가지 같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 (: 읊을 영) (: 눈 설) (: 갈 지) (: 재주 재) ]
  • 안중무인(眼中無人) : 눈에 보이는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방자하고 교만하여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 [ (: 눈 안) (: 가운데 중) (: 없을 무) (: 사람 인) ]
  • 형불여면면불여안(形不如面面不如眼) : 사람됨을 알아보는 데는 형체(形體)보다는 얼굴, 얼굴보다는 눈. [ (: 형상 형) (: 아니 불) (: 같을 여) (: 낯 면) (: 낯 면) (: 아니 불) (: 같을 여) (: 눈 안) ]
  • 봉목시성(蜂目豺聲) : 벌과 같은 눈과 승냥이 같은 목소리라는 뜻으로, 흉악한 인상을 이르는 말. [ (: 벌 봉) (: 눈 목) (: 승냥이 시) (: 소리 성) ]

[얼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여리박빙 획순 이미지 여리박빙(如履薄氷) : 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아슬아슬하고 위험한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같을 여) (: 밟을 리) (: 엷을 박) (: 얼음 빙) ]
  • 빙청옥결(氷淸玉潔) : 얼음같이 맑고 옥같이 깨끗한 심성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얼음 빙) (: 맑을 청) (: 구슬 옥) (: 깨끗할 결) ]
  • 월하빙인(月下氷人) : 월하노인(月下老人)과 빙상인(氷上人)이라는 뜻으로, 중매를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 달 월) (: 아래 하) (: 얼음 빙) (: 사람 인) ]
  • 빙기옥골(氷肌玉骨) : (1)살결이 맑고 깨끗한 미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매화의 곱고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얼음 빙) (: 살 기) (: 구슬 옥) (: 뼈 골) ]
  • 동빙한설(凍氷寒雪) : 얼어붙은 얼음과 차가운 눈이라는 뜻으로, 심한 추위를 이르는 말. [ (: 얼 동) (: 얼음 빙) (: 찰 한) (: 눈 설) ]

[추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동빙한설 획순 이미지 동빙한설(凍氷寒雪) : 얼어붙은 얼음과 차가운 눈이라는 뜻으로, 심한 추위를 이르는 말. [ (: 얼 동) (: 얼음 빙) (: 찰 한) (: 눈 설) ]
  • 풍한서습(風寒暑濕) : 바람과 추위와 더위와 습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더울 서) (: 축축할 습) ]
  • 한왕서래(寒往暑來) : 추위가 물러가고 무더위가 온다는 뜻으로, 세월(歲月)이 흘러감을 이르는 말. [ (: 찰 한) (: 갈 왕) (: 더울 서) (: 올 래) ]
  • 호한제기(號寒啼饑) : 추위에 울부짖고 굶주림에 운다는 뜻으로, 추위와 굶주림에 우는 극빈함을 이르는 말. [ (: 부를 호) (: 찰 한) (: 울 제) (: 주릴 기) ]
  • 송죽매(松竹梅) : 소나무와 대나무와 매화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예로부터 세한삼우라고 하여 시나 그림의 소재로 많이 삼아 왔다. [ (: 솔 송) (: 대 죽) (: 매화나무 매) ]

[혹독]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요수촉금 획순 이미지 요수촉금(搖手觸禁) : 손을 움직이면 금령(禁令)에 저촉된다는 뜻으로, 작은 행동도 법령을 어기게 되는 것처럼 법령이 혹독하고 가혹함을 비유하는 말. [ (: 흔들릴 요) (: 손 수) (: 닿을 촉) (: 금할 금) ]
  • 동빙한설(凍氷寒雪) : 얼어붙은 얼음과 차가운 눈이라는 뜻으로, 심한 추위를 이르는 말. [ (: 얼 동) (: 얼음 빙) (: 찰 한) (: 눈 설) ]
  • 적구독설(赤口毒舌) : 남을 몹시 저주하는 말. [ (: 붉을 적) (: 입 구) (: 독 독) (: 혀 설) ]
  • 엄동설한(嚴冬雪寒) : 눈 내리는 깊은 겨울의 심한 추위. [ (: 엄할 엄) (: 겨울 동) (: 눈 설) (: 찰 한) ]
  • 파고착조(破觚斲雕) : 모서리를 없애고 조각한 것을 깎아낸다는 뜻으로, 혹독(酷毒)한 형벌을 완화(緩和)시키고 복잡한 법률을 간단하게 고쳐 지키기 쉽게 함을 이르는 말. [ (: 깨뜨릴 파) (: 술잔 고) (: 깎을 착) (: 독수리 조) ]

[겨울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동설한 획순 이미지 삼동설한(三冬雪寒) : 눈 내리고 추운 겨울 석 달 동안. [ (: 석 삼) (: 겨울 동) (: 눈 설) (: 찰 한) ]
  • 동빙한설(凍氷寒雪) : 얼어붙은 얼음과 차가운 눈이라는 뜻으로, 심한 추위를 이르는 말. [ (: 얼 동) (: 얼음 빙) (: 찰 한) (: 눈 설) ]
  • 동빙가절(凍氷可折) : 물도 얼음이 되면 쉽게 부러진다는 뜻으로, 사람의 성격도 때에 따라 변한다는 말. [ (: 얼 동) (: 얼음 빙) (: 옳을 가) (: 꺾을 절) ]
  • 송죽매(松竹梅) : 소나무와 대나무와 매화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예로부터 세한삼우라고 하여 시나 그림의 소재로 많이 삼아 왔다. [ (: 솔 송) (: 대 죽) (: 매화나무 매) ]
  • 손강영설(孫康映雪) : 어려운 가운데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손강(孫康)이 몹시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으로 공부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손자 손) (: 편안할 강) (: 비칠 영) (: 눈 설)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