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25일 화요일

차공제사: 借公濟私

차공제사 (借公濟私) : 공적인 명의를 빌려서 사사로운 일을 처리한다는 뜻으로, 직권을 남용하거나 공사(公事)를 빙자하여 개인의 이익이나 편의를 도모함을 이르는 말.



借公濟私 한자 뜻 풀이

  • 借(빌 차) : 빌다, 빌리다, 가령, 남한테서 빌려 옴, 빌려 줌. 사람이 남에게 물건이나 재화를 '빌린다'는 의미. 昔(석)은 발음 요소
  • 公(공변될 공) : 공변되다, 드러내다, 공적(公的), 임금, 공작(公爵). 사사로움을 배반한다는 의미에서 '공변되다'는 생성. 후에 '공적인 내용이나 임금, 높은 벼슬아치' 등의 의미 파생
  • 濟(건널 제) : 건너다, 많고 성하다, 나루터, 구제하다, 더하다. 본래 물을 '건넌다'는 의미에서 만든 글자. 후에 빠진 사람을 건져준다는 의미에서 '구제하다'는 의미 생성
  • 私(사사 사) : 사사, 사사로이하다, 은밀하다, 홀로, 사랑하다. 사사로운 개인의 상징으로 벼[禾]를 사용해 '사사롭다'는 의미 생성


[借] 빌 차 (빌다, 빌리다, 가령, 남한테서 빌려 옴, 빌려 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차풍사선 획순 이미지 차풍사선(借風使船) : 바람을 빌려 배를 부린다는 뜻으로, 돈을 빌려 임시변통한다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 [ (: 빌 차) (: 바람 풍) (使: 부릴 사) (: 배 선) ]
  • 차화헌불(借花獻佛) : 꽃을 빌려 부처에 바친다는 뜻으로, 남의 물건으로 자신의 이득을 꾀한다는 의미. [ (: 빌 차) (: 꽃 화) (: 바칠 헌) (: 부처 불) ]
  • 차인전적물훼필완(借人典籍勿毁必完) : 남의 책을 빌려 오면 훼손(毁損)시키지 말고 반드시 온전(穩全)하게 함. [ (: 빌 차) (: 사람 인) (: 법 전) (: 문서 적) (: 말 물) (: 헐 훼) (: 반드시 필) (: 완전할 완) ]
  • 서불차인(書不借人) : 책은 남에게 빌려주지 않는다는 말. [ (: 글 서) (: 아니 불) (: 빌 차) (: 사람 인) ]

[公] 공변될 공 (공변되다, 드러내다, 공적(公的), 임금, 공작(公爵))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확연대공 획순 이미지 확연대공(廓然大公) :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 (: 클 확) (: 그러할 연) (: 큰 대) (: 공변될 공) ]
  • 대공지평(大公至平) : '대공지평하다'의 어근. [ (: 큰 대) (: 공변될 공) (: 이를 지) (: 평평할 평) ]
  • 공경대부(公卿大夫) : 삼공과 구경, 대부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공변될 공) (: 벼슬 경) (: 큰 대) (: 지아비 부) ]
  • 부공(父公) :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 아비 부) (: 공변될 공) ]
  • 선공후사(先公後私) : 공적인 일을 먼저 하고 사사로운 일은 뒤로 미룸. [ (: 먼저 선) (: 공변될 공) (: 뒤 후) (: 사사 사) ]

[濟] 건널 제 (건너다, 많고 성하다, 나루터, 구제하다, 더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제도이생 획순 이미지 제도이생(濟度利生) : 중생을 제도하여 이익을 줌. [ (: 건널 제) (: 법도 도) (: 날 생) ]
  • 제세지재(濟世之才) : 세상을 구제할 만한 재주. 또는 그 재주를 가진 사람. [ (: 건널 제) (: 인간 세) (: 갈 지) (: 재주 재) ]
  • 제제창창(濟濟蹌蹌) : 몸가짐이 위엄이 있고 질서가 정연함. [ (: 건널 제) (: 건널 제) (: 추창할 창) (: 추창할 창) ]

[私] 사사 사 (사사, 사사로이하다, 은밀하다, 홀로, 사랑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리사복 획순 이미지 사리사복(私利私腹) : 사사로운 이익과 욕심. [ (: 사사 사) (: 날카로울 리) (: 사사 사) (: 배 복) ]
  • 선공후사(先公後私) : 공적인 일을 먼저 하고 사사로운 일은 뒤로 미룸. [ (: 먼저 선) (: 공변될 공) (: 뒤 후) (: 사사 사) ]
  • 사사망념(私思妄念) : 몰래 사사로이 품은 망령된 생각. [ (: 사사 사) (: 생각할 사) (: 망령될 망) (: 생각 념) ]
  • 철면무사(鐵面無私) : 사사(私事)로운 정에 구애(拘礙)되지 아니함. [ (: 쇠 철) (: 낯 면) (: 없을 무) (: 사사 사) ]

[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 획순 이미지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옳을 가) (: 줄 여) (: 이룰 성)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희출망외(喜出望外) :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이 뜻밖에 생김. [ (: 기쁠 희) (: 날 출) (: 바랄 망) (: 바깥 외) ]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公事]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선공후사 획순 이미지 선공후사(先公後私) : 공적인 일을 먼저 하고 사사로운 일은 뒤로 미룸. [ (: 먼저 선) (: 공변될 공) (: 뒤 후) (: 사사 사) ]
  • 세수봉직(洗手奉職) : 손을 씻고 공직에 봉사한다는 뜻으로, 공사(公事)에 청렴결백(淸廉潔白)함을 이르는 말. [ (: 씻을 세) (: 손 수) (: 받들 봉) (: 벼슬 직) ]
  • 차공제사(借公濟私) : 공적인 명의를 빌려서 사사로운 일을 처리한다는 뜻으로, 직권을 남용하거나 공사(公事)를 빙자하여 개인의 이익이나 편의를 도모함을 이르는 말. [ (: 빌 차) (: 공변될 공) (: 건널 제) (: 사사 사) ]

[개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대의멸친 획순 이미지 대의멸친(大義滅親) : 큰 도리를 지키기 위하여 부모나 형제도 돌아보지 않음. [ (: 큰 대) (: 옳을 의) (: 멸망할 멸) (: 친할 친) ]
  • 영고성쇠(榮枯盛衰) : 인생이나 사물의 번성함과 쇠락함이 서로 바뀜. [ (: 영화 영) (: 마를 고) (: 담을 성) (: 쇠할 쇠) ]
  • 갈등(葛藤) : (1)칡과 등나무가 서로 얽히는 것과 같이, 개인이나 집단 사이에 목표나 이해관계가 달라 서로 적대시하거나 충돌함. 또는 그런 상태. (2)소설이나 희곡에서, 등장인물 사이에 일어나는 대립과 충돌 또는 등장인물과 환경 사이의 모순과 대립을 이르는 말. (3)두 가지 이상의 상반되는 요구나 욕구, 기회 또는 목표에 직면하였을 때, 선택을 하지 못하고 괴로워함. 또는 그런 상태. [ (: 칡 갈) (: 등나무 등) ]
  • 백팔번뇌(百八煩惱) : (1)최남선이 지은 시조집.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 시조집으로, 1926년에 간행하였다. (2)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이에 탐(貪)과 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를 이른다. [ (: 일백 백) (: 여덟 팔) (: 번거로울 번) (: 괴로워할 뇌) ]
  • 상호부조(相互扶助) : 공동생활에서 개인들끼리 서로 돕는 일. 사회 진화의 근본적 동력이 된다. [ (: 서로 상) (: 서로 호) (: 도울 부) (: 도울 조) ]

[공적]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선공후사 획순 이미지 선공후사(先公後私) : 공적인 일을 먼저 하고 사사로운 일은 뒤로 미룸. [ (: 먼저 선) (: 공변될 공) (: 뒤 후) (: 사사 사) ]
  • 탕탕지훈(蕩蕩之勳) : 대단히 큰 훈공. [ (: 쓸어없앨 탕) (: 쓸어없앨 탕) (: 갈 지) (: 공 훈) ]
  • 명왕불엄인지의(明王不掩人之義) : 어진 군주(君主)는 신하(臣下)의 공적(功績)을 감춤이 없이 발표(發表)함. [ (: 밝을 명) (: 임금 왕) (: 아니 불) (: 가릴 엄) (: 사람 인) (: 갈 지) (: 옳을 의) ]

[구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제세지재 획순 이미지 제세지재(濟世之才) : 세상을 구제할 만한 재주. 또는 그 재주를 가진 사람. [ (: 건널 제) (: 인간 세) (: 갈 지) (: 재주 재) ]
  • 본원왕생(本願往生) : 부처의 발원으로 구제를 받아 극락에 왕생하는 일. [ (: 밑 본) (: 원할 원) (: 갈 왕) (: 날 생) ]
  • 구국간성(救國干城) : 나라를 구하는 방패와 성. [ (: 건질 구) (: 나라 국) (: 방패 간) (: 성 성) ]

[남용]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차공제사 획순 이미지 차공제사(借公濟私) : 공적인 명의를 빌려서 사사로운 일을 처리한다는 뜻으로, 직권을 남용하거나 공사(公事)를 빙자하여 개인의 이익이나 편의를 도모함을 이르는 말. [ (: 빌 차) (: 공변될 공) (: 건널 제) (: 사사 사) ]
  • 용전여수(用錢如水) : 돈을 물처럼 흔하게 씀. [ (: 쓸 용) (: 돈 전) (: 같을 여) (: 물 수) ]

[도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장구지계 획순 이미지 장구지계(長久之計) : 어떤 일이 오래 계속되도록 꾀하는 계책. [ (: 길 장) (: 오랠 구) (: 갈 지) (: 셀 계) ]
  • 도모시용(道謀是用) : 길에서 도모하기 때문이라는 뜻으로, 길가에 집을 짓는데, 길 가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짓는 것이 좋을까 상의하면 구구한 의견으로 제대로 완성할 수 없는 것처럼 주견(主見) 없이 남의 의견만 쫓으면 일을 성취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作舍道傍(작사도방)]. [ (: 길 도) (: 꾀할 모) (: 옳을 시) (: 쓸 용) ]
  • 죄의유경(罪疑惟輕) : 죄가 의심스러우면 가벼움을 도모한다는 뜻으로, 죄상이 확실하지 못하여 벌의 경중을 판단하기 얼울 때는 가벼운 쪽을 따른다는 의미. [ (: 허물 죄) (: 의심할 의) (: 생각할 유) (: 가벼울 경) ]
  • 한불조도(恨不早圖) : 시기를 놓쳐 하지 못한 것을 뉘우침. [ (: 한할 한) (: 아니 불) (: 일찍 조) (: 그림 도) ]
  • 도남의재북(圖南意在北) : 남쪽을 도모(圖謀)하는 데 뜻은 북쪽에 있다는 뜻으로, 목적(目的)은 다른 곳에 있는 것처럼 꾸미고, 실상(實相)은 그 하고자 하는 바 목적(目的)으로 나가는 일. [ (: 그림 도) (: 남녘 남) (: 뜻 의) (: 있을 재) (: 북녘 북) ]

[명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편작불능육백골 획순 이미지 편작불능육백골(扁鵲不能肉白骨) : 천하(天下)의 명의(名醫) 편작도 죽은 사람을 소생시킬 수는 없다는 뜻으로, 충신(忠臣)도 망국(亡國)을 유지(維持)할 수는 없음을 이르는 말. [ (: 넓적할 편) (: 까치 작) (: 아니 불) (: 능할 능) (: 고기 육) (: 흰 백) (: 뼈 골) ]
  • 차공제사(借公濟私) : 공적인 명의를 빌려서 사사로운 일을 처리한다는 뜻으로, 직권을 남용하거나 공사(公事)를 빙자하여 개인의 이익이나 편의를 도모함을 이르는 말. [ (: 빌 차) (: 공변될 공) (: 건널 제) (: 사사 사) ]
  • 천객만래(千客萬來) : 천 명의 손님이 만 번씩 온다는 뜻으로, 많은 손님이 번갈아 계속 찾아옴을 이르는 말. [ (: 일천 천) (: 손 객) (: 일만 만) (: 올 래) ]
  • 청낭비결(靑囊祕訣) : 중국 후한 말기의 명의(名醫)인 화타(華陀)가 지은 의서. 오늘날 전하지 않는다. [ (: 푸를 청) (: 주머니 낭) (: 숨길 비) (: 이별할 결) ]
  • 만부부당(萬夫不當) : 수많은 장부(丈夫)로도 능히 당할 수 없음. [ (: 일만 만) (: 지아비 부) (: 아닌가 부) (: 마땅할 당) ]

[빙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빙공영사 획순 이미지 빙공영사(憑公營私) : 공적인 것을 빙자하여 사적인 이득을 꾀함. [ (: 기댈 빙) (: 공변될 공) (: 경영할 영) (: 사사 사) ]
  • 차공제사(借公濟私) : 공적인 명의를 빌려서 사사로운 일을 처리한다는 뜻으로, 직권을 남용하거나 공사(公事)를 빙자하여 개인의 이익이나 편의를 도모함을 이르는 말. [ (: 빌 차) (: 공변될 공) (: 건널 제) (: 사사 사) ]

[이익]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차풍사선 획순 이미지 차풍사선(借風使船) : 바람을 빌려 배를 부린다는 뜻으로, 돈을 빌려 임시변통한다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 [ (: 빌 차) (: 바람 풍) (使: 부릴 사) (: 배 선) ]
  • 사리사복(私利私腹) : 사사로운 이익과 욕심. [ (: 사사 사) (: 날카로울 리) (: 사사 사) (: 배 복) ]
  • 단지고초장통시구리래(短池孤草長通市求利來) : 짧은 연못엔 외로운 풀만 길어나고, 시장(市場)을 통(通)하니 이익(利益)을 구(求)하여 옴. [ (: 짧을 단) (: 못 지) (: 외로울 고) (: 풀 초) (: 길 장) (: 통할 통) (: 저자 시) (: 구할 구) (: 날카로울 리) (: 올 래) ]
  • 불비지혜(不費之惠) : 자기에게는 해가 될 것이 없어도 남에게는 이익이 될 만하게 베풀어 주는 은혜. [ (: 아니 불) (: 쓸 비) (: 갈 지) (: 은혜 혜) ]

[직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차공제사 획순 이미지 차공제사(借公濟私) : 공적인 명의를 빌려서 사사로운 일을 처리한다는 뜻으로, 직권을 남용하거나 공사(公事)를 빙자하여 개인의 이익이나 편의를 도모함을 이르는 말. [ (: 빌 차) (: 공변될 공) (: 건널 제) (: 사사 사) ]

[처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할계우도 획순 이미지 할계우도(割鷄牛刀)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 (: 나눌 할) (: 닭 계) (: 소 우) (: 칼 도) ]
  • 칭체재의(稱體裁衣) : 몸에 맞추어서 옷을 만든다는 뜻으로, 사람에 따라 그 경우에 맞도록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일컬을 칭) (: 몸 체) (: 마를 재) (: 옷 의) ]
  • 다다익판(多多益辦) : 많으면 많을수록 더 잘 처리(處理)함. [ (: 많을 다) (: 많을 다) (: 더할 익) (: 힘쓸 판) ]

[편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아무유양 획순 이미지 아무유양(我武維揚) : 자기(自己)네 편의 무위(武威)가 드날림을 이르는 말. [ (: 나 아) (: 호반 무) (: 밧줄 유) (: 오를 양) ]
  • 칠보성시(七步成詩) : 일곱 걸음에 한 편의 시를 완성한다는 뜻으로, 시를 빨리 잘 짓는 재주를 이르는 말. [ (: 일곱 칠) (: 걸을 보) (: 이룰 성) (: 시 시) ]
  • 양시쌍비(兩是雙非) : (1)'양시쌍비'의 북한어. (2)양편의 주장이 다 이유가 있어서 시비를 가리기 어려움. [ (: 옳을 시) (: 쌍 쌍) (: 아닐 비) ]
  • 차공제사(借公濟私) : 공적인 명의를 빌려서 사사로운 일을 처리한다는 뜻으로, 직권을 남용하거나 공사(公事)를 빙자하여 개인의 이익이나 편의를 도모함을 이르는 말. [ (: 빌 차) (: 공변될 공) (: 건널 제) (: 사사 사) ]
  • 혈맥관통(血脈貫通) : 핏줄이 서로 통함. 곧 혈육의 관계가 있음을 이른다. [ (: 피 혈) (: 맥 맥) (: 꿸 관) (: 통할 통)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