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25일 일요일

천자만태: 千姿萬態

천자만태 (千姿萬態) : 가지각색의 자태.



千姿萬態 한자 뜻 풀이

  • 千(일천 천) : 일천, 천 번, 많다, 반드시, 밭두둑. 사람[人]에 하나[一]를 그어 많다는 '일천'의 의미 생성
  • 姿(맵시 자) : 맵시, 모양내다, 모습, 풍취(風趣), 소질. 맵시나 자태의 의미에서 풍취 등의 의미를 파생함
  • 萬(일만 만) : 1만, 다수, 결코, 크다, 전갈(全蠍). 본래 전갈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본 의미는 사라지고, 후에 수의 '일만'을 의미함. 많고 크다는 의미에서 '결코', '반드시' 등 파생
  • 態(모양 태) : 모양. 자신이 할 수 있는 형태의 모든 것에서 겉으로 나타난 형상의 의미. '熊(웅:곰)'과 자형 구별에 유의


[千] 일천 천 (일천, 천 번, 많다, 반드시, 밭두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 획순 이미지 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好事不出門惡事行千里) : 좋은 일은 좀체로 세상(世上)에 알려지지 않으나, 나쁜 일은 이내 널리 알려짐. [ (: 좋을 호) (: 일 사) (: 아니 불) (: 날 출) (: 문 문) (: 악할 악) (: 일 사) (: 갈 행) (: 일천 천) (: 마을 리) ]
  • 백천만사(百千萬事) : 온갖 일. [ (: 일백 백) (: 일천 천) (: 일만 만) (: 일 사) ]
  • 양이천석(良二千石) : 선정(善政)을 베푸는 지방 장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한(漢)나라 때에 태수(太守)의 연봉이 이천 석이었던 데서 유래한다. [ (: 두 이) (: 일천 천) (: 돌 석) ]
  • 천만의외(千萬意外) : 전혀 생각하지 아니한 상태. [ (: 일천 천) (: 일만 만) (: 뜻 의) (: 바깥 외) ]
  • 일기당천(一騎當千) : 한 사람의 기병이 천 사람을 당한다는 뜻으로, 싸우는 능력이 아주 뛰어남을 이르는 말. [ (: 한 일) (: 말 탈 기) (: 마땅할 당) (: 일천 천) ]

[姿] 맵시 자 (맵시, 모양내다, 모습, 풍취(風趣), 소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포류지자 획순 이미지 포류지자(蒲柳之姿) : 갯버들의 모습이라는 뜻으로, 갯버들 잎이 일찍 시들어 떨어지는 데서, 쇠약한 몸이라는 것을 스스로 표현할 때 사용하거나, 선천적으로 유약한 체질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부들 포) (: 버들 류) (: 갈 지) (姿: 맵시 자) ]
  • 모시숙자(毛施淑姿) : 모(毛)는 오의 모타라는 여자(女子)이고, 시(施)는 월의 서시(西施)라는 여자(女子)인데, 모두 절세미인(絶世美人)이었음. [ (: 털 모) (: 베풀 시) (: 맑을 숙) (姿: 맵시 자) ]
  • 천자만태(千姿萬態) : 가지각색의 자태. [ (: 일천 천) (姿: 맵시 자) (: 일만 만) (: 모양 태) ]
  • 봉자옥골(鳳姿玉骨) : 봉황의 자태와 옥같이 깨끗한 골격이라는 뜻으로, 기품 있는 자태와 고결한 풍채를 이르는 말. [ (: 봉새 봉) (姿: 맵시 자) (: 구슬 옥) (: 뼈 골) ]
  • 선자옥질(仙姿玉質) : 신선의 자태에 옥의 바탕이라는 뜻으로, 몸과 마음이 매우 아름다운 사람을 이르는 말. [ (: 신선 선) (姿: 맵시 자) (: 구슬 옥) (: 바탕 질) ]

[態] 모양 태 (모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염량세태 획순 이미지 염량세태(炎凉世態) : 더웠다가 차가워지는 세상 인심이라는 뜻으로, 권세가 있을 때는 아부하여 좇고, 세력이 사라지면 푸대접하는 각박한 세상 인심을 이르는 말. [ (: 불꽃 염) (: 서늘할 량) (: 인간 세) (: 모양 태) ]
  • 백태구비(百態具備) : 온갖 아름다운 자태(姿態)가 다 갖추어져 있음. [ (: 일백 백) (: 모양 태) (: 갖출 구) (: 갖출 비) ]
  • 백태천광(百態千光) : 온갖 아름다움을 갖춘 자태(姿態). [ (: 일백 백) (: 모양 태) (: 일천 천) (: 빛 광) ]
  • 산용수태(山容水態) : 산의 솟은 모양과 물의 흐르는 모양이라는 뜻으로, 산천의 형세를 이르는 말. [ (: 메 산) (: 얼굴 용) (: 물 수) (: 모양 태) ]

[萬] 일만 만 (1만, 다수, 결코, 크다, 전갈(全蠍))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누거만금 획순 이미지 누거만금(累巨萬金) : (1)'누거만금'의 북한어. (2)매우 많은 돈. [ (: 클 거) (: 일만 만) (: 쇠 금) ]
  • 백천만사(百千萬事) : 온갖 일. [ (: 일백 백) (: 일천 천) (: 일만 만) (: 일 사) ]
  • 억만창생(億萬蒼生) : 수많은 백성. [ (: 억 억) (: 일만 만) (: 푸를 창) (: 날 생) ]
  • 만군지중(萬軍之中) : 많은 군사가 진을 친 가운데. [ (: 일만 만) (: 군사 군) (: 갈 지) (: 가운데 중) ]

[맵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자만태 획순 이미지 천자만태(千姿萬態) : 가지각색의 자태. [ (: 일천 천) (姿: 맵시 자) (: 일만 만) (: 모양 태) ]
  • 폐월수화(閉月羞花) : 달도 숨고 꽃도 부끄러워한다는 뜻으로, 여인의 얼굴과 맵시가 매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닫을 폐) (: 달 월) (: 부끄러울 수) (: 꽃 화) ]
  • 평사낙안(平沙落雁) : (1)모래펄에 날아와 앉은 기러기. (2)샤오샹 팔경(瀟湘八景)의 하나. 동양화의 화제(畫題)가 된다. (3)글씨나 문장이 매끈하게 잘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아름다운 여인의 맵시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평평할 평) (: 모래 사) (: 기러기 안) ]
  • 수화폐월(羞花閉月) : 꽃도 부끄러워하고 달도 숨는다는 뜻으로, 여인의 얼굴과 맵시가 매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부끄러울 수) (: 꽃 화) (: 닫을 폐) (: 달 월) ]
  • 화용월태(花容月態) : 아름다운 여인의 얼굴과 맵시를 이르는 말. [ (: 꽃 화) (: 얼굴 용) (: 달 월) (: 모양 태) ]

[모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 획순 이미지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곡미풍협(曲眉豊頰) : 굽은 눈썹과 풍만한 뺨이라는 뜻으로, 초승달 모양의 눈썹과 통통하게 살이 붙은 탐스러운 뺨이란 뜻으로, 고전적 동양 미인의 얼굴을 이르는 말. [ (: 굽을 곡) (: 눈썹 미) (: 풍년 풍) (: 뺨 협) ]
  • 산용수상(山容水相) : 산의 솟은 모양과 물의 흐르는 모양이라는 뜻으로, 산천의 형세를 이르는 말. [ (: 메 산) (: 얼굴 용) (: 물 수) (: 서로 상) ]

[자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백태구비 획순 이미지 백태구비(百態具備) : 온갖 아름다운 자태(姿態)가 다 갖추어져 있음. [ (: 일백 백) (: 모양 태) (: 갖출 구) (: 갖출 비) ]
  • 백태천광(百態千光) : 온갖 아름다움을 갖춘 자태(姿態). [ (: 일백 백) (: 모양 태) (: 일천 천) (: 빛 광) ]
  • 천자만태(千姿萬態) : 가지각색의 자태. [ (: 일천 천) (姿: 맵시 자) (: 일만 만) (: 모양 태) ]
  • 봉자옥골(鳳姿玉骨) : 봉황의 자태와 옥같이 깨끗한 골격이라는 뜻으로, 기품 있는 자태와 고결한 풍채를 이르는 말. [ (: 봉새 봉) (姿: 맵시 자) (: 구슬 옥) (: 뼈 골) ]
  • 선자옥질(仙姿玉質) : 신선의 자태에 옥의 바탕이라는 뜻으로, 몸과 마음이 매우 아름다운 사람을 이르는 말. [ (: 신선 선) (姿: 맵시 자) (: 구슬 옥) (: 바탕 질)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